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678A -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678A
KR20240034678A KR1020230118649A KR20230118649A KR20240034678A KR 20240034678 A KR20240034678 A KR 20240034678A KR 1020230118649 A KR1020230118649 A KR 1020230118649A KR 20230118649 A KR20230118649 A KR 20230118649A KR 20240034678 A KR20240034678 A KR 2024003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mera
image
smart
dent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픽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픽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픽모바일
Publication of KR2024003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6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구강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단말에서 분석하고, 감지된 예상병변 등의 특이사항을 촬영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정 등에서 사용자가 구강의 촬영과 동시에 구강의 상태를 손쉽게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구강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구강카메라; 상기 구강카메라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환경설정 및 상기 구강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구강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구강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부; 상기 이미지추출부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를 분석하여 구강 위치별 특이사항을 감지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이미지추출부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제1 오버레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Smart dental care system using intraoral camera}
본 발명은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구강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단말에서 분석하고, 감지된 예상병변 등의 특이사항을 촬영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정 등에서 사용자가 구강의 촬영과 동시에 구강의 상태를 손쉽게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 병원 진료 분야에서는 환자의 구강 병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치아, 잇몸의 영상 또는 치아, 잇몸에 대한 특정부분의 근접 촬영된 영상 등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 병변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카메라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치과 진료를 위한 구강카메라는 치과의사의 진료 하에 자신의 구강 내의 치아상태를 촬영할 수 있어 이를 위해 환자가 직접 병원에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해보고자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649호(2014.03.17. 공개)에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구강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 단말이 구강카메라 장치를 통해 구강 내부 또는 외부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촬영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입력 질의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질의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구강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한 후 전문가로부터 답변 데이터를 수신 받는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는 촬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없어 사용자가 구강을 촬영하면서 구강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등에서 사용자가 구강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고, 촬영과 동시에 구강의 상태를 손쉽게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구강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구강카메라; 상기 구강카메라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환경설정 및 상기 구강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구강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구강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부; 상기 이미지추출부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를 분석하여 구강 위치별 특이사항을 감지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이미지추출부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제1 오버레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표준 구강의 전체적인 형태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된 구강그래픽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제2 오버레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제1 오버레이출력부의 출력을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제2 오버레이출력부의 출력을 보조화면으로 하여 PIP 형태로 동시에 출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카메라제어부, 이미지추출부, 이미지분석부 및 제1, 2 오버레이출력부가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제어부는, 환경설정을 통해 상기 이미지추출부의 추출 시간 간격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입력으로 주어진 구강이미지 및 그에 매칭되는 특이사항을 빅데이터로 학습하여 구축된 인공지능 구강 분석 모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 수집된 구강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DB가 구비되며, 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상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덴탈케어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강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단말에서 분석하고, 감지된 예상병변 등의 특이사항을 촬영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정 등에서 사용자가 구강의 촬영과 동시에 구강의 상태를 손쉽게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감지된 예상병변 등의 특이사항을 표준 구강의 전체적인 형태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된 구강그래픽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함으로써 구강 내의 어느 부분을 촬영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하며 용이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이사항이 발생된 구강 위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구강이미지의 분석에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단말에서 구강 상태의 신속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제어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분석부의 인공지능 학습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오버레이출력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오버레이출력부 및 PIP 화면 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제어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분석부의 인공지능 학습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오버레이출력부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오버레이출력부 및 PIP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구강카메라(10)와, 사용자단말(20)과, 덴탈케어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카메라(10)는 치아, 잇몸, 혀, 입술 및 구강 내부의 다양한 질병, 이상과 관련된 문제를 진단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구강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강카메라(10)는 사용자단말(20)과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촬영된 구강동영상을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20)의 카메라제어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환경설정 및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구강카메라(10)는 사용자의 입 속/밖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고, 보통 상기 카메라가 사용자의 입 속/밖을 촬영할 때 이를 비추기 위한 광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강카메라(10) 자체는 공지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상기 구강카메라(1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상호 USB 케이블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제어부(21)와, 이미지추출부(22)와, 이미지분석부(23)와, 제1 오버레이출력부(24)와, 제2 오버레이출력부(25)와, 정보안내부(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제어부(21), 이미지추출부(22), 이미지분석부(23), 제1 오버레이출력부(24), 제2 오버레이출력부(25) 및 정보안내부(26)는 상기 사용자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제어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환경설정 및 상기 구강카메라(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제어부(21)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을 통해 상기 구강카메라(10)에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구강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부(22)의 추출 시간 간격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제어부(21)의 환경설정을 통한 상기 이미지추출부(22)의 추출 시간 간격은 Slow, Normal, Fast, Very Fast의 4단계로 조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20)의 성능에 따라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제어부(21)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강카메라(10)의 촬영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강카메라(10)의 작동 즉,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추출부(22)는 상기 구강카메라(10)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구강이미지를 추출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이미지추출부(22)는 상기 구강카메라(10)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소스로 이미지분석부(23)에서 분석이 가능한 이미지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추출부(22)에서의 구강이미지 추출 시간 간격은 카메라제어부(21)의 환경설정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23)는 상기 이미지추출부(22)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를 분석하여 구강 위치별 특이사항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분석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으로 주어진 구강이미지 및 그에 매칭되는 특이사항을 빅데이터로 학습하여 구축된 인공지능 구강 분석 모델(231)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인공지능 구강 분석 모델(231)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모델은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공지기술인 Deep Belief Network, Autoencoder,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rural Network), Deep Q-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버레이출력부(24)는 상기 이미지분석부(23)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이미지추출부(22)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도 5의 (a)에는 구강이미지의 충치가 발생된 위치에 특이사항으로 Cavity라는 텍스트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한 모습을 예시하였고, 도 5의 (b)에는 구강이미지의 잇몸질환이 발생된 위치에 특이사항으로 periodontal disease라는 텍스트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한 모습을 예시하였다.
상기 제2 오버레이출력부(25)는 상기 이미지분석부(23)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표준 구강의 전체적인 형태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된 구강그래픽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도 6의 (a)에는 구강그래픽의 해당 위치에 특이사항 텍스트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2 오버레이출력부(25)의 구성에 의하여 의학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라도 구강 내의 어느 부분을 촬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며 용이하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이사항이 발생된 구강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제2 오버레이출력부(25)를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상기 제1 오버레이출력부(24)의 출력을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제2 오버레이출력부(25)의 출력을 보조화면으로 하여 PIP 형태로 동시에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안내부(26)는 상기 이미지분석부(23)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정보안내부(26)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치과에 방문하지 않고서도 1차적으로 자신의 구강 상태에 따라 추천되는 구강 관리 정보와 같은 안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덴탈케어서버(3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상기 사용자단말(20)과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20)에 수집된 구강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DB(31)가 구비되며, 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상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덴탈케어서버(30)의 관리DB(31)에 상기 사용자단말(20)에 수집된 구강정보가 저장되고, 전문가가 상기 관리DB(31)에 저장된 구강정보를 확인한 후 그에 대응되는 상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1차적으로 자가 덴탈 케어가 가능함은 물론 2차적으로 전문가를 통한 비대면 원격 전문 진료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구강카메라
20 사용자단말
21 카메라제어부
22 이미지추출부
23 이미지분석부
231 인공지능 구강 분석 모델
24 제1 오버레이출력부
25 제2 오버레이출력부
26 정보안내부
30 덴탈케어서버
31 관리DB

