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536A - 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members - Google Patents

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memb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536A
KR20240035536A KR1020247004725A KR20247004725A KR20240035536A KR 20240035536 A KR20240035536 A KR 20240035536A KR 1020247004725 A KR1020247004725 A KR 1020247004725A KR 20247004725 A KR20247004725 A KR 20247004725A KR 20240035536 A KR20240035536 A KR 2024003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rength
steel sheet
martensit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지 다나카
타케시 니시야마
마사나리 도모자와
카즈키 엔도
히데카즈 미나미
준야 도바타
유키 도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536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강도 1180㎫ 이상으로 우수한 굽힘성과 인성을 겸비한 고항복비의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강도 강판은, C, Si, Mn, P, S, Al, N, Ti, Nb, B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식 (1)을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갖고,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가 95% 이상이고,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0㎛ 이하이고,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가 질량%로 0.10% 이상이고,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라 C 농화 영역을 갖고, 상기 C 농화 영역은, 강 중의 C 함유량의 4.0배 이상의 C 농도를 갖고, 상기 마르텐사이트 입계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3㎚ 이상 100㎚ 이하의 농화 폭을 갖고, 또한 상기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100㎚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다. ([%N]/14)/([%Ti]/47.9)<1.0…(1)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a high yield ratio that has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and has excellent bendability and toughn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C, Si, Mn, P, S, Al, N, Ti, Nb, and B, the balance is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the components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It has a composition, the total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is 95% or more, the average grain size of prior austenite grains is 10 μm or less, the B concentration of prior austenite grain boundaries is 0.10% or more in mass%, and martenite It has a C-enriched region along the site grain boundary, and the C-enriched region has a C concentration of 4.0 times or more than the C content in the steel, and has an enrichment width of 3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 and also has a length of 100 nm or mo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N]/14)/([%Ti]/47.9)<1.0… (One)

Description

고강도 강판, 고강도 도금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부재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members

본 발명은, 고강도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igh-strength steel sheets,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nd members.

자동차용 강판에서는, 차체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을 위해, 고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골격 부품에서는 인장 강도 1180㎫ 이상의 고강도 강판이 필요시되고 있다. 또한,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소망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 강판에는 높은 굽힘성(bendability)이 요구되고 있다. 추가로 충돌 안전성의 관점에서, 강도에 더하여, 충돌 시에 탑승자의 거주 공간을 확보하도록,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도 있다. 이러한 자동차 부품에는 고항복비(high yield ratio)의 강판의 사용이 요망된다. 더하여, 자동차 부품이 충돌 시에 파단(fracture)하지 않도록, 높은 인성(toughness)도 필요하다.In steel sheets for automobiles, increased strength is required to improve fuel efficiency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For skeleton parts, high-strength steel sheets with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are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ss-process a steel sheet into a desired shape, the steel sheet is required to have high bendability. 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crash safety, in addition to strength, there are automobile parts that are required not to be easily deformed so as to secure living space for occupants in the event of a crash. For these automobile parts, the use of steel sheets with a high yield ratio is desired. In addition, high toughness is required so that automobile parts do not fractur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특허문헌 1에는 가공성 및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성형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성형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high-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high-yield ratio high-strength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일본특허 제5728108호 명세서Japanese Patent No. 5728108 Specification 일본특허 제6597939호 명세서Japanese Patent No. 6597939 Specification 일본특허 제6700398호 명세서Japanese Patent No. 6700398 Specification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항복비에 대해서 고려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3에서는 인성에 대해서 고려되어 있지 않다.However, in Patent Documents 1 and 2, the yield ratio is not considered. In Patent Document 3, toughness is not considered.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강도 1180㎫ 이상으로 굽힘성과 인성이 우수하고, 고항복비의 고강도 강판을 제조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는 곤란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excellent bendability and toughness, and a high yield ratio using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장 강도 1180㎫ 이상으로 우수한 굽힘성과 인성을 겸비한 고항복비의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se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igh-yield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which has excellent bendability and toughn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강도란, JIS Z2241에 준거하여 측정한 인장 강도 TS가 11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strength means that the tensile strength TS measured based on JIS Z2241 is 1180 MPa or more.

또한, 굽힘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JISZ2248에 준거하여 실시한 굽힘 시험에 있어서, 굽힘 정점의 능선부에 있어서 깨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excellent bendability means that there is no cracking at the ridge portion of the bending peak in a bending test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JISZ2248.

또한, 인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JIS Z2242에 준거하여 실시한 샤르피 충격 시험에 있어서, 취성-연성 전이 온도가 -4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excellent toughness means that the brittle-ductile transition temperature is -40°C or lower in a Charpy impact test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JIS Z2242.

또한, 고항복비란, JIS Z 2241에 준거하여 측정한 항복 강도와 인장 강도의 비 YS/TS가 0.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high yield ratio means that the ratio YS/TS of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measured based on JIS Z 2241 is 0.80 or more.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인식을 얻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intensive studies and obtained the following findings.

(1) 굽힘 가공 시의 균열의 발생, 진전 및, 취성 파괴 시의 파괴 경로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를 따른다. 그 때문에, 결정 입경을 미세화하여 파괴 경로를 복잡화하는 것 및, 결정 입계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굽힘성을 향상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구오스테나이트립의 미세화에는, 어닐링 온도를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인 850℃ 이상에서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한편으로, 입계의 강화에는 B를 입계 편석시키는 것이 유효하지만, B의 입계 편석량은 고온에서 어닐링할수록 커진다. 그래서, 결정 입경을 미세하게 유지하면서 B의 입계 편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850℃ 근방에서 어닐링하여 미세한 오스테나이트립을 얻은 후, 급속 가열과 급속 냉각을 행한다. 이에 따라,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면서 확산에 의한 B의 입계 편석을 촉진하여, 오스테나이트 입경의 미세화와 B의 입계 편석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1) The occurrence and propagation of cracks during bending and the failure path during brittle fracture follow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improve bendability by refining the crystal grain size, complicating the fracture path, and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grain boundaries. To refine the old austenite grains, it is effective to set the annealing temperature as low as possible above 850°C, which is the austenite single phase range. On the one hand, grain boundary segregation of B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grain boundaries, but the amount of grain boundary segregation of B increases as annealing is performed at a higher temperatur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grain boundary segregation of B while maintaining a fine crystal grain size, fine austenite grains are obtained by annealing at around 850°C, and then rapid heating and rapid cooling are performed. Accordingly, grain boundary segregation of B by diffusion is promoted while suppressing grain growth, and refinement of the austenite grain size and grain boundary segregation of B can be achieved simultaneously.

(2) 퀀칭된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존재하는 전위는, 낮은 응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운동을 일으키는 가동 전위로서, 이 때문에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항복 응력은 낮다. 그러나, 퀀칭 후의 강판에 근소하게 가공을 실시하면, 이들 전위는 결정 입계에 근방으로 이동하고 거기서 서로 얽혀 부동 전위(immobile dislocation)가 된다. 이에 따라 강판의 항복비를 높일 수 있다.(2) The dislocations existing in the quenched martensite structure are mobile dislocations that easily cause sliding movement with low stress, and for this reason, the yield stress of the martensite structure is low. However, when the steel sheet after quenching is slightly processed, these dislocations move near the grain boundaries and become entangled there, forming immobile dislocations. Accordingly, the yield ratio of the steel plate can be increased.

(3) 강판을 저온에서 템퍼링함으로써, 탄소가 전위 상에 편석 혹은 클러스터 석출을 발생시킨다. 전위가 결정 입계 근방에 집적한 가공 후의 강판을, 저온에서 템퍼링함으로써, 입계를 따라 네트워크 상에 C 농도가 높은 영역(C 농화 영역)이 형성되어, 입계 근방의 강도를 대폭으로 상승시킨다. C는 입계에 더하여 입계를 사이에 두는 모상(matrix phase)에도 농화(concentrate)하기 때문에, 그 강도 상승 효과는 매우 크다. 입계가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C 농화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항복비도 크게 상승한다.(3) By tempering the steel sheet at low temperature, carbon segregates or clusters precipitate on the dislocations. By tempering a processed steel sheet in which dislocations have accumulated near grain boundaries at a low temperature, a region with high C concentration (C-enriched region) is formed on the network along the grain boundaries,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strength near the grain boundaries. Since C concentrates not only on the grain boundaries but also on the matrix phase between the grain boundarie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is very large. Since the grain boundaries are not easily deformed, the yield ratio also increases significantly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enriched region.

본 발명은, 상기 인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 recognition. That is, the mai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질량%로, [1] In mass%,

C: 0.10% 이상 0.30 이하, C: 0.10% or more and 0.30 or less,

Si: 0.20% 이상 1.20% 이하, Si: 0.20% or more and 1.20% or less,

Mn: 2.5% 이상 4.0% 이하, Mn: 2.5% or more and 4.0% or less,

P: 0.050% 이하, P: 0.050% or less,

S: 0.020% 이하, S: 0.020% or less,

Al: 0.10% 이하, Al: 0.10% or less,

N: 0.01% 이하, N: 0.01% or less,

Ti: 0.100% 이하, Ti: 0.100% or less,

Nb: 0.002% 이상 0.050% 이하 및 Nb: 0.002% or more and 0.050% or less and

B: 0.0005% 이상 0.0050% 이하 B: 0.0005% or more and 0.0050% or less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식 (1)을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갖고, Contains, the balance consists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has a component composition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가 95% 이상이고, The total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is 95% or more,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0㎛ 이하이고,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s 10㎛ or less,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가 질량%로 0.10% 이상이고, The B concentration of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is 0.10% or more in mass%,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라 C 농화 영역을 갖고, There is a C-enriched region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상기 C 농화 영역의 C 농도가 강 중의 C 함유량의 4.0배 이상이고, The C concentration in the C-enriched area is 4.0 times or more than the C content in the steel,

상기 마르텐사이트 입계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3㎚ 이상 100㎚ 이하의 농화 폭을 갖고, 또한 상기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100㎚ 이상의 길이를 갖는, 고강도 강판.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a thickening width of 3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and having a length of 100 nm or mo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N]/14)/([%Ti]/47.9)<1.0…(1) ([%N]/14)/([%Ti]/47.9)<1.0… (One)

식 (1)에 있어서, [%N] 및 [%Ti]는 각각 N 및 Ti의 강 중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In formula (1), [%N] and [%Ti] represent the content (% by mass) of N and Ti in the steel, respectively.

