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015A - 레인지 후드 - Google Patents

레인지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015A
KR20240034015A KR1020220113040A KR20220113040A KR20240034015A KR 20240034015 A KR20240034015 A KR 20240034015A KR 1020220113040 A KR1020220113040 A KR 1020220113040A KR 20220113040 A KR20220113040 A KR 20220113040A KR 20240034015 A KR20240034015 A KR 20240034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range hood
body fram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015A/ko
Publication of KR2024003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인지 후드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인접하되, 전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제1 흡입구가 배치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유닛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유닛부는, 모터에 인접 배치된 제2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제2 공기 유입구보다 공기 유입량이 많은 제1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기 유입구가 상기 제1 흡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레인지 후드{RANGE HOOD}
본 발명은 조리 중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의 흡입력을 높일 수 있는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레인지 후드는 주방에서 가스레인지, 전기 레인지 또는 오븐 레인지 등의 가열기 상측에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가열기를 통해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연기, 가스, 유증기 및 미세 먼지 등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장치이다.
레인지 후드는 아일랜드(Island Style) 후드, 침니(Wall Mounted) 후드, 박스형(Box Style) 후드, 오븐업 (Oven Up) 후드, 슬림(Slim Style) 후드, 돔(Dom) 후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주방 인테리어 분위기에 맞춰 적합한 레인지 후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반형 레인지 후드가 주방에 설치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일반형 레인지 후드(1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가 중공체인 본체 프레임(11)와, 본체 프레임(11)의 하측면에 배치된 흡입구(12a)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2)와, 본체 프레임(1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조명램프(13)와, 필터(12)의 상방에 위치되는 본체 프레임(11)의 내부 상측에 장착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팬모터(14)와, 팬모터(14)와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냄새나 연기, 유증기 등을 흡입하는 팬(15)과, 일단부는 팬모터(14) 측에 관통되어 입구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실외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배기 덕트(16)를 구비한다.
여기서, 팬모터(14)와 연결되고, 본체 프레임(11)과 배기 덕트(16) 사이에 배치되는 팬(15)은 원심팬, 축류팬 등이 있다. 또한, 배기 덕트(16)는 개별 주택에서는 실외측을 향하여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에서는 세대와 세대 사이에 배치된 환풍 덕트인 비트(미도시)를 통하여 관통 설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10)는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등 가열기(20)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를 놓은 후 가열하게 되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냄새나 연기, 유증기 등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는 조리 중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유증기 등이 실내 공간으로 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인지 후드(10)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때 냄새나 연기, 유증기 등은 도 1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팬(15)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내부로 흡입되면서 필터(12)를 통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고, 곧 배기 덕트(16)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팬(15)의 흡입 성능을 조절하기 위해 풍량을 강, 중, 약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팬(15)의 풍량이 세질수록 흡입력은 향상되는데 반해 팬(15)의 작동 소음이 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에는 팬(15)의 작동 소음을 줄이면서 흡입력을 높일 수 있도록 레인지 후드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 가변형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높이 가변형 레인지 후드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한 상하 공간 확보, 설치 인력 및 기술 등이 갖춰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레인지 후드의 설치 높이를 전체적으로 조절 가능한 높이 가변형 레인지 후드는 사용자의 신장이 성인 표준 신장 이상일 경우에 목표 저점 높이, 즉 조리 용기에 인접한 위치까지 후드를 낮추게 되면 사용자의 시야를 가려 조리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을 고려하여 목표 저점 높이만큼 레인지 후드를 내리지 않고, 자신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는 높이까지만 레인지 후드를 내릴 수밖에 없는 제약 사항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레인지 후드의 흡입구와 팬모터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인지 후드(10)는 흡입구(12a)의 수직 상방에 인접하게 팬모터(14)가 배치되어 있고, 팬모터(14)의 내부 일측면에는 모터가 삽입되어 있다. 양방향 흡입식 팬모터(14)의 경우에는 좌우 방향에 2개의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단에 팬모터(14)로 흡입된 공기가 배기덕트(16)의 입구로 배기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팬모터(14)는 2개의 흡입구 중 모터와 가깝게 배치된 흡입구가 나머지 흡입구에 비해 흡입량이나 흡입 풍속이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기존의 팬모터(14)는 모터 인접 흡입구와 모터와 멀리 떨어진 흡입구 간의 흡입량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팬모터(14)의 흡입 성능 편차는 조리시 오염된 공기의 흡입 성능의 편차를 유발시키며, 흡입구(12a)의 수직 상방에 설치된 팬모터(14)의 배치 구조 또한 오염된 공기의 흡입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레인지 후드는 가열기(20)의 상부에 위치된 흡입구(12a)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흡입구(12a)가 가열기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단일면으로 구성되고, 가열기와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인지 후드의 흡입 동작시 외부의 강한 공기 흐름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구(12a)의 흡입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 즉 외부의 강한 공기 흐름에 영향을 받아 사용자가 흡입하거나 실내로 퍼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양방향 흡기식 팬모터에서 흡입량이 많은 공기 유입구를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의 흡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동일면상에 이루어져 흡입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부를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 유증기, 음식 냄새 등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하되, 레일과 슬라이더를 각각 본체 프레임과 흡입부의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시켜, 본체 프레임과 흡입부의 프레임의 이격을 줄여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인접하되, 전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제1 흡입구가 배치되는 흡입부;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유닛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유닛부는, 모터에 인접 배치된 제2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제2 공기 유입구보다 공기 유입량이 많은 제1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기 유입구가 상기 제1 