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111A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111A
KR20240035111A KR1020220114159A KR20220114159A KR20240035111A KR 20240035111 A KR20240035111 A KR 20240035111A KR 1020220114159 A KR1020220114159 A KR 1020220114159A KR 20220114159 A KR20220114159 A KR 20220114159A KR 20240035111 A KR20240035111 A KR 20240035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nector
receptacle
wall por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111A/en
Publication of KR2024003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1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이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하우징과, 플러그 신호 단자와, 플러그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내부 돌출벽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벽부의 일부는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은 연결벽이며,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연결벽은 상기 내부 돌출벽의 개방 홀에 위치한다.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is provided, includ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connector includes a plug housing, a plug signal terminal, and a plug power terminal.
The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a receptacle housing, a receptacle signal terminal, a receptacle power terminal, and an internal protruding wall.
A portion of the wall portion of the plug housing is a connection wall with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wall portion, and the inner protruding wall has an open hol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mpleted fitting, , the connecting wall is located in an open hole of the inner protruding wall.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socket connector).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Generally, when boards are interconnected, two connectors are used that are connected to each board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nd the two connecto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one of the two connectors is a plug connector and the other is a socket connector. Socket connectors are also called receptacle connectors. These plug connectors and socket connectors can be formed by placing terminals on mold parts. The plug connector and the socket connect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ors are becoming smaller and shorter.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miniaturizing and lowering the profile of the connector by reducing the pitch or making the components smaller.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as connectors become smaller, securing their durability has become more difficult than before. This is because the member is small, so it is easy to break or deform even with a smaller force than before.

또한, 부재가 작기 때문에, 오조립의 문제도 더 생기기 쉬워진다. 즉, 커넥터의 크기가 크다면 끼워맞춤에 비교적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방향을 잘못하여 끼워맞추는 경우가 적지만, 커넥터의 크기가 매우 작다면 끼워맞춤에 드는 힘의 크기도 작고, 그에 따라서 잘못된 방향으로 끼우는 경우(역 메이팅)에도 부재의 형상이 다소 무시되면서 끼워지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because the members are small, problems with incorrect assembly are more likely to occur. In other words, if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large, a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to fit it, so there are few cases of fitting it in the wrong direction. However, if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very small,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fit it is also small, and thus the wrong direction is rare. Even in the case of insertion (reverse mating), it can be assumed that the shape of the member is somewhat ignored.

또한, 변형의 일종으로서, 커넥터끼리의 결합 과정 중에, 또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속 재질의 단자가 특정의 형상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이란 탄성 변형의 반대 개념으로, 재질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재료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나 응력이 발생하면 모양에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점점 미세화되고 있는 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 이러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필요성도 존재한다.Additionally, as a type of deformation, plastic deformation may occur if the metal terminal continues to be maintained in a specific shape dur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connectors or while they are connected. Plastic deformation is the opposite of elastic deformation,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material maintains deformation and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material is removed. All materials generally have elasticity, but when stress occurs, their shape deforms. In connector terminal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finer, there is also a need to prevent such plastic deformation.

그리고, 커넥터의 수지 몰드(하우징)를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수지의 흐름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이 제대로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필요성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resin mold (housing) of the connector is manufactured by insert molding. In this case,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determines whether the housing is molded properly, 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

또한,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단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조의 방식(예컨대, 딥드로잉 방식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도 단자 자체 및 수지 몰드의 구조의 한계가 존재하는 바,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erminals that are usually made of metal,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tself and the resin mold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method (e.g., whether or not a deep drawing method is used), so there is a need to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

또한, 인서트 성형 등에 있어서, 수지 사출물이 금속 재질을 덮는 문제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In addition, in insert molding, etc.,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problem of the resin injection molding covering the metal materi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재가 작기 때문에 생기는 오조립(역 메이팅) 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solve the problem of misassembly (reverse mating) caused by small members.

