KR102530035B1 -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35B1
KR102530035B1 KR1020230022306A KR20230022306A KR102530035B1 KR 102530035 B1 KR102530035 B1 KR 102530035B1 KR 1020230022306 A KR1020230022306 A KR 1020230022306A KR 20230022306 A KR20230022306 A KR 20230022306A KR 102530035 B1 KR102530035 B1 KR 10253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ide
hull
loadin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홍일
장영재
임우람
김창범
한동화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arrier, which can reduce time and costs due to excessive pitting work. The container carrier comprises: a ship body which consists of a ship side plate forming a double-hull structure of an outer ship side plate and an inner ship side plate, a ship bottom plate forming a double bottom structure of an outer ship bottom plate and an inner ship bottom plate, and an upper deck; a plurality of cargo holds which are divided by a lateral partition wall forward and backward inside the ship body; lower cell guides which are installed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lateral partition wall; top bridges which ar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rgo holds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upper deck, extend toward an edge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deck, and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body; upper cell guides which are installed in the top bridges,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cell guides to form a continuous container guidance route; entry guides which ar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upper cell guides, and guide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and a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which is applied to the cargo holds to load the container at an upper part there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is guided by the upper cell guides to enter the guidance route, and at least a part of the device is held in the ship body to transfer the weight of the container loa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to the ship body.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a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컨테이너 운반선은, 컨테이너 선적 용량을 점점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며, 선적 용량 증가와 동시에 운항 중 선적된 컨테이너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요소로 주목되고 있다.Container carriers tend to gradually increase container shipping capacity, and at the same time as increasing shipping capacity, securing stability of containers shipped during oper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factor.

이러한 컨테이너 운반선은, 선체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카고홀드(cargo hold)에 셀 가이드(cell guide)라는 구조를 통해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선체의 상갑판 상에서 카고홀드의 입구에 설치되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에 해치커버를 탑재한 후 해치커버 상에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고 있다. 해치커버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고홀드 사이의 공간 상부에 위치한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에 각종 피팅(fitting)류를 이용하여 고박(lashing)하고 있다.In such a container carrier, a container is loaded through a structure called a cell guide in a cargo hold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side the hull, and a hatch coaming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on the upper deck of the hull. After loading the hatch cover on the coaming), containers are loaded in multiple stages on the hatch cover. Containers loaded on the hatch cover are lashed using various fittings to a lashing bridge located above the space between the cargo holds to prevent them from being overturned.

해치커버는, 상갑판의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카고홀드 내부로 이물질(해수나 강우 등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운반선의 종강도 보강에 기여하고 있다.The hatch cover not only serves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eawater, rainfall, etc.) into the cargo hold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container loaded on the upper deck, but also contributes to reinforcing the longitudinal strength of the container carrier.

그런데 해치커버는, 고중량인 관계로 생산/운반/탑재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카고홀드의 입구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부가적으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카고홀드 사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그 공간만큼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hatch cover is heavy, it is not easy to produce/transport/load, an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a structure for installation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thereby reducing the space between neighboring cargo holds. It takes up a lot of space, so you can't load containers as much as that space.

최근에는 더 많은 컨테이너를 선적하면서 해치커버의 생산/운반/탑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치커버가 없는 오픈-탑(open-top) 개념의 소형 컨테이너 운반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 small container carrier of an open-top concept without a hatch co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roduction/transportation/mounting of the hatch cover while shipping more containers.

소형 컨테이너 운반선에 오픈-탑 개념을 적용할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의 하중으로 인한 적재 하부 컨테이너의 파손 문제와 선박의 트림 및 안정성(Trim & Stablility)의 문제로 카고홀드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의 상부로 연속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수(단)를 일정 개수(예를 들면 12단) 이하로 제한할 수 밖에 없고, 선박 운항 시 거친 해상에서 선박의 갑판으로 해수가 다량 유입되는 그린워터(green water)를 방지하기 위해 선측판을 동일 선적 규모 컨테이너 운반선 대비 과도하게 높이고 선체 강도를 보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open-top concept is applied to a small container carrier, the cargo hold continues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due to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lower container due to the load of loaded containers and the problem of trim & stability of the ship.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limit the number of loaded containers (tiers) to a certain number (for example, 12 layers) or less, and to prevent green water from flowing into the deck of a ship in rough seas during ship operation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de plate must be excessive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ainer carrier of the same shipping scale and the strength of the hull must be reinforced.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에서는 해치커버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하역 시 해치커버 상부의 컨테이너를 래싱 브리지에 각종 피팅(fitting)류로 고박/해체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과도한 작업시간과 안전 관리 등이 요구되므로 컨테이너 운반선 운용상의 비용으로 발생된다. 또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운항 시 악천후로 인하여 과도한 선체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중으로 인하여 해치커버가 움직이거나, 갑판 또는 해치커버의 체결장치가 파손되거나, 래싱 브리지의 피팅류가 파단되거나, 해치커버와 선체의 상대변위가 발생하는 등 해치커버 및 래싱 시스템의 불완전한 요소로 인하여 래싱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붕괴되고 최종적으로는 적재된 컨테이너가 파손되거나 바다로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In large container carriers, in order to prevent containers loaded on the top of the hatch cover from overturning, it is necessary to fix/dismantle the container on the top of the hatch cover to the lashing bridge with various fittings when unloading the container. As it progresses, excessive work time and safety management are required, so it is generated as a cost for container carrier operation. In addition, if excessive hull movement occurs due to bad weather during operation of a container carrier, the hatch cover moves due to the load, the fastening device of the deck or hatch cover is damaged, the fittings of the lashing bridge are broken, or the hatch cover and the hull are damaged. Due to imperfect elements of the hatch cover and the lashing system, such as the occurrence of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lashing system, the lashing system continuously collapses, and finally, the loaded container is damaged or lost to the se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치커버가 없는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의 상부로 연속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수(단)을 증가시켜 선적 용량을 증가시키고, 적재된 컨테이너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적재 컨테이너와 래싱 브리지간 피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umber (stage) of containers continuously loaded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in a large container carrier without a hatch cover. It is to provide a container loading aid that does not require a fitting operation between a loading container and a lashing bridge to increase the loading capacity and prevent the overturning of the loaded container, a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은, 선측외판과 선측내판으로 더블헐 구조를 이루는 선측판과, 선저외판과 선저내판으로 이중저 구조를 이루는 선저판과, 상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체;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횡격벽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카고홀드; 상기 횡격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 상기 상갑판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카고홀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갑판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며,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탑브리지; 상기 탑브리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셀가이드 각각과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컨테이너의 가이드 경로를 이루는 상부셀가이드; 상기 상부셀가이드 각각의 상단에 마련되며, 컨테이너 적재 시 상기 컨테이너를 가이드하는 엔트리가이드; 및 상기 카고홀드에 적용되어 상방에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가이드 경로 내에 인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에 거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상방에 적재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상기 선체로 전달할 수 있다.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body consisting of a ship side plate forming a double hull structure with a ship side outer plate and a ship side inner plate, a bottom plate forming a double bottom structure with a ship bottom plate and a ship bottom inner plate, and an upper deck; A plurality of cargo holds partitio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ransverse bulkheads inside the hull; Lower cell guid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ransverse bulkhead; Top bridge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rgo holds in the fore-and-aft direction of the upper deck, extending to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and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Upper cell guides installed on the top bridge an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cell guides to form a guide path of a continuous container; an entry guid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upper cell guides and guiding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and a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applied to the cargo hold to load the container upward, wherein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path while being guided by the upper cell guide,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is guided by the upper cell guide. The load of the container loaded above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may be transferred to the hull.

구체적으로, 상기 엔트리가이드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폭과 상부 폭이 동일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가이드하는 제1엔트리가이드부재; 및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직되게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면을 가이드하는 제2엔트리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try gu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and extends obliquely upward, has the same lower width and upper width, and includes a first entry guide member that guides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entry guide memb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having an inclined upper end, and guiding one side of the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엔트리가이드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제1엔트리가이드부재에 연결되고, 상단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one side of 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and the width may exp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ward the top.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엔트리가이드부재는, 제1높이를 갖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를 갖는 제2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 각각의 경사면의 폭 및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guide member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guide member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The width and length of each inclined surface of each member may be the same.

구체적으로, 상기 탑브리지는, 다수의 수직부재와 다수의 수평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는, 상기 탑브리지의 최상부를 이루는 상단수평부재; 및 상기 상단수평부재와 상기 상갑판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셀가이드는, 상기 상단수평부재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p bridge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e top horizontal member forming the top of the top bridge;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nd the upper deck, and the upper cell guide may be installed higher tha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상단수평부재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기 상부셀가이드 부분 또는 상기 엔트리가이드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후면에서 상기 탑브리지의 중심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a reinforcing member supporting the upper cell guide portion or the entry guide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horizontal member is further included, and the reinforcing member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ell guide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bridge.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후면에서, 하면이 상기 상단수평부재 상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제1보강부재; 일측면이 상기 제1보강부재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상단수평부재 상에 고정되며, 상기 탑브리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재; 하면이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제1엔트리가이드부재의 일측 평면에 연결되는 제3보강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보강부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제1엔트리가이드부재의 일측 평면에 연결되는 제4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member whose lower surface is fixed 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t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ell guide and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a second reinforcing member having one side thereof connected vertically t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fixed 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bridge; a third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a plane on one side of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and a fourth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a plane on one side of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은, 해치커버가 없는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의 상부로 연속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수(단)을 증가시켜 선적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적재 컨테이너와 래싱 브리지간 피팅 작업을 생략하도록 하여 과도한 피팅 작업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increase the number (tiers) of containers continuously loaded from the bottom of a cargo hold to the top of an upper deck in a large container carrier without a hatch cov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hipping capacity, and by omitting the fitting work between the loading container and the lashing bridge, it is possible to save time and cost due to excessive fitting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오픈-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클로즈드-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을 설명하기 위한 3차원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선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간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운반차량에 적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컨테이너 운반선에 적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다양한 위치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의 (a) 및 (b)는 탑브리지를 구성하는 사선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부재에 대한 구조해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구조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도 3의 탑브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7의 구조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도 3의 탑브리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순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엔트리가이드 및 보강부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 도 41 및 도 42는 도 38의 엔트리가이드 및 보강부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nd an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provided there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nd a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provided there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hree-dimensional front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ull of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structu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cargo hold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a container.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ainage system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cargo hold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transport vehicle.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container carrier.
22 to 26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position adjusting member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7(a) and (b) are diagrams showing structural analysis of oblique or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constituting the top bridge.
FIG. 2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p bridge of FIG. 3 obtain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FIG. 27 .
FIG. 2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p bridge of FIG. 3 obtain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FIG. 27 .
30 and 3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d comparing loading stability of containers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lashing system.
32 to 34 are tables for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loading stability of containers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lashing system.
3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using a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using a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nother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using a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pport member, an entry guide,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therewith.
3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member of FIG. 38;
40, 41 and 4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ntry guide and reinforcing member of FIG.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일부 횡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오픈-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클로즈드-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을 설명하기 위한 3차원 정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선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7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nd an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provided therewith, and FIGS. 8 to 12 show a container carrier and a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provided therewi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Figure 13 is a three-dimensional front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ull of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structu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cargo hold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orting a container, and FIG. 16 is a cargo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ainage system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ld, Figure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선체(10)의 내부와 외부에 컨테이너(C)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으며, 해치커버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 컨테이너 운반선으로서, 컨테이너(C)를 적재 및 지지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18,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s containers C in multiple stages inside and outside the hull 10 and transports them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As a container carrier of a new concept without a hatch cover,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for loading and supporting the container C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은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 상부 위에 적재된 양까지 포함하여 13단 이상 대량의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컨테이너(C)는 컨테이너 운반선(1)에 주로 적재되는 20ft 컨테이너(이하, '소형 컨테이너'이라 칭함) 또는 40ft 컨테이너(이하, '대형 컨테이너'이라 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ISO 규격에 따르면 선박용 컨테이너(C)로 상기에서 언급한 20ft 또는 40ft 이외에도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C)가 선박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원을 갖는 컨테이너(C)가 있으므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가 20ft 또는 40ft에 한정되는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을 밝혀둔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carrier 1 is a large container ship that loads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C in 13 or more stages, including the amount loaded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17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11.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ntainer C may include a 20ft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ll container') or a 40ft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arge container') mainly loaded on the container carrier 1. However,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not only are containers (C) of various standards used for ships other than the 20ft or 40ft mentioned above as a ship container (C), but also there are containers (C) with various specifications, so the small size mentioned below Note that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is not used in the meaning of being limited to 20ft or 40ft.

