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360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360A
KR20240036360A KR1020220115103A KR20220115103A KR20240036360A KR 20240036360 A KR20240036360 A KR 20240036360A KR 1020220115103 A KR1020220115103 A KR 1020220115103A KR 20220115103 A KR20220115103 A KR 20220115103A KR 20240036360 A KR20240036360 A KR 2024003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omponent
magnitude
signal
error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민
노희상
유경우
임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360A/ko
Priority to CN202310922444.XA priority patent/CN117713844A/zh
Priority to US18/449,130 priority patent/US20240088926A1/en
Publication of KR2024003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4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using feedback acting on predistor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2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전치 왜곡(Pre-Distortion)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하는 전치 왜곡 회로,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을 측정하는 측정 회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 회로 및 에러 신호 또는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를 통해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선형 특성을 가지고, 송신 신호를 선형적으로 증폭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높이는 경우, 전력 증폭기는 비선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전력 증폭기가 비선형적으로 동작하면, 송신 신호의 EVM(Error Vector Magnitude) 값이 증가하게 되어, 오류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한 값 중 하나인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값이 증가하게 되어,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인접한 대역의 신호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의 전단에 전치 왜곡(Pre-Distortion) 회로를 연결하는 방식이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전치 왜곡(Pre-Distortion)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하는 전치 왜곡 회로, 상기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회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 회로 및 상기 에러 신호 또는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 및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전치 왜곡(Pre-Distortion)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RF 송신기 및 상기 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에러 신호 또는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인접 채널들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들을 대칭으로 제어하면서, 인접 채널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타겟 채널, 제1 인접 채널 및 제2 인접 채널의 전력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제1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제2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타겟 채널, 제1 인접 채널 및 제2 인접 채널의 전력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의한 타겟 채널, 제1 인접 채널 및 제2 인접 채널에서의 전력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10)를 확인할 수 있다. 비선형성을 가지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타겟 채널에서 증폭되고 주파수 축 상에 인접한 제1 인접 채널 및 제2 인접 채널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한 값 중 하나인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값을 통해 간섭량이 특정 수치를 넘지 않도록 규제한다. ACLR 값은 타겟 채널의 전력과 일정 오프셋 주파수만큼 떨어진 인접 채널의 누설 전력 간의 차이를 계산한 값이다. 5G NR(5th Generation New Radio)의 경우, 3GPP 표준 38.101에서 단말의 RF(Radio Frequency) spectrum에 대한 ACLR 값에 대한 규격을 정의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Frequency Range 1(FR1)의 경우 좌우 인접 채널에 대한 ACLR 값이 -31dB(PC2)/-30dB(PC3)보다 작아야 함을 규격으로 정의한다.
타겟 채널과 주파수 축 상에 인접한 양쪽 사이드 밴드인 제1 인접 채널 및 제2 인접 채널 각각에서 타겟 채널에 대한 ALCR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인접 채널에 대하여 얻은 ACLR 값인 제1 ACLR 값과 제2 인접 채널에서 얻은 ACLR 값인 제2 ACLR 값이 모두 규격을 만족해야 하고, ACLR 값 관점에서의 채널의 품질은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중에서 좋지 않은 ACLR 값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에는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이 비대칭인 제1 스펙트럼(11)과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이 대칭인 제2 스펙트럼(12)이 도시되어 있다. ACLR 값 관점에서의 채널의 품질은 제2 스펙트럼(12)이 제1 스펙트럼(11)보다 더 좋은 품질에 해당한다. 이때 제1 스펙트럼(11)의 채널 품질을 제2 스펙트럼(12)의 채널과 같은 품질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기의 전압을 증가시켜야 하고, 이는 소모 전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전압 증가 또는 소모 전류 증가 없이 ACLR 값 관점에서 채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ACLR 값을 대칭으로 제어하면서, 인접 채널의 ACLR 값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RF 송신기(120) 및 안테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안테나(13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가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5G(5th generation wireless)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dvanced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또는 다른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가 접속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는 임의의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의 일 예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치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 및/또는 타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Node B, eNB(evolved-Node B), gNB(Next generation Node 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AP(Access P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기지국 또는 셀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 RRH, RU, 스몰 셀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의 일 예로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기지국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는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도 1에 개시된 구성들 이외에 다양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프로세서(110)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Multi-Core)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거나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치 왜곡(Pre-Distortion)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RF 송신기(120)의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예를 들어, 제1 ACLR 값)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예를 들어, 제2 ACLR 값)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의 보다 상세한 구조 및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RF 송신기(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RF 송신기(120)는 프로세서(110)로부터 전치 왜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송신기(120)는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F 송신기(120)는 내부의 전력 증폭기를 통해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증폭기는 비선형성을 가지므로, 프로세서(110)를 통해 전치 왜곡된 전치 왜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이 보상될 수 있다. RF 송신기(120)의 보다 상세한 구조 및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안테나(130)는 RF 송신기(120)에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130)는 RF 송신기(12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130)는 수신한 출력 신호를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30)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는 안테나(130)를 통해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일부 구성 요소들의 도시가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는 위상 배열(phased array),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등을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전치 왜곡 회로(111), 측정 회로(112), 필터링 회로(113) 및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의 RF 송신기(120)는 전력 증폭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전력 증폭기(121)의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해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할 수 있다. 