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776A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776A
KR20240036776A KR1020220115113A KR20220115113A KR20240036776A KR 20240036776 A KR20240036776 A KR 20240036776A KR 1020220115113 A KR1020220115113 A KR 1020220115113A KR 20220115113 A KR20220115113 A KR 20220115113A KR 20240036776 A KR20240036776 A KR 2024003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ller
pressure
modu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776A/ko
Publication of KR2024003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력 조작식으로 작동하는 압력페달모듈(400,4000)이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팝업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이드되며,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으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FOLDABL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조작식으로 작동하는 압력페달모듈이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팝업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이드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으로 최근 들어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발을 뻗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하기에 운전석 하부공간에 위치한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이 실내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운전자의 휴식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율주행 상황은 운전자가 차량의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상황으로, 만약에 자율주행 중에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하게 되면 차량 제어기는 운전자가 자율주행을 종료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원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을 위한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페달은 운전석 하부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가 무의식적으로 페달을 조작할 우려가 있고(페달의 오조작 상황), 이럴 경우 도로 상황 또는 차간 거리 등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이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도록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 및 오조작 방지 등의 안전을 위해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의 노출을 차단하는 폴더블 페달장치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21-0125733
본 발명은, 압력 조작식으로 작동하는 압력페달모듈이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팝업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이드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로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압력 조작식 페달장치의 구성으로 구성의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컴팩트한 구성을 통한 사이즈 축소를 도모할 수 있으며, 폴더블 메커니즘이 단순화를 통해 폴더블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는, 풋레스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연결하고,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감겨지면서 다른 하나의 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롤러필름; 및 상기 롤러필름에 구비되고, 압력식으로 작동하며, 운전자의 조작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페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에 의한 롤러필름의 이동으로 압력페달모듈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상태가 되고, 압력페달모듈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가능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풋레스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크러쉬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압력페달모듈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해서 크러쉬패드에 가려지면 하이드상태가 되고, 후방 하측으로 이동해서 크러쉬패드로부터 노출되면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상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상부롤러를 회전시키는 상부롤러모터; 및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하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하부롤러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페달모듈의 이동이 완료되어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에 도달하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락킹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락킹시 롤러필름 및 압력페달모듈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 및 고정력에 의해 롤러필름은 이동시와 정지시에 항상 텐션을 유지해서 롤러필름과 결합된 압력페달모듈의 들뜸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은 압력페달모듈의 이동 방향쪽에 위치한 모터 회전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구동은 스위치조작으로 가능하고; 상기 스위치조작에 의한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구동제어를 통해 압력페달모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페달모듈은 롤러필름에 고정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가속페달모듈 및 브레이크페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구성이 동일하고, 롤러필름에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배치된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패드의 하측으로 중첩되는 패드댐퍼; 상기 패드댐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케이스에 고정되며, 페달패드의 조작에 의한 패드댐퍼의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PCB; 및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페달패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페달패드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압력식으로 작동하며, 운전자의 조작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페달모듈;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연결하고,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감겨지면서 다른 하나의 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롤러필름; 및 상기 롤러필름과 결합되어서 함께 이동하는 페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에 의한 페달커버의 이동으로 페달커버가 압력페달모듈을 가려주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상태가 되고, 페달커버가 압력페달모듈로부터 벗어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가능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필름은 2개로 나뉘어져서 상부롤러의 양단과 하부롤러의 양단을 평행하게 연결하고; 상기 압력페달모듈은 2개의 롤러필름사이에서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페달커버는 좌우 양측이 2개의 롤러필름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상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상부롤러를 회전시키는 상부롤러모터; 및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하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하부롤러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커버의 이동이 완료되어 