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118A -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118A
KR20240036118A KR1020247007303A KR20247007303A KR20240036118A KR 20240036118 A KR20240036118 A KR 20240036118A KR 1020247007303 A KR1020247007303 A KR 1020247007303A KR 20247007303 A KR20247007303 A KR 20247007303A KR 20240036118 A KR20240036118 A KR 2024003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rrm
antennas
measurement
resourc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오 시
이앤후아 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를 개시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는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은, 그 주위의 채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하게 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의 셀 채널 상황을 제때에 획득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현재의 서비스 셀과 인접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을 단말 디바이스에 설정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측정하면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항속 능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가능한 감소시키는 것은 현재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한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 당해 방법은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수신된 지시 메시지에 기반하여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1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2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3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4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3 역치는 상기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5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6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5 역치는 상기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 당해 방법은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가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1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2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3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4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3 역치는 상기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의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5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6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5 역치는 상기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이다.
제3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기능은 본 개시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실시예에서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본 개시 중 임의의 실시예를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의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는 다른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기능은 본 개시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고, 본 개시의 어느 한 실시예를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프로세서가 메모리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할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기재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제6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프로세서가 메모리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할 경우, 상기 제2 측면에 기재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제7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1 측면에서 기재된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8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9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인터페이스 회로가 코드 명령을 수신하고 당해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당해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당해 장치에 수행시키도록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제10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인터페이스 회로가 코드 명령을 수신하고 당해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당해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당해 장치에 수행시키도록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제11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3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4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제5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6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제7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8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9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10 양상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제1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명령이 수행될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제1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명령이 수행될 경우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제14 측면에서,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이는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킨다.
제15 측면에서, 본 개시는 더 나아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이는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제2 측면에서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킨다.
제16 측면에서, 본 개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측면와 관련된 기능, 예를 들어, 상기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칩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당해 칩 시스템은 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칩과 다른 디스크리트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7 측면에서, 본 개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측면에 관련된 기능, 예를 들어, 상기 방법에 관련된 데이터와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칩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당해 칩 시스템은 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칩과 다른 디스크리트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8 측면에서,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는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킨다.
제19 측면에서,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는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제 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 또는 배경이 되는 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 또는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사용이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통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칩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먼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개략도이다. 해당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기기의 수량 및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구하고, 본 개시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으며, 실제 응용에서, 두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 및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102)를 포함하는 예를 든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롱 텀 에블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5세대(5th generation, 5G)이동 통신 시스템,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기타 미래의 신형의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는 네트워크측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실체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1)는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B, eNB),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NR 시스템 중의 차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B, gNB), 기타 미래 이동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시스템 중의 액세스 노드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구체적인 기술 및 구체적인 기기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CU)과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CU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으로도 칭하고, CU-DU의 구조를 채택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기지국의 프로토콜 계층를 분할할 수 있고, 일부 프로토콜 계층의 기능을 CU에 두어 집중 제어하고, 나머지 일부 또는 전부의 프로토콜 계층의 기능을 DU에 분산하여, CU가 DU를 집중 제어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단말 디바이스(12)는 휴대폰과 같이 사용자측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위한 실체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terminal),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 디바이스(mobile terminal, MT) 등으로도 불리운다.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스마트 자동차, 휴대 전화(mobile phone),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컴퓨터(Pad),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디바이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 디바이스,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자율 주행(self-driving)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원격 의료 수술(remote medical surgery)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교통 안전(transportation safety)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 시티(smart city)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 홈(smart home) 중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구체적인 기술 및 구체적인 기기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통신 시스템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적 방안에 대해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시스템 아키텍처의 변화 및 새로운 서비스 정경의 출현에 따라,볼 개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방안이 유사한 기술적 과제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는 도면과 함께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 21~22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1에서,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말 디바이스는 그에 대응하는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 및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고,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 및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는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수가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RRM 측정 파라미터는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본 개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2에서,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는 다르고,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에 편차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셀의 동일한 위치에 있고 동일한 이동 속도를 구비하는 1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비해,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신호 강도 측정치가 1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신호 강도 측정치보다 큰 경우가 많다. 또한, 안테나 수가 다른 단말 디바이스가 환경 간섭을 받는 능력도 다르고, 즉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작은 환경 간섭을 받아, 신호 변동이 비교적 안정된다다. 당해 경우, 서로 다른 안테나 수의 단말 디바이스가 일련의 측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면, 무선 리소스 관리가 불정확해지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 개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상이한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더 나아가 결정된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기초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 모빌리티 상태, 정지 상태, 비셀 에지 상태 등 단말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한 후, RRM의 측정 사이클 및 측정 범위를 업데이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상응하는 RRM의 측정 사이클을 연장하거나 인접 셀의 측정을 정지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안테나 수가 같고, 상태가 다른 단말 디바이스는 업데이터된 RRM의 측정 사이클이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는 안테나 수가 같고, 상태가 다른 단말 디바이스는 업데이터된 측정 범위가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안테나 수가 다르고, 상태가 같은 단말 디바이스는 업데이터된 RRM의 측정 사이클이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는 안테나 수가 다르고, 상태가 같은 단말 디바이스는 업데이터된 측정 범위가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지시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RRM의 측정 사이클 및 측정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후에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는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31에서, 수신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에서,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1 역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2 역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1 역치는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수는 1일 수 있고, 제2 수는 2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다.