상기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도 3 내지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일 수 있고,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일 수 있다.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구성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이 다소 유사하여, 이하에서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위주로 설명하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상이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may be an open-typ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as shown in FIGS. 3 to 7 and 17, and shown in FIGS. 8 to 12 and 18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a are somewhat similar i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so that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is mainly described below,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and 18 .

선체(10)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외관을 이룬다. 선체(10)는 상갑판(11), 선측판(12), 선저판(13)으로 둘러싸여 있다.The ship body 10 constitute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tainer carrier ship 1. The hull 10 is surrounded by an upper deck 11, a side plate 12, and a bottom plate 13.

이러한 선체(10)는, 선측판(12)이 선측외판(12a)과 선측내판(12b)으로 이루어지는 더블헐 구조와, 선저판(13)이 선저외판(13a)과 선저내판(13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such a hull 10, the ship side plate 12 has a double hull structure composed of the ship side shell plate 12a and the ship side inner plate 12b, and the ship bottom plate 13 consists of the ship bottom plate 13a and the ship bottom plate 13b. It can be formed as a double bottom structure.

선체(10)의 내부에는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체(10)의 내부에는 횡격벽(16)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카고홀드(17)가 마련된다. 카고홀드(17) 내에는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셀가이드(31)가 설치되어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가이드한다.A container C may be loaded inside the hull 10 . To this end, a plurality of cargo holds 17 partitio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transverse bulkhead 16 are provided inside the hull 10. In the cargo hold 17, lower cell guides 31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to guide the loading of the container C inside the cargo hold 17.

본 실시예에서, 카고홀드(17)는 입구가 개방된 구조로서, 기존의 해치커버가 입구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의 입구에 거치되거나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고홀드(17)의 입구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단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의 내부에 거치될 경우에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의 입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카고홀드(17)의 입구를 이루는 상갑판에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rgo hold 17 has an open entrance structure, and the existing hatch cover is not installed at the entrance, but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side the cargo hold 17. That is,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may be made of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can be mounted. When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is mounted inside the cargo hold 17, the upper deck forming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allows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A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therein.

또한,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기존 래싱 브리지가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1) 또는 카고홀드(17) 입구에 해치코밍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1)에 적용될 경우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부의 해치코밍에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 container carrier 1 with an existing lashing bridge or a container carrier 1 with hatch coaming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It can be mounted on the hatch coaming of the upper deck (11).

선체(10)의 내부에서 선미(15)에 인접한 위치에는 엔진룸(R)이 마련될 수 있다. 엔진룸(R) 내에는 추진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며, 추진 엔진은 프로펠러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료인 액화가스를 소비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구현한다.An engine room (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ern 15 inside the hull 10. A propulsion engine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engine room R, and the propulsion engine is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peller, consuming liquefied gas as fuel to implement rotation of the propeller.

선체(10)의 상갑판(11)에는 선실(A)이 마련된다. 선실(A)은 승선원의 거주공간이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층으로 나뉠 수 있고, 가장 상부 층에는 항해를 제어하는 조종실이 마련될 수 있다.A cabin (A) is provided on the upper deck 11 of the hull 10. The cabin (A) is a living space for a crew member, an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in an up-and-down direction, and a cockpit for controlling naviga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most floor.

선체(10)의 상갑판(11) 상에서 선실(A)의 후방에는 엔진케이싱(I)이 마련된다. 엔진케이싱(I)은 추진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돌을 가지며, 비상발전기나 소화시설 등이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An engine casing (I)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bin (A) on the upper deck (11) of the hull (10). The engine casing (I) has a chimney for discharging exhaust generated from the propulsion engine to the outside, and may form a space in which an emergency generator or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provided.

선체(10)의 상갑판(11)에서 선실(A)과 엔진케이싱(I)을 제외한 부분에는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C)의 적재를 위해서 상갑판(11)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탑브리지(20)가 마련된다.A container (C) may be loaded in a portion of the upper deck (11) of the hull (10) except for the cabin (A) and the engine casing (I). In order to load the container C, top bridges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upper deck 11 .

탑브리지(20)는,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선수(14)로부터 선미(15)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e top bridge 20 may be installe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between the cargo holds 17, and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bow 14 to the stern 15.

탑브리지(20)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셀가이드(3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이 적용되는 래싱 브리지가 아니라, 상부셀가이드(32)가 적용되는 셀가이드 시스템이다.Upper cell guides 32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op bridge 20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the top bridge 20 of this embodiment is not a lashing bridge to which an existing lashing system is applied, but a cell guide system to which an upper cell guide 32 is applied.

상부셀가이드(32) 각각은, 탑브리지(20)의 상단으로부터 상갑판(11)까지 연장되고, 카고홀드(17)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31) 각각과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upper cell guides 32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op bridge 20 to the upper deck 11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cell guides 31 installed inside the cargo hold 17 to be integrally configured. there is.

상부셀가이드(32)는, 크레인(CR)으로 이송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승강을 가이드 하고, 탑브리지(20)에 마련된 상부 셀가이드(32)와 횡격벽(16)에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가 각각 연결되어 컨테이너(C) 하역 시 해치커버 탑재나 래싱 작업 등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연속적인 선적 또는 양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상부셀가이드(32)는 선체(10)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횡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cell guide 32 guid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mall container C or the large container C transported by the crane CR, and the upper cell guide 32 provided on the top bridge 20 and the transverse bulkhead 16 ), the lower cell guides 31 installed in each are connected, so that continuous loading or unloading operations may be possible without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hatch cover mounting or lashing operations when unloading the container (C). The upper cell guide 32 can support the lateral load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hull 10.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는, 양측에 상부셀가이드(32)가 설치됨으로써, 상부셀가이드(32)가 컨테이너(C)를 지지 고정할 수 있어, 기존의 래싱 시스템(래싱 로드, 래싱바 등의 체결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4단(tier) 레벨로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전후에서 컨테이너(C)의 전도 방지를 방지하고, 리퍼(reefer) 컨테이너(C)에 구비되는 컨트롤 유닛 등의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위한 접근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컨테이너 운반선(1)의 운항 시 상갑판(11) 상부의 컨테이너(C)를 직접 지지함에 따라 적재된 컨테이너(C)가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top bridge 20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cell guides 32 are installed on both sides, the upper cell guides 32 can support and fix the container C, so that the existing lashing system (lashing rod, lashing bar) etc.) can be omitted, preventing the container (C) from falling in front and behind the container (C), which is generally loaded at tier 1 to 4 levels, and preventing the container (C) from falling, It can be configured to secure access and work space for maintenance and monitoring of control units, etc. provided in, and by directly supporting the container C on the upper deck 11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carrier 1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oaded container C is damaged or lost.

특히, 종래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문제점인 운항 시 악천후로 인하여 과도한 선체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중으로 인하여 해치커버가 움직이거나, 갑판 또는 해치커버의 체결장치가 파손되거나, 래싱 브리지의 피팅류가 파단되거나, 해치커버와 선체의 상대변위가 발생하는 등 해치커버 및 래싱시스템의 불완전한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래싱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붕괴되고 최종적으로는 적재된 컨테이너(C)가 파손되거나 바다로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excessive hull movement occurs due to bad weather during operation, which is a problem of conventional large container carriers, the hatch cover moves due to the load, the fastening device of the deck or hatch cover is damaged, the fittings of the lashing bridge are broken, By removing incomplete elements of the hatch cover and the lashing system, such a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hatch cover and the hull, the lashing system continuously collapses and finally the loaded container (C) is damaged or lost to the sea. .

기존의 래싱 브리지의 경우 래싱 시스템이 적용되기 때문에 래싱 작업을 위해 작업자 환경 규정상 폭이 충분히 필요한 반면,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는 래싱 시스템을 생략하고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복잡한 구조를 단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탑브리지(2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의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 대비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 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테이너 운반선(1)의 동일 제원 대비 설계 융통성(선체 길이, 기타 래싱 시스템이 없어짐으로 인한 최적화 가능)을 확보하거나, 컨테이너(C)의 선적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lashing bridge, since the lashing system is applied, a sufficient width is required for the las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 environment regulations, whereas the top bridge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inimizes the width by omitting the lashing system and applying the cell guide system. In addition, complex structures in which existing lashing bridges are installed can be formed into simple structures. As the width of the top bridge 20 can be minimized, the width of the upper deck 11 between the cargo holds 17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container carrier with a conventional lashing bridge installed, so that the same level of the container carrier 1 It is possible to secure design flexibility compared to specifications (optimization possible due to the elimination of hull length and other lashing systems) or to increase the shipping capacity of the container (C).

탑브리지(20)는, 다수의 수직부재(21)와 다수의 수평부재(22)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p bridge 2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

다수의 수직부재(21) 중에서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상에 2개씩 배치되는 외곽수직부재(21a)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the outer vertical members 21a disposed two by two on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are spac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can be placed.

다수의 수직부재(21) 중에서 외곽수직부재(21a)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을 기준으로 2배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disposed between the outer vertical members 21a are spaced at twice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can be placed as

이때, 상부셀가이드(32)는, 외곽수직부재(21a),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및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ell guide 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vertical member 21a,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respectively.

탑브리지(20)는, 선체(10)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컨테이너(C)의 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셀가이드(32)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op bridge 20 is coupled with the upper cell guide 32 supporting the lateral load of the container C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hull 10, it is preferable to form to withstand the lateral load do.

이에, 도 2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브리지를 구성하는 사선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부재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Therefore, as shown in (a) and (b) of FIG. 27, a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blique or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constituting the top bridge.

도 27의 (a)는 다수의 수직부재(21)와 다수의 수평부재(22)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이고, 도 27의 (b)는 다수의 사선부재(23)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비교 실시예의 탑브리지(20-1)이다.27 (a) shows the top bridge 20 of this embodiment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and FIG. 27 (b) shows a plurality of diagonal members 23 ) is the top bridge 20-1 of the comparative exampl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구조해석 결과, 사선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하중이 높은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이에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탑브리지(20)의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a)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탑브리지(2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b)를 얻을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load in the oblique or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as high, and accordingly, the top bridge 20a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op bridge 20 as shown in FIG. 28 and the tower as shown in FIG. 29 A top bridge 20b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ridge 20 was obtained.

도 2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a)는, 탑브리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수직부재(21) 및 다수의 수평부재(2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하기 위해, 다수의 사선부재(23)가 더 설치된다.The top bridge 20a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8 has a plurality of oblique lines in order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constituting the top bridge 20. A member 23 is further installed.

상기한 다수의 사선부재(23)는,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상에 2개씩 배치되는 외곽수직부재(21a) 각각의 하단 및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간수직부재(21b)의 하단으로부터 선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고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agonal members 23 described above are at least one of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outer vertical members 21a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disposed two by two on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It may be installed with an upward slope toward the center of the hull 10 from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member (21b).

또한, 도 2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b)는, 탑브리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수직부재(21) 및 다수의 수평부재(2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하기 위해, 다수의 플레이트부재(24)가 더 설치된다.In addition, the top bridge 20b of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9 reduces the load appli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constituting the top bridge 20,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24 are further installed.

상기한 다수의 플레이트부재(24)는,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중 외곽수직부재(21a) 각각에 인접되는 1개의 중간수직부재(21b)와의 사이 및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중 선체(1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2개의 중간수직부재(21b) 사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24 described above are between one intermediate vertical member 21b adjacent to each of the outer vertical members 21a among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and among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It may be installed between each of the two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ull (10).

본 발명의 탑브리지(20, 20a, 20b)는, 상부셀가이드(32)를 최상부까지 설치하거나 최상부보다 낮게 또는 높게 선주 요구에 따라 맞춤식으로 설치함에 따라 전도로 인한 컨테이너(C)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선주의 요구에 따라 상갑판(11) 상부로 단(Tier) 수를 맞춤식 설계 가능하며, 선체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을 통합한 단위 블록으로 제작이 가능해 경량화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top bridge (20, 20a, 20b) of the present invention fundamentally reduces the loss of the container (C) due to overturning by installing the upper cell guide 32 up to the top or custom-mad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ship owner lower or higher than the top.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hip owner, the number of tiers can be customized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11), and it can be manufactured as a unit block that integrates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of the hull to maximize weight reduction and productivity. .

