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580A - 배수육가 - Google Patents

배수육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580A
KR20240033580A KR1020220112397A KR20220112397A KR20240033580A KR 20240033580 A KR20240033580 A KR 20240033580A KR 1020220112397 A KR1020220112397 A KR 1020220112397A KR 20220112397 A KR20220112397 A KR 20220112397A KR 20240033580 A KR20240033580 A KR 2024003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head
upward
drainage
downwar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영
하헌일
Original Assignee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스이엔티 filed Critical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to KR102022011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580A/ko
Publication of KR2024003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잡배수가 수봉되면서 물고임 없이 보다 신속하게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H1)와 배출구(H2)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H1)와 배출구(H2)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25, 27)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115, 117)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117)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H2)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1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향격벽(25, 27)과 상향격벽(115, 117) 사이에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수봉됨과 동시에 사면배수로(118)를 통해 잡배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빠르게 잡배수를 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육가{Drainage trap structure}
본 발명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집수공간에 격벽이 마련된 배수육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집수공간에 하향격벽과 상향격벽 사이에 수봉이 형성됨과 동시에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배수육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에는 잡배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수 육가가 설치되며, 배수 육가를 통해 외부로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관으로 연결된다. 배수관의 배설 방법은 층하 배관 공법과 층상 배관 공법으로 구분되며, 층간소음이나 유지 보수 측면에서 층상 배관 공법이 유리하다. 여기서, 층하 배관 공법은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 층을 관통하여 아래층으로 배설하는 시공 방법이나, 층상 배관 공법은 당해층의 바닥 슬라브층 위에 배설하는 시공 방법이다. 상기 층상 배관 공법에 의해 배수관을 배설하고 콘크리트로 매립할 경우 바닥 슬라브층이 두꺼워질 경우 콘크리트가 다량 투입 및 마감되어야 하므로 시공 비용이 상승하고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층상 배관 공법에 있어 바닥 슬라브층을 다운시켜 배수관을 배설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한 후에 몰탈을 투입 및 마감할 경우에도 다량의 몰탈 투입 및 마감되어야 하므로 시공 비용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바닥 슬라브층이나 몰탈층이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 슬라브층에 설치되는 배수 육가의 경우,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수봉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커질 수 밖에 없어 바닥 슬라브층이나 몰탈층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수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는 배수육가가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 다단 수봉 구조의 배수육가가 주목된다.
상기 다단 수봉 구조의 배수육가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2493으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2단 구조의 수봉부재로 수봉의 면적을 넓히고 그 높이를 줄임으로써 배수트랩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 따라 다단으로 수봉할 경우 낮은 높이에서 수봉이 이루어지는 방안으로서 유효하나, 그러나 다단의 수봉부재를 배치하더라도 그 외측의 내부 공간 및 배출구를 통해 잡배수가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할 경우, 오히려 다단 수봉에 의해 잡배수 흐름이 방해되므로 배수육가를 낮게 할 경우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고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신속히 배출될 수 없으므로 배수육가의 전체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다단 수봉 뿐만 아니라 그 하우징 내부에서 배출구를 통해 신속하게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24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잡배수가 수봉되면서 물고임 없이 보다 신속하게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배수육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면배수로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돌출하는 출구유도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향격벽은, 상기 배출구측 보다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높낮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육가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잡배수에 의해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2개의 하향격벽 중에서 유입구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어느 하나를 제1의 하향격벽이라 하고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하나를 제2의 하향격벽이라 