신호 강도 차이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를 넘는 시간대 내에, 레퍼런스의 수신 신호 강도와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현재 시각의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의 차이 값의 역치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서, 제1 수는 1이고, 제2 수는 2이며, 하나의 안테나 단말 디바이스의 내간섭성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측정 기간 역치가 같을 경우, 제1 수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는 제2 수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1 수는 1이고, 제2 수는 2이며, 제1 수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는 제2 수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1 수는 1이고, 제2 수는 2이며, 제1 수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는 제2 수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와 같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정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3 역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4 역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5 역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6 역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5 역치는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일 수 있다.
신호 품질 역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 품질 역치이다. 신호 강도 역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 강도 역치이다. 즉,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 품질이 신호 품질 역치보다 크고, 수신된 신호 강도가 신호 강도 역치보다 큰 경우, 당해 단말 디바이스는 비셀 에지 상태에 있다.
단계 33에서,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단계 33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수신된 지시 메시지에 기반하여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고, 그 후에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마지막으로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는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41에서,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42에서,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단계 42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43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유휴 상태에 있거나,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단말 디바이스가 RRC 유휴 상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모두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더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켰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우선 프로토콜 규칙에 기반하여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고, 그 후에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마지막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RRC 유휴 상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는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51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됩니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각 단말 디바이스는 그에 대응하는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 및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고,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 및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는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수가 다른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RRM 측정 파라미터는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본 개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1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2 역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1 역치는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다.
신호 강도 차이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를 넘는 시간대 내에, 레퍼런스의 수신 신호 강도와 단말 디바이스가 측정하는 현재 시각의 서비스 셀의 신호 강도의 차이 값의 역치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3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4 역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3 역치는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거나, ,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5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6 역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5 역치는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일 수 있다.
신호 품질 역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 품질 역치이다. 신호 강도 역치는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 강도 역치이다. 즉, 단말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 품질이 신호 품질 역치보다 크고, 수신된 신호 강도가 신호 강도 역치보다 큰 경우, 당해 단말 디바이스는 비셀 에지 상태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가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그의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각각 네트워크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방법에서의 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구성 플러스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상기 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 중의 어느 기능은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구성 플러스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통신 장치(6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장치(60)는 처리 모듈(601)과 송수신 모듈(60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모듈(602)은 송신 모듈 및/또는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모듈은 송신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수신 모듈은 수신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 모듈(602)은 송신 기능 및/또는 수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 장치(60)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의 장치일 수도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에 매칭하여 사용 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통신 장치(60)는 단말 디바이스 측에 위치하고, 당해 장치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601)을 포함하고,
처리 모듈(601)은 또한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601)은 또한,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거나,
또는,
수신된 지시 메시지에 기반하여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601)은 또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1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임에 응답하여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2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1 역치는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601)은 또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정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3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4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3 역치는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601)은 또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5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6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5 역치는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601)은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본 개시에 따라 제공되는 통신 장치, 단말은 디바이스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후에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는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통신 장치(6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장치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매칭하여 사용 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통신 장치(6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 위치하고, 당해 장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602)을 포함하고,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1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2 역치를 포함하고,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1 역치는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3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4 역치를 포함하고,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3 역치는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제3 역치와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5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6 역치를 포함하고,
제1 수는 제2 수와 다르고, 제5 역치는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제5 역치와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이다.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가 그의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그의 안테나 리소스 관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단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항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른 통신 장치(70)의 구조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7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는 칩, 칩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는 칩, 칩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당해 장치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통신 장치(7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70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유닛일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유닛은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베이스밴드 칩, 단말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칩, DU 또는 CU 등)를 제어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70)는 컴퓨터 프로그램(704)이 저장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702)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통신 장치(70)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701)는 컴퓨터 프로그램(704)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702)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 장치(70)와 메모리(702)는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통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70)는 트랜시버(705), 안테나(70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705)는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 트랜시버 또는 송수신 회로 등으로 부를 수 있다. 트랜시버(705)는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는 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또는 수신 회로 등으로 불릴 수 있으며, 송신기는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기 또는 송신 회로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7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회로(70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707)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고 프로세서(701)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701)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통신 장치(70)에 수행시키기 위해, 코드 명령을 수행한다.