[2] 상기 성분 조성이, 추가로 질량%로, [2] The above component composition is further expressed in mass%,

V: 0.100 이하, V: 0.100 or less,

Mo: 0.500% 이하, Mo: 0.500% or less,

Cr: 1.00% 이하, Cr: 1.00% or less,

Cu: 1.00% 이하, Cu: 1.00% or less,

Ni: 0.50% 이하, Ni: 0.50% or less,

Sb: 0.200% 이하, Sb: 0.200% or less,

Sn: 0.200% 이하, Sn: 0.200% or less,

Ta: 0.200% 이하, Ta: 0.200% or less,

W: 0.400% 이하, W: 0.400% or less,

Zr: 0.0200% 이하, Zr: 0.0200% or less,

Ca: 0.0200% 이하, Ca: 0.0200% or less,

Mg: 0.0200% 이하, Mg: 0.0200% or less,

Co: 0.020% 이하, Co: 0.020% or less,

REM: 0.0200% 이하, REM: 0.0200% or less,

Te: 0.020% 이하, Te: 0.020% or less,

Hf: 0.10% 이하 및 Hf: 0.10% or less and

Bi: 0.200% 이하 Bi: 0.200% or less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The high-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ich contain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도금층을 갖는, 고강도 도금 강판.[3] 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having a pl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1] or [2] above.

[4] 상기 [1] 또는 [2]의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열연판으로 하고, [4] A steel slab having the composition of [1] or [2] above is subjected to hot rolling to obtain a hot rolled sheet,

상기 열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연판으로 하고, Cold rolling is performed on the hot-rolled sheet to obtain a cold-rolled sheet,

상기 냉연판을, 850℃ 이상 920℃ 이하의 제1 가열 온도까지 가열하여 10s 이상 보존유지(hold)하고, 이어서, 1000℃ 이상 1200℃ 이하의 제2 가열 온도까지 50℃/s 이상의 평균 가열 속도로 승온하고, 당해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 5초 이내에, 5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500℃ 이하까지 냉각하는, 어닐링 공정을 행하고, The cold-rolled sheet is heated to a first heating temperature of 850°C or more and 920°C or less and held for 10 s or more, and then heated to a second heating temperature of 1000°C or more and 1200°C or less at an average heating rate of 50°C/s or more. An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nd cooled to 500°C or lower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50°C/s or more within 5 seconds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상기 어닐링 공정 후, 상기 냉연판을 신장률 0.5% 이상으로 압연하여 제2 냉연판을 얻는, 압연 공정을 행하고, After the annealing process, a rolling process is performed to obtain a second cold-rolled sheet by rolling the cold-rolled sheet to an elongation of 0.5% or more,

상기 압연 공정 후, 상기 제2 냉연판을 70℃ 이상 200℃ 이하의 재가열 온도로 600s 이상 보존유지하는 재가열 공정을 행하여 고강도 강판을 얻는,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A method of producing a high-strength steel sheet, in which, after the rolling process, a reheat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second cold-rolled sheet is maintained at a reheating temperature of 70°C or more and 200°C or less for 600s or more to obtain a high-strength steel sheet.

[5] 상기 [4]에 기재된 어닐링 공정 후, 재가열 공정의 전에, 상기 고강도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여 고강도 도금 강판을 얻는, 도금 공정을 갖는, 고강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5] After the annealing process described in [4] above, but before the reheating process, plating is appli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to obtain 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including a plating process.

[6]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부재.[6] A member formed by using at least part of the high-strength steel plate described in [1] or [2] above.

[7] 상기 [3]에 기재된 고강도 도금 강판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부재.[7] A member formed by using at least part of the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described in [3] above.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 강도 1180㎫ 이상으로 우수한 굽힘성과 인성을 겸비한 고항복비의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a high yield ratio that has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and has excellent bendability and toughn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C 농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enriched reg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Form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강판의 성분 조성의 적정 범위 및 그의 한정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강판의 성분 원소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을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 하여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First,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component composition of the steel sheet and the reason for its limitation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steel sheet means “ma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numerical range indicated using “~” means a range including the numerical values written before and after “~” as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C: 0.10% 이상 0.30 이하 C: 0.10% or more and 0.30 or less

C는 마르텐사이트 조직 및 베이나이트 조직을 강화하는 것에 더하여, 구오스테나이트 입계 근방에 집적한 전위에 편석하여 입계를 강화하여, 굽힘성, 인성 및 항복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C 함유량이 0.10% 미만에서는,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이 저하하여, 1180㎫ 이상의 TS가 얻어지지 않는다. C 함유량이 0.30% 초과에서는, 어닐링 시에 B와 철의 탄붕화물을 형성하여,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충분한 양의 B를 편석시킬 수 없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 이상으로 한다. 또한,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8% 이하로 한다.In addition to strengthening the martensite structure and bainite structure, C segregates at dislocations accumulated near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to strengthen the grain boundaries,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bendability, toughness, and yield ratio. If the C content is less than 0.10%,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decreases, and TS of 1180 MPa or more cannot be obtained. If the C content exceeds 0.30%, carbon boride of B and iron is formed during annealing, and a sufficient amount of B cannot be segregated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The C content is preferably 0.11% or more. Additionally, the C content is preferably 0.28% or less.

Si: 0.20% 이상 1.20% 이하 Si: 0.20% or more and 1.20% or less

Si는 고용 강화에 유효한 원소로서, 0.20% 이상의 첨가를 필요로 한다. 한편, Si는 페라이트를 안정시키는 원소로서, 변태점을 상승시킨다. 그 때문에, Si 함유량이 1.20% 초과에서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을 10㎛ 이하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으로 한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로 한다.Si is an element effective for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and requires addition of 0.20% or more. Meanwhile, Si is an element that stabilizes ferrite and increases its transformation point. Therefore, when the Si content exceeds 1.20%, it becomes difficult to reduce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to 10 μm or less.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0.50% or more.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1.10% or less.

Mn: 2.5% 이상 4.0% 이하 Mn: 2.5% or more and 4.0% or less

Mn은 퀀칭성 향상에 유효하다. Mn 함유량이 2.5% 미만에서는,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이 저하하여, 강도가 저하한다. 한편으로, Mn 함유량이 4.0% 초과에서는 편석부가 과도하게 경질화하여 굽힘성이 저하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으로 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5% 이하로 한다.Mn is effective in improving quenching properties. If the Mn content is less than 2.5%,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decreases, and the strength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f the Mn content exceeds 4.0%, the segregated portion becomes excessively hard and the bendability decreases.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2.8% or more.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3.5% or less.

P: 0.050% 이하 P: 0.050% or less

P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하여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P 함유량은 0.050% 이하로 한다. P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형성하지 않고, 0%라도 좋지만, 0.001% 미만으로 하는 것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0.001% 이상이 바람직하다. P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로 한다.Since P segregates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reduces toughness, the P content is set to 0.050%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P content is not particularly set, and may be 0%. However, setting it below 0.001%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so 0.001% or more is preferable. The P content is preferably 0.025% or less.

S: 0.020% 이하 S: 0.020% or less

S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하여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020% 이하로 한다. S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형성하지 않지만, 0.0001% 미만으로 하는 것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8% 이하로 한다.Since S segregates at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reduces toughness, it is set to 0.020% or less. There is no particular lower limit for the S content, but setting it to less than 0.0001%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so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0.0001% or more. The S content is preferably 0.018% or less.

Al: 0.10% 이하 Al: 0.10% or less

Al은 탈산재로서 작용하는 원소로서, 그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Al 함유량은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l 함유량이 0.10% 초과에서는 페라이트를 생성하기 쉬워져 강도가 저하한다. Al 함유량은, 0.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 is an element that acts as a deoxidizing agent, and in order to obtain such an effect, the Al content is preferably set to 0.005%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Al content exceeds 0.10%, ferrite is easily formed and the strength decreases. The Al content is preferably 0.05% or less.

N: 0.01% 이하 N: 0.01% or less

N은 Nb 및 B와 질화물을 형성하여, Nb 및 B의 첨가 효과를 내린다. 그 때문에 0.01% 이하로 한다. 하한은 특별히 형성하지 않지만,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 forms nitride with Nb and B, reducing the effect of addition of Nb and B. Therefore, it is set to 0.01% or less. There is no particular lower limit, but it is preferably 0.0001%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manufacturing cost.

Ti: 0.100% 이하 Ti: 0.100% or less

Ti는 강 중의 N을 TiN으로서 고정하여, BN이나 NbN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를 얻기 위해, Ti 함유량은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Ti 함유량이 0.100% 초과에서는, 조대한 Ti 탄화물이 입계 상에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T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로 한다.Ti has the effect of fixing N in the steel as TiN and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BN and NbN. In order to obtain these effects, the Ti content is preferably 0.005%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Ti content exceeds 0.100%, coarse Ti carbides are formed on the grain boundaries, and the toughness decreases. The Ti content is preferably 0.05% or less.