또한, 탑브리지(20, 20a, 20b)는 상기한 셀가이드 시스템에 더하여 최상단에 기존 래싱 시스템을 추가 적용할 수 있도록 래싱 시스템의 고정장치인 래싱아이(lashing eye), 래싱링(lashing ring), 래싱플레이트(lashing plate), 플러그(plug), 콘(co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추가 배치되어 적재 컨테이너(C)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p bridges 20, 20a, and 20b include a lashing eye, a lashing ring, which are fixing devices of the lashing system so that an existing lashing system can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top in addition to the cell guide system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a lashing plate, a plug, and a con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of the loading container 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선체확장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체확장부(50)는 확장갑판(11a), 오버행외판(12a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hull extensions 50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 The hull expansion part 50 may be composed of an extended deck 11a and an overhang shell plate 12a1.

확장갑판(11a)은,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컨테이너(C)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ded deck 11a may extend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longer than at least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ontainer C.

오버행외판(12a1)은, 흘수선(DL)으로부터 확장갑판(11a)의 가장자리까지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고 연장될 수 있다. 오버행외판(12a1)은, 선측외판(12a) 부분을 외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린워터(green water)의 침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를 8단(가끔 9단)으로 적재하는 6,500TEU 이상 용량의 컨테이너 운반선(1)이 경우 실제 그린워터의 침범 가능성은 낮으나, 이러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오버행외판(12a1)을 적용하면, 그린워터 리스크를 확실히 제어할 수 있다.The overhang shell plate 12a1 may extend from the waterline DL to the edge of the extended deck 11a with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In the overhang shell plate 12a1, the possibility of invasion of green water can be reduced by making the ship side shell plate 12a have a certain inclination outward. In the case of a container carrier (1) with a capacity of 6,500 TEU or more that loads containers (C) in 8 layers (sometimes 9 layers) inside the cargo hold (17), the possibility of actual green water invasion is low, but even considering this point, the overhang outer plate If (12a1) is applied, green water risk can be reliably controlled.

컨테이너 운반선(1)에 선체확장부(50)가 더 포함됨으로서 달라지는 주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container carrier 1 is further included in the hull extension part 50, a different peripher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선측내판(12b)과 선측외판(12a)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선측판(12)에서, 선측외판(12a)은, 흘수선(DL)으로부터 선저판(13)까지 이어지는 버티컬외판(12a2)과, 흘수선(DL)으로부터 확장갑판(11a)의 가장자리까지 이어지는 오버행외판(12a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in the ship side plate 12 composed of the ship side inner plate 12b and the ship side shell plate 12a, the ship side plate 12a has a vertical outer plate 12a2 extending from the waterline DL to the bottom plate 13, and the waterline It may be made of an overhang shell plate (12a1) extending from (DL) to the edge of the extended deck (11a).

탑브리지(20)는,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확장갑판(11a)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탑브리지(20) 사이의 확장갑판(11a) 상에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가 추가 적재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탑브리지(20) 사이의 선체(10) 좌우측의 확장갑판(11a) 상에는 후술할 보강격벽(60)이 선체(10) 좌우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top bridge 20 may be installed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extended deck 11a. At this time, on the expansion deck 11a between the top bridges 20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small container C or a large container C may be additionally loaded, and between the top bridges 20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expansion decks 11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of the hull 10, reinforcing bulkheads 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hull 10.

또한, 탑브리지(20)는,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확장갑판(11a)의 좌우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되, 후술할 보강격벽(60)이 설치될 공간이 확보되도록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보강격벽(60)은, 선체(10) 좌우측의 확장갑판(1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bridge 20 may extend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extended deck 11a so as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reinforcing bulkhead 6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ulkhead 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expansion deck 11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셀가이드 시스템이 적용된 탑브리지(20)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열(row), 또는 하나의 열(row)의 좌우측 일부 구간에서 기존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래싱 시스템이 적용된 래싱 브리지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이 적용된 탑브리지(20)와 기존의 래싱 시스템이 적용된 래싱 브리지가 혼재하는 하이브리드 형 브리지를 가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Although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he top bridge 20 to which the cell guide system is applie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rows or one row Of course, a lashing bridge to which a lashing system is applied similarly or identically to the existing one can be installed in some s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 That is,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ybrid bridge in which the top bridge 20 to which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lashing bridge to which the existing lashing system is applied are mixed. make it cl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선체(10)의 호깅(Hogging)이나 새깅(Sagging)에 의한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개선하도록, 선체(10) 좌우측에 설치되는 보강격벽(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ment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to improve the bending moment caused by hogging or sagging of the hull 10. A partition wall 60 may be further included.

보강격벽(60)은, 선측판(12)과 유사하게 더블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ulkhead 60 may be formed in a double hull structure similar to the side plate 12, and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보강격벽(60)은, 폭이 더블헐 구조를 이루는 선측판(12)의 폭보다 작으며, 높이가 탑브리지(20)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ulkhead 60 may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side plate 12 constituting the double hull structure, and a height equal to or lower than that of the top bridge 20 .

보강격벽(60)은, 부분 개방형 또는 밀폐형 등 다양한 더블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ulkhead 60 may be formed in various double hull structures such as a partially open type or a closed type.

이러한 보강격벽(60)은, 관성 모멘트를 구하는 식인 I = Bh3/12 (여기서, 'I'는 관성 모멘트이고, 'B'는 폭이고, 'h'는 높이임)에 근거하면, 'h'가 커질수록 관성 모멘트가 커지게 되는데, 선측판(12)에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결국 선측판(12)의 높이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져, 호깅(Hogging)이나 새깅(Sagging)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This reinforcing bulkhead 60 is based on the formula for obtaining the moment of inertia, I = Bh 3 / 12 (where 'I' is the moment of inertia, 'B' is the width, and 'h' is the height), 'h' As ' is increased, the moment of inertia increases, and being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2 eventuall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12, improving the bending moment due to hogging or sagging. It can be done.

보강격벽(60)은, 탑브리지(20)가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거나, 확장갑판(11a)이 더 마련되어 탑브리지(20)가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확장갑판(11a)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는 경우,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탑브리지(20) 사이의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상에 설치되고, 선체(10) 좌우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강격벽(60)은, 탑브리지(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reinforced bulkhead 60 is installed so that the top bridge 20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or an extended deck 11a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top bridge 20 extends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to the extended deck. When installe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11a),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between the top bridges 20 fac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ire is installed along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hull 10. Can be arranged consecutively. The reinforcing bulkhead 60 may be connected to the top bridge 20 .

보강격벽(60)은, 확장갑판(11a)이 더 마련되어 탑브리지(20)가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확장갑판(11a)의 좌우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되, 보강격벽(60)이 설치될 공간이 확보되도록 연장되어 설치되는 경우, 선체(10) 좌우측의 확장갑판(1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보강격벽(60)은, 탑브리지(2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e reinforcement bulkhead 60, an extension deck 11a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top bridge 20 extends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extension deck 11a, and the space where the reinforcement bulkhead 60 is to be installed. When installed and extended to ensure this, it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extended deck 11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The reinforcing bulkhead 60 may be connected to the top bridge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구(70)는, 선측판(12)이 선측내판(12b)과 선측외판(12a)으로 이루어지는 더블헐 구조인 경우, 선창에서 외부로 물이 배수되도록, 건현갑판(19)에서 더블헐 구조의 선측판(12)을 외부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70 . When the ship side plate 12 has a double hull structure composed of the ship side inner plate 12b and the ship side outer plate 12a, the water discharge port 70 is a double hull structure in the freeboard deck 19 so that water is drained from the dock to the outside. It may be installed by penetrating the side plate 12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물(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tructure 80.

지지구조물(80)은, 카고홀드(17)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C)를 상방 이격 지지할 수 있으며, 카고홀드(17)의 바닥면과 최하층의 컨테이너(C) 사이에서, 카고홀드(17)로 유입되는 이물질(예를 들어, 해수나 강우 등)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8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hold 17 to support the container C upwardly, an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hold 17 and the container C of the lowermost layer, the cargo hold A flow path for the flow of foreign substances (eg, seawater, rainfall, etc.) flowing into (17) may be formed.

지지구조물(80)은, 선저판(13)이 선저내판(13b)과 선저외판(13a)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저 구조인 경우, 카고홀드(17)의 입구로 침투되는 이물질, 예를 들어 해수나 강우로 인해 컨테이너(C)가 침수되지 않으면서 컨테이너(C)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저내판(13b)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80 is a foreign substance penetrating into the inlet of the cargo hold 17, for example, seawater or rainfall, when the ship bottom plate 13 has a double bottom structure consisting of the inner plate 13b and the outer plate 13a. Therefore, it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p bottom plate 13b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ontainer C can be supported without being submerged.

지지구조물(80)은, 컨테이너(C)의 코너 캐스팅(도시하지 않음)에 대응되는 위치의 선저내판(13b)의 바닥에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C)들의 코너 캐스팅 사이의 중간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선저내판(13b)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8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hip bottom plate 13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asting (not shown) of the container C, or the middle part between the corner castings of the containers C loaded adjacently. It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hip bottom plate 13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이러한 지지구조물(80)은, 선저내판(13b)의 바닥으로부터 250mm 내지 350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is support structure 80 may have a height of 250 mm to 350 mm from the bottom of the ship bottom plate 13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홀드(17)의 입구로 침투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선저판(13)에 배수시스템(90)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inage system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13 to drain water penetrating into the cargo hold 17 to the outside. (90) can be installed.

배수시스템(90)은, 선저판(13)이 선저내판(13b)과 선저외판(13a)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저 구조인 경우, 횡격벽(16)의 좌우측 하단에서 선저내판(13b) 아래에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빌지웰(91)에서 선저내판(13b)에 형성되는 배수구멍(92)을 통해 들어오는 물을 수집하고, 빌지웰(91)에 수집된 물을 파이프덕트(93)의 배수용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엔진룸(R)의 빌지 펌프(도시하지 않음)로 배수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ship bottom plate 13 has a double bottom structure consisting of the inner ship bottom plate 13b and the outer ship bottom plate 13a, the drainage system 90 is in the form of a box under the ship bottom plate 13b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In the bilge well 91 formed of, the water entering through the drain hole 92 formed in the ship bottom plate 13b is collected, and the water collected in the bilge well 91 is drained from the pipe duct 93 ( It may be configured to be drained by a bilge pump (not shown) of the engine room (R) through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해치커버가 없는 컨테이너 운반선(1)에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고홀드(17)에 적용되어 상방에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적재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111), 하부프레임(112), 지지대(113), 돌출부재(120), 보강프레임(130), 제1피팅부재(141), 제2피팅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상부프레임(111), 하부프레임(112) 및 지지대(113)가 상호 결합되어 전체 형상이 직사각 박스 형태인 본체(110)를 이룰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carrier 1 without a hatch cover, and is applied to at least one cargo hold 17 to load and load a small container C or a large container C on the upper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upper frame 111, the lower frame 112, the support 113, the protruding member 120, the reinforcing frame 130, the first fitting member 141, the second fitting member (142). In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an upper frame 111, a lower frame 112, and a support 113 are mutually coupled to form a body 110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as a whole.

상부프레임(111)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11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the large container (C), and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arge container (C).

상부프레임(111)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배치되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11 is dispos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and has a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arge container C. ) and a pair of first short frames 111b connecting each end of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and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can be configured.

하부프레임(112)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11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the large container C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arge container C.

하부프레임(112)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배치되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과,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112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and a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arge container C. ) and a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connected to each end, and a pair of second short frame (112b)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can be configured.

상기에서,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은, 양단부가 후술할 지지대(113)의 하단에 연결되어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갖다가 절곡되어 중간 부분에서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each of the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13 to be described later, has a downward slope toward the inside, and is bent, so that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 111a) can be configured to be level with each other.

지지대(113)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프레임(111)의 사각 모서리 각각과 하부프레임(112)의 사각 모서리 각각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113 may be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and will be configured to connect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upper frame 111 and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lower frame 112. can

돌출부재(120)는,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 가능하도록 상하부프레임(111, 112) 또는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0)는,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되거나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되도록, 지지대(113) 각각의 하단에서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12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or the support 113 so as to be mounted at any position of the cargo hold 17. The protruding member 12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each support 113 so as to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or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side the cargo hold 17.

돌출부재(120)가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될 경우, 지지대(113)를 통해 전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을 상갑판(11)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mounted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the load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113 is transmitted to the upper deck 11. can

돌출부재(120)가 후술할 위치조절부재(40)를 이용하여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될 경우,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은,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는 부분에서 돌출부재(120)가 통과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재(120)는, 상갑판(11)에 형성된 홈을 통과한 후, 카고홀드(17) 내부의 횡격벽(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후술할 위치조절부재(40)에 거치되고, 지지대(113)를 통해 전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을 횡격벽(16)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mount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side the cargo hold 17 using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is the protruding member 120 A groove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member 120 passes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is mounted. Accordingly, the protruding member 120, after passing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upper deck 11, is mounted on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inside the cargo hold 17 and the load of the small container C or the large container C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113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verse bulkhead 16.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래싱 브리지가 설치되는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 또는 카고홀드(17) 입구에 해치코밍이 있는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에 적용될 경우에는, 돌출부재(120)가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부 해치코밍에 거치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xisting container carrier having a hatch coaming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or an existing container carrier on which a lashing bridge is installed,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a cargo hold ( 17) I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hatch coaming of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보강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분과 하부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분을 연결하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상면에 적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130 connects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mall container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 C) or the load of a large container (C) can be supported.