커넥터의 크기가 크다면 끼워맞춤에 비교적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방향을 잘못하여 끼워맞추는 경우가 적지만, 커넥터의 크기가 매우 작다면 끼워맞춤에 드는 힘의 크기도 작고, 그에 따라서 잘못된 방향으로 끼우는 경우에도 부재의 형상이 다소 무시되면서 끼워지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If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large, a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to fit it, so there are few cases of fitting it in the wrong direction. However, if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very small,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fit it is also small, so it is easy to fit it in the wrong direction. In this case, it can also be assumed that the shape of the member is somewhat ignored while being inserted, and this problem is to be solv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으로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The plug connector is,

(a) 플러그 기저부 및 상기 플러그 기저부로부터 상면으로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a) a plug housing including a plug base and a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ug base,

(b)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와, (b) a plug signal terminal installed on the wall,

(c)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단자(c) Plug power terminal installed on the wall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The receptacle connector is,

(d) 리셉터클 기저부 및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d) a receptacle base and a first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 second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nd compris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a receptacle housing including a third wall portion that intersects and faces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that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nd intersects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es the second wall portion;

(e)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e) a receptacle signal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f)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f) a receptacle power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g)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내부 돌출벽(g) an internal protruding wall located between the second wall and the fourth wall.

을 포함하며,Includes,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벽부의 일부는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은 연결벽이며,A portion of the wall portion of the plug housing is a connecting wall that is lower in height than the wall portion,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을 가지며, The inner protruding wall has an open hol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연결벽은 상기 내부 돌출벽의 개방 홀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이 제공된다.Upon completion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is provided, wherein the connecting wall is positioned in an open hole in the inner protruding wall.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벽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고,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좁다.Preferably, the connecting wall is locat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has a lower height than the wall portion, and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wall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측으로 돌출ㅎ한다.Preferably, the inner protruding wall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of the recepta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의 내측으로 돌출한다.Preferably,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protrudes inwardly of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벽은 상기 플러그 전원 단자와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의 사이에 존재한다.Preferably, the connecting wall exists between the plug power terminal and the plug signal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상기 리셉터클 신호 단자의 사이에 존재한다.Preferably, the inner protruding wall exists between the receptacle power terminal and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벽과 상기 벽부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존재한다.Preferably, an inclined surface exists between the connecting wall and the wall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그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10, 20)는 매우 낮은 높이와 좁은 폭을 가지면서도, 역 메이팅(반대 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joined thereby, the connectors 10, 20 have a very low height and narrow width, while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reverse mating (fitting in opposite directions).

즉, 연결벽(10-5-C)과 개방 홀(20-5-D)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만약 그 방향이 반대인 채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즉,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맞지 않는 방향으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에는 결합이 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넥터(10, 20)의 저배화(낮은 높이가 됨)에 의해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역 메이팅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at is,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wall (10-5-C) and the open hole (20-5-D), if the coupling is attempted with the direction reversed (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s 10 and 20), It is easy to see that if you try to combine in a direction that does not match each other, the combination will not work. Accordingly, the connectors 10 and 20 are made low-profile (lower in height), thereby saving space and preventing reverse mating.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또한, 만약 신호 단자(10-3, 20-3)마다 핀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라면, 역 메이팅이 된다는 것은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원 단자(10-1, 20-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역 메이팅은 커넥터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커넥터가 완전히 대칭 구조이어서 물리적인 파손이 없더라도, 각 핀마다의 역할에 따라서는 원치 않는 오신호의 입력, 또는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러한 역 메이팅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Additionally, if pin roles are separated for each signal terminal (10-3, 20-3), reverse mating may mean an unwanted short circuit. The same applies to the power terminals 10-1 and 20-1. In other words, reverse mating may cause damage to the connector, but even if there is no physical damage because the connector is completely symmetrical, depending on the role of each pin, it may result in the input of an unwanted false signal or an unwanted short circ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such reverse mating is fundamental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소켓 커넥터(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소켓 커넥터(2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ug connector 10 among electrical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plug connector 10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ocket connector 20 among the electrical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are coupl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ug connector 10 among electrical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전기 커넥터란,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 커넥터(10)를, 경우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0)('소켓 커넥터'라고도 함)를,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 커넥터(10)과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양자 모두(또는 그 조립체)를 칭하는 용어로 쓰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refers to the plug connector 10 in some cases, the receptacle connector 20 (also referred to as a 'socket connector') in some cases, and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 20) can be used as a term to refer to both (or an assembly thereof).

도 1에는, 일예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s an example, a power terminal 10-1, a signal terminal 10-3, and a housing 10-5 (mold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10.