흡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은, 그 내부에 상기 흡입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 측면에 레일부가 배치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흡입부는, 내부 양측에 상기 레일부에 의해 가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전면에 필터가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흡입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흡입부가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기 본체 프레임 또는 이너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브라켓은, 상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슬라이딩 바를 수용하고, 하단이 직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지지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 흡입구가 형성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개방 형성된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제1 흡입구는 제2 흡입구보다 개방된 면적이 크도록 형성된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흡입부 상에 상기 제1 흡입구가 형성된 면의 대향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양방향 흡기식 팬모터에서 흡입량이 많은 공기 유입구를 흡입부의 흡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동일면상에 이루어져 흡입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팬모터에서 흡입량이 적은 공기 유입구가 가열기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공기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흡입부가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레일과 슬라이더를 배치하고, 흡입부를 가열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시에 발생하는 수증기, 유증기, 음식 냄새 등의 오염된 공기를 가열기의 후방쪽에서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가 가열기의 후방쪽으로 흡입됨으로 인해, 가열기의 전방쪽에 위치된 실내 공간으로 오염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가열기 주변 공간이 조리중이거나 조리 완료후에도 쾌적한 공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과 슬라이더가 각각 본체 프레임과 흡입부의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시켜, 본체 프레임과 흡입부의 프레임의 이격을 줄여 흡입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반형 레인지 후드가 주방에 설치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레인지 후드의 흡입구와 팬모터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흡입부 인입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부의 공기 흡입 및 토출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흡입부 인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에서 조리시 흡입부 인출로 인한 기류 흐름 방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와,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흡입부 인입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레인지 후드(100)는 싱크대 상부장에 설치되고, 하부에 가열기(20)가 위치될 수 있다. 레인지 후드(100)는 본체 프레임(110), 흡입부(120), 레일부(131) 및 슬라이더(132), 구동부(140), 팬모터 유닛부(160) 및 배기덕트(17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 프레임(110)은 내부가 중공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금속 또는 유리-코팅된 금속 물질(예를 들어, 유리-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브러쉬된 스테인레스 스틸 등)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 프레임(110)은 내부 공간 상에 이너 프레임(111)이 배치되는데, 이너 프레임(111)은 본체 프레임(110)의 후방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이너 프레임(111)의 외측 측면에 레일부(131)가 배치된다.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팬모터 유닛부(160)는 이너 프레임(111)과 전면 프레임(112) 사이에 위치한다.
본체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하면 프레임(113)은 흡입부(120)가 상하 이동되도록 흡입부(120)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면 프레임(113)은 본체 프레임(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가열기(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열, 수분, 충격, 오염에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면 프레임(113)은 싱크대 상부장의 하면과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싱크대 상부장의 하면이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의 하면 프레임(113)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132)의 터치에 의한 입출을 감지하여 팬모터 유닛부(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32)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로 인출시키면 리미트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팬모터 유닛부(160)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 프레임(112)은 하단에 여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115)가 설치되는데, 조작부(115)에는 풍량의 세기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풍량조절 스위치, 본체 프레임(110)에 내장 설치된 조명 램프를 온/오프시키는 조명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흡입부(120)는 슬라이더(132)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121)과, 사이드 프레임(12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전면에 필터(125)가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필터(125)는 촘촘한 다수의 구멍들을 갖는 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팬모터 유닛부(160)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냄새나 연기, 유증기 등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면서 필터(125)를 통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곧 배기덕트(170)를 통하여 실외로 배기되는 것이다. 이때, 필터(125)는 가볍고 위생적이며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부(120)의 사이드 프레임(121)과 필터 프레임(122)은 이너 프레임(111)의 측면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이너 프레임(111)이 사이드 프레임(121)과 필터 프레임(122)이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부(120)의 수직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이너 프레임(111)의 수직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수평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이너 프레임(111)의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부(131)는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111)의 외측 측면에 배치되고, 슬라이더(132)는 흡입부(1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레일부(131)에 의해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슬라이더(132)는 레일부(131)와 결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흡입부(120)가 본체 프레임(110)에 수납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140)는 본체 프레임(110)의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부 프레임(116)의 내부에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배치되고, 흡입부(120)가 이너 프레임(11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은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 가능한 개구이다. 일측 관통홀의 상부면에는 상부 프레임(116)이 배치되고, 타측 관통홀에는 팬모터 유닛부(160)와 배기덕트(170)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팬모터 유닛부(160)의 하부에는 기름받이통(19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기름받이통(190)은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 방향에 있는 전면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고, 팬모터 유닛부(160)의 하우징 하단에 부착될 수도 있다.