보강프레임(130)은,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재(131)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제2수평보강재(132)와, 제1수평보강재(131)의 일단과 제2수평보강재(13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수직보강재(133)와, 제1수평보강재(131)의 타단과 제2수평보강재(13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수직보강재(도면부호 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130 connects the first horizontal stiffener 131 connecting the middle part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and the middle part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The second horizontal stiffener 132, the first vertical stiffener 133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tiffener 131 and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tiffener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tiffener 131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vertical stiffener (reference numeral not show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tiffener 132 .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플레이트(151), 제2플레이트(152), 보강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late 151 , a second plate 152 , and a reinforcing member 160 .

제1플레이트(15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중 어느 하나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중 어느 하나와, 이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13)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51 is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and the support 113 connecting both ends thereof. It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frame formed by

제2플레이트(152)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중 다른 하나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중 다른 하나와, 이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1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152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the other of the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and the support 113 connecting both ends thereof. It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frame formed by

보강부재(160)는,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의 외측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16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

보강부재(160)는,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을 사이에 두고 제1수직보강재(133)와 제2수직보강재 각각과 마주하도록,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과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에 연결되는 중간보강부재(161)와, 중간보강부재(161)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13) 사이에 배치되되,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절곡되는 부분에서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과 연결되는 제1,2보강부재(162, 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member 16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are inter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vertical An intermediate reinforcing member 161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shaft frames 111a and the second long shaft frame 112a, respectively, to face each of the reinforcing member 133 and the second vertical reinforcing member, and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member 161 ),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s 113 on both sides based on the pair of second long axis frames 112a and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at each bent portion. It may consist of members 162 and 163.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이 절곡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편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pair of second long shaft frames 112a have been described as having a bent shape, they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f course. That is,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보강프레임(130),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보강부재(160)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유사 기술과는 다르게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하중을 자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inforcing frame 130,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and all or part of the reinforcing member 160, so unlike conventional similar technologies, the upper part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 rigidity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container C loaded on itself.

제1피팅부재(141)는, 상부프레임(111)의 사각 모서리 각각의 상단에 마련되며, 대형 컨테이너(C) 또는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인(CR)으로 이송 시 권양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fitting member 141 is provided at the top of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upper frame 111, and is used for fixing when loading a large container (C) or small container (C), or when transporting by a crane (CR). It can be used for lifting.

제2피팅부재(142)는, 상부프레임(111)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인(CR)으로 이송 시 제1피팅부재(141)와 함께 권양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fitting member 142 is provided as a pair at the top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111, and is used for fixing when loading a small container (C), or when transporting by a crane (CR), the first fitting member ( 141) and can also be used for lifting.

상기에서, 제1피팅부재(141)는, 상부프레임(111)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피팅부재(142)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중간 부분의 상단에 마련되며, 길이 방향으로 2개 배치되는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하중에 의한 좌굴 현상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마주하는 2개의 소형 컨테이너(C)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1피팅부재(141)의 높이 대비 5mm 내지 15mm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fitting member 141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t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upper frame 111, and the second fitting member 142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shaft frames 111a. I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art of the first side so that the two small containers C facing each other do not contact each other even if they are tilted inward due to the buckling phenomenon caused by the load when loading two small containers C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tting member 141 by 5 mm to 15 mm.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피팅부재(141) 및 제2피팅부재(142)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유사 기술과는 다르게 상면에 소형 컨테이너(C) 및 대형 컨테이너(C)를 혼재하여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tting member 141 and a second fitting member 142, so that a small container C and a large container C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unlike similar conventional technologies. It can be mixed and fixed safely.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병렬로 연결하는 커플링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170 connecting the main bodies 110 in parallel.

커플링부재(170)는, 서로 인접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하부프레임(111, 112)을 연결할 수 있다. 커플링부재(170)는, 상부프레임(111)의 양측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제1커플링부재(171)와, 하부프레임의 양측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제2커플링부재(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커플링부재(171, 172)는, 힌지형 스페이서일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170 may connect two or mor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upling member 170 includes at least two first coupling members 171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upper frame 111 and at least two second coupling member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lower frame. (172).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may be hinged spacers.

제1커플링부재(17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고정되어 제1,2보강부재(162, 163) 각각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171 may be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shaft frames 111a and rotatably connected to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162 and 163, respectively.

제2커플링부재(172)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에 고정되어 제1,2보강부재(162, 163) 각각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172 may be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long shaft frames 112a and rotatably connected to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162 and 163, respectively.

상기에서, 제1커플링부재(171)는, 본체(110)를 병렬로 연결 시 이웃하는 본체(110)의 상부를 연결하고, 제2커플링부재(172)는, 본체(110)를 병렬로 연결 시 이웃하는 본체(11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coupling member 171 connects the upper part of the neighboring body 110 when connecting the main body 110 in parallel,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72 connects the main body 110 in parallel.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lower part of the neighboring main body 110 when connected to .

이러한 제1,2커플링부재(171, 172)는, 병렬로 연결된 본체(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2커플링부재(171, 172)에 의해 병렬로 연결했을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갭은 상부셀가이드(3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may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ies 110 connected in parallel. That is, when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there is a gap of a certain interval between the neighboring container loading auxiliary apparatuses 100 This gap may have a gap into which the upper cell guide 32 can be inserted.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2커플링부재(171, 172)를 이용하여 병렬로 연결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각각의 제1,2플레이트(151, 152)에 의해 폐쇄된 구조가 되고, 일정 간격의 갭을 통해 제1,2커플링부재(171, 172)를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제1,2커플링부재(171, 17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2플레이트(151, 152)에 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거나, 상하부프레임(111, 112)에 별도 조작 공간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in parallel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respectively, of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152), and it may be difficult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through the gap at regular intervals, b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Forming holes (not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t the location, providing a separate operating space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or using a separate tool, etc. Of course you can.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크레인으로 이송 시, 본체(110)가 병렬로 연결되지 않고 단독으로 이송되거나, 본체(110)가 제1,2커플링부재(170)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When transporting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by a crane, the main body 110 is not connected in parallel and is transported alone, or the main body 110 is at least two b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0. They can be transported in a parallel connected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제1,2커플링부재(170)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횡방향으로 2개 이상이 복수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갭은 상부셀가이드(3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싱글 타입 및 멀티 타입을 포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at least two or mor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0, but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are connect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t this time, a gap of a certain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ed container loading aids 100, such a gap is such that the upper cell guide 32 can be inserted can have intervals. That is,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ver single type and multi type.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싱글 타입인 경우,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크기(폭 및 길이)를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멀티 타입인 경우,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 및 길이에 1 내지 n배(n은 자연수)의 폭 및 길이를 갖되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is of a single type, the size (width and length) of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is based on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As described, when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is multi-type,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are 1 to n time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n is a natural number) but has a flat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상기에서,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크레인(CR)으로 이송할 때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홀수 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CR)에 부착되는 스프레더(SR)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이송할 때,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서 가운데 위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 스프레더(SR)를 연결하기 때문에 홀수 개로 연결해야만 이송 시 무게 중심을 쉽게 맞출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병렬로 연결되는 개수는 크레인(CR)의 운용 하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an odd number of container loading aids 100 connected in parallel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when transferring them to the crane CR. That is, when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is transferred using the spreader SR attached to the crane CR, from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positioned in the middle Since the spreader (SR) is connected, it is necessary to connect an odd number of them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easily aligned during transportation. The number of container loading aids 100 connected in parallel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load of the crane CR.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본체(110)를 수직으로 연결 및/또는 지지하는 적치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may further include a stacking member 180 vertically connecting and/or supporting the main body 110 .

적치부재(18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량(TR)이나 육상(2)에 적치되는 제1상태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에 적치되는 제2상태로 전환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stacking member 180 has a structure capable of switching from a first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transport vehicle (TR) or land (2) to a second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container carrier (1). can have

적치부재(180)는, 지지대(113) 각각의 측면에서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적치다리(181)와, 적치다리(181) 각각의 하단에 마련되며, 본체(110)를 다단으로 적치할 때 상부에 적치되는 본체(110)에 마련된 제1피팅부재(141)와 체결되는 제3피팅부재(18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cking member 18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stacking legs 181 and the stacking legs 181 installed outside the width direction on each side of the support 113, when stacking the main body 110 in multiple stages. It may be made of a third fitting member 182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member 141 provided on the main body 110 stacked on top.

적치다리(181)는, 제1피팅부재(141)와 제3피팅부재(182)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다단으로 적치했을 때, 하부에 적치되는 본체(110)에 마련된 한 쌍의 제2피팅부재(142)가 상부에 적치되는 본체(110)의 하부프레임(112)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110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first fitting member 141 and the third fitting member 182, the stacking legs 181 are a pair of articles provided on the main body 110 placed at the bottom. 2 The fitting member 142 may be configured not to contact the lower frame 112 of the main body 110 placed thereon.

즉, 적치다리(181)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상하로 적치했을 때, 상부에 적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밑 부분과 하부에 적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윗 부분이 맞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하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될 때 접촉 마찰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is stacked up and down, the stacking legs 181 are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placed on top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placed on the bottom. The upper part may be formed in such a length that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hich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contact friction when shaking occurs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hile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 loading aids 100 are in contact.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적치부재(18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연결 및/또는 지지가 가능한 기능으로, 육상(2)에서 제작 또는 적치 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는 기능과, 육상(2)에서 운반차량(TR)으로 복수 개를 운반 시 상하로 적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각각이 지지되고 연결되는 기능과, 컨테이너 운반선(1)의 일부 셀(18)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복수 개 적치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각각이 지지되고 연결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stacking member 18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unction capable of connecting and/or supporting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can be safely stored when manufactured or stacked on land (2). A function to support and connect each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stacked up and down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transported from the land (2) to the transport vehicle (TR), and some cells of the container carrier (1) ( In 18), even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 loading aids 100 are stacked and stored, each of them may have a function of being supported and conn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크레인(CR)에 의해 이웃하는 탑브리지(20) 사이를 승강할 때, 상부셀가이드(32)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guided by the upper cell guide 32 when moving up and down between neighboring tower bridges 20 by the crane CR.

또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컨테이너 양하 작업 시 또는 컨테이너 선적 작업 전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갑판(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외곽수직부재(21a)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수직부재(21b)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2개 이상의 수직부재(21)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컨테이너 운반선(1)에 적치하여 보관함으로써, 육상에 별도 적치 장소가 필요 없으며, 컨테이너(C)의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as shown in FIG. 21 during the container unloading operation or before the container loading operation, faces the outer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ull 10 in the fore-and-aft direction. It can be stacked and stored between the members 21a, and although not shown, it can be stacked and stored between the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21b fac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wo or mor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re placed in parallel. Of course, it can be stored by stacking between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21 even in a connected state. In this way, by stacking and storing 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100 on the container carrier 1,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tacking place on land, and the loading and unloading efficiency of the container C can be improved.

또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2커플링부재(171, 172)에 의해 병렬로 연결하면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사이에 갭이 생기게 되는데, 크레인(CR)에 의해 이웃하는 탑브리지(20) 사이를 승강할 때, 상부셀가이드(32)가 갭에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171 and 172,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neighboring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the crane CR When moving up and down between neighboring top bridges 20, the upper cell guide 32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and guided.

상기에서는 본체(110)의 좌우가 제1,2플레이트(151, 152)로 밀폐되고, 본체(110)의 상하전후가 개방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are sea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nd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 in which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110 are open has been described. The -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a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대비하여, 전체적인 형상 및 기능 그리고 구성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유사할 수 있고, 다만 수밀부재(153)가 더 구성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to 12 and 18,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has the overall shape, func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 in contrast to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 It may be similar to the loading assist device 100, but may differ in that the watertight member 153 is further configured.

이하에서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설명하도록 하는데, 수밀부재(153)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도 8 내지 도 12 및 도 18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도 3 내지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것을 인용함)하였고, 이에 따라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다른 구성 요소인 수밀부재(153)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will be described, except for the watertight member 153,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 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ig. 8 to 12 and parts not shown in FIG. 18 refer to those shown in FIGS. 3 to 7 and 17), and thus,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here. , and only the watertight member 153, which is a different component from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 and the parts that differ due to this will be described.