Nb: 0.002% 이상 0.050% 이하 Nb: 0.002% or more and 0.050% or less

Nb는 고용 혹은 미세한 탄화물로서 석출되고, 오스테나이트립의 어닐링 중의 성장을 억제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Nb 함유량은 0.002% 이상으로 한다. 한편으로, Nb 함유량이 0.05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조대한 Nb 탄화물이 석출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Nb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으로 한다. 또한, Nb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40% 이하이다.Nb precipitates as a solid solution or fine carbide and suppresses the growth of austenite grains during annealing. To obtain this effect, the Nb content is set to 0.002%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Nb content exceeds 0.050%, not only is the effect saturated, but coarse Nb carbides are precipitated, thereby reducing toughness. The Nb content is preferably 0.005% or more. Moreover, the Nb content is preferably 0.040% or less.

B: 0.0005% 이상 0.0050% 이하 B: 0.0005% or more and 0.0050% or less

B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하여 입계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B 함유량은 0.0005% 이상으로 한다. 한편으로, B 함유량이 0.0050% 초과에서는 탄붕화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B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0% 이상으로 한다. 또한, B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30% 이하로 한다.B has the effect of segregating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increasing the grain boundary strength. To achieve such effects, the B content is set to 0.0005%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B content exceeds 0.0050%, carbon boride is formed and toughness decreases. The B content is preferably 0.0010% or more. Additionally, the B content is preferably 0.0030% or less.

([%N]/14)/([%Ti]/47.9)<1.0…(1) ([%N]/14)/([%Ti]/47.9)<1.0… (One)

전술한 B 및 Nb의 첨가 효과를 얻기 위해, 이들 원소와 용이하게 결합하는 N은 Ti에 의해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N의 몰 분율을 Ti의 몰 분율보다도 작게 한다. 즉, 상기식 (1)을 만족하도록 N 및 Ti의 강 중 함유량을 조정한다. 또한, 식 (1)에 있어서, [%N] 및 [%Ti]는 각각 N 및 Ti의 강 중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adding B and Nb described above, N, which easily combines with these elements, needs to be fixed by Ti. Therefore, the mole fraction of N is made smaller than the mole fraction of Ti. That is, the contents of N and Ti in the steel are adjusted to satisfy the above equation (1). In addition, in Formula (1), [%N] and [%Ti] represent the content (% by mass) of N and Ti in the steel, respectively.

[임의 성분] [Random Component]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고강도 냉연 강판은, 상기의 성분 조성에 더하여, 추가로 질량%로, V: 0.100 이하, Mo: 0.500% 이하, Cr: 1.00% 이하, Cu: 1.00% 이하, Ni: 0.50% 이하, Sb: 0.200% 이하, Sn: 0.200% 이하, Ta: 0.200% 이하, W: 0.400% 이하, Zr: 0.0200% 이하, Ca: 0.0200% 이하, Mg: 0.0200% 이하, Co: 0.020% 이하, REM: 0.0200% 이하, Te: 0.020% 이하, Hf: 0.10% 이하 및 Bi: 0.200%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함유해도 좋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 composition,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has, in mass%, V: 0.100% or less, Mo: 0.500% or less, Cr: 1.00% or less, Cu: 1.00% or less, and Ni: 0.50%. Hereinafter, Sb: 0.200% or less, Sn: 0.200% or less, Ta: 0.200% or less, W: 0.400% or less, Zr: 0.0200% or less, Ca: 0.0200% or less, Mg: 0.0200% or less, Co: 0.020% or less, It may contain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REM: 0.0200% or less, Te: 0.020% or less, Hf: 0.10% or less, and Bi: 0.200% or less.

V: 0.100 이하 V: 0.100 or less

V는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다. V 함유량이 0.100% 초과에서는 조대한 V 탄화물이 석출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V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V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by forming fine carbides. If the V content exceeds 0.100%, coarse V carbides precipitate and the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V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by forming fine carbides.

Mo: 0.500% 이하 Mo: 0.500% or less

Mo는 퀀칭성을 향상하여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분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Mo 함유량이 0.50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된다. Mo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퀀칭성을 향상하여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분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enching properties and increasing the bainite and martensite fractions. When the Mo content exceeds 0.500%, the effect is saturated. The lower limit of the Mo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However, sinc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enchability and increasing the bainite and martensite fractions, it is preferably set at 0.010% or more.

Cr: 1.00% 이하 Cr: 1.00% or less

Cr은 퀀칭성을 향상하여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분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Cr 함유량이 1.0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된다. Cr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퀀칭성을 향상하여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분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enching properties and increasing the bainite and martensite fractions. When the Cr content exceeds 1.00%, the effect is saturated. The lower limit of the Cr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However, sinc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enchability and increasing the bainite and martensite fractions,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0.01% or more.

Cu: 1.00% 이하 Cu: 1.00% or less

Cu는 고용에 의해 강도를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 Cu 함유량이 1.00% 초과에서는 입계 균열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Cu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고용에 의해 강도를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u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through solid solution. If the Cu content exceeds 1.00%, grain boundary cracks are likely to occur. The lower limit of the Cu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sinc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through solid solution,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0.01% or more.

Ni: 0.50% 이하 Ni: 0.50% or less

Ni는 퀀칭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지만, Ni 함유량이 0.5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된다. Ni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퀀칭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i has the effect of improving hardenability, but the effect is saturated when the Ni content exceeds 0.50%. The lower limit of the Ni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quenching properties.

Sb: 0.200% 이하 Sb: 0.200% or less

Sb는 강판의 표면 산화나 질화, 탈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지만, Sb 함유량이 0.20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된다. Sb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강판의 표면 산화나 질화, 탈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b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urface oxidation, nitriding, and decarburization of steel sheets, but the effect is saturated when the Sb content exceeds 0.200%. The lower limit of the Sb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urface oxidation, nitriding, and decarburization of the steel sheet.

Sn: 0.200% 이하 Sn: 0.200% or less

Sn은 Sb와 마찬가지로 강판의 표면 산화나 질화, 탈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Sn 함유량이 0.20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된다. Sn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강판의 표면 산화나 질화, 탈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n, like Sb,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urface oxidation, nitriding, and decarburization of steel sheets. When the Sn content exceeds 0.200%, the effect is saturated. The lower limit of the Sn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urface oxidation, nitriding, and decarburization of the steel sheet.

Ta: 0.200% 이하 Ta: 0.200% or less

Ta는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다. Ta 함유량이 0.200% 초과에서는 조대한 Ta 탄화물이 석출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Ta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a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by forming fine carbides. If the Ta content exceeds 0.200%, coarse Ta carbides precipitate and the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Ta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sinc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by forming fine carbides,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0.001% or more.

W: 0.400% 이하 W: 0.400% or less

W는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다. W 함유량이 0.400% 초과에서는, 조대한 W 탄화물이 석출되어 인성이 저하한다. W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미세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by forming fine carbides. If the W content exceeds 0.400%, coarse W carbides precipitate and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W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by forming fine carbides.

Zr: 0.0200% 이하 Zr: 0.0200% or less

Zr은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Zr 함유량이 0.0200% 초과에서는 개재물이 다량으로 형성하여 인성이 저하한다. Zr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Zr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sphericaliz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If the Zr content exceeds 0.0200%, inclusions are formed in large quantities and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Zr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set at 0.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mak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spherical.

Ca: 0.0200% 이하 Ca: 0.0200% or less

Ca는 탈산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Ca 함유량이 0.0200% 초과에서는 Ca계 개재물이 다량으로 생성하여 인성이 저하한다. Ca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탈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a can be used as a deoxidizer. If the Ca content exceeds 0.0200%, a large amount of Ca-based inclusions are generated and the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Ca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01% or more because it can be used as a deoxidizing agent.

Mg: 0.0200% 이하 Mg: 0.0200% or less

Mg는 탈산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Mg 함유량이 0.0200% 초과에서는 Mg계 개재물이 다량으로 생성하여 인성이 저하한다. Mg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탈산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g can be used as a deoxidizer. If the Mg content exceeds 0.0200%, a large amount of Mg-based inclusions are generated and the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Mg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01% or more because it can be used as a deoxidizing agent.

Co: 0.020% 이하 Co: 0.020% or less

Co는 고용 강화로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다. Co 함유량이 0.020% 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된다. Co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고용 강화로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throug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When the Co content exceeds 0.020%, the effect is saturated. The lower limit of the Co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However, sinc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rength throug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0.001% or more.

REM: 0.0200% 이하 REM: 0.0200% or less

REM은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REM 함유량이 0.0200% 초과에서는 개재물이 다량으로 형성하여 인성이 저하한다. REM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M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sphericaliz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If the REM content exceeds 0.0200%, inclusions are formed in large quantities and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REM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mak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spherical.

Te: 0.020% 이하 Te: 0.020% or less

Te는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e 함유량이 0.020% 초과에서는 개재물이 다량으로 형성하여 인성이 저하한다. Te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e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sphericaliz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If the Te content exceeds 0.020%, inclusions are formed in large quantities and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Te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mak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spherical.

Hf: 0.10% 이하 Hf: 0.10% or less

Hf는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Hf 함유량이 0.10% 초과에서는 개재물이 다량으로 형성하여 인성이 저하한다. Hf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하여 응력 집중을 억제하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f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sphericaliz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If the Hf content exceeds 0.10%, inclusions are formed in large quantities and toughness decreases. The lower limit of the Hf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tress concentration and improving toughness by mak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spherical.