통신 장치(70)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프로세서(701)는 도 2의 단계 21 및 단계 22, 또는 도 3의 단계 31, 단계 32 및 단계 33, 또는 도 4의 단계 41, 단계 42 및 단계 43 등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장치(7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트랜시버(705)는 도 5의 단계 51 등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프로세서(701)에는 수신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트랜시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트랜시버는 송수신 회로일 수 있고, 또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도 있다. 수신과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분리될 수 있고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송수신 회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데이터의 읽기/쓰기에 사용되거나, 상기 송수신 회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신호의 전송 또는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701)는 컴퓨터 프로그램(703)을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703)이 프로세서(701)에서 수행되면,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통신 장치(70)가 수행하도록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703)은 프로세서(701) 내에 고정될 수 있고, 당해 경우 프로세서(701)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통신 장치(70)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회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송신 또는 수신 또는 통신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아날로그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 혼합신호IC, 특정용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및 전자 기기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는 각종 IC 프로세스 기술, 예를 들어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nMetal-oxide-semiconductor, NMOS),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positive 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PMOS),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및 양극 CMOS(BiCMOS) 및 실리콘 게르마늄(SiGe), 갈륨비소(GaAs) 등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설명에서 통신 장치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11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독립된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큰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장치는 이하의 (1)~(6)일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통신 장치(70)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회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송신 또는 수신 또는 통신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아날로그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 혼합신호IC, 특정용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및 전자 기기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는 각종 IC 프로세스 기술, 예를 들어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nMetal-oxide-semiconductor, NMOS),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positive 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PMOS),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및 양극 CMOS(BiCMOS) 및 실리콘 게르마늄(SiGe), 갈륨비소(GaAs) 등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설명에서 통신 장치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5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독립된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큰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장치는 이하의 (1)~(6)일 수 있다.
(1)독립된 집적 회로 IC 또는 칩 또는 칩 시스템 또는 서브 시스템.
(2)하나 또는 복수의 IC를 가진 집합, 선택적으로, 당해 IC 집합은 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3)ASIC, 예를 들면 모뎀(Modem).
(4)다른 디바이스 내에 내장할 수 있는 모듈.
(5)수신기, 단말, 지능형 단말, 셀룰러 전화기, 무선 장치, 핸드헬드, 이동 유닛, 차량용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클라우드 장치 및 인공지능 장치 등.
(6)기타
통신 장치가 칩 또는 칩 시스템일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칩의 구조 개략도를 참조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칩은 프로세서(801)와 인터페이스(802)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801)의 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802)의 수는 복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802)는 도 3의 단계 31 등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칩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802)는 도 5의 단계 51 등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칩은 메모리(603)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603)는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나열한 다양한 설명성 로직 블록(illustrative logical block)들 및 단계(step)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 설계 요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해당 시스템은 전술한 도 11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또는, 해당 시스템은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저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당해 명령이 수행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 예의 기능이 구현된다.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 예의 기능이 구현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기타 임의의 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로딩되어 실행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프로세스 또는 기능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램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의 방식을 통해 다른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매체에 의해 집적된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고체상태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 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에 언급된 제1, 제2 등 각종 숫자 번호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구분하는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전 후 순서를 나타내는 것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 중의 적어도 하나는하나 또는 복수로 설명될 수 있고, 복수는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 실시예에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제1", "제2", "제3", "A", "B", "C" 및 "D" 등으로 해당 기술적 특징 중의 기술적 특징을 구분하고, 해당 "제1", "제2", "제3", "A", "B", "C" 및 "D"가 설명하는 기술적 특징 사이는 선후 순서 또는 크기 순서가 없다.