수밀부재(153)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카고홀드(17)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하고, 그 상부에 컨테이너(C)를 적재했을 때, 카고홀드(17) 내부로 물(해수나 강우)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수밀플레이트(153a), 제2수밀플레이트(153b), 제3수밀플레이트(153c)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watertight member 153 mounts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and loads the container C thereon, the cargo hold 17 It may be configured to block water (seawater or rainfall) from entering the inside, and may include a first watertight plate 153a, a second watertight plate 153b, and a third watertight plate 153c.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 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상부를 통해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watertight plate 153a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formed by the pair of first long axis frames 111a and the pair of first short axis frames 111b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111, and It is possible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cargo hold 17 through the top of the -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제2수밀플레이트(153b)는, 상부프레임(111)의 제1단축프레임(111b), 지지대(113), 돌출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방측 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전후방부를 통해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수밀플레이트(153b)의 하단부는 돌출부재(1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에 위치된다.The second watertight plate 153b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 frames formed by the first short frame 111b of the upper frame 111, the support 113, and the protruding member 120, and is a closed-type container. Inflow of water into the cargo hold 17 through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loading assist device 100a may be blocke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tight plate 153b protrudes outw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protruding member 120, and is thus located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고이는 물을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측면을 이루는 제2수밀플레이트(153b)로 유도하여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third watertight plate 153c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along the edge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shaft frames 111a constituting the upper frame 111, and the water accumulated on the first watertight plate 153a is guided to the second watertight plate 153b forming the side of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cargo hold 17.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제1,2피팅부재(141, 142)에 고정했을 때 손상되지 않도록,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보다 큰 폭의 간격을 가지거나, 제3수밀플레이트(153c)의 높이를 제1피팅부재(141) 및 제2피팅부재(142) 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watertight plate 153c installed along the edge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long shaft frames 111a is used to attach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to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members 141 and 142. In order not to be damaged when fixed, have a gap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or set the height of the third watertight plate (153c) to the first fitting member 141 and the second fitting It can be formed lower than the member 142.

즉,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달리 상부의 폭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a, unlike the open-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mall container C or large container C.

상기와 같이 수밀부재(153)가 마련되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카고홀드(17)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하고, 그 상부에 컨테이너(C)를 적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측벽으로 물이 흘러내리게 되면,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 물은 제3수밀플레이트(153c)에 의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측면으로 넘쳐 카고홀드(17)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제2수밀플레이트(153b)를 통해 상갑판(11)으로 배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a provided with the watertight member 153 is mounted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and the container C is loaded thereon. When the water flows down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C, the water accumulates on the first watertight plate 153a, and the water is collected on the closed-type container loading aid 100a by the third watertight plate 153c. It overflows to the side and does not flow into the cargo hold 17, and can be drained to the upper deck 11 through the second watertight plate 153b.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 오픈-타입 및 커플링부재(170)에 의한 오픈-타입의 병렬 연결형, 단순 클로즈드-타입 및 커플링부재(170)에 의한 클로즈드-타입의 병렬 연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픈-타입은 비수밀형일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은 수밀형 또는 밀폐형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ple open-type and open-type parallel connection by coupling member 170, simple closed-type and coupling member 170 It can be formed in a closed-type parallel connection type by. Here, the open-type may be a non-tight type, and the closed-type may be a watertight type or a closed type.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ISO 컨테이너(C)와 동일 운용 방식으로 운용 가능하며, 크레인(CR)으로 운용하여 적재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육상에서 운반차량(TR)으로 적재 운송 가능하여 생산 및 물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기존의 6Row 해치커버 기준 중량을 25%정도 경량화(예를 들어, 15K 기준 약 600톤 경량화)할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the same operation method as the ISO container (C), can be operated with a crane (CR) to maximize loading convenience, and transport vehicle (TR) on land It can be loaded and transported to promote production and logistics convenience, and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existing 6-row hatch cover by about 25% (for example, about 600 tons based on 15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위치를 조절하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적재 단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2 to 26,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and adjusts the number of loading stages of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It may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for adjusting.

위치조절부재(40)는, 카고홀드(17) 내부의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카고홀드를 구획하는 횡격벽(16)의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적어도 1곳 이상 설치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cell guides 31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8 inside the cargo hold 17, and the transverse bulkhead 16 partitioning the cargo hol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위치조절부재(40)는, 상갑판(11)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카고홀드(17) 내부로 하강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may pass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deck 11 and may be configured to hold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100 lowered into the cargo hold 17 .

위치조절부재(40)는, 고정형 스토퍼(41), 슬라이딩형 스토퍼(42),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may be at least one of a fixed stopper 41, a sliding stopper 42, and a hinged stopper 43a, 43b, and 43c.

위치조절부재(4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스토퍼(41)일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may be a fixed stopper 41 as shown in FIG. 22 .

고정형 스토퍼(41)는,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돌출부재(120)에 대응되도록 횡격벽(16)의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A pair of fixed stoppers 41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adjacent lower cell guides 3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8,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member 120 of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Transverse It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6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20 can be mounted.

또한, 위치조절부재(4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형 스토퍼(42)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as shown in Figure 23, may be a sliding stopper (42).

슬라이딩형 스토퍼(42)는,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의 횡격벽(16)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4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sliding stoppers 42 ar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rails 42a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ransverse bulkhead 16 between the neighboring lower cell guides 3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8 can

슬라이딩형 스토퍼(42)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승강 시에 좌우로 이동시켜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도록 하거나(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됨), 중간으로 이동시켜 돌출부재(1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됨).The sliding stopper 42 is moved left and right when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mounted (shown as a solid line in the drawing), or moved to the middle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20 may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the drawing).

또한, 위치조절부재(40)는, 도 24, 도 25 및 도 2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회전하는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as shown in (a) to (c) of FIGS. 24, 25 and 26, may be a hinge-type stopper (43a, 43b, 43c) that rotates in various ways.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는,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되, 돌출부재(120)가 통과하는 위치 부근의 횡격벽(16)에 회전 가능하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hinged stoppers 43a, 43b, and 43c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adjacent lower cell guides 3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8. A pair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6 .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승강 시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도록 하거나(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됨),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돌출부재(1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됨).The hinge-type stoppers 43a, 43b, and 43c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the container loading aid 100 is lifted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20 is mounted (shown as a solid line in the drawing), or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ruding member 120 from interfering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the drawing).

도 26에서 (a)는 힌지형 스토퍼(43c)의 측면도로서 회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힌지형 스토퍼(43c)의 평면도로서 돌출부재(1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c)는 힌지형 스토퍼(43c)의 평면도로서 돌출부재(1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In FIG. 26, (a) is a side view of the hinge-type stopper 43c showing a rotated state, and (b) is a plan view of the hinge-type stopper 43c, showing a rotated state to support the protruding member 120. It is shown, (c) is a plan view of the hinge-type stopper (43c) showing a rotated state so that the protruding member 120 can pass through.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재(40)는, 고정형 스토퍼(41), 슬라이딩형 스토퍼(42),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 등 다양한 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스토퍼는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may be composed of various stoppers such as a fixed stopper 41, a sliding stopper 42, and a hinged stopper 43a, 43b, and 43c. and can be used.

일례로, 고정형 스토퍼(41)가 횡격벽(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경우, 슬라이딩형 스토퍼(42) 또는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를 고정형 스토퍼(41)의 위쪽 또는 아래쪽 위치의 횡격벽(16)에 적어도 1곳 이상 설치하여, 카고홀드(17) 내부의 다수의 셀(18) 각각에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fixed stopper 41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transverse bulkhead 16, the sliding stopper 42 or the hinged stopper 43a, 43b, 43c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fixed stopper 41 By installing at least one place on the transverse bulkhead 16 of the cargo hold 17, it is possible to install at least two or more container loading aids 100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8 inside.

다른 예로서, 고정형 스토퍼(41)가 횡격벽(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슬라이딩형 스토퍼(42) 또는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를 횡격벽(16)에 적어도 1곳 이상 설치하여, 카고홀드(17) 내부의 다수의 셀(18) 각각에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가능하게 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xed stopper 41 is not installed in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the sliding stopper 42 or the hinged stopper 43a, 43b, 43c is attached to the transverse bulkhead 16 at least. By installing one or m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at least on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8 inside the cargo hold 17.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은, 카고홀드(17) 내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와, 이에 상하 대응하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에 설치된 상부셀가이드(32)가 연결된다. 이러한 카고홀드(17)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의 상부로 연속하여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것은 기존의 소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오픈-탑(open-top)과 유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1)은 셀가이드(31, 32) 중앙부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및 상갑판(11)에 설치되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 상부셀가이드(32)의 역할로 인하여,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 상부 위에 적재된 양까지 포함하여 13단 이상 대량으로 적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arrier 1 includes lower cell guides 31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in the cargo hold 17, and top bridges 20, 20-1 corresponding up and down thereto, The upper cell guide 32 installed in 20a, 20b) is connected. Being able to continuously load the container C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17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11 may be similar to the open-top of a conventional small container carrier, but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arrier (1) includes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ell guides (31, 32) and top bridges (20, 20-1, 20a, 20b) installed on the upper deck (11), upper cell Due to the role of the guide 32,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C can be loaded in 13 stages or more, including the amount loaded on the top of the upper deck 11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17.

도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0 and 3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d comparing loading stability of containers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lashing syste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1)은,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을 생략하고,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C)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이 기존 대비 차별화됨을 밝히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iner carr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ppli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is omitted, and the cell guide system in which the upper cell guide 32 is provided in the top bridge 20 is applied. Therefore, it will be clarifi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by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loading stability of the container C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lashing system with reference to FIGS. 30 and 31 .

도 30의 (a)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인터널 래싱(Internal lashing) 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압축 하중과 선체 운동에 의한 횡방향 하중은 모멘트 성분으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추가 압축 하중으로 작용함을 도시하고 있다.30(a) shows the load acting on the socket foundation part during internal lashing i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ppli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and the compressive load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motion of the hull It is shown that the lateral load by the moment component acts as an additional compressive load on the socket foundation part.

도 30의 (b)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익스터널 래싱(External lashing) 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압축 하중과 선체 운동에 의한 횡방향 하중은 모멘트 성분으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추가 압축 하중으로 작용하되, 인터널 래싱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중이 감소함을 도시하고 있다.30(b) shows the load acting on the socket foundation part during external lashing i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ppli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and the compression load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motion of the hull The loa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a moment component and acts as an additional compressive load on the socket foundation part, but the load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internal lashing.

도 30의 (c)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도 3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 선체 운동 하중이 해치커버 및 래싱 시스템에 불완전 요소로 작용하여 해치커버 움직임과 갑판 스툴 및 해치커버와 선체의 상대변위를 발생하여, 소켓파운데이션부가 손상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소켓파운데이션부가 손상은 컨테이너 붕괴 및 유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30 (c) shows that i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ppli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as shown in FIG. 30 (a) and (b), the excessive hull motion load is an incomplete element in the hatch cover and the lashing system. It shows that the socket foundation part is damaged by causing the hatch cover movement and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deck stool and hatch cover and the hull by acting as a . Damage to the socket foundation part is a major cause of container collapse and loss.

도 31은,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적용 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의 소켓파운데이션부로서 제1,2피팅부재(141, 142)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압축 하중과 선체 운동에 의한 횡방향 하중은 상부셀가이드(32)에서 흡수하여 추가 압축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선체 운동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선체 일반 구조 강도와 동일하게 여유분을 확보 가능하고, 선체 상대변위 영향이 미미하며, 하중 쏠림으로 인한 적재 컨테이너(C)의 파손 및 래싱 시스템의 붕괴 이로 인한 컨테이너(C)의 도미노 붕괴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31 is a socket foundation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when the cell guide system and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cell guide 32 is provided on the top bridge 20 are applied As a part, it shows the load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members 141 and 142, and the compression load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lateral load due to hull motion are absorbed by the upper cell guide 32, so that no additional compression force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margin equal to the general structural strength of the hull for the load caused by the hull motion, the effect of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hull is insignificant, and the damage of the loading container (C) due to the load bias and the collapse of the lashing system The domino collapse phenomenon of C)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도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32 to 34 are tables for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loading stability of containers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lashing syste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1)은,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을 생략하고,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C)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이 기존 대비 차별화됨을 밝히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iner carr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ppli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is omitted, and the cell guide system in which the upper cell guide 32 is provided in the top bridge 20 is applied. In the following, by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loading stability of the container C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lashing system with reference to FIGS.

