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055B1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055B1
KR102644055B1 KR1020210179821A KR20210179821A KR102644055B1 KR 102644055 B1 KR102644055 B1 KR 102644055B1 KR 1020210179821 A KR1020210179821 A KR 1020210179821A KR 20210179821 A KR20210179821 A KR 20210179821A KR 102644055 B1 KR102644055 B1 KR 10264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power terminal
wall portion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0764A (en
Inventor
임채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055B1/en
Priority to CN202223285196.2U priority patent/CN219067292U/en
Publication of KR2023009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7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Abstract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10)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10)는, 몰드부(10-5); 전원 단자(10-1); 및 복수의 단자(10-3)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단자(10-1)는, 하단부(G)와;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E3)를 가지며,
상기 몰드부(10-5)는, 상기 하단부(G)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일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F2)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타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3 돌출부(F3)를 갖는다.
An electrical connector 10 is mounted on a board and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20.
The electrical connector 10 includes a mold portion 10-5; Power terminal (10-1);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0-3.
The power terminal 10-1 includes a lower part (G); At the lower end, it has an outer extension portion (E3)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ld portion 10-5, at the lower portion G,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has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and is raised high. a second protrusion (F2) formed; It has a third protrusion F3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is formed high and has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원 단자의 하단부의 상면과 하우징 바닥부의 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Generally, when boards are interconnected, two connectors are used that are connected to each board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nd the two connecto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one of the two connectors is a plug connector and the other is a socket connector. Socket connectors are also called receptacle connectors. These plug connectors and socket connectors can be formed by placing terminals on mold parts. The plug connector and the socket connect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ors are becoming smaller and shorter.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miniaturizing and lowering the profile of the connector by reducing the pitch or making the components smaller.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as connectors become smaller, securing their durability has become more difficult than before. This is because the member is small, so it is easy to break or deform even with a smaller force than before.

또한, 상기 변형의 일종으로서, 커넥터끼리의 결합 과정 중에, 또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속 재질의 단자가 특정의 형상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이란 탄성 변형의 반대 개념으로, 재질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재료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나 응력이 발생하면 모양에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점점 미세화되고 있는 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 이러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필요성도 존재한다.Additionally, as a type of the above deformation, plastic deformation may occur if the metal terminal continues to be maintained in a specific shape dur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ors or while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Plastic deformation is the opposite of elastic deformation,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material maintains deformation and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material is removed. All materials generally have elasticity, but when stress occurs, their shape deforms. In connector terminal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finer, there is also a need to prevent such plastic deformation.

그리고, 커넥터의 수지 몰드(하우징)를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수지의 흐름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이 제대로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필요성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resin mold (housing) of the connector is manufactured by insert molding. In this case,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determines whether the housing is molded properly, 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of terminals of electrical connectors.

또한,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하는 것이다.Additionally, in insert molding,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is improv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al connector is mounted on a board and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a base,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the first wall portion a mold portion including a third wall portion facing the base,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 및a power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and

적어도 상기 제2 벽부 및 제4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A plurality of terminals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를 포함하며,Includes,

상기 전원 단자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가지며,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lower part; At the lower end, there is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몰드부는,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일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타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3 돌출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The mold portion includes, at the lower por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high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 electrical connector is provided having a third protrusion formed high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내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추가로 갖는다.Preferably, the mold part further has a first protrusion formed high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n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connector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전원 단자의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지 않게 형성되는 동일 평면부를 추가로 갖는다.Preferably, the mold portion further includes a flat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formed to have no level differen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었을 때에,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원 단자 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몰드부에 닿음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하단부의 상면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닿지 않고 간격이 생긴다.Preferably,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fit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contact the power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or the mold portion of the mating connector, thereby contacting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 connect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does not contact the power terminal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a gap is cre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으로 휠 때에,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인 도피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t the lower end; At the lower end, the electrical connector further has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wherein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the electrical connector has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When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is b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t further includes an escape portion that is a space that accommodates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 중 하단부의 상면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몰드부 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원 단자에 닿는다.Preferably, a portion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ex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contacts the mold portion of the mating connector or the power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하단부에 접하는 부분은 곡선 형상이다.Preferably,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that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has a curved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일 평면부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하단부에 접하는 부분은 곡선 형상이다.Preferably, the portion of the same plane portion that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has a curved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소성 변형을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stic deformation of the terminals of an electrical connector is prevented.

또한,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수지의 흐름성이 개선된다.Additionally, in insert molding,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도 3에서 전원 단자(10-1)을 생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20-5)을 가상적으로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에 하우징(20-5)이 추가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ug connector among electrical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2 in a more enlarged form.
FIG. 4 is a diagram omitting the power terminal 10-1 in FIG.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 which is a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cut along line BB shown in FIG. 3.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ocket connector (20;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housing 20-5 in FIG. 7 virtually remove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socket connector 20.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7, with the housing 20-5 added to FIG. 9.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lug connector among electrical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일예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s an example, a power terminal 10-1, a signal terminal 10-3, and a housing 10-5 (mold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10.