Bi: 0.200% 이하 Bi: 0.200% or less

Bi는 편석을 경감하여 굽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Bi 함유량이 0.200% 초과에서는 개재물이 다량으로 형성하여 굽힘성이 저하한다. Bi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되지 않고, 0.000%라도 좋지만, 편석을 경감하여 굽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i has the effect of reducing segregation and improving bendability. If the Bi content exceeds 0.200%, inclusions are formed in large quantities and bendability deteriorates. The lower limit of the Bi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000%, but it is preferably 0.001% or more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segregation and improving bendability.

전술한 성분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또한, 상기 임의 성분에 대해서, 함유량이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임의 원소를 하한값 미만 포함하는 경우는 불가피적 불순물로서 취급한다.The remainder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is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dditionally, if the content of the above-mentioned optional elements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Therefore, if these optional elements are contained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y are treated as unavoidable impurities.

[강 조직] [strong organization]

다음으로, 고강도 강판의 강 조직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steel structure of the high-strength steel plate will be explained.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면적률의 합계가 95% 이상 Martensite and Bainite: Total area ratio is 95% or more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모두 경질상이고, 1180㎫ 이상의 TS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 때문에,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는 95% 이상으로 한다.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96% 이상이다.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라도 좋다.Both martensite and bainite are hard phases, and are required to achieve a TS of 1180 MPa or more. Therefore, the total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is set to 95% or more. The total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is preferably 96%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100%.

강 조직은,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이외의 잔부 조직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잔부 조직으로서는, 페라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시멘타이트를 들 수 있다. 잔부 조직은, 면적률의 합계로 5% 이하로 한다.The steel structure may contain residual structures other than martensite and bainite. The remaining structure includes ferrite, retained austenite, and cementite. The remaining structure is set to 5% or less in total area ratio.

여기에서, 각 조직의 면적률은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면적률은, 각 강판으로부터 채취한 시험편에 있어서, 강판의 판두께 1/4t 위치까지 압연면을 화학 연마하고, X선 회절 장치(X-ray diffraction: XRD)로 연마면의 X선 회절 강도 및 회절 피크 위치를 측정하여 체적률을 산출하고, 그 숫자를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면적률로 한다. 이어서 각 강판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판두께 단면을 연마 후, 3% 나이탈로 부식하고, 판두께 1/4t 위치를 관찰면으로 한다. 관찰면에 대해서, 배율 2000배로 3시야의 SEM상을 촬영한다. 얻어진 SEM상에 대해서, 화상 해석에 의해 마르텐사이트와 베이나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합계한 면적률 및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이외의 조직(페라이트, 시멘타이트)의 면적률을 구한다. 화상 해석에 의해 얻어진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면적률로부터, XRD에 의해 얻어진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면적률을 뺌으로써,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을 구한다. 3시야의 평균값을 조직의 면적률로 한다.Here, the area ratio of each tissue is measured as follows. The area ratio of retained austenite was determined by chemically polishing the rolled surface to a position of 1/4t of the sheet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in the test piece collected from each steel sheet, and measuring the X of the polished surface using an X-ray diffraction (XRD) device. The line diffraction intensity and diffraction peak position are measured to calculate the volume ratio, and the number is taken as the area ratio of retained austenite. Next,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thickness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of each steel sheet is polished and then corroded with 3% nital, and the position of 1/4t of the sheet thickness is used as the observation surface. For the observation surface, SEM images of 3 fields of view are taken at a magnification of 2000 times. For the obtained SEM image, the area ratio of the sum of martensite,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and the area ratio of structures other than martensite,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ferrite, cementite) are determined through image analysis. The area ratios of martensite and bainite ar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rea ratio of retained austenite obtained by XRD from the area ratios of martensite,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obtained by image analysis. The average value of the three fields of view is taken as the area ratio of the tissue.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 10㎛ 이하 Average grain size of old austenite grains: 10㎛ or less

결정 입경을 미세화하여 균열 진전 경로를 복잡화함으로써, 인성 및 굽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추가로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강화함으로써 항복 강도를 올리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을 1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9㎛ 이하이다.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산 기술 상의 관점에서,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refining the crystal grain size and complicating the crack propagation path, toughness and bendability can be improved. Additionall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yield strength by refining and strengthening the crystal grains. In order to obtain these effect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prior austenite grains needs to be 10 μm or les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s preferably 9 μm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μ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technology.

여기에서,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은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각 강판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판두께 단면을 연마 후 피크럴(picral)로 부식하고, 판두께 1/4t 위치의 마이크로 조직을 배율 2000배로 3시야 SEM상을 3시야 촬영한다. 얻어진 조직 화상으로부터 화상 해석에 의해 각 구오스테나이트립의 입경을 구하고, 3시야의 평균값을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으로 한다.Here,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s measured as follows. The cross-section of the sheet thickness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of each steel sheet is polished and then picral etched, and the microstructure at 1/4t of the sheet thickness is photographed in 3 views at a magnification of 2000x. From the obtained tissue image, the grain size of each old austenite grain is determined by image analysi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hree views is taken a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 질량%로 0.10% 이상 B concentration at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0.10% or more in mass%

B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함으로써 입계를 강화하여, 인성 및 굽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가 질량%로 0.10% 이상이면, 당해 효과가 얻어진다.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질량%로 0.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다.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의 상한은 형성하지 않지만, 경질의 탄붕화물이 입계 상에 석출하는 것을 적합하게 막아, 인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이다.B can strengthen the grain boundaries by segregating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thereby improving toughness and bendability. If the B concentration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y is 0.10% or more in mass%, the effect is obtained. The B concentration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y is preferably 0.15% or more in mass%, more preferably 0.20% or more. There is no upper limit to the B concentration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but it is preferably less than 20% because it appropriately prevents hard carbon boride from precipitating on the grain boundaries and further improves toughness.

여기에서,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구오스테나이트 입계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SEM-FIB(Focused Ion Beam: 집광 빔)법으로 침상 시료를 제작한다. 얻어진 침상 시료에 대해서, 3차원 아톰 프로브(3Dimensional Atom Probe: 3DAP) 장치(LEAP4000XSi, AMETEK제)를 이용하여 3DAP 분석을 행한다. 측정은 레이저 모드로 행한다. 구오스테나이트 입계로부터 검출한 B 이온수와 그 외의 이온수로부터,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를 구한다.Here, the B concentration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y is measured as follows. A needle sample is produced from the area containing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using the SEM-FIB (Focused Ion Beam) method. The obtained needle sample is subjected to 3DAP analysis using a 3Dimensional Atom Probe (3DAP) device (LEAP4000XSi, manufactured by AMETEK). Measurements are performed in laser mode. The B concentration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is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B ions detected from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the number of other ions.

C 농화 영역 C thickening area

마르텐사이트 입계 및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사이에 두는 모상을 C 농화에 의해 강화함으로써, 굽힘성 및 항복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마르텐사이트 입계」는,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에 존재하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 블록 입계 및 패킷 입계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에, C 농화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A)는, 블록 입계 및 패킷 입계에 존재하는 C 농화 영역의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존재하는 C 농화 영역의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B)에 있어서, 각각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EM)에서의 관찰 결과의 일 예이고, 도면 중앙에 마르텐사이트 입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STEM에서의 C 농화량의 관찰 결과의 일 예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라,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사이에 두는 모재에 걸쳐 C 농화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By strengtheni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and the parent phase sandwichi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by C enrichment, bendability and yield ratio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artensite grain boundaries” includes all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block grain boundaries, and packet grain boundaries that exist in martensite and bainite.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enriched region. Fig. 1(A) is a diagram showing the observation results of C-enriched regions present at block grain boundaries and packet grain boundaries. FIG. 1(B) is a diagram showing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e C-enriched region existing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y. In Figures 1 (A) and (B), the drawings shown on the left are an example of the observation results from a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EM), and a martensite grain boundary exists in the center of the drawing. You can see that The figure shown on the right is an example of the observation results of C enrichment in STEM. From these figures, it can be seen that a C-enriched region exists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and across the base material sandwichi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C 농화 영역의 C 농도: 강 중의 C 함유량의 4.0배 이상C concentration in C-enriched area: 4.0 times or more than the C content in steel

C 농화 영역에 있어서, 강 중의 C 함유량의 4.0배 이상으로 C가 농화함으로써, 충분한 결정 입계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즉, C 농화 영역의 C 농도는, 하기식 (2)를 충족한다.In the C-enriched region, sufficient grain boundary strength can be obtained by concentrating C to 4.0 times or more than the C content in the steel. That is, the C concentration in the C-enriched region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2).

C 농화 영역의 C 농도(질량%)/강 중의 C 함유량(질량%)≥4.0…(2) C concentration (mass %) in C enriched area/C content in steel (mass %) ≥ 4.0... (2)

C 농화 영역의 C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강 중의 C 함유량의 4.5배 이상이다. C 농화 영역의 C 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형성하지 않지만, 시멘타이트의 석출을 적합하게 막아 고용C 농도의 저하를 적합하게 막기 위해, C 농도가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 concentration in the C-enriched region is preferably 4.5 times or more than the C content in the steel. There is no particular upper limit to the C concentration in the C enriched region, but in order to appropriately prevent precipitation of cementite and appropriately prevent a decrease in the solid solution C concentration, the C concentration is preferably 6% or less.

