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321A -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 - Google Patents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321A
KR20240034321A KR1020220113130A KR20220113130A KR20240034321A KR 20240034321 A KR20240034321 A KR 20240034321A KR 1020220113130 A KR1020220113130 A KR 1020220113130A KR 20220113130 A KR20220113130 A KR 20220113130A KR 20240034321 A KR20240034321 A KR 20240034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rtwork
art
nft
gall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성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라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라식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라식스
Priority to KR102022011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321A/ko
Publication of KR2024003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3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구매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의 합계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서버는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여 전송하는 수익배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An Art Trading Method Using Non-Fungible Token and An Art Trading Platform Their Of}
본 발명은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술작품의 매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추급권을 보유하는 작가에게 수익을 배분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였던 콜렉터에게도 수익을 배분함으로써 예술작품의 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ICT 기반 기술이 급격히 발전되어 일상 생활에 전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에서는 과거의 중앙 집중적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분산 및 탈중앙화를 통해 누구도 조작할 수 없는 블록체인 기술 등을 적용한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특히 스마트 계약과 관련하여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기존의 집중화된 계약과 결제, 서비스 이행 과정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원천적인 불법 복제와 해킹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NFT 즉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token)이다. 그림·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서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종의 가상 진품 증명서이다. 최근에는 NFT를 예술작품의 거래에 적용하여 예술작품의 진품을 보장함으로써 예술작품의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예술작품의 거래 활성화까지 연결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끝에, NFT화된 예술작품이 지속적으로 거래되는 한 이를 보유(소유)하고 있는 컬렉터들에게도 일정 비율의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여 예술작품을 단순히 보유(소유)하기만 하더라도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널리 인식시킴으로써 예술작품을 보유하고 있는 컬렉터들이 자발적 적극적으로 거래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예술작품의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0249호(2021.10.07.) 2.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51578호(2022.04.26.)
본 발명은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구매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의 합계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서버는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여 전송하는 수익배분 단계를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작가의 단말, 구매자의 단말, 예술작품의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에서 있어서,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의 단말로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전송하고,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을 수신하고,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을 전송하고,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폼을 통한 NFT화된 예술작품의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에서 정보 데이터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에서 거래 플랫폼에 참여한 주체에 대한 수익 배분에 관한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또는 제2 라는 표현은 순서,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NFT화된 예술작품이 지속적으로 거래되는 한 이를 보유(소유)하고 있는 컬렉터들에게도 일정 비율의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여 예술작품을 단순히 보유(소유)하기만 하더라도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시켜 컬렉터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예술작품의 거래 활성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의 정보 데이터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에서 거래 플랫폼에 참여하는 주체에 대한 수익 배분에 관한 예시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구매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의 합계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서버는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여 전송하는 수익배분 단계를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거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술작품을 NFT화하고 이를 가상의 공간인 플랫폼을 통하여 거래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플랫폼은 작가의 단말, 구매자의 단말, 예술작품의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각 단말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작가, 구매자, 컬렉터, 갤러리 등이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먼저 회원 가입을 하고 개인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갤러리는 작가로부터 예술작품에 대하여 판매위탁을 받을 수 있으며, 갤러리는 작가로부터 위탁받은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술작품의 이미지, 명칭, 제작시기 및 거래 이력, 소재, 작가의 성명, 활동이력 등 예술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술작품의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로 촬영한 사진이거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술작품을 특정할 수 있는 기타 다양한 이미지도 포함할 수 있다.
반드시 갤러리가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작가가 직접 자신의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예술작품의 이미지 등을 제작함에 있어서 갤러리가 보다 전문적이고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더 높기 때문에 작가는 갤러리에 위탁하여 판매 등의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가와 갤러리 간 위탁판매 계약은 플랫폼 서버 내 위탁계약 모듈에서 체결될 수 있다.
작가의 단말로 작가의 개인식별번호(아이디, 비밀번호 등)를 입력 후 서버의 위탁판매계약 모듈에 접속하여 위탁판매 조건과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위탁판매 청약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는 작품의 명칭, 제작 시점, 판매 가격, 전시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탁판매계약조건에는 예를 들어, 작가는 작품 실물을 제공하고 갤러리는 이를 디지털화 한다는 등 작가와 갤러리의 각자 역할 분담에 관한 사항, 예술작품 판매 시 작가와 갤러리가 예술작품의 판매대금 배분 비율(예, 50:50 등)에 관한 사항 등이 있을 수 있다.