전원 단자(10-1)는 커넥터(1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10-1 is a metal structure to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connector 10, and can input and output power electrical signals. The signal terminal 10-3 can input and output data signals.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1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terminal 10-1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s a separate metal fitting and power terminal.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1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Also, for example, the signal terminal 10-3 may be composed of four PINs that allow a current of 0.3A, or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a current exceeding 0.3A, for example, up to 5A to function as a power terminal. there is. Howev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INs is 4 is just an example.

하우징(10-5)은 기저부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등이 형성된다.The housing 10-5 has a base. The housing 10-5 has a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power terminal 10-1, a signal terminal 10-3, etc. are formed on the wall portion.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The housing 10-5 (mold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1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for example, liquid crystal polymer (LCP). Additionally, the housing 10-5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containing resin, epox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terminal 10-1 and the signal terminal 10-3 of the plug connector 10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 example, copper, or gold-plated copper alloy (nickel-under It may be a layer).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Figure 1.

도 2에 제1 돌출부(F1),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 동일 평면부(F4)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모두 하우징(10-5)의 일부이다. 2 shows a first protrusion F1, a second protrusion F2, a third protrusion F3, and a coplanar portion F4, which are all part of the housing 10-5.

또한, 도 2에 하단부(G)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원 단자(10-1)의 일부이다.Additionally, the lower part G is shown in FIG. 2, which is part of the power terminal 10-1.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2 in a more enlarged form.

도 3에 제1 돌출부(F1),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 동일 평면부(F4)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2와 동일하나, 모두 하우징(10-5)의 일부라는 의미에서 F1(10-5), F2(10-5), F3(10-5), F4(10-5)라고도 표시되어 있다. 이하, 제1 돌출부(F1)와 제1 돌출부(F1(10-5))는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In FIG. 3, a first protrusion (F1), a second protrusion (F2), a third protrusion (F3), and a same plane portion (F4) are shown, which are the same as in FIG. 2, but are all of the housing 10-5. It is also marked as F1 (10-5), F2 (10-5), F3 (10-5), and F4 (10-5) in the sense of being part of it. Hereinafter, it will be seen that the first protrusion F1 and the first protrusion F1 (10-5) refer to the same object.

또한, 도 3에 하단부(G)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와 동일하나, 전원 단자(10-1)의 일부라는 의미에서 G(10-1)라고도 표시되어 있다. 이하, 하단부(G)와 하단부(G(10-1))는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the lower part G is shown in FIG. 3, which is the same as FIG. 2, but is also indicated as G(10-1) in the sense that it is a part of the power terminal 10-1. Hereinafter, it will be seen that the lower part (G) and the lower part (G(10-1)) refer to the same object.

상기 제1 돌출부(F1),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는 하우징(10-5)의 바닥부를 구성하며,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일예로, 서로 동일한 높이이다. 동일한 높이라 함은 도면상의 Z축을 기준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protrusion (F1), the second protrusion (F2), and the third protrusion (F3) constitute the bottom of the housing 10-5, and although they are not essential, for example, they have the same height. The same height can be considered based on the Z axis in the drawing.

한편, 동일 평면부(F4)는 상기 제1 돌출부(F1)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는 동일 평면부(F4)와 같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하단부(G)와 동일 평면부(F4)가 같은 높이이고, 제1 돌출부(F1),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가 하단부(G) 및 동일 평면부(F4)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same plane portion F4 is formed lower than the first protrusion F1. And the lower part G of the power terminal 10-1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ame plane part F4. That is, the lower part (G) and the same plane part (F4) are at the same height, and the first protrusion (F1), the second protrusion (F2), and the third protrusion (F3) are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part (G) and the same plane part (F4). It is formed higher.

전형적으로는, (i) 하단부(G)와 동일 평면부(F4)가 같은 높이이고, (ii) 제1 돌출부(F1),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가 하단부(G) 및 동일 평면부(F4)보다 높으면서, (iii) 제1 돌출부(F1),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는 서로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iii)의 조건이 갖추어지는 것이 좋으나, 필수적이지는 않다. 일예로,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만이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 정확히는 하단부의 상면)보다 높고, 제1 돌출부(F1)는 하단부(G)와 동일한 높이인 구성도 가능하다.Typically, (i) the lower end G and the same plane part F4 are at the same height, and (ii) the first protrusion F1, the second protrusion F2, and the third protrusion F3 are at the lower end G. ) and the same plane portion (F4), and (iii) the first protrusion (F1), the second protrusion (F2), and the third protrusion (F3) are preferably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dition (iii) above be met, but it is not essential. For example, only the second protrusion (F2) and the third protrusion (F3) are higher than the lower part (G; to be ex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power terminal 10-1, and the first protrusion (F1) is the same as the lower part (G). A higher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구체적으로, 하우징(10-5)은, 상기 하단부(G)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폭방향의 일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G)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F2)와;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폭방향의 타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G)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G)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3 돌출부(F3)를 갖는다.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G, the housing 10-5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0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0. a second protrusion (F2) formed high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G); A third protrusion ( It has F3).