전치 왜곡은 전력 증폭기(200)의 비선형성과 반대되는 특성으로 입력 신호(IS)를 미리 왜곡하는 기법을 지칭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전치 왜곡 신호(DS)를 전력 증폭기(121)에 제공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할 수 있다. 전치 왜곡 계수는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치 왜곡 계수는 전치 왜곡에 이용되는 복수의 계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전치 왜곡 회로(111)는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전치 왜곡 회로(111)는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하기 위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치 왜곡 회로(111)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 및/또는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됨으로써 전치 왜곡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치 왜곡 회로(111)는 펌웨어와 같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증폭기(121)는 전치 왜곡 신호(DS)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OS)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200)는 출력 특성에 대해 선형적인 특성이 요구되나, 전력 증폭기(200) 자체의 특성 또는 주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비선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121)는 전치 왜곡 회로(111)에 의해 전치 왜곡된 신호(DS)를 수신하여 증폭함으로써, 전력 증폭기(200)의 비선형성을 보상할 수 있다. 출력 신호(OS)는 측정 회로(112)로 전달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OS)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전력 증폭기(121)의 출력 신호(OS)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는 출력 신호(OS)가 출력되는 채널인 타겟 채널과 인접한 제1 인접 채널에 대하여 측정된 주파수 성분의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는 제1 인접 채널과 반대 방향에서 타겟 채널과 인접한 제2 인접 채널에 대하여 측정된 주파수 성분의 크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인접 채널은 타겟 채널보다 낮은 주파수 밴드를 가지는 채널이고, 제2 인접 채널은 타겟 채널보다 높은 주파수 밴드를 가지는 채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접 채널은 타겟 채널보다 높은 주파수 밴드를 가지는 채널이고, 제2 인접 채널은 타겟 채널보다 낮은 주파수 밴드를 가지는 채널일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필터링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은 필터링 회로(113)를 통해 에러 신호를 필터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은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에 의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어느 정도 감소되고 나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보다 세밀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필터링 회로(113)에 의한 에러 신호의 필터링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링 조건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수렴 여부 및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의 기준 업데이트 횟수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수렴 여부인 경우,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수렴된 것으로 판단되면,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이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의 기준 업데이트 횟수 초과 여부인 경우, 측정 회로(112)는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업데이트 횟수(예를 들어, 20회) 이상이면,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수렴 여부 또는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의 기준 업데이트 횟수 초과 여부인 경우,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수렴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가 기준 업데이트 횟수 이상이면,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링 조건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수렴 여부 및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의 기준 업데이트 횟수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필터링 회로에서 이용될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차이 값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비대칭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일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에러 필터를 통해 더 높은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킨 후, 통과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심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타겟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150MHz 내지 -50MHz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즉,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큰 경우, 측정 회로(112)는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 회로(112)는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타겟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50MHz 내지 +150MHz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즉,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큰 경우, 측정 회로(112)는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서,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면,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이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인 경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대칭이므로,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더라도, 추가적인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개선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출력 신호(OS)의 EVM(Error Vector Magnitude) 값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고,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미만이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출력 신호(OS)의 EVM 값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기준 EVM 값은 EVM 값이 통신 표준에 따른 규격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일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면서,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미만인 경우, 에러 필터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킨 후, 통과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심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미만이면,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및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기준 EVM 값은 EVM 값이 증가하더라도, 통신 표준에 따른 규격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으로, 제2 기준 EVM 값은 제1 기준 EVM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미만이면, 프로세서(110)는 출력 신호(OS)의 EVM 값을 증가시키면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은 실시예에서, 제3 대역 통과 필터는 타겟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150MHz 내지 -50MHz인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50MHz 내지 +150MHz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즉,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미만인 경우,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OS)의 EVM 값을 증가시키면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이상이고,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이상이면, 출력 신호(OS)의 EVM 값을 증가시킬 수 없다. 이때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큰 경우이므로, 측정 회로(112)는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이상이고,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큰 경우이므로, 측정 회로(112)는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서,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거나,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상기 제1 기준 EVM 값 이상이면,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에 의한 상기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이는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라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대칭이고, 출력 신호(OS)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이상이라서 출력 신호(OS)의 EVM 값을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더라도, 추가적인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개선이 어렵기 때문이다.