압력페달모듈이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가 되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락킹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락킹시 롤러필름 및 페달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 및 고정력에 의해 롤러필름은 이동시와 정지시에 항상 텐션을 유지해서 롤러필름과 결합된 페달커버의 들뜸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은 페달커버의 이동 방향쪽에 위치한 모터 회전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페달모듈은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가속페달모듈 및 브레이크페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구성이 동일하고, 케이스에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배치된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패드의 하측으로 중첩되는 패드댐퍼; 상기 패드댐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케이스에 고정되며, 페달패드의 조작에 의한 패드댐퍼의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PCB; 및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페달패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페달패드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압력 조작식으로 작동하는 압력페달모듈이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팝업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이드되는 구성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압력페달모듈을 통해 압력 조작식으로 조작하여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구성의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컴팩트한 구성을 통한 사이즈 축소를 도모할 수 있으며, 폴더블 메커니즘이 단순화를 통해 폴더블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조작이 간단하고 구성이 단순한 압력 조작식 페달장치로서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을 통한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와 컴팩트한 구성을 통한 사이즈 축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압력페달모듈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도면으로 하이드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팝업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하이드상태에서 팝업상태 또는 팝업상태에서 하이드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의 도면,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의 분해도,
도 11은 도 10의 압력페달모듈의 분해도,
도 12는 도 10의 결합상태 도면으로 하이드상태의 도면,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팝업상태의 도면,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
도 16은 하이드상태에서 팝업상태 또는 팝업상태에서 하이드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의 도면,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해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풋레스트패널(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 상기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를 연결하고,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의 회전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감겨지면서 다른 하나의 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롤러필름(300); 및 상기 롤러필름(300)에 구비되고, 압력식으로 작동하며, 운전자의 조작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페달모듈(400)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의 회전에 의한 롤러필름(300)의 이동으로 압력페달모듈(400)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400)의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hide)상태가 되고(도 3 내지 도 4 참고), 압력페달모듈(400)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400)의 조작이 가능한 팝업(pop up)상태가 된다.(도 5 내지 도 6 참고)
풋레스트패널(10)은 바닥면(11) 및 바닥면(11)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경사진 전방면(12)을 포함한다.
풋레스트패널(10)의 전방면(12)에는 2개의 슬릿홀(13)이 형성된다.
2개의 슬릿홀(13)은 롤러필름(300)이 삽입되는 구멍으로 전방면(12)에서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좌우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는 풋레스트패널(10)을 기준으로 전방의 PE룸공간에 위치하면서 각각 슬릿홀(13)과 매칭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필름(300)은 인장력(텐션)을 구비한 얇은 소재(박판)이며, 두께나 재질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되고, 상부롤러(100)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상부롤러(100)를 회전시키는 상부롤러모터(500); 및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되고, 하부롤러(200)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하부롤러(200)를 회전시키는 하부롤러모터(600);를 더 포함한다.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는 풋레스트패널(10)을 기준으로 전방의 PE룸공간에 위치하도록 풋레스트패널(10)의 경사진 전방면(12)에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전동화 차량은 풋레스트패널(10)을 기준으로 풋레스트패널(10)의 전방쪽이 PE(Power Electronics) 부품이 위치하는 PE룸공간이 되고, 풋레스트패널(10)의 후방쪽은 운전자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이 된다.
상부롤러모터(500)의 모터축(510)과 하부롤러모터(600)의 모터축(610)은 각각 상부롤러(100) 및 하부롤러(200)와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부롤러모터(500)의 동력으로 상부롤러(100)가 회전하고 하부롤러모터(600)의 동력으로 하부롤러(200)가 회전한다.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작동으로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가 회전하고, 상부롤러(100)와 하부롤러(200)의 회전으로 롤러필름(300) 및 압력페달모듈(400)이 전방 상측 및 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풋레스트패널(1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크러쉬패드(20)가 위치하며,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작동으로 압력페달모듈(400)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해서 크러쉬패드(20)에 가려지면 하이드상태가 되고(도 3 내지 도 4 참고), 압력페달모듈(400)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해서 크러쉬패드(20)로부터 노출되면 팝업상태가 된다.(도 5 내지 도 6 참고)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는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회전모터이다.
압력페달모듈(400)의 이동이 완료되어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에 도달하면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고, 전류가 차단되면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는 스스로 셀프 락킹되며,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락킹시 롤러필름(300)과 압력페달모듈(400)은 위치가 고정되어서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회전력 및 고정력에 의해 롤러필름(300)은 이동시와 정지시에 항상 텐션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롤러필름(300)과 결합된 압력페달모듈(400)의 들뜸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외관미 향상 및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하이드상태에서 팝업상태로의 변경 또는 팝업상태에서 하이드상태로의 변경을 위해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가 회전할 때에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회전력은 압력페달모듈(400)의 이동 방향쪽에 위치한 모터 회전력이 더 크게 된다.