본 개시 중 각각의 테이블에 나타난 대응 관계들은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테이블에서의 정보 값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다른 값일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정보와 각각의 파라미터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성할 때, 각각의 테이블에 나타난 모든 대응 관계들을 구성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중의 테이블에서, 일부 행들에 나타난 대응 관계는,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술한 테이블에 기초하여, 분할, 병합 등의 적절한 변형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테이블에서 제목에 나타난 매개변수의 명칭은 통신 장치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다른 이름을 채택할 수 있고, 매개변수의 값 또는 표시 방식도 통신 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값 또는 표현 방식일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테이블이 구현될 때, 다른 데이터 구조 예를 들어, 어레이, 큐, 용기, 스택, 선형 테이블, 포인터, 링크 리스트, 트리, 그래프, 구조, 클래스, 힙, 해시 테이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미리 정의된 것은 정의된 것, 미리 정의된 것, 저장된 것, 미리 저장된 것, 미리 협상된 것, 미리 구성된 것, 고정된 것, 또는 미리 소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수행되는 지 여부는 기술적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적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프로세스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것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이며,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개시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수정 또는 교체를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0)

  1.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수신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1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2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3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4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3 역치는 상기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5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6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5 역치는 상기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0.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에 있어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가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1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2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3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4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3 역치는 상기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5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6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5 역치는 상기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18.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는,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에 대응하는 제1 RRM 측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거나,
    또는,
    수신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안테나 수와 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1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2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3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4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3 역치는 상기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1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5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2 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가 제6 역치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5 역치는 상기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RRM 측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가 안테나 수와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및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저이동성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1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2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1 역치는 상기 제2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역치와 상기 제2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정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3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4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3 역치는 상기 제4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3 역치와 상기 제4 역치는 측정 기간 역치 및 신호 강도 차이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수와 RRM 비셀 에지 기준 측정 파라미터의 매핑 관계는,
    제1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5 역치와 제2 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6 역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와 다르고, 상기 제5 역치는 상기 제6 역치와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품질 역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5 역치와 상기 제6 역치는 신호 강도 역치 및 신호 품질 역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장치.
  35.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장치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6.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장치가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7.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8.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여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9.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수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40.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수행될 경우,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47007303A 2021-08-06 2021-08-06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240036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1089 WO2023010499A1 (zh) 2021-08-06 2021-08-06 一种无线资源管理测量方法及其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118A true KR20240036118A (ko) 2024-03-19

Family

ID=8515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03A KR20240036118A (ko) 2021-08-06 2021-08-06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36118A (ko)
CN (1) CN115956381A (ko)
WO (1) WO2023010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7800B (zh) * 2023-06-30 2023-09-08 湖南时空信安科技有限公司 时间校准方法、调整模型训练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9535B (zh) * 2012-04-19 2016-03-0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终端及其小区测量方法与装置
CN113316229A (zh) * 2018-08-31 2021-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监测方法及设备
CN109792624B (zh) * 2018-12-25 2022-05-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号质量测量方法、装置及终端
CN111417217B (zh) * 2019-01-04 2022-04-1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双连接配置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11586853A (zh) * 2019-02-15 202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CN111757431B (zh) * 2019-03-28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1020952A1 (en) * 2019-08-01 2021-02-04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by a wtru in a 3gpp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56381A (zh) 2023-04-11
WO2023010499A1 (zh)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0804A (ko) 전송 설정 지시(tci) 상태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CN113711641A (zh) 一种中继终端设备测量上报的方法及其装置
KR20240023176A (ko) 빔 사용 시간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eam service time)
CN115299095A (zh) 一种控制资源的位置信息的确定方法及其装置
WO2023028924A1 (zh) 参考信号的生效指示方法及装置
KR20240036118A (ko)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방법 및 그의 장치
WO2024050776A1 (zh) 一种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157706A (zh) 全球导航卫星系统gnss定位测量方法及装置
WO2023272624A1 (zh) 一种追踪参考信号的窗口配置方法及装置
CN117413566A (zh) 一种终端设备的移动性管理方法及装置
CN117501743A (zh) 一种用于基于条件的移动性的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EP43193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information
WO2024031485A1 (zh) 一种传输方法及其装置
WO2023201755A1 (zh) 一种移动性管理的配置方法及装置
EP4340398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WO2024026889A1 (zh) 一种数据类型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72015A1 (en) Start control method for measurement for non-serving cell,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503658B (zh) 一种测量报告上报方法和装置
WO2023283964A1 (zh) 多载波小区的移动性测量的配置方法及装置
WO2023230794A1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WO2023035125A1 (zh) 一种小区重选测量的方法及其装置
WO2023044628A1 (zh) 一种测量gap的调度方法及其装置
WO2023035202A1 (zh) 一种跟踪参考信号周期的确定方法及其装置
WO2023245685A1 (zh) 一种指示信息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201758A1 (zh) 信息上报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