측정 회로(112)를 통한 에러 필터의 설정 결과는 필터링 회로(113)로 전달될 수 있다.
필터링 회로(113)는 측정 회로(112)에 의해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에러 신호는 전치 왜곡 회로(111)에 의한 입력 신호(IS)의 전치 왜곡에 의해 전력 증폭기(121)의 비선형성이 적절하게 보상되었는지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신호로, 입력 신호(IS) 및 출력 신호(OS)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신호는 출력 신호(OS)에 전력 증폭기(121)에 의한 증폭 계수의 역수를 곱한 결과 및 입력 신호(IS)의 차이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에러 신호를 구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ES는 에러 신호, IS는 입력 신호, OS는 출력 신호, G는 전력 증폭기(121)의 증폭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대역 통과 필터가 에러 필터로 설정된 경우, 필터링 회로(113)는 에러 신호 중에서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켜서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대역 통과 필터가 에러 필터로 설정된 경우, 필터링 회로(113)는 에러 신호 중에서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켜서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대역 통과 필터가 에러 필터로 설정된 경우, 필터링 회로(113)는 에러 신호 중에서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및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켜서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필터링 회로(113)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제2 대역 통과 필터 또는 제3 대역 통과 필터가 통과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아닌 임의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필터링 회로(113)가 통과시킨 임의의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필터링 회로(113)는 측정 회로(112)를 통해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측정 회로(112)에 의해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에 의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충분히 감소되지 않은 것이므로, 에러 신호 전체를 통해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감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필터링 회로(113)는 에러 신호 또는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로 전달할 수 있다.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에러 신호 또는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반대로,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에러 신호가 최소화되도록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를 전치 왜곡 회로(1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는 측정된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 및 증폭하여 출력 신호(OS)를 생성함으로써, 인접 채널들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들을 대칭으로 제어하면서, 인접 채널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전력 증폭기(121)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전치 왜곡 회로(111), 측정 회로(112), 필터링 회로(113),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 및 연산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의 RF 송신기(120)는 전력 증폭기(121),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122), LO(Local Oscillator; 123), 제1 주파수 혼합기(124), 스케일링 회로(125), 제2 주파수 혼합기(126) 및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1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중에서 전치 왜곡 회로(111), 측정 회로(112), 필터링 회로(113),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 및 전력 증폭기(121)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들 및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IS) 및 전치 왜곡 신호(DS)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전치 왜곡 신호(DS)를 DAC(122)로 전달할 수 있다.
DAC(122)는 전치 왜곡 회로(111)로부터 전치 왜곡 신호(DS)를 전달 받을 수 있다. DAC(122)는 디지털 형태인 전치 왜곡 신호(DS)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DAC(122)는 아날로그 형태인 전치 왜곡 신호(DS)를 제1 주파수 혼합기(124)로 전달할 수 있다.
LO(123)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또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LO(123)는 생성한 신호를 제1 주파수 혼합기(124)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혼합기(124)는 아날로그 형태인 전치 왜곡 신호(DS) 및 LO(123)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주파수 혼합기(124)는 수신한 신호들을 곱하여, 아날로그 형태인 전치 왜곡 신호(DS)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혼합기(124)는 변조한 아날로그 형태의 전치 왜곡 신호(DS)를 전력 증폭기(121)로 전달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21)는 수신한 전치 왜곡 신호(DS)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OS)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21)는 출력 신호(OS)를 안테나(130) 및 스케일링 회로(125)로 전달할 수 있다.