상기 (i)~(iii)(또는 (i), (ii))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도 5 등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의 전원 단자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갭을 형성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it as above (i) to (iii) (or (i), (ii)) is to avoid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0,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etc. This is to form a gap.

한편, 도 3에는 전원 단자(10-1)의 단자 가동편인 제1 연장부(E1), 제2 연장부(E2)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단자(10-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향해서 제3 연장부(E3)(외측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3 shows a first extension part E1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2, which are terminal movable pieces of the power terminal 10-1. Additionally, the third extension E3 (outer extension) is shown extending toward both ends of the power terminal 1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10-1)는, 하단부(G)와; 상기 하단부(G)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폭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E1)와; 상기 하단부(G)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폭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E2)와; 상기 하단부(G)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E3)를 가진다.Specifically, the power terminal 10-1 includes a lower part (G); a first extension portion (E1)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0) at the lower portion (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2)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0) at the lower end portion (G); The lower end portion G has a third extension portion E3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은 도 3에서 전원 단자(10-1)을 생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omitting the power terminal 10-1 in FIG. 3.

도 3에서 설명한 바를 더욱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도 4에서는 전원 단자(10-1)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전원 단자(10-1)의 일부인 하단부(G)도 당연히 생략되어 있다.In order to more clearly illustrate what was explained in FIG. 3, the power terminal 10-1 is omitted in FIG. 4. The lower part (G), which is part of the power terminal 10-1, is naturally omitted.

도 3에도 도시되어 있었지만, 도 4에서도 제1 돌출부(F1)와 동일 평면부(F4)와의 단차를 확인할 수 있다.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출부(F1)가 더 높고 동일 평면부(F4)가 더 낮다. Although shown in FIG. 3 ,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F1 and the same plane portion F4 can be confirmed in FIG. 4 as well. Based on the Z-axis direction, the first protrusion F1 is higher and the same plane portion F4 is lower.

도 5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 which is a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다.FIG. 5 shows a view cut along line AA shown in FIG. 3.

도 5는 도 1~4와는 달리, 플러그 커넥터(10)를 Z축 방향으로 상하 반전시킨 후에 상대 커넥터(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Unlike FIGS. 1 to 4,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lipped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n coupled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20 (receptacle connector (socket connector)).

도 5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는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상단부와 대향하고는 있으나, 간격(D)을 두고 이격해 있다. 이러한 간격(D)은, (도 5 자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3, 도 4의 하우징(10-5)의 돌출부(F1, F2, F3)가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및/또는 하우징(20-5)에 닿기 때문이다. 즉,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의 돌출부(F1, F2, F3)가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및/또는 하우징(20-5)에 닿는데,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는 돌출부(F1, F2, F3)보다 더 낮게(도 3, 4에서는 더 -Z축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 반전되어 도 5에서는 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간격(D)이 생기는 것이다.In FIG. 5, the lower end (G) of the power terminal 10-1 of the plug connector 10 faces the upper end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mating connector 20, but is spaced apart at a distance D. There is. This gap D is such that (although not shown in FIG. 5 itself)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of the housing 10-5 in FIGS. 3 and 4 ar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20- of the mating connector 20. 1) and/or because it touches the housing (20-5). That is,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of the housing 10-5 of the plug connector 10 contact the power terminal 20-1 and/or the housing 20-5 of the mating connector 20, The lower end G of the power terminal 10-1 of the plug connector 10 is lower (in the -Z-axis direction in FIGS. 3 and 4) than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and the plug connector 10 is positioned vertically and downwardly. Since it is inverted and formed further in the +Z axis direction in FIG. 5, the gap D is created.

다시 말해, 이러한 간격(D)은, 커넥터끼리의 결합 후에 불가피하게 생길 수도 있는 정도의 간격이 아니라, '돌출부(F1, F2, F3)'와 '동일 평면부(F4) 및 하단부(G)'의 사이에 의도적으로 단차(높이의 차이)를 형성했기 때문에 생기는 간격이다.In other words, this gap (D) is not the gap that may inevitably occur after connecting the connectors, but the 'protruding portions (F1, F2, F3)', 'coplanar portion (F4), and lower portion (G)' It is a gap that occurs because a step (difference in height) is intentionally formed between the.