도 32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선체의 상갑판 상부 해치커버 위로 컨테이너(C)를 12단 적재하고, 컨테이너(C)를 래싱 시스템을 이용하여 3단 래싱했을 때, 랙킹 포스(racking force),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를 계산해서 얻어진 테이블이다.32 shows that i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ppli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when 12 containers (C) are loaded onto the upper hatch cover of the upper deck of the hull and the container (C) is lashed in 3 stages using the lashing system, This is a table obtained by calculating racking force, corner post force, and twistlock force.

랙킹 포스(racking force)는 선체 롤링(rolling)의 영향으로 적재된 컨테이너(C)가 경사방향으로 받는 힘이고,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는 적재된 컨테이너 4 모서리(post)에 상, 하로 받는 힘이고,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는 선체의 움직임으로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연결부재(twistlock)에 걸리는 힘이다.The racking force is the force that the loaded container (C) receives in the inclined dir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hull rolling, and the corner post force is the upward and downward force on the four corners of the loaded container (post). The twistlock force is the force applied to the twistlock connecting the containers by the movement of the hull.

도 33은,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위로 컨테이너(C)를 12단 적재하고, 셀가이드 시스템을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기준 4단까지 적용했을 때, 랙킹 포스(racking force),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를 계산해서 얻어진 테이블이다.33 shows that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cell guide 32 is provided on the top bridge 20, the container C is loaded in 12 stages on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ell guide system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This is a table obtained by calculating racking force, corner post force, and twistlock force when up to four stages of the loading assist device 100 are applied.

도 34는, 도 32 및 도 33의 테이블에 근거하여, 기존의 래싱 시스템과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에서, 랙킹 포스(racking force),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의 해석 결과에 대한 테이블이다.FIG. 34 shows racking force, corner post force, and twistlock force i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and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ables of FIGS. 32 and 33 ) is a table of analysis results.

도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운반선의 롤링(rolling) 운동 시 적재된 컨테이너(C)가 좌우 운동할 때 운동가속도의 최대치에서 걸리는 코너 포스트 포스를 해석한 결과, 허용치 848kN 대비하여, 기존 래싱 시스템(컨테이너 3단 래싱 브리지)의 경우에는 해치커버 상부의 적재된 컨테이너 최하단에서 927.5kN으로 허용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컨테이너 붕괴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 셀가이드 시스템(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 4단까지 셀가이드로 지지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적재된 컨테이너의 4단까지 셀가이드가 운동가속도를 흡수함에 따라 최대값이 805.7kN의 허용치 이하로 컨테이너 붕괴 위험이 없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3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ner post force applied at the maximum value of motion acceleration when the loaded container C moves left and right during the rolling motion of the container carrier, compared to the allowable value of 848 k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3-stage lashing bridge), 927.5 kN was found to exceed the allowable value at the bottom of the loaded container at the top of the hatch cover, which could lead to a container collapse accident, whereas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cell guides support up to the 4th layer of containers loaded in the container), as the cell guides absorb motion acceleration up to the 4th layer of the loaded container, the maximum value is less than the allowable value of 805.7kN, so there is no risk of container collapse. there is.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컨테이너(C)를 12단 적재하고, 1단으로부터 10단까지 소형 컨테이너(20ft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동일한 조건에서, 기존 래싱 시스템에서는 해치커버 상부 20ft 컨테이너 적재 시 래싱이 없지만(만약 한쪽 면에만 래싱 시에는 래싱하지 않는 것 보다 악조건 발생),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컨테이너 5단까지 셀가이드로 지지하는 구조)에서는 셀가이드가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기존의 래싱 시스템과 달리 순수 횡방향으로 하중 전달이 가능(카고홀드 내부와 동일한 하중 전달)하여, 트위스트락 허용 하중(Min. breaking 500kN(인당), 420kN(전단))에서 본 발명의 설계 안전계수가 기존의 설계 안전계수보다 약 8배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20ft 컨테이너 적재 황천 항해 조건에서 기존의 래싱 시스템 대비 월등한 안정성 확보가 예상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under the same conditions of loading containers C in 12 stages and loading small containers (20ft containers) from 1st to 10th, in the existing lashing system, there is no lashing when loading 20ft containers on top of the hatch cover ( If lashing is performed on only one side, a worse condition occurs than not lashing.) I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e supporting up to 5 containers with cell guides), the cell guide supports the container, so unlike the existing lashing system, pure Load transmission in the lateral direction is possible (the same load transmission as inside the cargo hold), so the design safety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er than the existing design safety factor at the allowable twist lock load (Min. breaking 500kN (per person), 420kN (shear)) An increase of about 8 times was obtained. That is, when the cel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expected to secure superior st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lashing system in a 20 ft container loading rough sea sailing condition.

도 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순서도이다.3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using a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and FIG. 37 is another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using a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in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 및 도 3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35 and 36 , a container unloading method using 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s 100 and 100a in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역방법에 이용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고홀드(17)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C)를 적재하도록, 컨테이너(C)의 폭 및 길이에 1 내지 n배(n은 자연수)의 폭 및 길이를 갖되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 상하부프레임(111, 112)과, 상하부프레임(111, 112)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대(113)와,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 가능하도록 상하부프레임(111, 112) 또는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0)와, 서로 인접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기 상하부프레임(111, 112)을 연결하는 커플링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used in the container unloading method are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carriers 1 loading the small container C or the large container C. It is applied to the cargo hold 17 of and has a width and length of 1 to n times (n is a natural number) the width and length of the container C so as to load the container C upward, bu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having a smaller planar cross section, the support 113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to be mounted at any position of the cargo hold 17 ( 111, 112) or a protruding member 12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113, and a coupling member 170 connecting two or more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이하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구비되고,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in the container carrier 1 with 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s 100 and 100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육상(2)의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운반선(1)으로 선적하는 작업을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container C on the land 2 to the container carrier 1 using the crane CR will be described.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내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11).Loading of the container C into the cargo hold 17 is completed by using the crane CR to load the container C into the cargo hold 17 (step S11).

커플링부재(17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병렬로 연결한다(단계 S12).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are connected in parallel using the coupling member 170 (step S12).

상기한 단계 S12에서,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크레인(CR)으로 이송할 때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홀수 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CR)에 부착되는 스프레더(SR)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이송할 때,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가운데 위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스프레더(SR)를 연결하기 때문에 홀수 개로 연결해야만 이송 시 무게 중심을 쉽게 맞출 수 있다.In the above step S12, it is preferable to connect an odd number of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connected in parallel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when transferring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to the crane CR. That is, when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are transferred using the spreader SR attached to the crane CR,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connected in parallel Since the spreader (SR) is connected to (100, 100a), it is necessary to connect an odd number to easily align the center of gravity during transportation.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이송한다(단계 S13).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are transferred in a state connected in parallel using a crane CR (step S13).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로 카고홀드(17) 입구를 덮는다(단계 S14).By using a crane (CR),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is mounted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and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is used to hold the cargo hold (17). ) cover the inlet (step S14).

단계 S14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육상(2)에 보관된 상태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로 이송된다.In step S14,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are transported to the cargo hold 17 of the container carrier 1 using the crane CR in a state where they are stored on the land 2.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15).By using a crane (CR), the container (C) is loaded on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to complete the loading of the container (C) on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Step S15).

이하에서는,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컨테이너(C)를 육상(2)으로 양하하는 작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of the container carrier 1 to the land 2 using the crane CR will be described.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16).An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is performed using the crane CR (step S16).

크레인(CR)으로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 입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카고홀드(17)의 입구를 개방한다(단계 S17).By using a crane (CR),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is removed from the cargo hold (17) inlet to open the inlet of the cargo hold (17) (step S17).

단계 S17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로 이송하여 상갑판(11) 상에 적치 보관할 수 있고, 육상(2)으로 이송하여 육상(2)에 적치 보관할 수 있다. In step S17,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can be transported to an arbitrary place on the upper deck 11 in a state connected in parallel, stacked and stored on the upper deck 11, and transported to the land 2 to land ( 2) can be stored in piles.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18).An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loaded in the cargo hold 17 is performed using the crane CR (step S18).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이 상갑판(11), 선측판(12), 선저판(13)이 외관을 이루는 선체(10)와, 선체(10)의 내부에서 횡격벽(16)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17)와,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31)와,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열(row)로 배치되는 탑브리지(20)와, 하부셀가이드(31) 각각과 연결되며, 탑브리지(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셀가이드(32)를 포함할 경우, 상부셀가이드(32)는, 커플링부재(17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단계 S12)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단계 S14)하거나, 카고홀드(17)의 입구로부터 제거(단계 S17)할 때,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사이의 갭에 삽입되어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carrier 1 has an upper deck 11, a side plate 12, and a bottom plate 13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hull 10 and the transverse bulkhead 16 inside the hull 10 It is installe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between the cargo hold 17 partitioned by, the lower cell guide 31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and the cargo hold 17 , Top bridge 20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and upper cell guides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cell guides 31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op bridge 20 ( 32), the upper cell guide 32 uses the coupling member 170 to connect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in parallel (step S12), the crane CR When mounted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step S14) or removed from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step S17), between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connected in parallel It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of the lift guide.

도 35 및 도 3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의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35 and 37 , another method of unloading a container using 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s 100 and 100a in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역방법에 이용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고홀드(17)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C)를 적재하도록, 컨테이너(C)의 폭 및 길이에 1 내지 n배(n은 자연수)의 폭 및 길이를 갖되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 상하부프레임(111, 112)과, 상하부프레임(111, 112)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대(113)와,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 가능하도록 상하부프레임(111, 112) 또는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used in the container unloading method are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 carriers 1 loading the small container C or the large container C. It is applied to the cargo hold 17 of and has a width and length of 1 to n times (n is a natural number) the width and length of the container C so as to load the container C upward, bu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having a smaller flat cross section, the support 113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1 and 112 to be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 or a protruding member 12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113.

이하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구비되고,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in the container carrier 1 with the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s 100 and 100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육상(2)의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운반선(1)으로 선적하는 작업을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container C on the land 2 to the container carrier 1 using the crane CR will be described.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내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21).Loading of the container C into the cargo hold 17 is completed by using the crane CR to load the container C into the cargo hold 17 (step S21).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로 카고홀드(17) 입구를 덮는다(단계 S22).By using a crane (CR),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is mounted on the upper deck (11)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and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is used to hold the cargo hold (17). ) cover the entrance (step S22).

단계 S22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육상(2)에 보관된 상태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로 이송되거나, 컨테이너 운반선(1)의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에 보관된 상태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로 이송된다.In step S22,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are transported to the cargo hold 17 of the container carrier 1 by using the crane CR while being stored on the land 2, or the container carrier 1 It is transferred to the cargo hold 17 of the container carrier 1 using a crane CR in a state stored at an arbitrary place on the upper deck 11 of the.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23).By using a crane (CR), the container (C) is loaded on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to complete the loading of the container (C) on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Step S23).

이하에서는,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컨테이너(C)를 육상(2)으로 양하하는 작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of the container carrier 1 to the land 2 using the crane CR will be described.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24).An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loa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is performed using the crane CR (step S24).

크레인(CR)으로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 입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되, 제거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육상(2)으로 내리거나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로 이송하여 카고홀드(17)의 입구를 개방한다(단계 S25).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from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using a crane (CR) is performed, but the removed container loading aids (100, 100a) are lowered to the land (2) or It is transported to an arbitrary place on the upper deck 11 to open the inlet of the cargo hold 17 (step S25).

