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413A -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413A
KR20240036413A KR1020220115237A KR20220115237A KR20240036413A KR 20240036413 A KR20240036413 A KR 20240036413A KR 1020220115237 A KR1020220115237 A KR 1020220115237A KR 20220115237 A KR20220115237 A KR 20220115237A KR 20240036413 A KR20240036413 A KR 2024003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roller
user interface
terminal device
interfa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원
염정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413A/ko
Priority to PCT/KR2023/010389 priority patent/WO2024058397A1/ko
Publication of KR2024003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 장치는 가전기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가전기기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SERVER APPARATUS, MANAGING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OF SERVER APPARATUS}
본 발명은 홈 네트워킹으로 연결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댁내에서 컨트롤러를 통해 다양한 가전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별도의 자판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컨트롤러에서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가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를 선택하는 것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이미지로 변환하여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컨트롤러에서 수신된 이미지로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가전기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가전기기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를 변경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텍스트 정보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트맵 이미지를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의 변경 내용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화면에 입력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변경 대상인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와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컨트롤러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변경된 텍스트 정보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비트맵 이미지를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의 제어 방법은 이미지 전송을 통해 문자 자판을 구비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다국어 입력을 가능하게 하며, 전송된 이미지를 다시 활용하여 제한된 표현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 컨트롤러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통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러가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여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객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서 복수의 가전기기 명칭을 변경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개시된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 컨트롤러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통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1)는 통신부(20)를 통해 컨트롤러(2)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2)는 서버 장치(1)를 매개체로 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컨트롤러(2)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와 무선 통신을 수립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Wifi, LTE, 3GPP, LAN, Ethernet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규격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수립된 통식 방식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송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컨트롤러(2)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코로케이션 서버(co-location sever), 서버 호스팅(server hosting),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12),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12)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의 제조 시에 서버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휴대폰(Cellphone, PCS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넷북, 태블릿,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문자 자판이 구비되지 않은 유선 리모컨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 정보를 변경하는 텍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텍스트에는 다국어 문자를 포함하고, 숫자 및 특수문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1)는 컨트롤러(2) 및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하여 문자 자판을 구비하지 않은 컨트롤러(2)에서도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러가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컨트롤러(2)는 복수의 가전기기를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전기기를 미리 설정된 제품코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는 서로 다른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스탠드형 에어컨(4-1)은 도 2(a)와 같이 "200000"으로 표시될 수 있고, 벽걸이형 에어컨(4-2)은 도 2(b)와 같이 "200001"으로 표시될 수 있고, 천장형 에어컨(4-3)은 도 2(c)와 같이 "20000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스탠드형 에어컨(4-1), 벽걸이형 에어컨(4-2) 및 천장형 에어컨(4-3)은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컨트롤러(2)가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에어컨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가 제어하는 가전기기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각 에어컨(4-1, 4-2, 4-3)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는 에어컨(4-1, 4-2, 4-3)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어 신호, 설정 온도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 풍향을 변경하는 제어 신호, 예약을 설정하는 제어 신호 및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각 에어컨(4-1, 4-2, 4-3)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영역에 설치된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2)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에어컨(4-1, 4-2, 4-3)의 제품 코드를 선택하기 위해 컨트롤러(2)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2)의 조작부는 전원 버튼, 동작 버튼, 기능 선택 다이얼 및 세부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2)의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복수의 에어컨(4-1, 4-2, 4-3) 중 한대를 선택할 수 있으나, 문자 자판을 구비하지 않는 컨트롤러(2)는 설치된 에어컨 리스트가 제품 코드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에어컨(4-1, 4-2, 4-3)의 제품 코드를 보고 설치 장소를 직감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1)는 문자 자판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컨트롤러(2)의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컨트롤러(2) 자체에서도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1)는 제어부(10) 및 통신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1)는 컨트롤러(2) 및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하는 통신부(20), 상기 통신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는 컨트롤러(2)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통신부(2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컨트롤러(2)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0)는 무선 통신부(21)(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부(22)(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0)는 컨트롤러(2) 및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을 수립하여 정보 전송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20)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댁 내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통신을 수립한 것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영상 출력 장치의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와, 영상 출력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인스트럭션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와 