참고로, 도 5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와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일부가 중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상 그렇게 된 것이고, 실제로는 중첩되지 않고, 도 5에서 전원 단자(10-1)의 고리 형상의 단자 가동편인 제1 연장부(E1) 및 제2 연장부(E2)가 폭 방향으로 옆으로 휘어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in FIG. 5, the power terminal 10-1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a portion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shown overlapped,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 in realit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E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2, which are ring-shaped terminal movable pieces of the power terminal 10-1 in FIG. 5, will not overlap, but will be bent laterally in the width direction.

한편, 도 5에는 S로 표시된 도피부(S)가 2개소 도시되어 있다. 이 도피부(S)는 연장부(E1, E2)가 그 폭방향 외측으로 휠 때에 연장부(E1, E2)의 단부가 이동하여 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도 5에서, 당해 도피부(S)는 폭방향의 외측으로는 하우징(10-5; 몰드부)의 일부를 면하며, 폭 방향의 내측으로는 제1 연장부(E1) 또는 제2 연장부(E2)를 면한다.Meanwhile, in Figure 5, two escape portions (S) indicated by S are shown. This escape portion S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s E1 and E2 by moving them when the extension portions E1 and E2 are b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In FIG. 5, the escape portion S faces a portion of the housing 10-5 (mold portion)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E1 or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E2) is avoided.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cut along line BB shown in FIG. 3.

도 6도, 도 1~4와는 달리, 플러그 커넥터(10)를 Z축 방향으로 상하 반전시킨 후에 상대 커넥터(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5의 경우와도 동일하다.Unlike Figures 1 to 4, Figure 6 also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lipped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n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20 (receptacle connector (socket connector)). This is the same as the case in FIG. 5.

도 6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는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상단부와 대향하고는 있으나, 간격(D)을 두고 이격해 있다. 이러한 간격(D)은, 하우징(10-5)의 돌출부(F1, F2, F3)가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및/또는 하우징(20-5)에 닿기 때문이다. 즉,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의 돌출부(F1, F2, F3)가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및/또는 하우징(20-5)에 닿는데,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는 돌출부(F1, F2, F3)보다 더 낮게(도 3, 4에서는 더 -Z축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 반전되어 결합된 도 6에서는 더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간격(D)이 생기는 것이다.In FIG. 6, the lower end (G) of the power terminal 10-1 of the plug connector 10 faces the upper end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mating connector 20, but is spaced apart at a distance D. There is. This gap D is because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of the housing 10-5 contact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mating connector 20 and/or the housing 20-5. That is,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of the housing 10-5 of the plug connector 10 contact the power terminal 20-1 and/or the housing 20-5 of the mating connector 20, The lower end G of the power terminal 10-1 of the plug connector 10 is lower (in the -Z-axis direction in FIGS. 3 and 4) than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and the plug connector 10 is positioned vertically and downwardly. In FIG. 6, which is inverted and combined, it is formed further in the +Z-axis direction, so the gap D is created.

다시 말해, 이러한 간격(D)은, 커넥터끼리의 결합 후에 불가피하게 생길 수도 있는 정도의 간격이 아니라, '돌출부(F1, F2, F3)'와 '동일 평면부(F4) 및 하단부(G)'의 사이에 의도적으로 단차(높이의 차이)를 형성했기 때문에 생기는 간격이다.In other words, this gap (D) is not the gap that may inevitably occur after connecting the connectors, but the 'protruding portions (F1, F2, F3)', 'coplanar portion (F4), and lower portion (G)' It is a gap that occurs because a step (difference in height) is intentionally formed between the.

도 3~6을 종합적으로 보면,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 정확히는 하단부의 상면)와 하우징(10-5)의 다른 면(F1, F2, F3) 사이에 단차가 존재한다. 이러한 단차로 인하여, 상대 커넥터(20)와 결합할 때에 전원 단자(20-1)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간격(D)이 형성된다. 그리고, 동일 평면부(F4) 중에서 전원 단자(10-1)에 접하는 부분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되어, 전원 단자(10-1)와 더 밀착 지지하여 전원 단자(10-1)의 이탈을 방지한다.Looking at FIGS. 3 to 6 comprehensively, there is a step between the lower part (G; to be ex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power terminal 10-1 and the other surfaces (F1, F2, and F3) of the housing 10-5. Due to this step, when combined with the mating connector 20, a gap D is form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20-1. In addition, the part of the same plane part F4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terminal 10-1 is rounded to support it more closely with the power terminal 10-1 and prevent the power terminal 10-1 from being separated.

이러한 간격(D)을 통해, 전원 단자(10-1)의 소성 변형이 방지된다. 더불어,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소성 변형도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is gap D, plastic deformation of the power terminal 10-1 is prevented. In addition, plastic deformation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0 may also be prevented.

돌출부(F1, F2, F3)가 모두 하단부(G)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돌출부(F2, F3)만이 하단부(G)보다 높은 실시예도 가능하다. 한편, 동일 평면부(F4) 는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 그의 상면)와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protrusions F1, F2, and F3 are higher than the lower end G, but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protrusions F2 and F3 are higher than the lower end G is also possible. Meanwhile, the same plane portion F4 is preferably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G (its upp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10-1.