단계 S25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로 이송하여 상갑판(11) 상에 적치 보관할 수 있고, 육상(2)으로 이송하여 육상(2)에 적치 보관할 수 있다.In step S25,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can be transported to an arbitrary place on the upper deck 11 and stored on the upper deck 11, and transported to the land 2 to be stored on the land 2. can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26).An operation of unloading the container C loaded in the cargo hold 17 using the crane CR is performed (step S26).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이 상갑판(11), 선측판(12), 선저판(13)이 외관을 이루는 선체(10)와, 선체(10)의 내부에서 횡격벽(16)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17)와,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31)와,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열(row)로 배치되는 탑브리지(20)와, 하부셀가이드(31) 각각과 연결되며, 탑브리지(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셀가이드(32)를 포함할 경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카고홀드(17)의 입구를 개방하는 단계 S25에서, 상갑판(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탑브리지(20)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되거나 육상(2)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carrier 1 has an upper deck 11, a side plate 12, and a bottom plate 13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hull 10 and the transverse bulkhead 16 inside the hull 10 It is installe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11 between the cargo hold 17 partitioned by, the lower cell guide 31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transverse bulkhead 16, and the cargo hold 17 , Top bridge 20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 and upper cell guides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cell guides 31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op bridge 20 ( 32),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are stacked between the top bridges 20 facing forward and backward on the upper deck 11 in step S25 of opening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It may be stored or stored by placing it on land (2).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부셀가이드(32)가 구비되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를 마련함으로써, 상부셀가이드(32)로 컨테이너(C)를 지지 고정할 수 있어, 기존의 래싱 시스템(래싱 로드, 래싱바 등의 체결장치)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재 비용 절감은 물론 래싱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컨테이너 운반선(1)의 운항 시 상갑판(11) 상부의 컨테이너(C)를 직접 지지함에 따라 적재된 컨테이너(C)가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탑브리지(20, 20-1, 20a, 20b)에 마련된 상부셀가이드(32)와 횡격벽(16)에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가 각각 연결되어 컨테이너(C) 하역 시 해치커버 탑재나 래싱 작업 등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연속적인 선적 또는 양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the top bridges 20, 20-1, 20a, 20b equipped with the upper cell guides 32, the container C can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upper cell guides 32. , Existing lashing systems (fastening devices such as lashing rods and lashing bars) can be omitted,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s as well as time and money consumed for lashing 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amage or loss of the loaded container (C) by directly supporting the container (C) on the upper deck (11) dur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carrier (1), and also the top bridge (20, 20-1 , 20a, 20b), the upper cell guide 32 provided on the transverse bulkhead 16 and the lower cell guide 31 installed on the transverse bulkhead 16 are connected, respectively, so that the container C is unloaded without additional work such as mounting a hatch cover or lashing work. A loading or unloading operation may be possible.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구성함으로써,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된 상태에서 선체(10)의 종강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갑판(11) 상부로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적재 하중을 선체(10)에 전달할 수 있어 카고홀드(17) 바닥로부터 상갑판(11) 상부 위에 적재된 양을 포함하여 13단 이상 대량의 컨테이너(C)를 적치할 수 있고, In addition, this embodiment configures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s 100 and 100a so that they can be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of the container carrier 1, so that the hull 10 is mounted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longitudinal strength of the upper deck (11),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loading load of the container (C) loaded to the upper deck (11) to the hull (10), so that the cargo hold (17) is loaded on top of the upper deck (11) from the bottom.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C) in 13 or more stages including the amount can be stacked,

또한, 본 실시예는, 크레인(CR)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이송 가능하면서 자체 적치가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구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를 위한 핸들링이 용이하고, 컨테이너 운반선(1) 또는 육상(2)에서 보관이 편리할 수 있고, 육상(2)에서 운반차량(TR)으로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configuring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so that one or more can be transported by the crane (CR) and stacked by itself, at the entrance of the cargo hold 17 of the container carrier 1 Handling for mounting is easy, storage on the container carrier 1 or on land 2 can be convenient, and transportation on the land 2 to the transport vehicle TR can be easy.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보강프레임(130),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보강부재(160)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함으로써,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is provided with all or part of the reinforcing frame 130,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and the reinforcing member 160, It is possible to secure rigidity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container (C) loaded on.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의 상면에 컨테이너(C)의 코너 캐스팅과 대응되는 제1,2피팅부재(141, 142)를 마련함으로써, 상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ft의 소형 컨테이너(C) 및 40ft의 대형 컨테이너(C)를 혼재하여 적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members 141 and 142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C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loading aids 100 and 100a, container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Not only can it be safely fixed, but also it is possible to mix and stack a 20ft small container (C) and a 40ft large container (C).

또한, 본 실시예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를 래싱 브리지가 생략되고 상부셀가이드(32)와 횡격벽(16)에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가 각각 연결 된 셀가이드 시스템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 래싱 브리지 대비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복잡한 구조를 단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기존의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 대비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 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테이너 운반선(1)의 동일 제원 대비 설계 융통성(선체 길이, 기타 래싱 시스템이 없어짐으로 인한 최적화 가능)을 확보하거나, 컨테이너(C)의 선적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ashing bridges of the top bridges 20, 20-1, 20a, and 20b are omitted, and the upper cell guide 32 and the lower cell guide 31 installed on the transverse bulkhead 16 are connected, respectively. By forming the cell guide system, the width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the existing lashing bridge, and the complex structure with the existing lashing bridge installed can be formed into a simple structure, and the cargo hold compared to the existing container carrier with the existing lashing bridge installed (17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idth of the upper deck (11) between the container carrier (1), to ensure design flexibility compared to the same specifications of the container carrier (1) (optimization possible due to the elimination of hull length and other lashing systems), or the shipping capacity of the container (C) can increase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40)를 마련함으로써,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어, 컨테이너(C) 적재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a position adjusting member 4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100a), the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100 at an arbitrary position inside the cargo hold 17 One or more can be installed, so the flexibility of loading the container (C) can be increased.

또한, 본 실시예는, 선체(10)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선체확장부(50)를 마련함으로써, 선체확장부(50)에 컨테이너(C)를 추가 적재할 수 있어, 컨테이너(C) 적재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체확장부(50)를 이루는 선측외판(12a) 부분을 외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그린워터의 침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the hull extension part 50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hull 10,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load the container C in the hull extension part 50, and the container C loading quantity Not only can it be increased, but also the possibility of invasion of green water can be reduced by making the ship side shell plate (12a) part forming the hull extension part 50 have a certain inclination to the outside.

또한, 본 실시예는,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가장자리에 보강격벽(60)을 설치함으로써, 선체(10)의 굽힘 모멘트를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ending moment of the hull 10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bulkhead 60 at the edge of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또한, 본 실시예는, 건현갑판(19)에서 더블헐 구조의 선측판(12)을 외부로 관통하도록 방수구(70)를 마련하고, 선저내판(13b)의 바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컨테이너(C)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80)을 마련하고, 선저판(13)에 배수시스템(90)을 마련함으로써,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카고홀드(17) 바닥의 컨테이너(C)가 물에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water discharge port 70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plate 12 of the double hull structure from the freeboard deck 19 to the outside, and the container C ), and by providing a drainage system 90 on the bottom plate 13, it is possible to easily tre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cargo hold 17 entrance of the container carrier 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C) on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17) from being submerged in water.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엔트리가이드 및 보강부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9는 도 38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0, 도 41 및 도 42는 도 38의 엔트리가이드 및 보강부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member, an entry guide,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therewith, and FIG. 3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pport member of FIG. 38, FIG. 40, FIG. 41 and 4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ntry guide and reinforcing member of FIG.

도 38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지지부재(200), 엔트리가이드(300) 및 보강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38 to 42, the container carr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200, an entry guide 300 and a reinforcing member 400.

지지부재(200)는, 다수의 탑브리지(20) 양단에 마련되어 구조 및 진동을 보강할 수 있다.Support members 20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op bridges 20 to reinforce structure and vibration.

지지부재(200)는, 다수의 탑브리지(20) 중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탑브리지(20)를 연결하며, 한 쌍의 탑브리지(20) 양단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00 connects a pair of top bridges 20 spaced back and forth among the plurality of top bridges 20, and a pair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top bridges 20.

탑브리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부재(21)와 다수의 수평부재(22)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수직부재(21)는,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상에 2개씩 배치되는 외곽수직부재(21a)와, 외곽수직부재(21a)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p bridge 2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re outer vertical members 21a disposed two by two on the upper deck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ll 10,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vertical mem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outer vertical members 21a. A member 21b may be included.

이때, 한 쌍의 지지부재(200)는, 다수의 수평부재(22) 중 상단수평부재(22a)와 이에 이웃하는 중간수평부재(22b) 사이에서 외곽수직부재(21a)의 외측을 연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00 may connect the outer side of the outer vertical member 21a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2a and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22b adjacent thereto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

이러한 한 쌍의 지지부재(200)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지지부재(210, 220, 230, 240)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재(200)가 제1,2,3,4지지부재(210, 220, 230, 24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2,3,4지지부재(210, 220, 230, 240) 모두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1,3지지부재(210, 230) 및 제2,4지지부재(220, 240)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39 ,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10, 220, 230, and 240. Hereinafter,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10, 220, 230, and 24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4 support members (210, 220, 230, 240) are all formed integrally, or the first and third support members (210, 230) and the secon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20, 240) are formed integrally, respectively. Of cours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제1,2,3,4지지부재(210, 220, 230, 240) 각각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다른 측면이 폐쇄되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3,4지지부재(210, 220, 230, 240) 각각이 'ㄷ'자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다양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10, 220, 230, and 240 may have a 'c'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10, 220, 230, and 240 is described as having a 'c' shape, but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of course.

제1지지부재(210)는,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탑브리지(20) 중 어느 하나의 탑브리지(20)의 외곽수직부재(21a)에 개방된 일측면의 반대측 다른 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I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pen to the outer vertical member 21a of any one of the pair of top bridges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back may be connected.

제2지지부재(220)는,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의 탑브리지(20) 중 다른 하나의 탑브리지(20)의 외곽수직부재(21a)에 개방된 일측면의 반대측 다른 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opened to the outer vertical member 21a of the other top bridge 20 of the pair of top bridges 20 spaced back and forth may be connected.

제3,4지지부재(230, 240)는,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30 and 240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제3,4지지부재(230, 240)는, 제3지지부재(230)의 개방된 일측면의 반대측 다른 측면과 제4지지부재(240)의 개방된 일측면의 반대측 다른 측면을 연결함에 의해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support members 230 and 240 connect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pen side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pen side of the fourth support member 240. It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제3지지부재(230)는, 개방된 일측면이 제1지지부재(210)의 개방된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재(210)와 제3지지부재(230)의 결합에 의해 중공을 갖는 하나의 지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open side of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open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 In this way, one support member having a hollow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first support member 210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

제4지지부재(240)는, 개방된 일측면이 제2지지부재(220)의 개방된 일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지지부재(220)와 제4지지부재(240)의 결합에 의해 중공을 갖는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open side of the fourth support memb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open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 In this way, another support member having a hollow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 and the fourth support member 240 .

엔트리가이드(300)는, 상부셀가이드(32) 각각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C) 적재 시 컨테이너(C)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entry guide 300 may be provided on top of each of the upper cell guides 32, and may guide the container C when the container C is loaded.

이러한 엔트리가이드(300)는, 도 40,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가이드하는 제1엔트리가이드부재(310)와, 컨테이너(C)의 일측면을 가이드하는 제2엔트리가이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0, 41 and 42, the entry guide 300 includes a first entry guide member 310 for guiding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C and the container C. A second entry guide member 320 for guiding one side may be included.

제1엔트리가이드부재(310)는, 상부셀가이드(3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C)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entry guide member 31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32 and may extend upward at an angle at an angle so as to guide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C.

제1엔트리가이드부재(310)는, 하부 폭과 상부 폭이 동일한 사각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entry guide member 310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in which a lower width and an upper width are equal.

제2엔트리가이드부재(320)는, 상부셀가이드(32)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직되게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엔트리가이드부재(320)는, 일측면이 제1엔트리가이드부재(310)에 연결되고, 상단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32 and extend vertically upward. 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320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310 and whose width expa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ward the top.

이러한 제2엔트리가이드부재(320)는, 제1높이를 갖는 제1가이드부재(320a)와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를 갖는 제2가이드부재(320b)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320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320a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guide member 320b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제1,2가이드부재(320a, 320b)는, 컨테이너(C)의 일측면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단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321a, 321b)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320a and 320b may have inclined surfaces 321a and 321b whose upper end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guide one side of the container C.

제1가이드부재(320a)의 경사면(321a)과 제2가이드부재(320b)의 경사면(321b)은 폭 및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321a of the first guide member 320a and the inclined surface 321b of the second guide member 320b may have the same width and length.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부재(320a, 320b)는, 높이가 다르면서 경사면(321a, 321b)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상단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비율이 다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320a and 320b have different heights and have the same length of the inclined surfaces 321a and 321b, the ratio of width expans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ward the top may be different.

상기에서는 제1가이드부재(320a)의 경사면(321a)과 제2가이드부재(320b)의 경사면(321b)의 길이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2가이드부재(320a, 320b)는 상단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비율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높이를 갖는 제1가이드부재(320a)의 경사면(321a)의 길이가 제2높이를 갖는 제2가이드부재(320b)의 경사면(321b)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nclined surface 321a of the first guide member 320a and the inclined surface 321b of the second guide member 320b have the same length,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320a and 320b may have the same width expansion 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y go toward the top, and thereby, the inclined surface 321a of the first guide member 320a having a first height. The length of )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inclined surface 321b of the second guide member 320b having the second height.