스케일링 회로(125)는 출력 신호(OS)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링 회로(125)는 전력 증폭기의 증폭 계수의 역수만큼 출력 신호(OS)를 스케일링하여, 입력 신호(IS)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스케일링 회로(125)에 의해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는 에러 신호의 연산에 이용될 수 있다. 스케일링 회로(125)는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를 제2 주파수 혼합기(126)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혼합기(126)는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 및 LO(123)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파수 혼합기(126)는 수신한 신호들을 곱하여,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혼합기(126)는 변조한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를 측정 회로(112) 및 연산기(115)로 전달할 수 있다.
연산기(115)는 입력 신호(IS) 및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를 수신할 수 있다. 연산기(115)는 입력 신호(IS)에서 스케일링된 출력 신호(OS)를 감산하여 에러 신호(ES)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케일링 회로(125) 및 연산기(115)를 통해 수학식 1과 같은 연산이 수행됨으로써, 에러 신호(ES)가 생성될 수 있다. 연산기(115)에 의해 생성된 에러 신호(ES)는 필터링 회로(113)로 전달될 수 있다.
측정 회로(112), 필터링 회로(113) 및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의 동작은 도 3을 통해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성분의 크기로 ACLR 값을 측정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에러 신호(ES)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단계 S510이 초기에 수행되거나, 후술되는 단계 S530에서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수행되는 경우, 에러 신호 전체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더라도 ACLR 값의 감소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S52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단계 S510에서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된 입력 신호(IS)가 증폭되어 생성된 출력 신호(OS)에 의한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측정 회로(112)는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이 수렴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가 기준 업데이트 횟수 이상이면,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에러 신호(ES)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가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생성된 출력 신호(OS)에 기초하여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이 다시 측정될 수 있다.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40에서, 측정 회로(112)가 에러 필터를 설정 완료한 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측정 회로(112)는 에러 필터를 설정하거나,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면, 측정 회로(112)는 에러 필터를 설정하지 않고,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면, 측정 회로(112)는 에러 필터를 설정 완료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 제2 ACLR 값 및 출력 신호(OS)의 EVM 값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거나,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이상이면, 측정 회로(112)는 에러 필터를 설정하지 않고,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고,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미만이면, 측정 회로(112)는 에러 필터를 설정 완료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측정 회로(112)가 에러 필터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 회로(112)가 에러 필터를 설정 완료한 경우, 단계 S550에서, 필터링 회로(113)는 에러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 회로(113)는 단계 S540에서 측정 회로(112)에 의해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는 필터링된 에러 신호(ES)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단계 S530에서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수행되는 경우, 필터링된 에러 신호가 아닌 에러 신호 전체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면, ACLR 값의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무의미한 정도이기 때문이다.
단계 S570에서, 전치 왜곡 회로(111) 및 전력 증폭기(121)는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 및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치 왜곡 회로(111)는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하고, 전력 증폭기(121)는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다시 단계 S5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측정된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IS)를 전치 왜곡 및 증폭하여 출력 신호(OS)를 생성함으로써, 인접 채널들의 ACLR 값들을 대칭으로 제어하면서, 인접 채널의 ACLR 값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전력 증폭기(121)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2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이 제2 ACLR 값보다 큰 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ACLR 값이 제2 ACLR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3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ACLR 값이 제2 ACLR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4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20에서,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114)에 의한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1 기준 EVM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30에서, 측정 회로(112)는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4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5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ACLR 값이 제2 ACLR 값보다 큰 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ACLR 값이 제2 ACLR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6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ACLR 값이 제2 ACLR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70에서, 측정 회로(112)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제1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제2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횟수(가로축)에 따른 제1 ACLR 값(세로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횟수(가로축)에 따른 제2 ACLR 값(세로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횟수가 20회를 초과하고 나서 에러 필터가 설정된 실시예이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에서, 점선은 에러 필터가 설정되지 않고,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한 경우의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중 쇄선은 에러 필터가 제1 대역 통과 필터인 경우의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실선은 에러 필터가 제2 대역 통과 필터인 경우의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에러 필터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더라도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의 변화가 무의미한 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러 필터가 제1 대역 통과 필터인 경우, 제1 ACLR 값이 감소하고, 제2 ACLR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러 필터가 제2 대역 통과 필터인 경우, 제2 ACLR 값이 감소하고, 제1 ACLR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와 같은 실시예에서,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횟수가 20회일 때, 제1 ACLR 값은 약 -44dBc이고, 제2 ACLR 값은 약 -45.25dBc이므로, 본 개시의 무선 통신 장치(100)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에러 필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ACLR 값이 감소하고, 제2 ACLR 값이 증가하게 되어, 제1 ACLR 값 및 제2 ACLR 값 중에서 좋지 않은 ACLR 값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1100),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1300), 메모리(1500), 메인 프로세서(1700) 및 메인 메모리(1900)를 포함할 수 있다. ASIC(1100), ASIP(1300) 및 메인 프로세서(1700) 중 2개 이상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SIC(1100), ASIP(1300), 메모리(1500), 메인 프로세서(1700) 및 메인 메모리(1900)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하나의 칩에 내장될 수 있다.