이렇게 되면, 플러그 커넥터(10)를 상대 커넥터(20)에 결합(끼워맞춤)시에 간격(D)이 발생함은 설명한 바 있다. In this case, it has been explained that a gap D is generated when the plug connector 10 is coupled (fitted) to the mating connector 20.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의 하단부(G) 자체는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에 닿지 않지만, 전원 단자(10-1)의 타 부분은 그 위치에 따라서 상대 커넥터(20)의 하우징(20-1) 및/또는 전원 단자(20-1)에 닿는다. 마찬가지로 상대측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상면은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에 닿는다.The lower part (G) of the power terminal 10-1 of the plug connector 10 itself does not contact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mating connector 20, but the other portion of the power terminal 10-1 is located at that location. Accordingly, it touches the housing 20-1 and/or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0. Like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20 touches the housing 10-5 of the plug connector 10.

그리고, 동일 평면부(F4), 제2 돌출부(F2), 제3 돌출부(F3)는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에 곡선형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원 단자(10-1)와의 밀착 지지를 위한 것이다. 예컨대, 곡선형이 아니라 직각 모양이라면 밀착성이 떨어져서 빠지기 쉬울 수 있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e plane portion F4, the second protrusion F2, and the third protrusion F3 are curved when viewed from above. This is for close support with the power terminal 10-1. For example, if it is a right angle rather than a curved shape, it may be prone to falling out due to poor adhes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ocket connector (20;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플러그 커넥터(10)의 관점에서는 소켓 커넥터(20)는 상대 커넥터가 된다. 물론, 소켓 커넷터(20)의 관점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가 된다.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ug connector 10, the socket connector 20 becomes a mating connector. Of 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ket connector 20, the plug connector 10 becomes a counterpart connector.

도 7의 소켓 커넥터(20)는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와 끼워맞춤되어 결합한다. 물론 그러한 결합을 위해서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 반전하여 도 7의 소켓 커넥터(20)에 끼워맞추거나, 또는 도 7의 소켓 커넥터(20)를 상하 반전하여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에 끼워맞추게 된다.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7 is fitted and combined with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Of course, for such a combination, the plug connector 10 of FIG. 1 must be flipped up and down to fit into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7, or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7 must be flipped up and down to fit into the plug connector of FIG. 1 ( It fits into 10).

도 7에는, 일예로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하우징(2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ure 7, the power terminal 20-1, signal terminal 20-3, and housing 20-5 (mold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shown as an example.

전원 단자(20-1)는 커넥터(2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일 수 있으며,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물론, 전원 단자(20-1)가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신호 단자(2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와 체결된다.The power terminal 20-1 may be a metal structure to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connector 20, and may input and output power electrical signal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the power terminal 20-1 separated into separate metal fittings and a power terminal. The signal terminal 20-3 can input and output data signals. Thes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0-1 and the signal terminal 10-3 of the plug connector 10 in FIG. 1.

단, 도 7에 나타난 형성 및 배치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20-1)와는 별도의 금구(20-1)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However, the formation and arrangement shown in FIG. 7 are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eparate metal fitting 20-1 from the power terminal 20-1 may be made.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2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Also, for example, the signal terminal 20-3 may be composed of four PINs that allow a current of 0.3A, or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a current exceeding 0.3A, for example, up to 5A to function as a power terminal. there is. Howev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INs is 4 is just an example.

하우징(20-5)은 기저부를 갖는다. 하우징(2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등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중앙섬부(20-5I; center island portion)를 갖는다. 하우징(20-5)의 일부인 이 중앙섬부(20-5I)는 전원 단자(20-1)에 의해 그 일부가 덮여 있다.The housing 20-5 has a base. The housing 20-5 has a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power terminal 20-1, a signal terminal 20-3, etc. are formed on the wall portion. Additionally, the housing 20-5 has a center island portion (20-5I)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is central island portion 20-5I, which is part of the housing 20-5, is partially covered by the power terminal 20-1.

소켓 커넥터(20)의 하우징(2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The housing (20-5; mold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for example, LCP (Liquid Crystal Polymer). Additionally, the housing 20-5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containing resin, epox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terminal 20-1 and the signal terminal 20-3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pper, for example, or gold-plated copper alloy (nickel-under It may be a layer).

전원 단자(2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금구는 전원 단자(20-1) 및 신호 단자(20-3)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일 수도 있다.The power terminal 20-1 may be composed of separate metal fittings and a power terminal, and the metal fittings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power terminal 20-1 and the signal terminal 20-3.

도 8은 도 7에서 하우징(20-5)을 가상적으로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housing 20-5 in FIG. 7 virtually removed.