메모리(12)는 별도의 반도체 소자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반도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복수의 프로세서(11)들 또는 복수의 메모리(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연산 회로, 기억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하나의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서버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입력값에 따른 설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 및 사용자 단말 장치(3) 자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하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메모리(12)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1)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는 컨트롤러(2) 및 사용자 단말 장치(3)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고, 프로세서(11)는 컨트롤러(2)로부터 수신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3)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는 메모리(12)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는 변환된 이미지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는 생성된 객체를 가전기기의 컨트롤러(2)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가 문자 자판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3)를 통해 가전기기를 네이밍하고, 이를 컨트롤러(2)에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는 사용자 단말 장치(3)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a)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는 서버 장치(1)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3)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컨트롤러(2)는 직접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3)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 정보, 가전기기의 등록 순서 및 가전기기의 명칭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의 디스플레이는 "설치된 에어컨 리스트"라는 항목 아래 각 에어컨의 미리 설정된 제품코드를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컨트롤러(2)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서버 장치(1)로부터 간접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컨트롤러(2)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b)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3)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은 가전기기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컨트롤러(2) 또는 서버 장치(1)로부터 수신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트롤러(2)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b)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a)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b)를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서 조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a)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b)를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편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3)의 자판을 이용하여 다국어 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여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의 자판을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b)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명칭을 변경하고자 하는 에어컨을 선택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3) 하단부의 자판을 타이핑하여 선택된 에어컨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3)의 자판은 숫자 뿐 아니라 한글, 영문 등의 다국어와 특수문자, 공백 등을 포함하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3)는 가전기기 명칭을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와 같이 첫 번째 에어컨의 명칭을 "101 호실"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에어컨이 101 호실, 102 호실, 103 호실 및 104 호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방에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2)가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에어컨의 명칭으로 전체 호실의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입력을 서버 장치(1)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수신한 텍스트 입력을 적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a)를 변경하고,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b)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여 컨트롤러(2)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2)는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a)를 수신하고,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a)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변경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a)가 컨트롤러(2)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200000" 이 아닌 "101 호실"로 에어컨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3)가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 이미지 자체를 컨트롤러(2)에 송신할 경우, 추가적인 변경이 필요하면 다시 사용자 단말 장치(3)와의 통신이 필요하므로 도 6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객체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서 복수의 가전기기 명칭을 변경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1)는 변환된 유저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a,b)로 분할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1)는 분할된 객체(a,b)를 컨트롤러(2)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분할된 객체(a,b)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는 도 6에서와 같이 분할된 이미지인 숫자 객체(a)와 문자 객체(b)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2)는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장치(1)는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1)는 변경된 텍스트 정보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고, 비트맵 이미지를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서버 장치(1)는 "101 호실"을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101 호실"을 음절 단위로 나누어 "1", "0", "1", "호", "실"로 분할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장치(1)는 중복을 제외하고 "1", "0", "호", "실"을 객체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장치(1)는 "202호 철수방"을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202호 철수방"을 음절 단위로 나누어 "2", "0", "2", "호", "철", "수", "방"로 분할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장치(1)는 중복을 제외하고 "2", "0", "호", "철", "수", "방"을 객체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1)는 생성된 객체를 컨트롤러(2)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객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는 수신된 복수의 객체를 하나씩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부터 9까지의 숫자 객체(a)와 "호실"의 문자 객체(b)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표시된 객체를 하나씩 선택하여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숫자 객체(a) 중 "3", "0", "3"을 차례로 선택하고 "호실"을 선택하면, 선택된 가전기기의 명칭을 "303 호실"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장치(1)가 생성한 객체가 "에", "어", "컨, "1"이면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에", "어", "컨"을 순서대로 선택하고 이어지는 숫자만 변경하여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에", "어", "컨"을 순서대로 선택하고, 이후 숫자 "2"를 선택하면 "에어컨 1"과 다른 에어컨의 명칭을 "에어컨 2"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호실"이나 "에어컨"과 같이 가전기기 명칭에 자주 쓰이는 단어를 사용자 단말 장치(3)를 통해 1회만 수신하면, 이를 객체로 변환하여 컨트롤러(2)에서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여 가전기기의 명칭이 변경된 결과이다.
컨트롤러(2)는 사용자가 명칭을 변경하고자 하는 에어컨을 선택하고, 도6에서의 객체를 선택하면 에어컨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된 에어컨의 명칭을 유저 인터페이스(a)로 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a) 중 "101호실"은 도 5에서와 같이 서버 장치(1)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입력이고, "103 호실", "202 호실" 및 "305 호실"은 사용자가 컨트롤러(2)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여 변경한 에어컨의 명칭이다.