전원 단자(10-1)는 커넥터(1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10-1 is a metal structure to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connector 10, and can input and output power electrical signals. The signal terminal 10-3 can input and output data signals.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1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terminal 10-1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s a separate metal fitting and power terminal.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1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1의 예에서 신호 단자(10-3)의 갯수는 3개이다.Also, for example, the signal terminal 10-3 may be composed of four PINs that allow a current of 0.3A, or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a current exceeding 0.3A, for example, up to 5A to function as a power terminal. there is. Howev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INs is 4 is just an example. For reference, in the example of FIG. 1, the number of signal terminals 10-3 is three.

하우징(10-5)은 기저부(10-5-B)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기저부(10-5-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10-5-W)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등이 형성된다 .The housing 10-5 has a base 10-5-B. The housing 10-5 has a wall portion 10-5-W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5-B, and the wall portion includes a power terminal 10-1, a signal terminal 10-3, etc. is formed.

필요에 따라, 벽부는 사각 형상으로 이어진 4개의 벽일 수도 있으나, 도 1의 예에는 하나의 벽부(10-5-W)가 도시되어 있다.If necessary, the wall portion may be four walls connected in a square shape, but in the example of FIG. 1, one wall portion 10-5-W is shown.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The housing 10-5 (mold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1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for example, liquid crystal polymer (LCP). Additionally, the housing 10-5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containing resin, epox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terminal 10-1 and the signal terminal 10-3 of the plug connector 10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pper, for example, or gold-plated copper alloy (nickel-under layer).

도 1에서, 좌측에 도시된 전원 단자(10-1)와 3개의 신호 단자(10-3)의 사이에는 연결벽(10-5-C)이 존재한다. 연결벽(10-5-C)의 하우징(10-5)의 일부이다. In FIG. 1, a connection wall 10-5-C exists between the power terminal 10-1 shown on the left and the three signal terminals 10-3. It is a part of the housing 10-5 of the connecting wall 10-5-C.

연결벽(10-5-C)은 벽부(10-5-W)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또는 관점에 따라서는 분리되어 있는 벽부(10-5-W)의 사이에 연결벽(10-5-C)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즉, 연결벽(10-5-C)은 플러그 커넥터(10)의 벽부(10-5-W)에 위치하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부(10-5-W)의 상측 및 측면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connecting wall 10-5-C may be viewed as a part of the wall portion 10-5-W.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viewpoint, it may be seen that there is a connecting wall (10-5-C) between the separated wall portions (10-5-W). That is, the connection wall 10-5-C is located on the wall portion 10-5-W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as shown in FIG. 1, it is located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wall portion 10-5-W. It is formed small.

그리고, 연결부(10-5-C)와 벽부(10-5-W)의 사이에는 경사면(경사부)(10-5-I)이 존재한다.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portion) 10-5-I exist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0-5-C and the wall portion 10-5-W.

후술하겠으나, 연결벽(10-5-C)(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 주변의 개방 홀)이 위치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ace created by the connection wall 10-5-C (lower and narrower than the surrounding wall 10-5-W) is provided by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 of the socket connector 20, which is the counterpart connector. -P) (in other words, an open hole arou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located.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FIG. 2 shows the plug connector 10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도 2에도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이 도시되어 있다.In FIG. 2 , as in FIG. 1 , a power terminal 10-1, a signal terminal 10-3, and a housing 10-5 are shown.

하우징(10-5)은 기저부(10-5-B), 벽부(10-5-W), 연결벽(10-5-C), 경사부(10-5-I)를 갖는다.The housing 10-5 has a base portion 10-5-B, a wall portion 10-5-W, a connecting wall 10-5-C, and an inclined portion 10-5-I.

경사부는, 도면의 좌측의 벽부(10-5-W)와 연결벽(10-5-C)의 사이에 하나, 도면의 우측의 벽부(10-5-W)와 연결벽(10-5-C)의 사이에 다른 하나, 이렇게 총 2개소가 존재한다.There is one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wall portion 10-5-W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connecting wall 10-5-C, and one between the wall portion 10-5-W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connecting wall 10-5- There are a total of two places, one in between C).

후술하겠으나, 연결벽(10-5-C)(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 주변의 개방 홀)이 위치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ace created by the connection wall 10-5-C (lower and narrower than the surrounding wall 10-5-W) is provided by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20-5 of the socket connector 20, which is the counterpart connector. -P) (in other words, an open hole arou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located.