하우징(20-5)을 제거하면 금속제인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의 구조 및 배치 관계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By removing the housing 20-5,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metal power terminal 20-1 and signal terminal 20-3 will be more clear.

특히, 전원 단자(20-1)는 그 일부가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0-1E)가, 중앙섬부(20-5I; 도 7 참조)의 일부를 덮고 있다.In particular, the power terminal 20-1 has an extension portion 20-1E, a portion of which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that forms part of the central island portion 20-5I (see FIG. 7). covering.

도면에서 연장부(20-1E)의 우측으로는, 커넥터(20)가 길 경우에 강도 보강을 위한 추가 연장부가 도시되어 있다.To the right of the extension portion 20-1E in the drawing, an additional extension portion for reinforcing strength when the connector 20 is long is shown.

도 9는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의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socket connector 20.

도 9에 도시된 전원 단자(20-1)는 딥드로잉(deep drawing)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power terminal 20-1 shown in FIG. 9 is formed by a deep drawing method.

딥드로잉 가공이란, 깊이 오므리기 가공이라고도 하며, 판재의 프레스 가공에서, 펀치와 다이스를 이용하여 판의 외주부를 내측으로 밀착시켜, 이음매가 없는 공간 바닥의 용기상의 제품으로 가공하는 작업을 말한다. 가공 중에 플랜지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압축력이 생겨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재료를 변형 억제판으로 억제하면서 가공한다. 이음매가 없는 그릇 모양 또는 통 모양의 제품을 철ㆍ금속판에서 다이와 펀치로 성형하는 가공방법이며, 전기 부품 등의 소형 공업부품, 자동차의 차체나 항공기의 몸체 등 대형 부분품에 이르기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Deep drawing processing, also called deep drawing processing, refers to the process of pressing the outer periphery of a plate inward using punches and dies in the press processing of a plate, and processing it into a product on a container with a seamless space bottom. During processing, compressive force may occur in the flange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may cause deformation, so the material is processed while suppressing it with a deformation suppression plate. It is a processing method of forming seamless bowl-shaped or barrel-shaped products from iron or metal plates using dies and punches, and is widely used for small industrial parts such as electrical parts and large parts such as car bodies and aircraft bodies.

예컨대, 딥드로잉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 단자(20-1)를 만들면 도 9와 같은 형상(예컨대, 매끈한 굴곡부(20-1B)를 가짐)의 전원 단자(20-1)를 만들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ower terminal 20-1 is made using a deep drawing method, the power terminal 20-1 can be made in the shape shown in FIG. 9 (e.g., having a smooth curved portion 20-1B).

그러나, 딥드로잉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단지 일자형 판재를 절단 및 굽힘만으로 만들면, 굴곡부(20-1B)와 같은 형상은 만들 수 없고, 단지 도 9에 도시된 연장부(20-1E)에서처럼 절개부 및 굽힘부가 모두 드러나는 형상으로만 만들 수 있다. (물론, 도 8에서 보듯이, 연장부(20-1E)는 전원 단자(20-1)의 일부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이며, 딥드로잉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면, 도 9의 전원 단자(20-1)의 폭 방향의 우측 및 좌측의 굴곡부(20-1B)가 둥글게 형성될 수 없고 연장부(20-1E)에서처럼 절개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굴곡부(20-1B) 부분이 도 9에서처럼 형성될 수 없고 절개되어야 한다면, 전원 단자(20-1)의 전체적인 강성 및 탄성이 약해질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f the deep drawing method is not applied and a straight plate is made only by cutting and bending, a shape such as the bent portion 20-1B cannot be created, and only a cut portion like the extension portion 20-1E shown in FIG. 9 is formed. It can only be made in a shape that exposes all of the bends and bends. (Of course, as shown in FIG. 8, the extension portion 20-1E is part of the power terminal 20-1, but is provid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the deep drawing method is not used, the power supply in FIG. 9 This means that the bent portions 20-1B on the right and lef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20-1 cannot be rounded and must be cut like the extension portion 20-1E.) If the bent portion 20-1B is It can be easily seen that if it cannot be formed as in Figure 9 and has to be cut, the overall rigidity and elasticity of the power terminal 20-1 will be weakened.