C 농화 영역: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3㎚ 이상 100㎚ 이하의 농화 폭 C enrichment area: Enrichment width of 3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 입계만이 아니라,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사이에 두는 모상까지 C 농화에 의해 강화함으로써, 굽힘성 및 항복비의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C 농화 영역을,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3㎚ 이상 100㎚ 이하의 농화 폭으로 존재시킨다. C 농화 영역의 농화 폭이 3㎚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가 작다. 한편으로, C 농화 영역의 폭이 100㎚ 초과에서는 C를 입계 및 입계 근방에 충분히 농화시킬 수 없다. C 농화 영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또한, C 농화 영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As shown in FIG. 1, the bendability and yield ratio can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not only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but also the parent phase sandwichi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by C enrichment. Therefore, the C-enriched region is made to exist with an enrichment width of 3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When the enrichment width of the C enrichment area is less than 3 nm, the above effect is small. 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of the C-enriched region exceeds 100 nm, C cannot be sufficiently concentrated at grain boundaries and near grain boundaries. The width of the C-enriched region is preferably 3.5 nm or more.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C-enriched region is preferably 80 nm or less.

C 농화 영역: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100㎚ 이상의 길이 C enrichment region: length of 100 nm or mo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우수한 굽힘성 및 항복비를 얻기 위해, C 편석에 의해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네트워크상으로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C 농화 영역을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100㎚ 이상의 길이 존재시킨다. C 농화 영역이 100㎚ 미만에서는, C 농화 영역의 절목으로부터 파괴나 항복이 발생한다. C 농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120㎚ 이상의 길이 존재한다. C 농화 영역의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른 길이의 상한은 없고, 마르텐사이트 입계의 전체 길이를 덮도록 C 농화 영역이 존재해도 좋다.To obtain excellent bendability and yield ratio,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into a network by C segregation. Therefore, the C-enriched region is made to have a length of 100 nm or mo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When the C-enriched area is less than 100 nm, destruction or yielding occurs from the nodes in the C-enriched area. The C-enriched region preferably has a length of 120 nm or mor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There is no upper limit to the length of the C-enriched region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and the C-enriched region may exist so as to c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여기에서, C 농화 영역의 C 농도, 농화 폭 및 길이는,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포함하는 영역으로부터, SEM-FIB법으로 박막 시료를 작성하고, STEM과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에 의해, C의 면 분석을 행한다. 분석에는, 분석 투과 전자 현미경 Talos F200X(FEI 제조)를 이용한다. 마르텐사이트 입계가 전자선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박막 시료를 경사하고, 200×500㎚의 영역의 면 분석을 행한다.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르는 방향)의 분석 길이를 500㎚로 한다. 마르텐사이트 입계와 평행 방향으로 면 분석 데이터를 적산하고, 마르텐사이트 입계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길이 200㎚의 라인 프로파일을 얻는다. C 농도의 라인 프로파일에 있어서, 라인 프로파일의 최대값의 반값을 구하고,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반값 이상이 된 폭을 C 농화 영역의 농화 폭으로 한다. 당해 농화 폭에 대해서, EDS의 정량 분석을 행하고, C 농화 영역의 C 농도를 정량한다. 또한, C의 면 분석으로,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 방향으로 C 농화 영역의 길이를 측장하여,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른 C 농화 영역의 길이로 한다.Here, the C concentration, enrichment width, and length of the C-enriched region are measured as follows. A thin film sample is created from the area containi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by the SEM-FIB method, and C plane analysis is performed by ST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For analysis, an analytic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alos F200X (manufactured by FEI) is used. The thin film sample is tilted so that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are parallel to the electron beam, and surface analysis is performed in an area of 200 × 500 nm. The analysis length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direction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is set to 500 nm. The surface analysis data is integr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and a line profile with a length of 200 nm is obtai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In the C concentration line profile, the half value of the maximum value of the line profile is obtained, and the width of the line profile that is more than half value is taken as the enrichment width of the C enrichment region. For the enrichment range, quantitative analysis of EDS is performed to quantify the C concentration in the C enrichment area. Additionally, through C plane analysis, the length of the C-enriched region is measur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and is set as the length of the C-enriched region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 강도 1180㎫ 이상의 고강도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강도 강판의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250㎫ 이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can be provid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high-strength steel plate is preferably 1250 MPa or more.

전술한 고강도 강판은, 적어도 편면에 도금층을 가져도 좋다. 도금층으로서는 용융 아연 도금층,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층 및, 전기 아연 도금층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도금층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조성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igh-strength steel sheet may have a pl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As the plating layer, any one of a hot-dip galvanized layer, an alloyed hot-dip galvanized layer, and an electric galvanized layer is preferable. The composition of the pla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 known composition.

용융 아연 도금층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것이면 좋다. 일 예에 있어서는, 도금층은, Fe: 20질량% 이하, Al: 0.0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추가로, Pb, Sb, Si, Sn, Mg, Mn, Ni, Cr, Co, Ca, Cu, Li, Ti, Be, Bi 및, RE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질량% 이상 3.5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다. 도금층이 용융 아연 도금층인 경우에는, 일 예에 있어서는 도금층 중의 Fe 함유량이 7질량% 미만이고,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층인 경우에는, 일 예에 있어서는 도금층 중의 Fe 함유량은 7질량% 이상 1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 13질량% 이하이다.The composition of the hot-dip galvanized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general composition may be sufficient. In one example, the plating layer contains Fe: 20 mass% or less, Al: 0.00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and further contains Pb, Sb, Si, Sn, Mg, Mn, Ni, Cr, Co, A composition containing a total of 0% by mass or more and 3.5% by mass or less of one or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 Cu, Li, Ti, Be, Bi, and REM, with the balance consisting of Zn and inevitable impurities. have When the plating layer is a hot-dip galvanized layer, in one example, the Fe content in the plating layer is less than 7% by mass, and when the plating layer is an alloyed hot-dip galvanized layer, in one example, the Fe content in the plating layer is 7% by mass or more and 15%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8 mass% or more and 13 mass% or less.

도금의 부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강도 강판의 편면당의 도금 부착량을 20∼8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있어서, 도금층은, 고강도 강판의 표리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The amount of plat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plating per side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is 20 to 80 g/m2. In one example, the plating layer is formed on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a high-strength steel sheet.

다음으로,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steel sheets will be described.

먼저, 전술한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제조한다. 우선 강 소재를 용제(smelt)하여 상기 성분 조성을 갖는 용강(molten steel)으로 한다. 용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로 용제나 전기로 용제 등, 공지의 용제 방법의 어느 것이든 적합하다. 얻어진 용강을 굳혀 강 슬래브(슬래브)를 제조한다. 용강으로부터 강 슬래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속 주조법, 조괴법 또는 박(thin)슬래브 주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강 슬래브는 일단 냉각한 후 재차 가열하고 나서 열간 압연을 실시해도 좋고, 주조한 강 슬래브를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열간 압연해도 좋다. 슬래브 가열 온도는, 압연 부하 및 스케일의 발생을 고려하여, 11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3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브 가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법(conventional method)에 따라 가열로에서 가열할 수 있다.First, a steel slab hav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composition is manufactured. First, the steel material is smelted to obtain molten steel having the above composition. The solvent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solvent method, such as a converter solvent or an electric furnace solvent, is suitable. The obtained molten steel is solidified to produce a steel slab.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lab from molten ste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tinuous casting, ingot method, or thin slab casting method can be used. The steel slab may be cooled once and then heated again before hot rolling, or the cast steel slab may be continuously hot rolled without cooling to room temperature. The slab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set to 1100°C or higher, and is preferably set to 1300°C or lower, considering rolling load and scale generation. The method of heating the sla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it can be heated in a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열간 압연 공정] [Hot rolling process]

이어서, 슬래브 가열된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판으로 한다. 열간 압연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법에 따라 행하면 좋다. 열간 압연 후의 냉각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권취 온도까지 냉각한다. 이어서, 열연판을 코일에 권취한다. 권취 온도는 4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온도가 400℃ 이상이면, 열연판의 강도가 상승하는 일 없이 권취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권취 온도는 5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스케일이 두껍게 생성하는 것을 적합하게 막아, 수율을 보다 향상하기 위해, 권취 온도는 7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 세정 전에, 연질화를 목적으로 하여 열연판에 열처리를 행해도 좋다.Next, the heated steel slab is hot rolled to form a hot rolled sheet.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hot rolling, and i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commercial methods. Cooling after hot rolling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cooled to the coiling temperature. Next, the hot rolled sheet is wound into a coil. 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400°C or higher. This is because if the coiling temperature is 400°C or higher, coiling becomes easy without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hot-rolled sheet. The coiling temperature is more preferably 550°C or higher. In addition, in order to appropriately prevent the formation of thick scale and further improve the yield, 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set to 750°C or lower. Additionally, before acid cleaning,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hot-rolled sheet for the purpose of softening it.

[산 세정 공정] [Acid washing process]

임의로, 코일에 권취한 열연판의 스케일을 제거한다.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케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열연 코일을 되감으면서 산 세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세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법에 따르면 좋다.Optionally, the scale of the hot rolled sheet wound into a coil is removed. The method for removing sca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rder to completely remove scal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cid cleaning while rewinding the hot rolled coil. The acid was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mmercial methods may be used.

[냉간 압연 공정] [Cold rolling process]

임의로 스케일을 제거한 열연판을 적절히 세정한 후,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으로 한다. 냉간 압연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법에 따르면 좋다.After the hot-rolled sheet from which scale has been arbitrarily removed is properly cleaned, it is cold-rolled to obtain a cold-rolled sheet. The method of cold roll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mmercial methods may be used.