위탁판매 청약요청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이를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갤러리 측에서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 및 위탁판매계약조건 등을 확인한 후, 갤러리의 단말을 통하여 승낙 표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승낙 표시 정보를 수신은 서버는 작가의 단말로 승낙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작가의 단말에서 승낙 표시 정보를 확인하면 작가와 갤러리 간 위탁판매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계약의 체결에 관하여 이와 다르게 정할 수 있다.
갤러리 측에서 계약조건이 맞지 않아 계약조건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갤러리의 단말은 계약조건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작가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작가의 단말에서 승낙 표시를 하고 이것이 서버를 거쳐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되고 이를 갤러리 단말에서 확인하면 변경된 조건으로 위탁판매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계약의 체결에 관한 사항은 이와 다르게 정할 수 있다.
갤러리 단말은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 위탁판매계약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을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서버의 NFT 발급 모듈에서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할 수 있다. 실존하는 예술작품을 NFT로 만드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로 찍거나 3D 스캔을 사용하여 디지털 파일을 생성한 후 NFT를 붙일 수 있다. 이를 NFT화된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는 작가 정보, 해당 작품에 대한 추급권 정보, 작품 관련 이미지 정보, 작가 등의 지갑 주소 정보, 거래 이력 정보, 거래 및 작품 상세 정보 확인 이력 정보, 결제 관련 승인 정보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작가, 구매자, 갤러리 등 개별주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의 전시 모듈에서는 작가의 단말, 구매자의 단말, 컬렉터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등에서 NFT화된 예술작품을 검색하여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플랫폼 내에 등록할 수 있다. 가상의 공간에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셈이다.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 중 작가가 공개를 원하지 않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공개할 수 있다. 특히 예술작품의 이미지, 작가의 성명 등을 공개하고 이를 통하여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등록된 예술작품 중 관심이 있는 작품에 대하여는 구매자 등의 조회수가 많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해당 예술작품의 인기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기도를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인기도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24시간 등)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있도록 하여 항상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NFT화된 예술작품의 상세정보에서 해당 예술작품의 인기도를 구매자 단말 등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예술작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기도가 높은 예술작품은 판매가격이 높을 수 있고, 인기도 낮은 예술작품은 판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NFT화된 예술작품을 보유(소유)하고 있는 컬렉터는 자신이 소유한 예술작품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에 판매 의뢰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기도가 점점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 높은 가격에 판매 의뢰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재판매는 서버의 재판매 모듈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렉터가 서버의 재판매 모듈에 접속하여 재판매를 의뢰하는 경우, 서버의 재판매 모듈에서는 기존 NFT를 수거하고 예술작품에 대한 감정평가 절차를 다시 거친 후 다시 전시 모듈에 등록되어 전시될 수 있다.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갤러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는 서버의 전시 모듈에 등록되어 있는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 즉 작가의 성명, 이력, 작품의 명칭, 제작 시기, 가격, 인기도, 매매 조건 등을 조회한 결과 구매하기로 결정하였다면 구매 청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매매 조건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취지의 조건부 청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이를 갤러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갤러리 측에서는 매매 조건 등에 부합하는지 등에 대하여 검토할 수 있다.
갤러리와 플랫폼 관리자 간에 이미 약정이 되어 있다면,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구매 청약 정보가 전시 모듈에 게시된 해당 작품의 매매 조건에 부합하면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 승낙 정보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갤러리의 단말에 승낙 정보를 전송하거나 아니면 이를 생략할 수도 있다.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의 단말로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의 구매 청약 요청이 매매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갤러리 단말은 승낙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구매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승낙 정보를 구매자가 확인하는 경우 매매 계약이 체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계약의 체결에 관한 사항은 이와 다르게 정할 수 있다.
서버가 매매 조건의 변경을 원하는 조건부 청약 정보를 갤러리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갤러리 단말은 변경된 조건을 받아들인다는 승낙 정보를 서버를 거쳐 구매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승낙 정보를 구매자가 확인하는 경우 매매 계약이 체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계약의 체결에 관한 사항은 이와 다르게 정할 수 있다.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매매 계약은 서버의 매매 계약 모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매매 대금(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매매 계약에 따라 구매자는 매매 대금을 지불해야 한다. 매매 대금에는 예술작품의 가격 금액과 거래수수료가 포함될 수 있다. 매매 대금의 지급은 구매자, 작가, 갤러리 등 각각의 암호 화폐 지갑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을 전송할 수 있다.