도 8을 참고하면 하이드상태에서 팝업상태로 변경될 때에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는 실선 화살표 R1,R2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필름(300)과 압력페달모듈(400)은 실선 화살표 M1과 같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압력페달모듈(400)은 하부롤러모터(600)를 향해 이동하며, 이때 하부롤러모터(600)의 회전력이 상부롤러모터(500)의 회전력보다 커서 롤러필름(300)과 압력페달모듈(400)은 텐션을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들뜸현상이 방지된다.
반대로, 팝업상태에서 하이드상태로 변경될 때에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는 점선 화살표 R3,R4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필름(300)과 압력페달모듈(400)은 점선 화살표 M2와 같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한다.
압력페달모듈(400)은 상부롤러모터(500)를 향해 이동하며, 이때 상부롤러모터(500)의 회전력이 하부롤러모터(600)의 회전력보다 커서 롤러필름(300)과 압력페달모듈(400)은 텐션을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들뜸현상이 방지된다.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정지시에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는 셀프 락킹에 의한 고정력으로 롤러필름(300)과 압력페달모듈(400)은 텐션을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압력페달모듈(400)은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에서 들뜸현상이 방지된다.
도 9와 같이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구동은 스위치(700)조작으로 가능하며, 스위치(700)조작에 의한 상부롤러모터(500)와 하부롤러모터(600)의 구동제어를 통해 압력페달모듈(40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일예로 도 9는 스위치(700)의 조작으로 압력페달모듈(400)이 하부롤러(200)의 위쪽으로 약간 이격된 상태이다. 이러한 압력페달모듈(400)의 위치는 발이 큰 사람이 선호하는 위치이며, 상대적으로 발이 작은 사람은 압력페달모듈(400)의 위치를 도 9의 위치보다 아래로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압력페달모듈(400)은 롤러필름(300)에 고정된 케이스(410); 케이스(410)에 결합된 가속페달모듈(420) 및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을 포함한다.
운전자의 조작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가속페달모듈(420) 및 제동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롤러필름(300)에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배치된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즉, 케이스(410)에서 우측에 가속페달모듈(420)이 위치하고 좌측에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이 위치하며, 가속페달모듈(420)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서, 오조작 방지 및 페달 조작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케이스(410)는 상하로 중첩된 상부판(411) 및 하부판(412)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가속페달모듈(420)과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은 하부판(412)에 지지되게 설치되면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패드부만 상부판(4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부판(411)과 하부판(412)사이에는 소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이 공간을 활용해서 후술하는 PCB, 복귀스프링, 패드댐퍼 및 페달패드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성이 동일한 가속페달모듈(420)과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은, 상부판(411)을 관통해서 돌출되게 구비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421,431); 상기 페달패드(421,431)의 하측으로 중첩되는 패드댐퍼(422,432); 상기 하부판(412)에 고정되고, 페달패드(421,431)의 조작에 의한 패드댐퍼(422,432)의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423,433)를 구비하며, 압력센서(423,433)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PCB(424,434, 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하부판(412)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사이의 중간부가 페달패드(421,431)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페달패드(421,431)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425,435);을 포함한다.
브레이크페달모듈(430)로 사용되는 페달패드(431)는 가속페달모듈(420)로서 사용되는 페달패드(421)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브레이크페달을 가속페달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어서 오조작 방지 및 페달 조작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페달패드(421,431)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상부판(411)에 형성된 패드구멍(413)을 관통해서 상부판(4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운전자가 페달패드(421,431)를 발로 밟아서 조작할 때에 페달패드(421,431)는 눌려지고, 복귀스프링(425,435)은 압축되고, 동시에 패드댐퍼(422,432)가 이동해서 PCB(424,434)에 구비된 압력센서(423,433)를 가압하게 된다.