[어닐링 공정] [Annealing process]

이어서, 냉연판을, 850℃ 이상 920℃ 이하의 제1 가열 온도까지 가열하여 10s 이상 보존유지하고, 이어서, 1000℃ 이상 1200℃ 이하의 제2 가열 온도까지 50℃/s 이상의 평균 가열 속도로 승온하고, 당해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 5초 이내에, 냉각 속도 5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500℃ 이하까지 냉각하는, 어닐링 공정을 행한다.Next, the cold-rolled sheet is heated to a first heating temperature of 850°C or more and 920°C or less and maintained for 10 s or more, and then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 second heating temperature of 1000°C or more and 1200°C or less at an average heating rate of 50°C/s or more. Then, an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within 5 seconds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cooling to 500°C or lower at a cooling rate of 50°C/s or more.

850℃ 이상 920℃ 이하의 제1 가열 온도 First heating temperature of 850℃ or higher and 920℃ or lower

이어서, 냉연판을, 850℃ 이상 920℃ 이하의 제1 가열 온도까지 가열하여 10s 이상 보존유지한다.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주체의 조직을 얻기 위해,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의 제1 가열 온도에서 어닐링을 행한다. 제1 가열 온도가 850℃ 미만에서는, 페라이트가 생성하여 강도가 저하한다. 한편, 제1 가열 온도가 920℃ 초과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0㎛를 초과하여, 이후의 공정에서는 세립화할 수 없기 때문에, 굽힘성 및 인성 및 항복비가 저하한다. 제1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60℃ 이상이다. 또한, 제1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00℃ 이하이다.Next, the cold-rolled sheet is heated to a first heating temperature of 850°C or higher and 920°C or lower and maintained for 10 seconds or longer. In order to obtain martensite and bainite-based structures, annealing is performed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n the austenite single phase region. If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850°C, ferrite is formed and the strength de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exceeds 920°C, the austenite grain size exceeds 10 μm and cannot be refined in subsequent processes, thereby reducing bendability, toughness, and yield ratio.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860°C or higher. Moreover,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900°C or lower.

제1 가열 온도에서의 보존유지 시간: 10s 이상 Preservation time at first heating temperature: 10 s or more

제1 가열 온도에 있어서의 보존유지 시간은, 10s 이상으로 한다. 제1 가열 온도에서 10s 이상 보존유지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입경의 성장과, Nb 탄화물에 의한 핀 고정 혹은 고용에 의한 성장 억제가 균형 잡힌다. 보존유지 시간이 10s 미만에서는 오스테나이트립이 성장 도중이고, 계속되는 급속 가열 중에 Nb 탄화물에 의한 핀 고정 혹은 고용에 의한 성장 억제의 효과가 발현하지 않고,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0㎛를 초과한다. 제1 가열 온도에 있어서의 보존유지 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제1 가열 온도에 있어서의 보존유지 시간은 60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열 온도에 있어서의 보존유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0s 이상이다.The preservation time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10 s or more. By holding the material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for 10 seconds or more, the growth of austenite grain size and the growth inhibition due to pinning or solid solution by Nb carbide are balanced. If the holding time is less than 10 s, the austenite grains are in the middle of growth, and the effect of pinning by Nb carbide or inhibiting growth by solid solution does not occur during continued rapid heating, and the old austenite grain size exceeds 10 μm. The upper limit of the preservation time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the preservation time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60 s or less. The preservation time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s or more.

1000℃ 이상 1200℃ 이하의 제2 가열 온도 Second heating temperature of 1000℃ or higher and 1200℃ or lower

제1 가열 온도에서의 보존유지 후, 오스테나이트 입계를 10㎛ 이하로 유지한 채로 고온에서 어닐링하여, B를 충분한 양 입계 편석시킨다. 제2 가열 온도가 1000℃ 미만에서는 B의 확산이 느려, 입계 편석이 불충분하다. 제2 가열 온도가 1200℃ 초과에서는 오스테나이트립의 성장이 빨라,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0㎛ 초과가 된다. 제2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20℃ 이상으로 한다. 제2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150℃ 이하이다.After preservation at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annealing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while maintaining the austenite grain boundaries at 10 μm or less to segregate a sufficient amount of B at the grain boundaries. If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1000°C, diffusion of B is slow and grain boundary segregation is insufficient. When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exceeds 1200°C, the growth of austenite grains is rapid, and the austenite grain size exceeds 10 μm.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020°C or higher.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150°C or lower.

평균 가열 속도: 50℃/s 이상 Average heating rate: more than 50℃/s

제1 가열 온도에서 제2 가열 온도까지의 평균 가열 속도는 50℃/s 이상으로 한다. 제1 가열 온도에서 제2 가열 온도까지의 평균 가열 속도가 50℃/s 미만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0㎛ 초과까지 성장한다. 제1 가열 온도에서 제2 가열 온도까지의 평균 가열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과도한 급속 가열은 제어가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20℃/s 이하로 한다. 제1 가열 온도에서 제2 가열 온도까지의 평균 가열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80℃/s 이상이다.The average heating rate from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to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50°C/s or more. When the average heating rate from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to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50°C/s, the austenite grain size grows to more than 10 μm.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heating rate from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to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20°C/s or less because excessively rapid heating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verage heating rate from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to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80°C/s or more.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 5초 이내에, 500℃ 이하까지 5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 Cooling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50℃/s or more to 500℃ or less within 5 seconds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제2 가열 온도까지 도달 후는, 당해 제2 가열 온도로 보존유지하는 일 없이,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 5초 이내에 급냉을 개시하고, 5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500℃ 이하까지 급냉을 행한다. 이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입경 10㎛ 이하에서 B가 0.1% 이상 입계 편석한 강 조직을 얻을 수 있다. 제2 가열 온도로 보존유지하면, 입성장(grain growth)이 신속하게 시작되기 때문에,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 곧바로 냉각을 개시한다.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without maintaining it at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rapid cooling is started within 5 seconds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and rapid cooling is performed to 500°C or lower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50°C/s or more.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eel structure in which 0.1% or more of B is grain boundary segregated at an austenite grain size of 10 μm or less. When maintained at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grain growth begins quickly, so cooling is started immediately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평균 냉각 속도: 50℃/s 이상 Average cooling rate: more than 50℃/s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의 냉각에 있어서, 제2 가열 온도에서 500℃ 이하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는 50℃/s 이상으로 한다. 제2 가열 온도에서 500℃ 이하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50℃/s 미만에서는, 냉각 중에 입성장이 발생한다. 제2 가열 온도에서 500℃ 이하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20℃/s 이하로 한다. 제2 가열 온도에서 500℃ 이하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80℃/s 이상으로 한다.In cooling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o 500°C or lower is 50°C/s or more. If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o 500°C or lower is less than 50°C/s, grain growth occurs during cooling.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o 500°C or low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20°C/s or lower to facilitate control.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o 500°C or lower is preferably 80°C/s or higher.

냉각 정지 온도: 500℃ 이하 Cooling stop temperature: below 500℃

또한, 페라이트 변태를 억제하기 위해, 500℃ 이하의 냉각 정지 온도까지 급냉을 행한다. 냉각 정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50℃ 이하로 한다. 냉각 정지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n order to suppress ferrite transformation, rapid cooling is performed to a cooling stop temperature of 500°C or lower. The cooling stop temperature is preferably 450°C or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cooling stop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0°C or higher.

전술한 어닐링 공정 후, 재가열 공정의 전에, 고강도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고, 고강도 도금 강판을 얻는, 도금 공정을 행해도 좋다. 도금 공정 후에 고강도 도금 강판에 가열 처리를 행하여 고강도 도금 강판의 도금층을 합금화하고, 합금화 도금 강판을 얻어도 좋다.After the above-described annealing process and before the reheating process, a pl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a plating treatment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to obtain 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fter the plating process, the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may be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o alloy the plating layer of the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an alloyed plated steel sheet may be obtained.

어닐링 공정 후, 신장률 0.5% 이상의 압연 가공을 실시하는 압연 공정 After the annealing process, rolling process is carried out with an elongation of 0.5% or more.

전술한 어닐링 공정 후, 냉연판을 신장률 0.5% 이상으로 압연하여 제2 냉연판을 얻는, 압연 공정을 행한다. 여기까지의 공정에서 얻어진 냉연판은 가동 전위를 많이 포함한다. 본 압연 공정에 의해, 가동 전위가 입계에 집적하여 서로 얽혀 부동 전위가 된다. 신장률이 0.5% 미만에서는 효과가 작다.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신장률은,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으로 한다.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신장률의 상한은 특별히 형성하지 않지만, 설비로의 부하를 보다 저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2% 이하가 바람직하다.After the annealing process described above, a roll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cold-rolled sheet is rolled to an elongation of 0.5% or more to obtain a second cold-rolled sheet. The cold-rolled sheet obtained through the processes up to this point contains many moving dislocations. Through this rolling process, movable dislocations accumulate at the grain boundaries and become entangled with each other to become immobile dislocations. If the elongation rate is less than 0.5%, the effect is small. The elongation rate in the rolling process is preferably 0.6% or more. There is no particular upper limit to the elongation rate in the rolling process, but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load on equipment, for example, 2% or less is preferable.

상기 압연 공정 후, 제2 냉연판을 70℃ 이상 200℃ 이하의 재가열 온도로 600s 이상 보존유지하는 재가열 공정 After the rolling process, a reheating process of maintaining the second cold rolled sheet at a reheating temperature of 70°C or more and 200°C or less for 600s or more.