매매 대금을 수령함과 동시에 NFT화된 예술작품을 전송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통상적인 시간적 이격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갤러리는 구매자에게 예술작품 실물을 오프라인에서 인도할 수 있다. 하지만, 예술작품 실물의 인도는 선택사항이다. 실물 인도에 관한 사항은 미리 매매 계약의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예술작품의 보관 장소나 조건 등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갤러리에서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이다. 실물 인도를 받지 않은 경우 이것은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투자일 수 있다. 추후 이를 더 높은 가격으로 재판매하여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서버는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수익배분).
작가, 갤러리, 컬렉터, 플랫폼 관리자 간의 수익 배분은 상호 간 약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수익 배분은 암호 화폐 지갑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작가에게는 추급권이 있기 때문에 작가는 수익의 일부를 배분받을 수 있다. 갤러리는 예술작품을 수급하고 작품의 반복 판매 시 품질을 보증하는 대가로 수익의 일부를 배분받을 수 있다. 플랫폼 관리자는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고 거래 시 발생하는 가스비 등의 대가로 수익의 일부를 배분받을 수 있다.
한편 NFT화된 예술작품의 보유(소유)자인 컬렉터에게도 수익을 배분함으로써 NFT화된 예술작품의 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거래가 계속 이루어질수록 작가와 갤러리뿐만 아니라 컬렉터 또한 수익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어 컬렉터도 적극적으로 예술작품의 거래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첫 거래인 경우 서버는 예술작품의 가격 금액을 약정 비율로 배분하여 작가 단말과 상기 갤러리 단말에 전송하고, 거래수수료는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첫 거래에서는 작가, 갤러리, 구매자, 플랫폼 관리자만 존재한다. 첫 거래는 플랫폼을 통하여 작가의 위탁을 받은 갤러리가 구매자에게 NFT화된 예술작품을 판매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컬렉터는 플랫폼을 통하여 NFT화된 예술작품을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를 말하기 때문에 첫 거래의 경우 컬렉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컬렉터에 대한 배분 비율이 0(영)이라고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작가는 추급권자가 아니라 매매 당사자로서 작품 가격 금액에 대하여 갤러리와의 약정에 따라 분배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품 가격이 1000만원이면, 작품 가격의 50%인 500만원을 작가의 단말에게, 작품 가격의 50%인 500만원을 갤러리의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거래수수료(작품 가격의 8%)인 80만원 전부(100%)를 플랫폼 관리자에 전송할 수 있다(도 3 참조).
두번째 거래인 경우 서버는 예술작품의 가격을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에 따라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두번째 거래는 플랫폼을 통하여 제1 컬렉터가 보유한 NFT화된 예술작품을 갤러리에게 위탁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형식이다. 두번째 거래에서는 거래수수료만을 약정 비율에 따라 작가(추급권자), 갤러리, 플랫폼 관리자가 배분받을 수 있다. 제1 컬렉터는 매매 계약의 당사자로서 예술작품의 가격 금액을 받는 것이지,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에 따라 배분받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매매 대금이 20% 상승하여 1200만원인 경우, 거래수수료(예술작품 가격의 8%)가 96만원일 수 있다. 이때 작품 가격 금액 1200만원은 직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에게 전송되고, 거래수수료(96만원)(100%)에 대하여 작가는 19만원(20%), 갤러리는 38만원(40%), 플랫폼 관리자는 38만원(40%)을 배분받을 수 있다(도 3 참조).
세번째 거래 이후인 경우 서버는 예술작품의 가격을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에 따라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3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세번째 거래 이상부터는 추급권자인 작가뿐만 아니라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3 컬렉터에게도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제3 컬렉터는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가 해당 NFT화된 예술작품을 보유하기 전에 해당 NFT화된 예술작품을 보유했던 자를 의미한다. 제3 컬렉터는 복수일 수 있다.