패드댐퍼(422,432)는 고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센서(423,433)는 PCB(424,434)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각각 별물로 제작되어서 조립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가속페달모듈(420)의 PCB(424)는 압력센서(423)의 전기신호를 전달받아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브레이크페달모듈(430)의 PCB(434)는 압력센서(433)의 전기신호를 전달받아서 제동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복귀스프링(425,435)은 스프링력으로 페달패드(421,431)를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페달패드(421,431)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페달패드(421,431)로부터 운전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압축이 풀리면서 페달패드(421,431)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복귀스프링(425,435)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면서 1개의 페달패드(421,431)에 2개 이상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속페달모듈(420)과 브레이크페달모듈(430)에 각각 복귀스프링(425,435)이 듀얼(dual)로 구성되며, 2개의 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페일세이프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복귀스프링(425,435)의 스프링력의 튜닝을 통해 답력 튜닝이 가능하고, 특히 페달패드(421,431)의 미세 떨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2개의 복귀스프링(425,435)의 스프링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복귀스프링(425,435)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귀스프링(425,435)의 설치를 위해 패드댐퍼(422,432)와 PCB(424,434)에는 복귀스프링(425,435)이 관통하는 슬롯홀(426,436)이 형성된다.
다음에는,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해서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압력식으로 작동하며, 운전자의 조작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페달모듈(4000); 상기 풋레스트패널(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 상기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를 연결하고,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의 회전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감겨지면서 다른 하나의 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롤러필름(3000); 및 상기 롤러필름(3000)과 결합되어서 함께 이동하는 페달커버(7000)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의 회전에 의한 롤러필름(3000) 및 페달커버(7000)의 이동으로 페달커버(7000)가 압력페달모듈(4000)을 가려주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4000)의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hide)상태가 되고(도 12 내지 도 13 참고), 페달커버(7000)가 압력페달모듈(4000)로부터 벗어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4000)의 조작이 가능한 팝업(pop up)상태가 된다.(도 14 내지 도 15 참고)
롤러필름(3000)은 2개로 나뉘어져서 상부롤러(1000)의 양단과 하부롤러(2000)의 양단을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하고, 압력페달모듈(4000)은 2개의 롤러필름(3000)사이에서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페달커버(7000)는 좌우 양측이 2개의 롤러필름(3000)을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풋레스트패널(10)은 바닥면(11) 및 바닥면(11)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경사진 전방면(12)을 포함한다.
풋레스트패널(10)의 전방면(12)에 압력페달모듈(4000)이 고정되게 구비되되 압력페달모듈(4000)은 전방면(12) 중 하측으로 위치되게 고정된다.
풋레스트패널(10)의 전방면(12)에는 압력페달모듈(4000)의 아래쪽 좌우측에 2개의 슬릿홀(14)이 형성되고, 압력페달모듈(4000)의 위쪽 좌우측에 2개의 슬릿홀(14)이 형성된다.
총 4개의 슬릿홀(14)은 2개의 롤러필름(3000)의 상하단이 삽입되는 구멍이 된다.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는 풋레스트패널(10)을 기준으로 전방의 PE룸공간에 위치하면서 각각 슬릿홀(14)과 매칭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2개의 롤러필름(3000)은 모두 인장력(텐션)을 구비한 얇은 소재(박판)이며, 두께나 재질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되고, 상부롤러(1000)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상부롤러(1000)를 회전시키는 상부롤러모터(5000); 및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되고, 하부롤러(2000)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하부롤러(2000)를 회전시키는 하부롤러모터(6000);를 더 포함한다.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는 풋레스트패널(10)을 기준으로 전방의 PE룸공간에 위치하도록 풋레스트패널(10)의 경사진 전방면(12)에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전동화 차량은 풋레스트패널(10)을 기준으로 풋레스트패널(10)의 전방쪽이 PE(Power Electronics) 부품이 위치하는 PE룸공간이 되고, 풋레스트패널(10)의 후방쪽은 운전자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이 된다.