전술한 압연 공정 후는, 입계 근방에 집적한 전위 상에 C를 편석하고, 혹은 클러스터 생성시키기 위해, 저온에서 제2 냉연판을 템퍼링한다. 재가열 온도가 70℃ 미만에서는 C의 확산이 느려, 충분한 양까지 C가 입계 근방에 농화하지 않는다. 한편, 재가열 온도가 200℃ 초과에서는 과도하게 템퍼링이 진행되어, 시멘타이트가 석출한다. 입계에 석출한 시멘타이트는 파괴 기점이 되기 쉽고, 또한 시멘타이트 주위의 모상의 C 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굽힘성 및 인성이 저하한다. 재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으로 한다. 또한, 재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로 한다.After the above-described rolling process, the second cold-rolled sheet is tempered at a low temperature in order to segregate C on dislocations accumulated near grain boundaries or generate clusters. If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70°C, diffusion of C is slow, and C does not concentrate near the grain boundaries to a sufficient amount. On the other hand, if the reheating temperature exceeds 200°C, excessive tempering proceeds and cementite precipitates. Cementite precipitated at the grain boundary easily becomes a fracture origin, and the C concentration of the matrix around the cementite de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bendability and toughness.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90°C or higher. Additionally,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90°C or lower.

재가열 온도에서의 보존유지 시간: 600s 이상 Preservation time at reheating temperature: 600s or more

재가열 온도에서의 보존유지 시간이 600s 미만에서는, C의 확산이 느려, 충분한 양의 C 농화가 얻어지지 않는다. 재가열 온도에서의 보존유지 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시멘타이트의 석출을 막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43200s(0.5일) 이하이다. 재가열 온도에서의 보존유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800s 이상이다.If the storage time at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600 s, diffusion of C is slow, and a sufficient amount of C concentration cannot be obtained. The upper limit of the storage time at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43200 s (0.5 day) or less to prevent precipitation of cementite. The preservation time at the re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800 s or more.

또한, 상기 압연 공정을 행하지 않고 재가열한 경우, 입계에는 C가 편석하여 인성이 향상하지만, 그 농화 폭이 가늘고 입계 이외는 강화되지 않기 때문에, 굽힘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전위가 가동 전위인 채가 되어 YR이 뒤떨어진다.In addition, when reheating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rolling process, C segregates at the grain boundaries and toughness improves, but because the concentration range is narrow and no strengthening occurs except at the grain boundaries, bendability is inferior. Additionally, the potential remains at the movable potential and YR lags behind.

또한, 상기한 조건 이외의 제조 조건은, 상법에 따를 수 있다.Additionally, manufacturing condi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may follow commercial methods.

[부재] [absence]

전술한 고강도 강판 또는 고강도 도금 강판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고강도 강판 또는 고강도 도금 강판을, 일 예에 있어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목적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자동차 부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부품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고강도 강판 또는 고강도 도금 강판 이외의 강판을, 소재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TS가 1180㎫ 이상이고, 굽힘성, 인성 및, 고항복비를 겸비한 고강도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차체의 경량화에 기여하는 자동차 부품으로서 적합하다. 본 고강도 강판 또는 고강도 도금 강판은, 자동차 부품 중에서도, 특히, 골격 구조 부품 또는 보강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부재 전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mber made of at least part of the above-described high-strength steel sheet or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In one example, the above-described high-strength steel sheet or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can be formed into a desired shape by press working to make automobile parts. Additionally, the automobile parts may contain steel sheets other than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or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a materi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a TS of 1180 MPa or more and which has bendability, toughness, and a high yield ratio. Therefore, it is suitable as an automobile part that contributes to reducing the weight of the automobile body. This high-strength steel sheet or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can be suitably used in all automotive parts, especially members used as skeletal structural parts or reinforcement parts.

실시예Example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을 갖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전로로 용제하여, 강 슬래브로 했다. 얻어진 슬래브를 재가열하여 열간 압연을 행하고,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얻었다. 이어서, 열연 코일을 되감으면서 산 세정 처리를 실시하고, 냉간 압연을 행했다. 열연판의 판두께는 3.0㎜, 냉연판의 판두께는 1.2㎜로 했다. 어닐링은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에서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행하여, 냉연 강판, 용융 아연 도금 강판(GI) 및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GA)을 얻었다.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460℃의 도금욕 중에 침지하고, 편면당 35g/㎡의 도금 부착량으로 했다.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은 편면당 45g/㎡의 도금 부착량으로 조정 후, 520℃에서 40s 보존유지하는 합금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했다. 얻어진 강판에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압연 가공 및 재가열 처리를 행했다.Steel with the component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and the balance consisting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was melted in a converter to make a steel slab. The obtained slab was reheated, hot rolled, and wound to obtain a hot rolled coil. Next, acid cleaning treatment was performed while rewinding the hot rolled coil, and cold rolling was performed. The sheet thickness of the hot-rolled sheet was 3.0 mm, and the sheet thickness of the cold-rolled sheet was 1.2 mm. Annealing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in a continuous hot-dip galvanizing line to obtain cold-rolled steel sheets,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s (GI), and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s (GA).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as immersed in a plating bath at 460°C, and the plating adhesion amount per side was 35 g/m2. The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plating amount to 45 g/m2 per side and then performing alloying treatment with storage at 520°C for 40 s. The obtained steel sheet was subjected to rolling processing and reheating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얻어진 강판에 대해서, 전술한 방법에 따라,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 구오스테나이트 입경,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있어서의 C 농화 영역의 C 농도(mass%)/강 중의 C 함유량(mass%), C 농화 영역의 농화 폭, C 농화 영역의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른 길이를 평가했다. 또한,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인장 강도, 항복비, 인성 및 굽힘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For the obtain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sum of the area ratios of martensite and bainite, the old austenite grain size, the B concentration at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and the C concentration (mass%) in the C-enriched region at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C content (mass%) in the steel, enrichment width of the C-enriched region, and length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of the C-enriched region were evaluated. In addition, tensile strength, yield ratio, toughness, and bendabilit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lat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인장 시험] [Tensile test]

얻어진 강판에 대하여 JIS Z 2241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을 행했다. 압연 방향과 직교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JIS5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고, 인장 시험을 행하여 인장 강도(TS)와 항복 강도(YS)를 측정했다. 인장 강도 TS가 1180㎫ 이상이면 인장 강도가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항복 강도와 인장 강도의 비 YR=YS/TS가 0.80 이상이면 고항복비로 했다.A tensile test was performed on the obtained steel sheet in accordance with JIS Z 2241. A JIS5 tensile test piece was collected with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tensile strength (TS) and yield strength (YS). If the tensile strength TS was 1180 MPa or more, the tensile strength was judged to be good. Additionally, if the ratio YR=YS/TS of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was 0.80 or more, it was considered a high yield ratio.

[샤르피 시험] [Charpy test]

샤르피 충격 시험은, JIS Z 2242에 준거하여 행했다.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강판의 압연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 V 노치 부여 방향이 되도록, 폭이 10㎜, 길이가 55㎜, 길이의 중앙부에 노치 깊이가 2㎜가 되도록 90°의 V 노치를 부여한 시험편을 채취했다. 그 후, -120∼+120℃의 시험 온도역에서 샤르피 충격 시험을 행했다. 얻어진 취성 파면율로부터 전이 곡선을 구하고, 취성 파면율이 50%가 되는 온도를 취성-연성 전이 온도라고 결정했다. 또한, 샤르피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취성-연성 전이 온도가 -40℃ 이하인 경우를 인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표 중에서는, 취성-연성 전이 온도가 -40℃ 이하인 경우를 인성이 「우수」, 취성-연성 전이 온도가 -40℃ 초과인 경우를 인성이 「뒤떨어짐」으로 하여 나타냈다.The Charpy impact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JIS Z 2242. From the obtained steel sheet, a 90° V notch was created so that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was the V notch application direction, the width was 10 mm, the length was 55 mm, and the notch depth was 2 mm in the center of the length. collected. After that, a Charpy impact test was performed in a test temperature range of -120 to +120°C. A transition curve was obtained from the obtained brittle fracture ratio,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rittle fracture ratio was 50% was determined to be the brittle-ductile transition temperature. In addition, toughness was judged to be good when the brittle-ductile transition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Charpy test was -40°C or lower. In the table, when the brittle-ductile transition temperature is -40°C or lower, the toughness is indicated as "excellent," and when the brittle-ductile transition temperature is above -40°C, the toughness is indicated as "poor."