이는 길이 방향으로 대칭이 아니므로(즉, 연결벽(10-5-C)이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 방향을 알기 쉽게 하며, 오결합(잘못된 끼워맞춤)시에 곧바로 알 수 있게 하므로, 거꾸로 끼워맞추는 것을 방지한다.Since this is not symmetric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the connecting wall 10-5-C is bias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 it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mating with the other connector, and prevents mismating (incorrect insertion). This allows you to see immediately when fitting, preventing it from being fitted upside dow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소켓 커넥터(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ocket connector 20 among the electrical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소켓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커넥터(20)라고도 한다.The socket connector 20 is also called a receptacle connector 20.

도 3의 소켓 커넥터(20)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서로 끼워맞춰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물론, 도 1 및 도 3의 방향(특히, 상하 방향)은 구조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며, 도 1에 나타난 방향 및 도 3에 나타난 방향 그대로 끼울 수는 없고,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 반전(Z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시켜 도 3의 소켓 커넥터(20)에 끼우거나, 도 3의 소켓 커넥터(20)를 상하 반전(Z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시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0)에 끼우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3 has a structure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10 of FIG. 1. Of course, the directions in Figures 1 and 3 (particularly,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e set to facilitate explanation of the structure, and cannot be inserted in the directions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and the plug connector in Figure 1 ( 10) is flipped up and down (so that the Z direction is flipped up and down)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3, or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3 is flipped up and down (so that the Z direction is flipped up and down) to fit the plug of FIG. It will be easy to see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0.

도 3에는, 일예로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하우징(2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ure 3, the power terminal 20-1, signal terminal 20-3, and housing 20-5 (mold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shown as an example.

전원 단자(20-1)는 커넥터(2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2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20-1 is a metal structure to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connector 20, and can input and output power electrical signals. The signal terminal 20-3 can input and output data signals.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2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terminal 20-1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s a separate metal fitting and power terminal.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2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3의 예에서 신호 단자(20-3)의 갯수는 3개이다.Also, for example, the signal terminal 20-3 may be composed of four PINs that allow a current of 0.3A, or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a current exceeding 0.3A, for example, up to 5A to function as a power terminal. there is. Howev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INs is 4 is just an example. For reference, in the example of FIG. 3, the number of signal terminals 20-3 is three.

하우징(20-5)은 기저부(20-5-B)를 갖는다. 하우징(20-5)은 기저부(20-5-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등이 형성된다. The housing 20-5 has a base 20-5-B. The housing 20-5 has a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0-5-B, and a power terminal 20-1, a signal terminal 20-3, etc. are formed on the wall portion.

벽부는 크게 4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제1 벽부(20-5-W1), 제2 벽부(20-5-W2), 제3 벽부(20-5-W3), 제4 벽부(20-5-W4)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벽부(20-5-W1)-제2 벽부(20-5-W2)-제3 벽부(20-5-W3)-제4 벽부(20-5-W4)의 순으로 연결되며, 제4 벽부(20-5-W4)는 다시 제1 벽부(20-5-W1)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The wall portion is largely formed of four parts, the first wall portion (20-5-W1),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the third wall portion (20-5-W3), and the fourth wall portion (20-5). -W4) included.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wall portion (20-5-W1) -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 the third wall portion (20-5-W3) -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It can be seen that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is connected to the first wall portion (20-5-W1) again.

소켓 커넥터(20)의 하우징(2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The housing (20-5; mold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for example, LCP (Liquid Crystal Polymer). Additionally, the housing 20-5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containing resin, epox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terminal 20-1 and the signal terminal 20-3 of the plug connector 20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 example, copper, or gold-plated copper alloy (nickel-under layer).

도 3에서, 좌측에 도시된 전원 단자(20-1)와 3개의 신호 단자(20-3)의 사이에는 내부 돌출벽(20-5-P)이 존재한다. 내부 돌출벽(20-5-P)은 하우징(20-5)의 일부이며, 소켓 커넥터(20)의 기저부(20-5-B)의 상측으로 돌출한 부분이다. In FIG. 3, an internal protruding wall 20-5-P exists between the power terminal 20-1 and the three signal terminals 20-3 shown on the left.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a part of the housing 20-5 and is a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20-5-B of the socket connector 20.