하며, 상기 제1의 하향격벽과 제2의 하향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향격벽을 제1의 상향격벽이라 할 때, 상기 제1의 하향격벽과 제1의 상향격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의 상향격벽과 제2의 하향격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의 0.8 내지 1.2 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의 하향격벽을 사이에 두고 제1의 상향격벽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향격벽을 제2의 상향격벽이라 할 때, 상기 제1의 하향격벽과 제1의 상향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의 하향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의 1.5 내지 2.2배가 되며; 상기 제2의 하향격벽과 제2의 상향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의 상향격벽과 제2의 하향격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의 1.5 내지 2.2배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배수육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잡배수의 유입 방향 또는 낙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익편을 구비하는 걸름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익편은, 상기 유입구의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에서 볼 경우, 상기 유입구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그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육가는,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 상기 배수커버가 놓여지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커버에 분리되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챔퍼링부를 구비하는 커버틀; 상기 커버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가 챔퍼링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에 마련되고 상향격벽이 바닥면에 상향하여 배치되는 배수홈통; 그리고 상기 유입구가 마련되고 하향격벽이 하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홈통과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집수공간이 마련되는 내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챔퍼링부보다 높게 상향 돌출하는 받침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향격벽과 상향격벽 사이에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수봉됨과 동시에 사면배수로를 통해 잡배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빠르게 잡배수를 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걸름망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걸름망체의 사시도이고 (b)는 걸름망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의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측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배수 트랩을 사용하여 배수관의 일부에 물이 고이게 함으로써 하수 가스와 같은 취기가 역류 또는 통하지 못하게 하는 용어로서 "봉수" 또는 "수봉"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잡배수"라 칭하고, 배수육가에 잡배수가 일부 고이게 함으로서 취기가 역류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서 "수봉"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상기 배수육가의 배치 구조와 관련하여 "상향" 및 "하향"의 용어를 사용한다. "하향"은 수평 방향에서 잡배수가 낙하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수평 방향에서 잡배수가 낙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잡배수가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서 "사선 방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배수육가의 집수공간에 1단이나 그 이상의 다단 수봉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2개 또는 2단 수봉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배수육가를 그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1)는, 배수홈통(10), 내입부재(20), 걸름망체(30), 패킹부재(40), 및 배수커버(50)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홈통(10)은, 집수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통바디(110), 및 상기 홈통바디(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측향하여 단면이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각형의 커버틀(120)을 가진다. 상기 커버틀(12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며 지지면부(121)와 테두리부(122)를 갖는다. 상기 테두리부(122)는 배수커버(50)의 형상에 상응하여 지지면부(121)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단차진 형상이며, 상기 지지면부(12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수커버(50)를 지지하는 받침부(121b)와 그 내측으로 2단 경사지게 성형되어 받침부(121b)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의 챔퍼링부(121a)를 가진다. 상기 챔퍼링부(121a)는 테두리부(122)의 변측에 중첩하여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121b)는 테두리부(122)의 모서리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커버(50)는 판상의 부재로서 커버틀(120)의 테두리부(122)에 맞춰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 다수의 배수공(50a)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틀(120)에 배수커버(50)가 배치될 경우, 상기 배수커버(50)가 지지면부(121)의 받침부(121b)에 놓여지고 챔퍼링부(121a)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커버틀(120)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배수홈통(10)은, 그 내부에 집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내입부재(20)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커버틀(120)과 홈통바디(110)의 경계에 내입부재(20)의 고정을 위한 장착돌기(124)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내입부재(20)의 안착을 위해 홈통바디(110)의 내부로 단차진 형상의 절입단부(110a)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40)는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내입부재(20)와 절입단부(110a)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내입부재(20)는, 환형의 절입단부(110a)에 상응하여 환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큰 구경의 유입구(H1)가 마련된다. 