브라켓(150)은 상단부가 이너 프레임(111)에 고정 수단(15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50)은 직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51) 내부에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슬라이딩 바가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딩 바는 그 하단이 사이드 프레임(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흡입부(120)의 사이드 프레임(121)에는 중심부에 지지대(151)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수납홈이 형성된 케이스(152)를 포함한다. 케이스(152)는 개방된 일측단으로 지지대 (151)가 인입 또는 인출되고, 타측단이 흡입부(12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 수단(155)은 구동부(140)의 구동시 흔들림이나 소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브라켓(150)의 상단부에 밀착 결합되도록'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수단(155)을 이용하여 브라켓(150)을 이너 프레임(111)에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유닛부의 공기 흡입 및 토출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팬모터 유닛부(160)는 흡입부(120)의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공기가 배기 덕트(17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양방향 흡기식의 팬모터 유닛부(160)는 모터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미도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팬(미도시),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기 유입구(161)와 제2 공기 유입구(162), 및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어 팬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유입구(161)와 제2 공기 유입구(162)는 모터를 기준으로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데, 제2 공기 유입구(162)는 모터에 인접 배치되고, 제1 공기 유입구(161)는 제2 공기 유입구(162)에 비해 모터로부터 멀리 이격되거나, 팬 날개에 가깝게 배치된다.
모터에 인접 배치된 제2 공기 유입구(162)는 제1 공기 유입구(161)의 공기 흡입량에 비해 공기 흡입량이 적을 수밖에 없다. 즉, 팬의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에 의한 공기 유동 저항에 의한 흡입 저항, 또는 피설물품의 구조에 의한 흡입 저항 등으로 인해 제1 공기 유입구(161)와 제2 공기 유입구(162) 간에 불균등한 흡입 저항이 발생하고, 공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팬모터 유닛부(160)를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 상측에 배치하되, 흡입부(120)의 제1 흡입구(181)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1 공기 유입구(161)를 배치하고, 제1 공기 유입구(161)보다 흡입량이 적은 제2 공기 유입구(162)는 제1 공기 유입구(161)의 반대 방향에 배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흡입부(120)의 제1 흡입구(181)와 마주보는 방향에 흡입량이 많은 제1 공기 유입구(161)를 위치시킴으로써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가깝게 배치된 제1 공기 유입구(161)에서 주로 흡입하여 공기 토출구(163)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의 흡입 효율을 높이면서, 소음 발생 방향을 사용자의 조리 방향과 반대에 위치시킴으로써 소음 또한 저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흡입부 인출 상태 및 기류 흐름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에서 조리시 흡입부 인출로 인한 기류 흐름 방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20)는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으로서, 본체 프레임(110)에서 인출시, 가열기(20)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가열기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181), 제2 흡입구(182, 18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구(181)는 필터(125)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 즉 흡입부(120)의 전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또한, 제2 흡입구(182)는 흡입부(120)의 후면 또는 대향하는 대향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후면 흡입구(182)를 포함하고, 또 다른 제2 흡입구(183)는 흡입부(120)의 하면 방향에 개방 형성된 하면 흡입구(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 흡입구(182)와 하면 흡입구(183)는 흡입부(1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후면 흡입구(182)와 하면 흡입구(183)에는 제1 흡입구(181)의 전면에 장착된 필터(125)와 동일하게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125a, 125b)가 배치되고, 해당 필터(125a, 125b)는 교체 가능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81)는 주 흡입구로 동작하고, 후면 흡입구(182) 또는 하면 흡입구(183)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제1 흡입구(181)로 향하는 기류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 공기를 포집하기 위한 보조 흡입구로 동작한다.