내부 돌출벽(20-5-P)은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사이의 낮은 벽으로 볼 수도 있다. 내부 돌출벽(20-5-P)은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사이 중에서도, 제1 벽부(20-5-W1) 또는 제3 벽부(20-5-W3) 중의 어느 한쪽에 더 가깝게 치우쳐 있다. 도 3에서는 내부 돌출벽(20-5-P)이 제3 벽부(20-5-W3)보다는 제1 벽부(20-5-W1)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may be viewed as a low wall between the second wall 20-5-W2 and the fourth wall 20-5-W4.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20-5-P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wall 20-5-W2 and the fourth wall 20-5-W4, or between the first wall 20-5-W1 or the third wall 20-5-W4. It is biased closer to one of (20-5-W3). In FIG. 3,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20-5-P is formed closer to the first wall 20-5-W1 than to the third wall 20-5-W3.

내부 돌출벽(20-5-P)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는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높이보다 낮고, 그 외측부(커넥터(20)의 폭 방향으로 외측)는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즉, 내부 돌출벽(20-5-P)은 소켓 커넥터(20)의 벽부의 양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외측부)을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has a central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and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and its outer portion (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is equal to or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and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That is,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has portions (outer portions) that protrude to both inner sides of the wall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단, 제2 벽부(20-5-W2)의 높이가 계속 일정한 것은 아니고 도 3에서 보듯이 신호 단자(10-3) 부근보다 전원 단자(10-1) 부근에서 다소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도 3에서, 적어도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신호 단자(10-3) 부근에서의 높이는 상기 내부 돌출벽(20-5-P)의 중앙부의 높이보다 높게 도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4 벽부(20-5-W4)도 마찬가지이다.However, the height of the second wall 20-5-W2 is not constant and is formed somewhat lower near the power terminal 10-1 than near the signal terminal 10-3, as shown in FIG. 3. At least, the height of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and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near the signal terminal 10-3 is equal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You can see that it is drawn higher than the height. This also applies to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한편, 내부 돌출벽(10-5-P)이 그 주변의 벽부(20-5-W2, 20-5-W4)보다 낮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공간이 있는데, 이를 개방 홀(20-5-D)이라 칭한다.Meanwhile, there is a space created because the inner protruding wall (10-5-P) is lower than the surrounding walls (20-5-W2, 20-5-W4), which is called an open hole (20-5-D). It is called.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연결벽(10-5-C)(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구체적으로, 내부 돌출벽(20-5-P) 주변의 개방 홀)이 위치한다.In the space created by the connection wall 10-5-C (lower and narrower than the surrounding wall 10-5-W) described in FIGS. 1 and 2, the inner protruding wall of the socket connector 20, which is the counterpart connector, is provided. (20-5-P) (specifically, an open hole arou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located.

이렇게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10, 20)는 매우 낮은 높이와 좁은 폭을 가지면서도, 역 메이팅(반대 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벽(10-5-C)과 개방 홀(20-5-D)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만약 그 방향이 반대인 채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즉,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맞지 않는 방향으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에는 결합이 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넥터(10, 20)의 저배화(낮은 높이가 됨)에 의해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역 메이팅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When combined in this way, the connectors 10 and 20 have a very low height and narrow width, while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reverse mating (fitting in opposite directions).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wall (10-5-C) and the open hole (20-5-D), if the coupling is attempted with the direction reversed (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s 10 and 20), It is easy to see that the combination will not work (if you try to combine them in directions that do not matc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nectors 10 and 20 are made low-profile (lower in height), thereby saving space and preventing reverse mating.

도 1을 보면, 연결벽(10-5-C)에 기인한 공간은 커넥터(10)의 폭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도 3을 보면, 내부 돌출벽(내부 돌출부)(20-5-P)에 기인한 공간(즉, 개방 홀(20-5-D))은 커넥터(2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로 방향의 개구와 세로 방향의 개구가 서로 만나므로, 결합력도 제공하면서, 커넥터(10, 20)의 방향도 올바르게 하여 끼워맞춤(감합, 메이팅)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pace due to the connecting wall (10-5-C) is ope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 and referring to Figure 3,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internal protrusion) 20-5-P.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resulting from (i.e., the open hole 20-5-D) is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In this way, since the horizontal opening and the vertical opening meet each other, coupling force is provided and the connectors 10 and 20 are oriented correctly to enable fit (fitting, mating).