다만, 딥드로잉 방식으로 금속 판재를 가공하면, 전기 커넥터(20)의 경우에는 그 사이에 수지제의 하우징(20-5)을 만드는 데에 다소 제약이 있다. 즉, 전원 단자(20-1)를 만든 후에, 인서트 성형에 의하면, 금속제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를 틀에 절적한 위치에 배치한 채로 수지를 흘려 넣어 굳힘으로써 당해 수지가 하우징(20-5)이 되는 것인데, 딥드로잉 방식으로 만든 전원 단자(20-1)처럼 절개부가 없거나 적으면, 수지를 주입할 입구에 제약이 생기는 것이다. 예컨대, 굴곡부(20-1B)가 도 9와는 달리 절개부라면 당해 절개부로 수지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을 것이지만, 도 9와 같은 구조에서는 그렇지 않다. However, when processing a metal plate using the deep drawing metho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making the resin housing 20-5 in the cas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20. That is, after making the power terminal 20-1, according to insert molding, the metal power terminal 20-1 and signal terminal 20-3 are placed in appropriate positions on the mold, and resin is poured and hardened. As a result, the resin becomes the housing 20-5, but if there are no or few incisions like the power terminal 20-1 made by deep drawing,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inlet through which the resin can be injected. For example, if the bent portion 20-1B is an incision, unlike in FIG. 9, resin can be easily injected into the incision, but this is not the case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에서는 도 9의 단벽의 중앙부에 개방홀(H)을 형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ower terminal 20-1 of the electrical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hole H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d wall of FIG. 9.

도 9에서, 전원 단자(20-1)는 크게 보아 3개의 단벽부를 갖는다. 커넥터(20)의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된 제1 단벽부(20-1-W1), 커넥터(20)의 폭 방향의 양 단부측에 형성된 제2 단벽부(20-1-W2) 및 제3 단벽부(20-1-W3)이다. In Fig. 9, the power terminal 20-1 has three end wall portions when viewed broadly. A first end wall portion (20-1-W1) formed on an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a second end wall portion (20-1-W2) formed on both end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and 3 It is a single wall part (20-1-W3).

전원 단자(20-1)의 제1 단벽부(20-1-W1), 제2 단벽부(20-1-W2), 제3 단벽부(20-1-W3)는 각각, 후술할 도 10의 하우징(20-5)의 제1 벽부(W1), 제2 벽부(W2), 제4 벽부(W4)의 위치에 대응한다.The first end wall portion 20-1-W1, the second end wall portion 20-1-W2, and the third end wall portion 20-1-W3 of the power terminal 20-1 are respectively shown in FIG.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rresponds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wall W1, the second wall W2, and the fourth wall W4 of the housing 20-5.

이 중에서, 개방홀(H)은 제1 단벽부(20-1-W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단벽부(20-1-W1) 중에서도 중간 하단(즉, 좌우 방향(Y 방향)에서는 중간, 상하 방향(Z 방향)에서는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형성되었을 때에, 딥드로인으로 만들어진 전원 단자(20-1)를 이용하여 인서트 성형을 할 때에, 당해 개방홀(H)로 수지를 주입하고, 당해 수지는 개방홀을 중심으로 좌우로 균일하게 옆으로 퍼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Among these, the open hole H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irst end wall portion 20-1-W1. And, of the first end wall portion 20-1-W1, i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middle bottom (that is, the midd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bottom in the up-down direction (Z direction)). When formed at this position, when insert molding is performed using the power terminal 20-1 made by deep draw, resin is injected into the open hole (H), and the resin is spread to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open hole. You can think of it spreading evenly laterally.

만약, 개방홀(H)이 제1 단벽부(20-1-W1)에 있더라도 도 9의 도시 위치가 아니라 좀 더 우측 또는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면, 인서트 성형을 위해 주입한 수지(추후, 하우징(20-5)이 됨)가 골고루 퍼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Even if the open hole (H) is in the first end wall portion (20-1-W1), if it is biased more to the right or left than the position shown in FIG. 9, the resin injected for insert molding (later, housing (20)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5) will not be spread evenly.

한편, 도 9에서 제2 단벽부(20-1-W2) 및 제3 단벽부(20-1-W3)에는 개방홀(H)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개방홀이 제2 단벽부(20-1-W2) 및/또는 제3 단벽부(20-1-W3)에 있다면, 좌우 대칭(폭 방향 기준)으로 수지를 고르게 주입하기 힘들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Meanwhile, in FIG. 9, the open hole H is not formed in the second end wall portion 20-1-W2 and the third end wall portion 20-1-W3. This is because it is thought that if the open hole is in the second end wall portion (20-1-W2) and/or the third end wall portion (20-1-W3), it is difficult to evenly inject the resin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도 10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에 하우징(20-5)이 추가된 도면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7, with the housing 20-5 added to FIG. 9.

도 9의 전원 단자(20-1)(및 미도시의 신호 단자(20-3))에 대하여, 인서트 성형을 행한 결과가 도 10에 나타나 있다. The results of insert molding for the power terminal 20-1 in FIG. 9 (and the signal terminal 20-3, not shown) are shown in FIG. 10.