Claims (8)

  1. 구강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구강카메라;
    상기 구강카메라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환경설정 및 상기 구강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구강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구강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부;
    상기 이미지추출부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를 분석하여 구강 위치별 특이사항을 감지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이미지추출부에서 추출된 구강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제1 오버레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변환한 후 표준 구강의 전체적인 형태가 그래픽적으로 표시된 구강그래픽의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제2 오버레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제1 오버레이출력부의 출력을 주화면으로 하고, 상기 제2 오버레이출력부의 출력을 보조화면으로 하여 PIP 형태로 동시에 출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이미지분석부에서 감지된 특이사항에 대응되는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카메라제어부, 이미지추출부, 이미지분석부 및 제1, 2 오버레이출력부가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제어부는, 환경설정을 통해 상기 이미지추출부의 추출 시간 간격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입력으로 주어진 구강이미지 및 그에 매칭되는 특이사항을 빅데이터로 학습하여 구축된 인공지능 구강 분석 모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상기 사용자단말과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 수집된 구강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DB가 구비되며, 전문가에 의해 입력된 상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덴탈케어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KR1020230118649A 2022-09-07 2023-09-06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KR20240034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697 2022-09-07
KR20220113697 2022-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678A true KR20240034678A (ko) 2024-03-14

Family

ID=9024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649A KR20240034678A (ko) 2022-09-07 2023-09-06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46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39B1 (ko) 의료용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방법과 의료용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캡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0466492B1 (en) Monitor system
EP2733924B1 (en) Image capture stabilization
US20070241884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08042090B (zh) 配置人工智能芯片的医用内窥镜系统及图像处理方法
JP2004521662A (ja) インビボカメラのキャプチャレートおよび表示レート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1169964A3 (en) Diagnosis system, diagnosis data produc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ed in the diagnosis data producing method
JP2006055262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CN106856555B (zh) 数字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EP1627594A1 (en) Medical image recording system
KR20190141475A (ko) 치과 의료용 무압축 영상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20240034678A (ko) 구강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덴탈 케어 시스템
CN110772210B (zh) 一种诊断交互系统及方法
JP2005021516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JP5030394B2 (ja) 内視鏡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556918A (ja) 内視鏡装置
JPH10155736A (ja) 内視鏡用信号処理装置
JP4813178B2 (ja) 内視鏡装置
JP3923601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4459564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を有する内視鏡システム
JP2962553B2 (ja) 内視鏡画像記録装置
JP2005013409A (ja) 内視鏡装置または内視鏡システム
JP4827414B2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と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070073103A1 (en) Diagnostic device for tubular organs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