제1높이의 제1가이드부재(320a)를 갖는 엔트리가이드(300)와 제2높이의 제2가이드부재(320b)를 갖는 엔트리가이드(300)는, 다수의 상부셀가이드(32) 각각의 상단에 마련되되,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entry guide 300 having the first guide member 320a of the first height and the entry guide 300 having the second guide member 320b of the second height are located at the top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cell guides 32. It is provided in, but can be arranged alternately.

보강부재(400)는, 상부셀가이드(32)을 지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400 may support the upper cell guide 32 .

탑브리지(20)는, 다수의 수직부재(21)와 다수의 수평부재(22)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p bridge 2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

다수의 수평부재(22)는, 탑브리지(20)의 최상부를 이루는 상단수평부재(22a)와, 상단수평부재(22a)와 상갑판(1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수평부재(2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22 include the uppermost horizontal member 22a constituting the uppermost part of the top bridge 20,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most horizontal member 22a and the upper deck 11 ( 22b) may be included.

상부셀가이드(32)는, 상단수평부재(22a)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cell guide 32 may be installed higher tha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2a.

이로 인해 보강부재(400)는, 탑브리지(20)의 상단수평부재(22a)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셀가이드(32) 부분 또는 상부셀가이드(32)의 상단에 마련되는 엔트리가이드(300)를 지지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reinforcing member 400 is a part of the upper cell guide 32 extending to the top of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2a of the top bridge 20 or the entry guide 30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32 can support

이러한 보강부재(400)는, 상부셀가이드(32)의 후면에서 탑브리지(20)의 중심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2,3,4보강부재(410, 420, 430, 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400 may be provi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ell guide 32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bridge 20,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einforcing members 410, 420, 430, and 440 can include

제1보강부재(410)는, 탑브리지(20)의 상단수평부재(22a)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셀가이드(32)의 후면에서, 하면이 상단수평부재(22a)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부셀가이드(32)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10 may be fixed 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2a on the lower surface at the rear side of the upper cell guide 32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2a of the top bridge 20, , It may extend to the top of the upper cell guide 32.

제2보강부재(420)는, 일측면이 제1보강부재(410)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하면이 상단수평부재(22a)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보강부재(420)는, 탑브리지(2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20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10 vertically, and a lower surface may be fixed 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2a.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20 may extend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bridge 20 .

제3보강부재(430)는, 하면이 제2보강부재(42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면이 제1엔트리가이드부재(310)의 일측 평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4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20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connected to one flat surface of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310 .

제4보강부재(440)는, 하면이 제1보강부재(41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면이 제1엔트리가이드부재(310)의 일측 평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fourth reinforcing member 44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10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connected to one flat surface of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310 .

상기한 제1,2보강부재(410, 420)는 상부셀가이드(32)를 지지할 수 있고, 제3,4보강부재(430, 440)는 엔트리가이드(3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embers 410 and 420 may support the upper cell guide 32 , and the third and fourth reinforcing members 430 and 440 may support the entry guide 3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do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combinations o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i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Therefore, technical details related to vari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컨테이너 운반선 2: 육상
10: 선체 11: 상갑판
11a: 확장갑판 12: 선측판
12a: 선측외판 12a1: 오버행외판
12a2: 버티컬외판 12b: 선측내판
13: 선저판 13a: 선저외판
13b: 선저내판 14: 선수
15: 선미 16: 횡격벽
17: 카고홀드 18: 셀
19: 건현갑판 20, 20-1, 20a, 20b: 탑브리지
21: 수직부재 21a: 외곽수직부재
21b: 중간수직부재 22: 수평부재
22a: 상단수평부재 22b: 중간수평부재
23: 사선부재 24: 플레이트부재
31: 하부셀가이드 32: 상부셀가이드
40: 위치조절부재 41: 고정형 스토퍼
42: 슬라이딩형 스토퍼 42a: 레일
43a, 43b, 43c: 힌지형 스토퍼 50: 선체확장부
60: 보강격벽 70: 방수구
80: 지지구조물 90: 배수시스템
91: 빌지웰 92: 배수구멍
93: 파이프덕트 100, 100a: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110: 본체 111: 상부프레임
111a: 제1장축프레임 111b: 제1단축프레임
112: 하부프레임 112a: 제2장축프레임
112b: 제2단축프레임 113: 지지대
120: 돌출부재 130: 보강프레임
131: 제1수평보강재 132: 제2수평보강재
133: 제1수직보강재 141: 제1피팅부재
142: 제2피팅부재 151: 제1플레이트
152: 제2플레이트 153: 수밀부재
153a: 제1수밀플레이트 153b: 제2수밀플레이트
153c: 제3수밀플레이트 160: 보강부재
161: 중간보강부재 162: 제1보강부재
163: 제2보강부재 170: 커플링부재
171: 제1커플링부재 172: 제2커플링부재
180: 적치부재 181: 적치다리
182: 제3피팅부재 200: 지지부재
210: 제1지지부재 220: 제2지지부재
230: 제3지지부재 240: 제4지지부재
300: 엔트리가이드 310: 제1엔트리가이드부재
320: 제2엔트리가이드부재 320a; 제1가이드부재
320b: 제2가이드부재 321a, 321b: 경사면
400: 보강부재 410: 제1보강부재
420: 제2보강부재 430: 제3보강부재
440: 제4보강부재
C: 컨테이너 A: 선실
I: 엔진케이싱 R: 엔진룸
CR: 크레인 SR: 스프레더
TR: 운반차량 DL: 흘수선
1: container carrier 2: land
10: hull 11: upper deck
11a: extended deck 12: side plate
12a: side shell plating 12a1: overhang shell plating
12a2: vertical outer plate 12b: ship side inner plate
13: bottom plate 13a: bottom plate
13b: bottom plate 14: bow
15: stern 16: transverse bulkhead
17: cargo hold 18: cell
19: freeboard deck 20, 20-1, 20a, 20b: top bridge
21: vertical member 21a: outer vertical member
21b: intermediate vertical member 22: horizontal member
22a: upper horizontal member 22b: middle horizontal member
23: diagonal member 24: plate member
31: lower cell guide 32: upper cell guide
40: position adjusting member 41: fixed stopper
42: sliding stopper 42a: rail
43a, 43b, 43c: hinged stopper 50: hull extension
60: reinforced bulkhead 70: water discharge port
80: support structure 90: drainage system
91: Bilge well 92: Drain hole
93: pipe duct 100, 100a: container loading aid
110: body 111: upper frame
111a: first long axis frame 111b: first short axis frame
112: lower frame 112a: second long axis frame
112b: second short frame 113: support
120: protruding member 130: reinforcing frame
131: first horizontal stiffener 132: second horizontal stiffener
133: first vertical stiffener 141: first fitting member
142: second fitting member 151: first plate
152: second plate 153: watertight member
153a: first watertight plate 153b: second watertight plate
153c: third watertight plate 160: reinforcing member
161: intermediate reinforcing member 162: first reinforcing member
163: second reinforcing member 170: coupling member
171: first coupling member 172: second coupling member
180: stacking member 181: stacking leg
182: third fitting member 200: support member
210: first support member 220: second support member
230: third support member 240: fourth support member
300: entry guide 310: first entry guide member
320: second entry guide member 320a; First guide member
320b: second guide member 321a, 321b: inclined surface
400: reinforcing member 410: first reinforcing member
420: second reinforcing member 430: third reinforcing member
440: fourth reinforcing member
C: container A: cabin
I: engine casing R: engine room
CR: Crane SR: Spreader
TR: transport vehicle DL: waterline

Claims (6)

선측외판과 선측내판으로 더블헐 구조를 이루는 선측판과, 선저외판과 선저내판으로 이중저 구조를 이루는 선저판과, 상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체;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횡격벽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카고홀드;
상기 횡격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
상기 상갑판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카고홀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갑판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며,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탑브리지;
상기 탑브리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셀가이드 각각과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컨테이너의 가이드 경로를 이루는 상부셀가이드;
상기 상부셀가이드 각각의 상단에 마련되며, 컨테이너 적재 시 상기 컨테이너를 가이드하는 엔트리가이드; 및
상기 카고홀드에 적용되어 상방에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가이드 경로 내에 인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에 거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상방에 적재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상기 선체로 전달하는 컨테이너 운반선.
A hull composed of a side plate forming a double hull structure with a side shell plate and a ship side inner plate, a bottom plate forming a double bottom structure with a bottom shell plate and a ship bottom inner plate, and an upper deck;
A plurality of cargo holds partitio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ransverse bulkheads inside the hull;
Lower cell guid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ransverse bulkhead;
Top bridge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rgo holds in the fore-and-aft direction of the upper deck, extending to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deck, and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Upper cell guides installed on the top bridge an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lower cell guides to form a guide path of a continuous container;
an entry guid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upper cell guides and guiding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and
Including a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applied to the cargo hold so that the container is loaded upward,
The container loading aid,
A container carrier that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path while being guided by the upper cell guide, and at least partially mounted on the hull to transfer the load of the container loaded above the container loading assistance device to th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가이드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경사지게 상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폭과 상부 폭이 동일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가이드하는 제1엔트리가이드부재; 및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직되게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면을 가이드하는 제2엔트리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엔트리가이드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제1엔트리가이드부재에 연결되고, 상단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는 컨테이너 운반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try guide,
a first entry guide memb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extending obliquely upward, having the same lower width and upper width, and guiding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entry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having an inclined upper end, and guiding one side of the container,
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A container carrier,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and whose width expa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ward the to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엔트리가이드부재는,
제1높이를 갖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를 갖는 제2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 각각의 경사면의 폭 및 길이는 동일한 컨테이너 운반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entry guide member,
It consists of a first guide member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guide member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have the same width and length of each inclined surface of the container carr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브리지는,
다수의 수직부재와 다수의 수평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는,
상기 탑브리지의 최상부를 이루는 상단수평부재; 및
상기 상단수평부재와 상기 상갑판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셀가이드는,
상기 상단수평부재보다 높게 설치되는 컨테이너 운반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p bridge,
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an upper horizontal member forming the uppermost part of the top bridg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nd the upper deck,
The upper cell guide,
A container carrier installed higher tha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수평부재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기 상부셀가이드 부분 또는 상기 엔트리가이드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후면에서 상기 탑브리지의 중심 방향으로 마련되는 컨테이너 운반선.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ember supporting the upper cell guide portion or the entry guide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rizontal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A container carrier provi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ell guide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brid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후면에서, 하면이 상기 상단수평부재 상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셀가이드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제1보강부재;
일측면이 상기 제1보강부재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하면이 상기 상단수평부재 상에 고정되며, 상기 탑브리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재;
하면이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제1엔트리가이드부재의 일측 평면에 연결되는 제3보강부재; 및
하면이 상기 제1보강부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제1엔트리가이드부재의 일측 평면에 연결되는 제4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A first reinforcing member at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ell guide,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fixed 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nd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ell guide;
a second reinforcing member having one side thereof connected vertically t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fixed 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nd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bridge;
a third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a plane on one side of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and
A container carrier comprising a fourth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a plane on one side of the first entry guide member.
KR1020230022306A 2021-11-11 2023-02-20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KR1025300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17 2021-11-11
KR20210154917 2021-11-11
KR1020220079060 2022-06-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60 Division 2021-11-11 2022-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35B1 true KR102530035B1 (en) 2023-05-09

Family

ID=8640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306A KR102530035B1 (en) 2021-11-11 2023-02-20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608Y1 (en) * 1992-04-04 1994-10-22 백남화 Stand for flower pot
JP2002166879A (en) * 2000-11-29 2002-06-11 Mitsubishi Heavy Ind Ltd Container loading device with stacking cover
KR20180040887A (en) * 2016-10-13 2018-04-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ontainer Sh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608Y1 (en) * 1992-04-04 1994-10-22 백남화 Stand for flower pot
JP2002166879A (en) * 2000-11-29 2002-06-11 Mitsubishi Heavy Ind Ltd Container loading device with stacking cover
KR20180040887A (en) * 2016-10-13 2018-04-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ontainer Sh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3285A (en) Container ship
EA001289B1 (en) Cargo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 on deck carriage assembly
KR100664915B1 (en) Ship of burden
KR102525152B1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EP0121681B1 (en) Apparatus for securing on-deck containers
KR102530035B1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US3408972A (en) Container ship with main cargo above main deck
EP4316973A1 (en) Auxiliary container loading apparatus, container carrier comprising same, and container unloading method
KR20240002143A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CN117377613A (en)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with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and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JPS5826231Y2 (en) module carrier
CN117120331A (en) Container transport ship
CN116968876A (en) Container loading supporting cover and fixing system
CN117104410A (en) Binding-free container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