상부롤러모터(5000)의 모터축(5100)과 하부롤러모터(6000)의 모터축(6100)은 각각 상부롤러(1000) 및 하부롤러(2000)와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부롤러모터(5000)의 동력으로 상부롤러(1000)가 회전하고 하부롤러모터(6000)의 동력으로 하부롤러(2000)가 회전한다.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의 작동으로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가 회전하고, 상부롤러(1000)와 하부롤러(2000)의 회전으로 롤러필름(3000) 및 페달커버(7000)가 전방 상측 및 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의 작동으로 페달커버(7000)가 후방 하측으로 이동해서 압력페달모듈(4000)을 가려주게 되면 하이드상태가 되고(도 12 내지 도 13 참고), 페달커버(7000)가 전방 상측으로 이동해서 압력페달모듈(400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압력페달모듈(4000)이 노출된 팝업상태가 된다.(도 14 내지 도 15 참고)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는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회전모터이다.
롤러필름(3000) 및 페달커버(7000)의 이동이 완료되어 압력페달모듈(4000)이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가 되면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고, 전류가 차단되면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는 스스로 셀프 락킹되며,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의 락킹시 롤러필름(300)과 페달커버(7000)는 위치가 고정되어서 압력페달모듈(4000)의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가 유지된다.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의 회전력 및 고정력에 의해 롤러필름(3000)은 이동시와 정지시에 항상 텐션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롤러필름(300)과 결합된 페달커버(7000)의 들뜸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외관미 향상 및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하이드상태에서 팝업상태로의 변경 또는 팝업상태에서 하이드상태로의 변경을 위해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가 회전할 때에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의 회전력은 페달커버(7000)의 이동 방향쪽에 위치한 모터 회전력이 더 크게 된다.
도 17을 참고하면 하이드상태에서 팝업상태로 변경될 때에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는 점선 화살표 R11,R12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필름(3000)과 페달커버(7000)는 점선 화살표 M11과 같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한다.
페달커버(7000)는 상부롤러모터(5000)를 향해 이동하며, 이때 상부롤러모터(5000)의 회전력이 하부롤러모터(6000)의 회전력보다 커서 롤러필름(3000)과 페달커버(7000)는 텐션을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들뜸현상이 방지된다.
반대로, 팝업상태에서 하이드상태로 변경될 때에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는 실선 화살표 R13,R14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필름(3000)과 페달커버(7000)는 실선 화살표 M12와 같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페달커버(7000)는 하부롤러모터(6000)를 향해 이동하며, 이때 하부롤러모터(6000)의 회전력이 상부롤러모터(5000)의 회전력보다 커서 롤러필름(3000)과 페달커버(7000)는 텐션을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들뜸현상이 방지된다.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의 정지시에 상부롤러모터(5000)와 하부롤러모터(6000)는 셀프 락킹에 의한 고정력으로 롤러필름(3000)과 페달커버(7000)는 텐션을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페달커버(7000)는 들뜸현상이 방지된다.
압력페달모듈(4000)은 풋레스트패널(10)에 고정된 케이스(4100); 케이스(4100)에 결합된 가속페달모듈(4200) 및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을 포함한다.
운전자의 조작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가속페달모듈(4200) 및 제동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4100)에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배치된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즉, 케이스(4100)에서 우측에 가속페달모듈(4200)이 위치하고 좌측에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이 위치하며, 가속페달모듈(4200)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서, 오조작 방지 및 페달 조작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케이스(4100)는 상하로 중첩된 상부판(4110) 및 하부판(4120)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가속페달모듈(4200)과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은 하부판(4120)에 지지되게 설치되면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패드부만 상부판(4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부판(4110)과 하부판(4120)사이에는 소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이 공간을 활용해서 후술하는 PCB, 복귀스프링, 패드댐퍼 및 페달패드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성이 동일한 가속페달모듈(4200)과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은, 상부판(4110)을 관통해서 돌출되게 구비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4210,4310); 상기 페달패드(4210,4310)의 하측으로 중첩되는 패드댐퍼(4220,4320); 상기 하부판(4120)에 고정되고, 페달패드(4210,4310)의 조작에 의한 패드댐퍼(4220,4320)의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4230,4330)를 구비하며, 압력센서(4230,4330)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PCB(4240,4340); 및 상기 하부판(4120)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사이의 중간부가 페달패드(4210,431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페달패드(4210,4310)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4250,4350);을 포함한다.