일례로, 후면 흡입구(182) 및 하면 흡입구(183)는 흡입부(120)의 배면 방향 또는 하부 방향에 정체되어 있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로서, 가열기 주변에 정체되어 있는 오염된 공기가 실내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1 흡입구(181)는 후면 흡입구(182) 또는 하면 흡입구(183)의 개방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20)가 본체 프레임(110)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 팬모터 유닛부(160)가 구동되어 흡입부(12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배기 덕트(17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모터 유닛부(160)가 구동되면서 제1 흡입구(18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뿐만 아니라, 흡입부(120)의 후면 또는 하면에 개방 형성된 후면 흡입구(182) 또는 하면 흡입구(183)를 통해 제1 흡입구(181)에서 흡입되지 못한 나머지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배기 덕트(17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부(120)가 본체 프레임(110)에 인입되는 윗방향으로 이동시, 팬 모터 유닛부(160)의 구동이 정지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20)는 본체 프레임(110)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는, 기존의 레인지 후드와 같이 고정형 브라켓을 벽체에 설치한 후 레인지 후드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침니 후드), 레인지 후드를 천장에 고정하는 방식(아일랜드 후드), 레인지 후드를 상부 싱크대에 내장하여 고정하는 방식(빌트인 후드) 등 설치 방식에 제약 사항없이 기존 레인지 후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의 본체 프레임(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흡입부(120)의 내측으로 레일부(131)와 슬라이더(132)를 배치시킴으로써 흡입부(120)의 전체 폭을 넓게 구성할 있다. 일례로, 인덕션 및 가스레인지의 폭이 보편적으로 600mm일때, 흡입부(120)의 폭을 600mm보다 넓게 구성하여 흡입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20)가 가열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시에 발생하는 수증기, 유증기, 음식 냄새 등의 오염된 공기를 가열기의 후방쪽에서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가 가열기의 후방쪽으로 흡입됨으로 인해, 가열기의 전방쪽에 위치된 실내 공간으로 오염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가열기 주변 공간이 조리중이거나 조리 완료후에도 쾌적한 공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레일부(131)과 슬라이더(132)가 각각 본체 프레임(110)과 흡입부(120)의 사이드 프레임(121)의 내측에 배치시켜, 본체 프레임(121)과 흡입부(120)의 사이드 프레임(121)의 이격을 줄여 흡입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레인지 후드
110 : 본체 프레임
111 : 이너 프레임
115 : 조작부
116 : 상부 프레임
120 : 흡입부
121 : 사이드 프레임
132 : 슬라이더
122 : 필터 프레임
125 : 필터
131 : 레일부
140 : 구동부
150 : 브라켓
160 : 팬모터 유닛부
161 : 제1 공기 유입구
162 : 제2 공기 유입구
163 : 공기 토출구
170 : 배기덕트
181 : 제1 흡입구
182 : 후면 흡입구
183 : 하면 흡입구

Claims (8)

  1. 레인지 후드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 형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 인접하되, 전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제1 흡입구가 배치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모터 유닛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유닛부는,
    모터에 인접 배치된 제2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제2 공기 유입구보다 공기 유입량이 많은 제1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기 유입구가 상기 제1 흡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레인지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그 내부에 상기 흡입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 측면에 레일부가 배치되는, 레인지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내부 양측에 상기 레일부에 의해 가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전면에 필터가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흡입부가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기 본체 프레임 또는 이너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슬라이딩 바를 수용하고, 하단이 직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지지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 흡입구가 형성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개방 형성된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는 제2 흡입구보다 개방된 면적이 크도록 형성된 것인, 레인지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흡입부 상에 상기 제1 흡입구가 형성된 면의 대향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인, 레인지 후드.
KR1020220113040A 2022-09-06 2022-09-06 레인지 후드 KR20240034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040A KR20240034015A (ko) 2022-09-06 2022-09-06 레인지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040A KR20240034015A (ko) 2022-09-06 2022-09-06 레인지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015A true KR20240034015A (ko) 2024-03-13

Family

ID=9029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040A KR20240034015A (ko) 2022-09-06 2022-09-06 레인지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40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6114A1 (en) Hob system
ITUB20155990A1 (it) Cappa di aspirazione per ambienti domestici.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KR100946802B1 (ko) 렌지후드 조립체
KR20140105973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180053857A (ko)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KR101532225B1 (ko) 흡입관이 설치된 인출형 렌지후드
KR100519857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KR20240034015A (ko) 레인지 후드
CN109764375A (zh) 一种吸油烟机
JP2003144250A (ja) レンジフード捕集補助装置
US20160131366A1 (en) Oven range ventilator with microwave compartment
KR20240034009A (ko) 레인지 후드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TWM634657U (zh) 櫥櫃嵌入式抽油煙機
KR20240034024A (ko) 레인지 후드
KR20240034029A (ko) 레인지 후드
CN207751034U (zh) 一种吸油烟机
JP3953012B2 (ja) レンジフード
KR20030025880A (ko) 렌지후드팬
KR20240034033A (ko) 레인지 후드
JP6089209B2 (ja) レンジフード
CN217876018U (zh) 一种风机系统外置的集成灶系统
JP3886347B2 (ja) レンジフード
CN216557215U (zh) 一种多功能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