또한, 만약 신호 단자(10-3, 20-3)마다 핀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라면, 역 메이팅이 된다는 것은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원 단자(10-1, 20-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역 메이팅은 커넥터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커넥터가 완전히 대칭 구조이어서 물리적인 파손이 없더라도, 각 핀마다의 역할에 따라서는 원치 않는 오신호의 입력, 또는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러한 역 메이팅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Additionally, if pin roles are separated for each signal terminal (10-3, 20-3), reverse mating may mean an unwanted short circuit. The same applies to the power terminals 10-1 and 20-1. In other words, reverse mating may cause damage to the connector, but even if there is no physical damage because the connector is completely symmetrical, depending on the role of each pin, it may result in the input of an unwanted false signal or an unwanted short circ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such reverse mating is fundamentally prevented.

도 4는 도 3의 소켓 커넥터(2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FIG. 4 shows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도 4에도 도 3과 마찬가지로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하우징(20-5)이 도시되어 있다.In FIG. 4 , as in FIG. 3 , a power terminal 20-1, a signal terminal 20-3, and a housing 20-5 are shown.

하우징(20-5)은 기저부(20-5-B), 벽부(20-5-W1 내지 20-5-W4), 내부 돌출벽(20-5-P)을 갖는다.The housing 20-5 has a base portion 20-5-B, wall portions 20-5-W1 to 20-5-W4, and an internal protruding wall 20-5-P.

내부 돌출벽(20-5-P)의 중앙부는 낮은 높이이며, 그 외측부(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외측)는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에 접하며, (신호 단자(20-3)가 있는 부분의)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와 동일하거나 대체로 비슷한 높이를 갖는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has a low height, and its outer portion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and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I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wall portion 20-5-W2 and the fourth wall portion 20-5-W4 (in the portion where the signal terminal 20-3 is located) and has the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height.

도 1, 도 2의 연결벽(10-5-C)(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 주변의 개방 홀)이 위치함으로써, 두 커넥터(10, 20)가 서로 결합한다.In the space created by the connecting wall 10-5-C of FIGS. 1 and 2 (lower and narrower than the surrounding wall 10-5-W), there is an internal protruding wall of the socket connector 20, which is a counterpart connector. 20-5-P) (in other words, an open hole arou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located so that the two connectors 10 an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는 길이 방향으로 대칭이 아니므로(즉, 연결벽(10-5-C)이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 있고, 또한 내부 돌출벽(20-5-P)도 마찬가지로 커넥터(20)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커넥터(10)와 커넥터(20) 사이의 결합 방향을 알기 쉽게 하며, 오결합(잘못된 끼워맞춤(역 메이팅))시에 곧바로 알 수 있게 하므로, 거꾸로 끼워맞추는 것을 방지한다.Since this is not symmetric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connecting wall 10-5-C is bias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 a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also similar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 ), it is biased 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mating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0 and the connector 20, and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know in case of mismating (incorrect fit (reverse mating)). prevent it from happening.

도 5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are coupled.

도 5의 좌표계는 도 3, 도 4의 소켓 커넥터(20)의 것과 일치하며, 도 1,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 반전되어 도 3, 도 4의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ordinate system of Figure 5 coincides with that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ures 3 and 4, and the plug connector 10 of Figures 1 and 2 is flipped up and down and coupl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ures 3 and 4. This will be understandable.

도 5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은 도면의 좌측에 치우쳐 있다. 그리고,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도 도면의 좌측에 치우쳐 있다. In Fig. 5, the connecting wall 10-5-C of the plug connector 10 is deviated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dditionally,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also deviated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그렇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이격 없이 잘 결합(끼워맞춤)되어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are well coupled (fitted) without separation.