브레이크페달모듈(4300)로 사용되는 페달패드(4310)는 가속페달모듈(4200)로서 사용되는 페달패드(4210)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브레이크페달을 가속페달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어서 오조작 방지 및 페달 조작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페달패드(4210,4310)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상부판(4110)에 형성된 패드구멍(4130)을 관통해서 상부판(4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운전자가 페달패드(4210,4310)를 발로 밟아서 조작할 때에 페달패드(4210,4310)는 눌려지고, 복귀스프링(4250,4350)은 압축되고, 동시에 패드댐퍼(4220,4320)가 이동해서 PCB(4240,4340)에 구비된 압력센서(4230,4330)를 가압하게 된다.
패드댐퍼(4220,4320)는 고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센서(4230,4330)는 PCB(4240,434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각각 별물로 제작되어서 조립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가속페달모듈(4200)의 PCB(4240)는 압력센서(4230)의 전기신호를 전달받아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의 PCB(4340)는 압력센서(4330)의 전기신호를 전달받아서 제동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복귀스프링(4250,4350)은 스프링력으로 페달패드(4210,4310)를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페달패드(4210,431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페달패드(4210,4310)로부터 운전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압축이 풀리면서 페달패드(4210,431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복귀스프링(4250,4350)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면서 1개의 페달패드(4210,4310)에 2개 이상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속페달모듈(4200)과 브레이크페달모듈(4300)에 각각 복귀스프링(4250,4350)이 듀얼(dual)로 구성되며, 2개의 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페일세이프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복귀스프링(4250,4350)의 스프링력의 튜닝을 통해 답력 튜닝이 가능하고, 특히 페달패드(4210,4310)의 미세 떨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2개의 복귀스프링(4250,4350)의 스프링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복귀스프링(4250,4350)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귀스프링(4250,4350)의 설치를 위해 패드댐퍼(4220,4320)와 PCB(4240,4340)에는 복귀스프링(4250,4350)이 관통하는 슬롯홀(4260,4360)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압력 조작식으로 작동하는 압력페달모듈(400,4000)이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팝업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이드되는 구성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압력페달모듈(400,4000)을 통해 압력 조작식으로 조작하여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구성의 단순화를 통한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컴팩트한 구성을 통한 사이즈 축소를 도모할 수 있으며, 폴더블 메커니즘이 단순화를 통해 폴더블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페달장치는, 조작이 간단하고 구성이 단순한 압력 조작식 페달장치로서 이를 통해 부품수 감축을 통한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와 컴팩트한 구성을 통한 사이즈 축소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풋레스트패널 11 - 바닥면
12 - 전방면 13,14 - 슬릿홀
20 - 크러쉬패드 100 - 상부롤러
200 - 하부롤러 300 - 롤러필름
400 - 압력페달모듈 410 - 케이스
411 - 상부판 412 - 하부판
413 - 패드구멍 420 - 가속페달모듈
421,431 - 페달패드 422,432 - 패드댐퍼
423,433 - 압력센서 424,434 - PCB
425,435 - 복귀스프링 426,436 - 슬롯홀
430 - 브레이크페달모듈 500 - 상부롤러모터
510,610 - 모터축 600 - 하부롤러모터
700 - 스위치 1000 - 상부롤러
2000 - 하부롤러 3000 - 롤러필름
4000 - 압력페달모듈 4100 - 케이스
4110 - 상부판 4120 - 하부판
4130 - 패드구멍 4200 - 가속페달모듈
4210,4310 - 페달패드 4220,4320 - 패드댐퍼
4230,4330 - 압력센서 4240,4340 - PCB
4250,4350 - 복귀스프링 4260,4360 - 슬롯홀
4300 - 브레이크페달모듈 5000 - 상부롤러모터
5100,6100 - 모터축 6000 - 하부롤러모터
7000 - 페달커버

Claims (17)

  1. 풋레스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연결하고,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감겨지면서 다른 하나의 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롤러필름; 및
    상기 롤러필름에 구비되고, 압력식으로 작동하며, 운전자의 조작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페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에 의한 롤러필름의 이동으로 압력페달모듈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상태가 되고, 압력페달모듈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가능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크러쉬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압력페달모듈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해서 크러쉬패드에 가려지면 하이드상태가 되고, 후방 하측으로 이동해서 크러쉬패드로부터 노출되면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상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상부롤러를 회전시키는 상부롤러모터; 및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하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하부롤러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페달모듈의 이동이 완료되어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에 도달하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락킹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락킹시 롤러필름 및 압력페달모듈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 및 고정력에 의해 롤러필름은 이동시와 정지시에 항상 텐션을 유지해서 롤러필름과 결합된 압력페달모듈의 들뜸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은 압력페달모듈의 이동 방향쪽에 위치한 모터 회전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구동은 스위치조작으로 가능하고;
    상기 스위치조작에 의한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구동제어를 통해 압력페달모듈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페달모듈은 롤러필름에 고정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가속페달모듈 및 브레이크페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구성이 동일하고, 롤러필름에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배치된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패드의 하측으로 중첩되는 패드댐퍼;