세번째 거래 이후는 플랫폼을 통하여 제2 컬렉터가 보유한 NFT화된 예술작품을 갤러리에게 위탁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형식이다. NFT화된 예술작품의 가격 금액은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에게 전송하고, 나머지 거래 수수료를 작가(추급권자), 갤러리, 이전 보유자인 제3 컬렉터, 플랫폼 관리자에게 약정 비율에 따라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번째 거래의 경우, 매매 대금이 20% 상승하여 1440만원인 경우, 매매 대금 중 작품 가격 금액은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에게 전송되고, 나머지 거래수수료(100%)에 대하여 작가는 10%, 갤러리는 40%, 플랫폼 관리자는 40%, 제3 컬렉터는 10% 를 배분받을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예에서, 두번째 거래에서는 거래수수료에 대한 배분 비율을 갤러리와 플랫폼 관리자는 각각 40%, 작가는 20%로 하였다. 세번째 거래에서는 갤러리와 플랫폼 관리자의 배분 비율은 기존과 동일하되, 작가의 배분 비율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나머지 절반을 제3 컬렉터에게 부여하였다. 세번째 거래에서는 제3 컬렉터가 1인이지만, 네번째 이후의 거래에서는 제3 컬렉터가 복수가 될 것이다. 제3 컬렉터가 복수이더라도 이들이 배분 받을 수 있는 총 비율에는 변함이 없다. 즉 네번째 이후의 거래에서는 갤러리(40%), 플랫폼 관리자(40%), 작가(10%)의 배분 비율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나머지 10%를 복수의 제3 컬렉터가 균등하게 배분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일 수 있다. 즉 NFT화된 예술작품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일 수 있다. 플랫폼은 작가의 단말, 구매자의 단말, 예술작품의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각 단말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작가의 단말에는 예술작품을 창작한 작가에 관한 개인정보나 예술작품에 관한 사항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갤러리는 작가로부터 위탁받아 예술작품을 판매하는 주체로서 예술작품의 거래나 품질 유지 등에 있어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다. 갤러리의 단말에는 작가로부터 위탁받은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구매자는 플랫폼에 접속하여 플랫폼에 등록되어 전시되어 있는 NFT화된 예술작품을 검색하여 해당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구매하는 주체일 수 있다. 구매자의 단말에는 플랫폼 접속 시 필요한 개인정보나 결제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컬렉터는 플랫폼을 통하여 예술작품을 구매하여 이를 보유하고 있는 주체일 수 있다. 컬렉터는 복수일 수 있다. 서버에서는 플랫폼에서 각종 제어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하고,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하고,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구매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의 합계 금액)을 수신하고,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의 정보를 전송하고,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이전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의 동작 기능에 대하여는 앞 측면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예술작품의 이미지, 제작시기 및 거래이력, 작가의 성명, 활동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대금의 지급과 수익 배분은 암호 화폐 지갑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에서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작가, 갤러리, 플랫폼 관리자 이외에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컬렉터에게도 배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하여 플랫폼을 통한 NFT화된 예술작품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수익 배분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첫 거래인 경우, 서버는 예술작품의 가격을 약정 비율로 배분하여 작가 단말과 갤러리 단말에 전송하고, 거래수수료를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두번째 거래인 경우, 서버는 예술작품의 가격을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대로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세번째 거래 이상인 경우, 서버는 예술작품의 가격을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대로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세번째 거래 이상부터는 추급권자인 작가뿐만 아니라 상기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3 컬렉터에게도 수익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첫번째 거래인 경우, 작품 가격이 1000만원이면, 작품 가격의 50%인 500만원을 작가의 단말에게, 작품 가격의 50%인 500만원을 갤러리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거래수수료(작품 가격의 8%)인 80만원 전부(100%)를 플랫폼 관리자에 전송할 수 있다.
두번째 거래인 경우, 매매 대금이 20% 상승하여 1200만원인 경우, 거래수수료(예술작품 가격의 8%)가 96만원일 수 있다. 이때 작품 가격 금액 1200만원은 직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에게 전송되고, 거래수수료(96만원)(100%)에 대하여 작가는 19만원(20%), 갤러리는 38만원(40%), 플랫폼 관리자는 38만원(40%)을 배분받을 수 있다.
세번째 거리인 경우, 매매 대금이 20% 상승하여 1440만원인 경우, 매매 대금 중 작품 가격 금액은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에게 전송되고, 나머지 거래수수료(100%)에 대하여 작가는 10%, 갤러리는 40%, 플랫폼 관리자는 40%, 제3 컬렉터는 10% 를 배분받을 수 있다.
세번째 거래에서는 갤러리와 플랫폼 관리자의 배분 비율은 기존과 동일하되, 작가의 배분 비율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나머지 절반을 제3 컬렉터에게 부여하였다. 세번째 거래에서는 제3 컬렉터가 1인이지만, 네번째 이후의 거래에서는 제3 컬렉터가 복수가 될 것이다. 제3 컬렉터가 복수이더라도 이들이 배분 받을 수 있는 총 비율에는 변함이 없다. 즉 네번째 이후의 거래에서는 갤러리(40%), 플랫폼 관리자(40%), 작가(10%)의 배분 비율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나머지 10%를 복수의 제3 컬렉터가 균등하게 배분받을 수 있다.