만약 도 5에서 소켓 커넥터(20)는 그대로 두고 플러그 커넥터(10)를 X 방향(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 반대로 돌려서 끼우려고 하면, (가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은 도면의 우측에 치우치게 되며,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은 도면의 좌측에 치우쳐 있게 되므로, 서로 잘 결합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If, in Figure 5, the socket connector 20 is left as is and the plug connector 10 is tried to be inserted by turn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C) is biase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biased toward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so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y will not be well coupled to each other.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 주변의 개방 홀)이 위치하게 되어, 역 메이팅을 방지하게 된다.Through thi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mating connector is in the space created by the connecting wall 10-5-C (lower and narrower than the surrounding wall 10-5-W) of the plug connector 10.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of the socket connector 20 (in other words, an open hole around the inner protruding wall 20-5-P) is positioned to prevent reverse matin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wh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플러그 커넥터
10-1: (플러그) 전원 단자
10-3: (플러그) 신호 단자
10-5: (플러그) 하우징(몰드부)
10-5-B: 기저부
10-5-W1: 제1 벽부
10-5-W2: 제2 벽부
10-5-W3: 제3 벽부
10-5-W4: 제4 벽부
10-5-C: 연결벽
10-5-I: 경사부(경사벽)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20-1: (리셉터클) 전원 단자
20-3: (리셉터클) 신호 단자
20-5: (리셉터클) 하우징(몰드부)
20-5-W1: 제1 벽부
20-5-W2: 제2 벽부
20-5-W3: 제3 벽부
20-5-W4: 제4 벽부
20-5-P: 내부 돌출벽
20-5-D: 개방 홀
10: plug connector
10-1: (plug) power terminal
10-3: (plug) signal terminal
10-5: (plug) housing (mold part)
10-5-B: Base
10-5-W1: 1st wall part
10-5-W2: Second wall part
10-5-W3: Third wall
10-5-W4: Fourth wall
10-5-C: Connection wall
10-5-I: Slope section (sloping wall)
20: Receptacle connector (socket connector)
20-1: (receptacle) power terminal
20-3: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5: (receptacle) housing (mold part)
20-5-W1: 1st wall part
20-5-W2: 2nd wall
20-5-W3: Third wall
20-5-W4: 4th wall
20-5-P: Internal protruding wall
20-5-D: Open hole

Claims (7)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a) 플러그 기저부 및 상기 플러그 기저부로부터 상면으로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b)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와,
(c)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d) 리셉터클 기저부 및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e)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f)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g)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내부 돌출벽
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벽부의 일부는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은 연결벽이며,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연결벽은 상기 내부 돌출벽의 개방 홀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includ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connector is,
(a) a plug housing including a plug base and a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ug base,
(b) a plug signal terminal installed on the wall,
(c) Plug power terminal installed on the wall
Including,
The receptacle connector is,
(d) a receptacle base and a first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 second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nd compris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a receptacle housing including a third wall portion that intersects and faces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that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base and intersects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es the second wall portion;
(e) a receptacle signal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f) a receptacle power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g) an internal protruding wall located between the second wall and the fourth wall.
Includes,
A portion of the wall portion of the plug housing is a connecting wall that is lower in height than the wall portion,
The inner protruding wall has an open hol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wherein upon completion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connecting wall is located in an open hole in the inner protruding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고,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좁은, 전기 커넥터의 쌍.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necting wall is located on a wall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has a lower height than the wall portion, and is narrower than the wal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측으로 돌출한, 전기 커넥터의 쌍.
According to paragraph 1,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wherein the inner protruding wall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of the recepta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의 내측으로 돌출한, 전기 커넥터의 쌍.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wherein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protrudes inwardly of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은 상기 플러그 전원 단자와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의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According to paragraph 1,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wherein the connecting wall exists between the plug power terminal and the plug signa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상기 리셉터클 신호 단자의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According to paragraph 1,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wherein the internal protruding wall is between the receptacle power terminal and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과 상기 벽부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존재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According to paragraph 1,
A pair of electrical connectors, wherein an inclined surface is present between the connecting wall and the wall portion.
KR1020220114159A 2022-09-08 2022-09-08 Electric connector KR202400351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59A KR20240035111A (en) 2022-09-08 2022-09-08 Electr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59A KR20240035111A (en) 2022-09-08 2022-09-08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111A true KR20240035111A (en) 2024-03-15

Family

ID=9027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159A KR20240035111A (en) 2022-09-08 2022-09-08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1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296B2 (en) Electric connector for shielded cable, a connector body thereof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electric connector
JP485151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071603A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8090675A2 (en)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US6589074B1 (en) Two ports integral electrical connector
WO2002087020A2 (en) Latch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132258A (en)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20200104727A (en) Plug connector
US9614334B2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35111A (en) Electric connector
JP3961937B2 (en)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43559A (en) Electric connector
US20140363991A1 (en) Ultra low-profile connectors
KR20200104726A (en) Plug connector
US6511352B2 (en)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US690244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29877A (en) Electric connector
KR102644055B1 (en) Electric connector
KR102644059B1 (en) Electric connector
JP334069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and its housing
KR20240006868A (en) Electric connector
KR100405271B1 (en) Reinforcement pin connectig structure for connector
KR20230172873A (en) Electric connector
KR20240050161A (en) Receptacle connector
CN216698940U (en) Digital transmission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