ASIP(1300)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집적 회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500)는 ASIP(130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ASIP(130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50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ASIP(130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700)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700)는 ASIC(1100) 및 ASIP(13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통신 장치(10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1900)는 메인 프로세서(170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메인 프로세서(170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메모리(190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메인 프로세서(1700)에 의해서 접근 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0의 무선 통신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메모리(150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ASIP(1300)가 메모리(150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위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전치 왜곡(Pre-Distortion)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하는 전치 왜곡 회로;
    상기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회로;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 회로; 및
    상기 에러 신호 또는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회로는 필터링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터링 회로에서 이용될 상기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조건은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수렴 여부 및 상기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 횟수의 기준 업데이트 횟수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에러 필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면, 상기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에 의한 상기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상기 에러 필터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상기 에러 필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이상이고, 상기 출력 신호의 EVM(Error Vector Magnitude) 값이 제1 기준 EVM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출력 신호의 EVM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러 필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 간의 차이 값이 기준 차이 값 미만이거나, 상기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상기 제1 기준 EVM 값 이상이면, 상기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에 의한 상기 전치 왜곡 계수의 업데이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회로는
    상기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제2 기준 EVM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상기 에러 필터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상기 제2 기준 EVM 값 이상이고,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상기 에러 필터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EVM 값이 상기 제2 기준 EVM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2 인접 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상기 에러 필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왜곡 계수 업데이트 회로는
    상기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필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Pre-Distortion) 및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을 측정하는 단계;
    필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에러 필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전치 왜곡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 및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전치 왜곡(Pre-Distortion)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전치 왜곡하여 전치 왜곡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전치 왜곡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RF 송신기; 및
    상기 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신호에 의한 제1 인접 채널의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제2 인접 채널의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을 측정하고,
    상기 제1 주파수 성분의 크기 및 상기 제2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에러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에러 신호 또는 상기 필터링된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치 왜곡 계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220115103A 2022-09-13 2022-09-1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40036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03A KR20240036360A (ko) 2022-09-13 2022-09-1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CN202310922444.XA CN117713844A (zh) 2022-09-13 2023-07-25 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装置的操作方法
US18/449,130 US20240088926A1 (en) 2022-09-13 2023-08-14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03A KR20240036360A (ko) 2022-09-13 2022-09-1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360A true KR20240036360A (ko) 2024-03-20

Family

ID=9014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103A KR20240036360A (ko) 2022-09-13 2022-09-1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88926A1 (ko)
KR (1) KR20240036360A (ko)
CN (1) CN11771384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8926A1 (en) 2024-03-14
CN117713844A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0664B2 (en) Method to improve active antenna system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mutual coupling
US9641206B2 (en) Highly integrated radio frequency transceiver
EP3633941B1 (en) Correction device and correction method
US100515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on a power variation of a transmit signal
US11777457B2 (en) Circuit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US10790930B2 (en) Techniques for distortion correction at a receiver device
US115281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transmitter
US2023007281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W423232B (en)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amplifier linearization devices
KR20240036360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106806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nonlinearity of a transmitter
Leinonen et al. Out-of-band interference in 5G mmW multi-antenna transceivers: Co-existence scenarios
US10826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pectral regrowth
US10742240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9995393B (zh) 一种校正装置及方法
KR20200063020A (ko) 스펙트럼 재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8196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envelope tracking modulation and envelope delay optimization method
CN111245374B (zh) 用于控制频谱再生的方法和装置
CN110620592B (zh) 用于补偿发射器的非线性的通信装置、通信系统和方法
WO2023140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verage power tracking calibration of a radio frequency chip
WO2024008306A1 (en) Dual polarity power amplifier with nonlinear supply modulation
WO2023075773A1 (en) Power tracking at a radio frequency chip based on a two-dimensional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Wennström et al. Effects of Nonlinear Transmit Amplifiers in Smart Antennas for Wireless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