인서트 성형 후에는 하우징(20-5; 수지제 몰드)이 개방홀(H)의 일부를 덮게 된다. 수지의 주입이 끝난 후에는 굳이 당해 개방홀(H)이 계속 개방되어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해 부분이 덮여 있어야 하우징(20-5)의 전반적인 강도가 증가할 것이다.After insert molding, the housing (20-5; resin mold) covers part of the open hole (H). This is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the open hole H to remain open after the injection of the resin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overall strength of the housing 20-5 will increase if the relevant part is cover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wh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플러그 커넥터
10-1: 전원 단자
G: 하단부(의 상면)
E1: 제1 연장부
E2: 제2 연장부
E3: 제3 연장부(외측 연장부)
10-3: 신호 단자
10-5: 하우징(몰드부)
F1: 제1 돌출부
F2: 제2 돌출부
F3: 제3 돌출부
F4: 동일 평면부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20-1: 전원 단자
20-1E: 연장부
20-3: 신호 단자
20-5: 하우징(몰드부)
20-5I: 중앙섬부
H: 개방홀
10: plug connector
10-1: Power terminal
G: Lower part (upper surface)
E1: first extension
E2: second extension
E3: Third extension (outer extension)
10-3: Signal terminal
10-5: Housing (mold part)
F1: first protrusion
F2: second protrusion
F3: Third protrusion
F4: Coplanar
20: Receptacle connector (socket connector)
20-1: Power terminal
20-1E: Extension
20-3: Signal terminal
20-5: Housing (mold part)
20-5I: Central island
H: Open hole

Claims (8)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 및 제4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단자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몰드부는,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일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타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3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었을 때에,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원 단자 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몰드부에 닿음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하단부의 상면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닿지 않고 간격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and combined with a mating connector,
a base,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the first wall portion a mold portion including a third wall portion facing the base,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a power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Includes,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lower part; At the lower end, there is an outer extens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ld portion includes, at the lower por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high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t has a third protrusion that contacts the lower en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is formed high and has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fit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either or both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come into contact with a power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or a mold portion of the mating connector,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does not contact the power terminal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but leaves a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내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ld part,
A first protrusion formed high an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n the in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An electrical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전원 단자의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지 않게 형성되는 동일 평면부
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old part,
A fla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rotrusion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formed to have no level differen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An electrical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기판에 실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 및 제4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단자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몰드부는,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일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타측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하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하단부의 상면과 단차를 갖고 높게 형성되는 제3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으로 휠 때에,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인 도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and combined with a mating connector,
a base,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the first wall portion a mold portion including a third wall portion facing the base,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a power terminal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Includes,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lower part; At the lower end, there is an out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ld portion includes, at the lower por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high and having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t has a third protrus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is formed high and has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t the lower end; The lower end further has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electrical connector is,
In the case where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when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are b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are ben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escape part is a space that accommodates the end of the extension.
An electrical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 중 하단부의 상면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몰드부 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원 단자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5,
An electrical connector, wherein a portion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ex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contacts a mold portion of the mating connector or a power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하단부에 접하는 부분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5,
An electrical connector, wherein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that contact a lower end of a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has a curved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평면부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하단부에 접하는 부분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3,
An electrical connector, wherein the portion of the same plane portion that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has a curved shape.
KR1020210179821A 2021-12-15 2021-12-15 Electric connector KR102644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21A KR102644055B1 (en) 2021-12-15 2021-12-15 Electric connector
CN202223285196.2U CN219067292U (en) 2021-12-15 2022-12-06 Electr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21A KR102644055B1 (en) 2021-12-15 2021-12-15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64A KR20230090764A (en) 2023-06-22
KR102644055B1 true KR102644055B1 (en) 2024-03-06

Family

ID=8634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821A KR102644055B1 (en) 2021-12-15 2021-12-15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055B1 (en)
CN (1) CN219067292U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8026B2 (en)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051242B2 (en) * 2014-07-16 2016-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102294963B1 (en) * 2017-07-13 2021-08-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47677B1 (en) * 2018-01-11 2019-11-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lug connector
KR102553861B1 (en) * 2019-02-27 2023-07-1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lu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067292U (en) 2023-05-23
KR20230090764A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6275B1 (en) Connector
US8523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806502B1 (en) Connector
US6652296B2 (en) Electric connector for shielded cable, a connector body thereof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electric connector
US10573987B2 (en) Multipolar connector
CN109586063B (en) Connector for substrate and combination thereof
US20220052468A1 (en) Receptacle connector
JP2020140959A (en) Plug connector
KR102644055B1 (en) Electric connector
US6739892B1 (en) Modular connector for very high frequency applications
KR102644059B1 (en) Electric connector
KR20200104726A (en) Plug connector
KR102239718B1 (en) connection pin an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on pin
CN211126178U (en) Socket connector
KR20230172873A (en) Electric connector
KR20230172872A (en) Electric connector
JP7073054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ceptacle connector
KR20240035111A (en) Electric connector
CN220822012U (en) Electric connector
KR20240043559A (en) Electric connector
JP7480073B2 (en) Connectors with insert-molded terminals
KR20240006868A (en) Electric connector
KR102268227B1 (en) Socket Connector
CN209401894U (en) A kind of connector
KR20240054577A (en) Receptac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