플랫폼에 참여하는 주체 간의 수익 배분 비율은 약정에 따라 다르게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 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갤러리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구매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상기 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의 합계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상기 갤러리의 단말, 상기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여 전송하는 수익배분 단계;
    를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배분 단계는,
    첫 거래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을 약정 비율로 배분하여 작가 단말과 상기 갤러리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거래수수료를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두번째 거래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을 상기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대로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세번째 거래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을 상기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대로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상기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세번째 거래 이상부터는 추급권자인 작가뿐만 아니라 상기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3 컬렉터에게도 수익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예술작품의 이미지, 제작시기 및 거래이력, 작가의 성명, 활동이력을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대금의 지급과 상기 수익 배분은 암호 화폐 지갑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5. 작가의 단말, 구매자의 단말, 예술작품의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에서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갤러리의 단말로부터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NFT를 발급하고 누구나 탐색할 수 있도록 NFT화된 예술작품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예술작품에 관한 구매 청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 구매 청약에 대한 승낙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구매 대금(상기 예술작품의 가격과 거래수수료(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의 일정 비율 금액))을 수신하고,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 NFT화된 예술작품을 전송하고, 상기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예술작품 보유자인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 간에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술작품의 매매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을 배분할 때,
    첫 거래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을 약정 비율로 배분하여 작가 단말과 상기 갤러리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거래수수료를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두번째 거래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을 상기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대로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추급권자인 작가에게 수익을 배분하고,
    세번째 거래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술작품의 가격을 상기 예술작품의 직전 보유자인 제2 컬렉터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거래수수료를 약정 비율대로 추급권자인 작가의 단말, 갤러리의 단말, 상기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1 컬렉터의 단말 및 플랫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세번째 거래 이상부터는 추급권자인 작가뿐만 아니라 상기 예술작품의 이전 보유자인 제3 컬렉터에게도 수익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FT화된 예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예술작품의 이미지, 제작시기 및 거래이력, 작가의 성명, 활동이력을 포함하는, NFT를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 플랫폼.
KR1020220113130A 2022-09-07 2022-09-07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 KR20240034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130A KR20240034321A (ko) 2022-09-07 2022-09-07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130A KR20240034321A (ko) 2022-09-07 2022-09-07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321A true KR20240034321A (ko) 2024-03-14

Family

ID=9024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130A KR20240034321A (ko) 2022-09-07 2022-09-07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을 적용한 예술작품의 거래방법 및 그 거래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43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249A (ko) 2020-03-26 2021-10-07 함문성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둔 거래방법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적용한 예술품 등의 창조적 자산을 거래하고, 이를 추적하여 창작자의 추급권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행하는 거래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1578A (ko) 2020-10-19 2022-04-26 정윤태 블록체인 기반의 예술작품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249A (ko) 2020-03-26 2021-10-07 함문성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둔 거래방법 및 시스템을 활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적용한 예술품 등의 창조적 자산을 거래하고, 이를 추적하여 창작자의 추급권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행하는 거래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1578A (ko) 2020-10-19 2022-04-26 정윤태 블록체인 기반의 예술작품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38277A1 (en) Innovative financ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20210358038A1 (en) Decentralized system for maintaining fractionalized interests in physical assets
CN108701325A (zh) 自调节交易系统以及用于该系统的方法
US20080109296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CN107845017A (zh) 一种实现全民创业的电子商务方法
US20090070249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team location
US20080243532A1 (en) Contingent purchase rights associated with consumer products
US20090198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valuable items
US20080109322A1 (en) Rights exchange user interface
US20080109234A1 (en) Secondary market for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CN107862570A (zh) 实现大众创业的电子商务方法
US20080103920A1 (en) Contingent rights relating to a weather phenomenon
US20080109323A1 (en) Associating media channels with a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3802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music production
US20080109233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a private event, good or service
US20080103803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an event participant
KR102343615B1 (ko) 예술 작품 거래와 정보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7833098A (zh) 大众创业电商平台
KR20200011853A (ko)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CN107862564A (zh) 一种全民创业电商平台
US20220027902A1 (en) Decentralized system for fractionalized tokens
JP2010537277A (ja) 無体財産及び無体法律文書を価値評価及びトレ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974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JP2013101590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