상기 유입구(H1)로 잡배수가 원할히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내입부재(20)의 형상은 깔대기상으로 하고, 상기 장착돌기(124)를 통과하여 배수홈통(10)과의 결합을 위해 내입부재(20)의 가장자리에 장착돌기(124)에 상응하여 장착홈(20a)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커버(50)가 커버틀(120)에 놓여진 후, 위에서 눌려질 경우 배수커버(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의 받침돌기(23)가 내입부재(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돌기(23)의 상향 돌출은 커버틀(120)의 받침부(121b) 상면과 같은 높이, 및 챔퍼링부(121a)의 상면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입부재(20)는 그 유입구(H1)를 통해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지만,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잡배수의 배출이 원할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구(H1)에 걸름망체(3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향 단차진 형상의 안착단부(20b)가 내입부재(20)의 유입구(H1)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안착단부(20b)는 걸름망체(30)가 측향하여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걸름망체(30)의 폭보다 안착단부(20b)의 폭을 다소 크게 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걸름망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걸름망체의 사시도이고 (b)는 걸름망체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름망체(30)는, 그 중앙측의 허브(31)와 가장자리측의 림부(35) 사이에서 다수의 경사익편(33)이 방사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사익편(33)은 잡배수의 유입 방향 또는 낙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잡배수가 하향하여 유입될 경우 사선 방향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름망체(30)는 잡배수가 사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과 함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걸름망체(30)가 안착단부(20b)에서 잡배수의 유동에 따라 자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잡배수가 유입구(H1)에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측의 허브(31)에서 가장자리측의 림부(35)로 갈수록 경사익편(33)의 면적을 크게 형성한다. 도시된 예의 경우, 경사익편(33)이 허브(31)에서 45°각도로 비틀려서 림부(35)에 일체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는 나선형이나 헬리컬 기타 비틀림각을 보다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입부재(20)는 그 하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하향격벽(25, 27)을 구비한다. 상기 하향격벽(25, 27)은 내입부재(2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내측의 하향격벽(25)은 유입구(H1)에 연통하여 하향하여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고 있고, 외측의 하향격벽(27)은 내측의 하향격벽(25)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내입부재(2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하여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격벽(25, 27)의 돌출 길이는, 배수홈통(10)의 바닥면(112)과의 사이로 잡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홈통바디(110)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의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측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홈통(10)은 내입부재(20)와 결합되어 집수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측벽(111)과 그 바닥면(112)으로 둘러싸여진 상부 개방의 홈통바디(110)을 갖는다. 그리고 집수공간으로부터 잡배수가 배출되어야 하므로 그 측벽(111)에 타원형의 배출구(H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H2)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원형이나 각형 기타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나 배수홈통(1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w)이 큰 비원형 형상의 일예로서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H2)가 외부의 배수관(P :도 8 참조)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배출구(H2)에 연통하여 타원형의 배수연결관(113)이 측벽(111)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배수홈통(10)의 바닥면(112)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분산돌부(114), 상향격벽(115, 117), 및 사면배수로(118)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분산돌부(114)는 중앙에서 외측 주변으로 잡배수가 분산되어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예컨데 원뿔 형상이며, 내입부재(20)의 유입구(H1) 또는 하향격벽(25)의 중심축선에 위치한다.