    상기 패드댐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케이스에 고정되며, 페달패드의 조작에 의한 패드댐퍼의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PCB; 및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페달패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페달패드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0.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압력식으로 작동하며, 운전자의 조작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페달모듈;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연결하고,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감겨지면서 다른 하나의 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롤러필름; 및
    상기 롤러필름과 결합되어서 함께 이동하는 페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회전에 의한 페달커버의 이동으로 페달커버가 압력페달모듈을 가려주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상태가 되고, 페달커버가 압력페달모듈로부터 벗어나면 운전자에 의한 압력페달모듈의 조작이 가능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롤러필름은 2개로 나뉘어져서 상부롤러의 양단과 하부롤러의 양단을 평행하게 연결하고;
    상기 압력페달모듈은 2개의 롤러필름사이에서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페달커버는 좌우 양측이 2개의 롤러필름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상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상부롤러를 회전시키는 상부롤러모터; 및
    상기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되고, 하부롤러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시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는 하부롤러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페달커버의 이동이 완료되어 압력페달모듈이 하이드상태 또는 팝업상태가 되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로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어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락킹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락킹시 롤러필름 및 페달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 및 고정력에 의해 롤러필름은 이동시와 정지시에 항상 텐션을 유지해서 롤러필름과 결합된 페달커버의 들뜸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롤러모터와 하부롤러모터의 회전력은 페달커버의 이동 방향쪽에 위치한 모터 회전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력페달모듈은 풋레스트패널에 고정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가속페달모듈 및 브레이크페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구성이 동일하고, 케이스에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배치된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모듈과 브레이크페달모듈은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패드의 하측으로 중첩되는 패드댐퍼;
    상기 패드댐퍼의 하측에 위치하고, 케이스에 고정되며, 페달패드의 조작에 의한 패드댐퍼의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페달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PCB; 및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페달패드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페달패드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1020220115113A 2022-09-13 2022-09-13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40036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13A KR20240036776A (ko) 2022-09-13 2022-09-13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13A KR20240036776A (ko) 2022-09-13 2022-09-13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776A true KR20240036776A (ko) 2024-03-21

Family

ID=9047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113A KR20240036776A (ko) 2022-09-13 2022-09-13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7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33A (ko) 2020-04-09 2021-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33A (ko) 2020-04-09 2021-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29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25733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10149966A (ko)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KR2022002105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US11505165B2 (en) Device for actuating the brake and accelerator in a vehicle
KR20210131007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20064791A (ko)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JP2004537452A (ja) 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操作ホイール及びハンドルシステム
US9126621B1 (en) Lever for drive-by-wire system
JP3775382B2 (ja) マニュアルモードを具備した自動変速機の変速レバー装置
US9145141B1 (en) Structure of lever for drive-by-wire system
KR20210116743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116742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40036776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1011245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10059858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펜던트타입 페달장치
KR20230035843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20210039612A1 (en)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KR2021012015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11630478B1 (en) Foldabl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128193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40011299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230134019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11656647B1 (en) Foldabl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KR20210059857A (ko)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오르간타입 페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