[굽힘 시험] [Bending test]

굽힘 시험은, JIS Z 2248에 준거하여 행했다. 얻어진 강판으로부터, 강판의 압연 방향에 대하여 평행 방향이 굽힘 시험의 축방향이 되도록, 폭이 30㎜, 길이가 100㎜의 직사각 형상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그 후, 압입 하중을 100kN, 가압 보존유지 시간을 5초로 하는 조건으로, 90° V 굽힘 시험을 행했다. 또한, 굽힘성은 굽힘 시험의 합격률로 평가하고, 굽힘 반경(R)을 판두께(t)로 나눈 값 R/t가 5 이하가 되는 최대의 R(예를 들면, 판두께가 1.2㎜인 경우, 굽힘 반경은 7.0㎜)에 있어서, 5샘플의 굽힘 시험을 실시하고, 이어서, 굽힘 정점의 능선부에 있어서의 균열 발생 유무의 평가를 행하고, 5샘플 모두 깨지지 않는 경우, 즉, 합격률 100%인 경우만, 굽힘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표 중에서는, 합격률 100%인 경우만, 굽힘성이 「우수」, 그 외인 경우를 굽힘성이 「뒤떨어짐」으로 하여 나타냈다. 여기에서, 균열 발생 유무는, 굽힘 정점의 능선부를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RH-2000: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록스 제조)를 이용하여, 40배의 배율로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The bending test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JIS Z 2248. From the obtained steel sheet, a rectangular test piece with a width of 30 mm and a length of 100 mm was taken so that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was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nding test. After that, a 90°V bending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a press load of 100 kN and a press hold time of 5 seconds. In addition, bendability is evaluated by the passing rate of the bending test, and the maximum R at which the bending radius (R) divided by the plate thickness (t), R/t, is 5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plate thickness is 1.2 mm, At a bending radius of 7.0 mm), a bending test is performed on 5 samples, and t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in the ridge portion of the bending apex is evaluated. If all 5 samples are not cracked, that is, the pass rate is 100%. However, it was judged that the bendability was good. In the table, only cases where the passing rate was 100% were indicated as “excellent” in bendability, and other cases were indicated as “poor” in bendability. He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ack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ridge portion of the bending peak at a magnification of 40 times using a digital microscope (RH-2000: manufactured by Hyrox Co., Lt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예에서는 TS가 1180㎫ 이상이고, 항복비가 0.80 이상이고, 굽힘성 및 인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TS, 항복비, 굽힘성 및 인성의 어느 하나 이상이 뒤떨어져 있다.From Table 3, in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TS is 1180 MPa or more, yield ratio is 0.80 or more, and bendability and toughness are excell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one or more of TS, yield ratio, bendability, and toughness were inferior.

Claims (7)

질량%로,
C: 0.10% 이상 0.30 이하,
Si: 0.20% 이상 1.20% 이하,
Mn: 2.5% 이상 4.0% 이하,
P: 0.050% 이하,
S: 0.020% 이하,
Al: 0.10% 이하,
N: 0.01% 이하,
Ti: 0.100% 이하,
Nb: 0.002% 이상 0.050% 이하 및
B: 0.0005% 이상 0.0050% 이하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하기식 (1)을 만족하는 성분 조성을 갖고,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면적률의 합계가 95% 이상이고,
구오스테나이트립의 평균 결정 입경이 10㎛ 이하이고,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의 B 농도가 질량%로 0.10% 이상이고,
마르텐사이트 입계를 따라 C 농화 영역을 갖고,
상기 C 농화 영역의 C 농도가 강 중의 C 함유량의 4.0배 이상이고,
상기 마르텐사이트 입계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3㎚ 이상 100㎚ 이하의 농화 폭을 갖고, 또한 상기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100㎚ 이상의 길이를 갖는, 고강도 강판.
([%N]/14)/([%Ti]/47.9)<1.0…(1)
식 (1)에 있어서, [%N] 및 [%Ti]는 각각 N 및 Ti의 강 중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In mass%,
C: 0.10% or more and 0.30 or less,
Si: 0.20% or more and 1.20% or less,
Mn: 2.5% or more and 4.0% or less,
P: 0.050% or less,
S: 0.020% or less,
Al: 0.10% or less,
N: 0.01% or less,
Ti: 0.100% or less,
Nb: 0.002% or more and 0.050% or less and
B: 0.0005% or more and 0.0050% or less
Contains, the balance consists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has a component composition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The total area ratio of martensite and bainite is 95% or more,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s 10㎛ or less,
The B concentration of the old austenite grain boundaries is 0.10% or more in mass%,
There is a C-enriched region along the martensite grain boundary,
The C concentration in the C-enriched area is 4.0 times or more than the C content in the steel,
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a thickening width of 3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and a length of 100 nm or mor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rtensite grain boundaries.
([%N]/14)/([%Ti]/47.9)<1.0… (One)
In formula (1), [%N] and [%Ti] represent the content (% by mass) of N and Ti in the steel,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이, 추가로 질량%로,
V: 0.100 이하,
Mo: 0.500% 이하,
Cr: 1.00% 이하,
Cu: 1.00% 이하,
Ni: 0.50% 이하,
Sb: 0.200% 이하,
Sn: 0.200% 이하,
Ta: 0.200% 이하,
W: 0.400% 이하,
Zr: 0.0200% 이하,
Ca: 0.0200% 이하,
Mg: 0.0200% 이하,
Co: 0.020% 이하,
REM: 0.0200% 이하,
Te: 0.020% 이하,
Hf: 0.10% 이하 및
Bi: 0.200% 이하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함유하는, 고강도 강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bove component composition is further expressed in mass%,
V: 0.100 or less,
Mo: 0.500% or less,
Cr: 1.00% or less,
Cu: 1.00% or less,
Ni: 0.50% or less,
Sb: 0.200% or less,
Sn: 0.200% or less,
Ta: 0.200% or less,
W: 0.400% or less,
Zr: 0.0200% or less,
Ca: 0.0200% or less,
Mg: 0.0200% or less,
Co: 0.020% or less,
REM: 0.0200% or less,
Te: 0.020% or less,
Hf: 0.10% or less and
Bi: 0.200% or less
A high-strength steel sheet containing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도금층을 갖는, 고강도 도금 강판.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having a pl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1항 또는 제2항의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열연판으로 하고,
상기 열연판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연판으로 하고,
상기 냉연판을, 850℃ 이상 920℃ 이하의 제1 가열 온도까지 가열하여 10s 이상 보존유지(hold)하고, 이어서, 1000℃ 이상 1200℃ 이하의 제2 가열 온도까지 50℃/s 이상의 평균 가열 속도로 승온하고, 당해 제2 가열 온도에 도달 후 5초 이내에, 5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500℃ 이하까지 냉각하는, 어닐링 공정을 행하고,
상기 어닐링 공정 후, 상기 냉연판을 신장률 0.5% 이상으로 압연하여 제2 냉연판을 얻는, 압연 공정을 행하고,
상기 압연 공정 후, 상기 제2 냉연판을 70℃ 이상 200℃ 이하의 재가열 온도로 600s 이상 보존유지하는 재가열 공정을 행하여 고강도 강판을 얻는,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A steel slab having the composition of claim 1 or 2 is subjected to hot rolling to obtain a hot rolled sheet,
Cold rolling is performed on the hot-rolled sheet to obtain a cold-rolled sheet,
The cold-rolled sheet is heated to a first heating temperature of 850°C or more and 920°C or less and held for 10 s or more, and then heated to a second heating temperature of 1000°C or more and 1200°C or less at an average heating rate of 50°C/s or more. An anneal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nd cooled to 500°C or lower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50°C/s or more within 5 seconds after reaching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After the annealing process, a rolling process is performed to obtain a second cold-rolled sheet by rolling the cold-rolled sheet to an elongation of 0.5% or mor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steel sheet, in which, after the rolling process, a reheat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second cold-rolled sheet is maintained at a reheating temperature of 70°C or higher and 200°C or lower for 600s or more to obtain a high-strength steel plate.
제4항에 기재된 어닐링 공정 후, 재가열 공정의 전에, 상기 고강도 강판의 적어도 편면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여 고강도 도금 강판을 얻는, 도금 공정을 갖는, 고강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comprising a plating process of obtaining a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by performing a plating treatment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igh-strength steel plate after the annealing process according to claim 4 and before the reheating proc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부재.A member formed by using at least part of the high-strength steel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3항에 기재된 고강도 도금 강판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부재.A member formed by using at least part of the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3.
KR1020247004725A 2021-08-30 2022-06-21 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members KR2024003553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0360 2021-08-30
JP2021140360 2021-08-30
PCT/JP2022/024762 WO2023032423A1 (en) 2021-08-30 2022-06-21 High strength steel sheet, high strength plated steel sheet, methods for producing these, and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536A true KR20240035536A (en) 2024-03-15

Family

ID=8541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725A KR20240035536A (en) 2021-08-30 2022-06-21 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member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55759B1 (en)
KR (1) KR20240035536A (en)
CN (1) CN117716060A (en)
WO (1) WO202303242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7099B (en) * 2023-04-04 2024-01-26 哈尔滨工业大学 Simulation method for nucleation and growth of holes at grain boundary in creep process of martensitic ste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108U (en) 1980-07-23 1982-02-15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2920B2 (en) * 2011-11-11 2015-02-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728108B2 (en) 2013-09-27 2015-06-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67780B1 (en) 2015-12-23 2017-08-24 주식회사 포스코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X2019002330A (en) * 2016-09-28 2019-07-04 Jfe Steel Corp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MX2021006649A (en) 2018-12-11 2021-07-15 Nippon Steel Corp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KR102604112B1 (en) * 2019-02-06 2023-11-2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4269961B (en) * 2019-08-20 2022-10-2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108U (en) 1980-07-23 1982-02-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55759B1 (en) 2023-04-11
JPWO2023032423A1 (en) 2023-03-09
CN117716060A (en) 2024-03-15
WO2023032423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5893B2 (en) Ultra-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21639B1 (en) Steel sheet, plat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d steel sheet
JP4072090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stretch 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7138384A1 (e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1936651A (e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high-strength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198585B1 (en) Thin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1066716B2 (en)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741456B2 (en)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4207169B (en)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477508B1 (en) Hot-dip galvanized steel and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JP6274360B2 (e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high-strength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CN110337505B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13347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0262652A1 (en) Steel sheet
KR20230012028A (en)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40052466A1 (en)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55759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s,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s,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nd members
CN113272461B (en) Steel plate
EP4043593B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impact absorb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steel sheet
JP4858232B2 (en) High-tensile cold-rolled steel sheet, high-tensile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JP7260073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s,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s,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nd members
JP6947326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s, high-strength member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CN113544301A (en) Steel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