즉, 서버 장치(1)는 사용자 단말 장치(3)로부터 "101 호실"의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여 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분할하여 "1", "0", "호" 및 "실"을 객체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1)는 생성된 객체를 컨트롤러(2)로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객체를 수신하고, 이를 도 6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2)의 조작 버튼으로 컨트롤러(2)에 표시된 에어컨 리스트 중 명칭이 변경되지 않은 에어컨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객체 중 "1", "0" "3", "호" 및 "실"을 차례로 선택하여 도 5의 "200001"에 대응되는 에어컨 명칭을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객체 중 "2", "0", "2", "호" 및 "실"을 차례로 선택하여 도 5의 "200002"에 대응되는 에어컨 명칭을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객체 중 "3", "0", "5", "호" 및 "실"을 차례로 선택하여 도 5의 "200003"에 대응되는 에어컨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1)는 컨트롤러(2) 및 사용자 단말 장치(3)와 통신을 수립하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는 서버에 가전기기의 명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800). 이때, 컨트롤러(2)가 전송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는 가전기기의 명칭이 코드명이나 일련번호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에어컨을 구별하기 어려운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1)는 컨트롤러(2)로부터 수신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810). 즉, 서버 장치(1)는 자판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 장치(3)를 통해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2)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컨트롤러(2)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의 변경 내용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820). 이때 입력 화면은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 박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830).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830의 예), 사용자 입력을 서버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840).
서버 장치(1)는 사용자 단말 장치(3)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850). 이때, 서버 장치(1)가 변경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는 가전기기의 명칭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1)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860). 이후 서버 장치(1)는 변환된 이미지를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870).
서버 장치(1)는 변환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880), 변환된 이미지에는 음절 단위로 분할된 이미지인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컨트롤러(2)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선택하여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문자 자판을 구비하지 않은 컨트롤러(2)에서도 가전기기의 명칭을 사용자가 원하는 명칭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가전기기의 관리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서버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900). 여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는 컨트롤러(2)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와 동일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의 변경 내용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910). 즉,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을 받기 위해 커서가 포함된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920).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입력이 수신되면(920의 예), 입력 화면에 입력된 변경 내용을 변경 대상인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와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930).
예를 들어, 서버 장치(1)로부터 수신한 가전기기의 명칭이 "200000"이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가전기기의 명칭이 "101 호실" 이면, "200000"의 텍스트 표시가 "101 호실"에 가려지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200000"의 텍스트 표시가 "101 호실"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3)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서버 장치(1)로 송신할 수 있다(940).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도 8에서와 같이 서버 장치(1)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고, 객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별도의 프로세서(11)와 메모리(12)를 구비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3)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고,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3)와 컨트롤러(2)의 직접 통신으로 컨트롤러(2)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는 서버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1000). 여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는 서버 장치(1)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3)로 송신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2)는 서버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가 변환된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1010). 컨트롤러(2)가 수신하는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가 이미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이미지를 분할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수신한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1020).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객체는 사용자의 입력을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중복을 제거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1030). 즉, 사용자는 컨트롤러(2)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조작부 버튼을 조작하여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2)는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104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변경 대상인 가전기기의 명칭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객체를 순서대로 선택하여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컨트롤러(2)가 자판을 구비되지 않아서 다국어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3)로부터 다국어 또는 특수문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컨트롤러(2)에서 직접 가전기기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가전기기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12),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12)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개시된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서버 장치
2 : 컨트롤러
3 : 사용자 단말 장치
10 : 제어부
11 : 프로세서
12 : 메모리
20 : 통신부
21 : 무선 통신부
22 : 유선 통신부

Claims (15)

  1. 가전기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가전기기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를 변경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텍스트 정보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는 서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트맵 이미지를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장치.
  6.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의 변경 내용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입력 화면에 입력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변경 대상인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선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변경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11. 컨트롤러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 중 텍스트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텍스트 정보를 비트맵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이미지를 음절 단위로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15237A 2022-09-13 2022-09-13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36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237A KR20240036413A (ko) 2022-09-13 2022-09-13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3/010389 WO2024058397A1 (ko) 2022-09-13 2023-07-19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237A KR20240036413A (ko) 2022-09-13 2022-09-13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413A true KR20240036413A (ko) 2024-03-20

Family

ID=9027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237A KR20240036413A (ko) 2022-09-13 2022-09-13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6413A (ko)
WO (1) WO20240583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622A (ko) * 2011-10-12 2013-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이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단말 장치
JP5667257B1 (ja) * 2013-08-07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宅内機器、ホ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26223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코콤텍 스마트 조명 장치
KR102535152B1 (ko) * 2018-04-17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9799719B (zh) * 2019-01-31 2021-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的控制方法、服务器、家电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397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7899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2020028785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hereof
US20130325460A1 (en) Method of providing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308237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the same
KR201400770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9167146B2 (en) Method of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he method, and digital image-capturing apparatus
US1132096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231901B2 (en) Display device performing screen mirror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48701A (ko) 사용자 특화 음성 명령어를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21844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외부기기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조작 화면 제공 방법
KR2017001187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36413A (ko)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US202001868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KR10192269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외부기기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조작 화면 제공 방법
US1092480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702728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400046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US10986393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337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외부기기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조작 화면 제공 방법
KR101875485B1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82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KR202400021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3900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