상기 상향격벽(115, 117)은, 분산돌부(114)에서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내입부재(20)의 하향격벽(25, 27)에 상응하여 원통형상이고, 상기 바닥면(112)으로부터 상향 돌출하나 잡배수가 그 상단을 넘어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 도시된 예의 경우 내입부재(20)의 하측면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는 높이로 돌출한다. 여기서, 상기 상향격벽(115, 117)은, 잡배수에 난류 발생을 줄이고 부드럽게 타고 흘러갈 수 있도록 바닥면(112) 또는 분산돌부(114)에 라운드진 만곡부(115a, 117a)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115, 117)은, 반경방향으로 내측과 외측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데, 내입부재(20)와 결합될 경우, 내입부재(20)의 하향격벽(25,27)이 상향격벽(115,117)의 사이에 서로 이격하여 교호적으로 위치함으로써 잡배수에 의해 내측 수봉과 외측 수봉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격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홈통(10)에 내입부재(20)가 결합될 경우, 상기 하향격벽(25, 27)과 상향격벽(115, 117)은 서로 동심원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배출구(H2)를 향해 잡배수의 유동 면적이 커지도록 그 중심이 편심되게 배치하는 것이 잡배수의 원할한 유동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향격벽(25, 27)과 상향격벽(115, 117)의 간격과 그 배치(도 8 참조)에 있어서,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을 A1,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과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을 A2,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과 외측 제2의 하향격벽(27)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을 A3, 외측의 제2의 하향격벽(27)과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을 A4라 할 때, 2단 수봉구조의 배수육가에 있어 대기압과 에어포켓(A)의 공기압과의 관계에서 원할한 배수를 위해 A1 : A2 = 1 : 1.5 ~ 2.2 이고, A2 : A3 = 1 : 0.8 ~ 1.2 이며, 그리고 A3 : A4 = 1 : 1.5 ~ 2.2 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향격벽(25, 27)과 상향격벽(115, 117)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에어포켓(A)이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과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으로서 A2와,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과 외측 제2의 하향격벽(27)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단면적으로서 A3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향격벽(115, 117)의 상측 돌출단의 경우,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때 배출구(H2) 측 보다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높낮이 구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그 일예로서 배출구(H2)를 면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게 단차져 돌출하는 뱅크부(115b, 117b)가 마련된다. 상기 뱅크부(115b, 117b)는 그 폭이 과도하게 커질 경우 배수홈통(10)이 넓어지거나 또는 잡배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배출구(H2) 폭(w)의 0.7 ~ 1.3배의 비율의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면배수로(118)는, 상향격벽(117)을 타고 넘쳐 그 주변으로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H2)를 향하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구배지도록 상향격벽(117)외측 또는 홈통바디(110)의 측벽(111)에 마련된다. 이 경우, 잡배수는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경됨에 따라 배출구(H2)를 향해 유속이 커지므로 잡배수의 원할한 배출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면배수로(118)는, 그 경사에 있어 일방향으로 구배지게 할 수도 있으나 배출구(H2)에 대향하는 지점을 최고점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구배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구(H2)에서 양방향으로 잡배수가 맞부딪치면서 배출구(H2)로의 잡배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면배수로(118)의 최저점, 또는 배출구(H2)에 교차하는 위치에 출구유도구(119)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출구유도구(119)는 배출구(H2)를 향해 점차 단면이 축소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잡배수의 유동 저항이 줄어들 수 있도록 그 측면이 만곡되고, 그 상면은 사면 커팅되어 예컨데 새부리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내입부재(20)의 외측 둘레에 패킹부재(40)를 끼우고, 그 장착홈(20a)이 배수홈통(10)의 장착돌기(124)에 위치하도록 배향시킨 다음 배수홈통(10)의 절입단부(110a)에 안착시킨다. 상기 내입부재(20)를 회전시키면 방사상으로 배치된 장착돌기(124)에 걸려 내입부재(20)가 배수홈통(10)과 결합된다. 이 경우 유입구(H1)와 배출구(H2) 만이 개방되어 있고, 배수홈통(10)과 내입부재(20)는 패킹부재(40)로 밀폐됨으로써 그 내부에 유입구(H1)와 배출구(H2)의 사이의 집수공간이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걸름망체(30)를 내입부재(20)의 유입구(H1)에 넣으면, 내입부재(20)의 단차진 안착단부(20b)에 위치한다. 이 경우 걸름망체(30) 보다 안착단부(20b)가 다소 크게 형성되므로 걸름망체(30)는 측향하여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름망체(30)의 경사익편(33)은 잡배수의 유입 또는 낙하 방향에 경사져 있고 또한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잡배수가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될 경우, 경사익편(33)을 따라 유입되면서 사선방향으로 부드럽게 흘러 들어갈 수 있고 잡배수의 급격한 유동과 부딪힘으로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잡배수의 유동에 반작용하여 경사익편(33)이 측향 또는 회전하면서 유연한 머리카락이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도 2와 도 3, 및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배수홈통(10)의 커버틀(120)에 배수커버(50)가 놓여지는데, 이를 위해 커버틀(120)에는 배수커버(50)의 형상에 상응하여 지지면부(121)와 테두리부(12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경우, 지지면부(121)에는 받침부(121b)와 함께 챔퍼링부(121a)가 마련된다. 통상의 경우, 배수커버(5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배수공(50a)으로 잡배수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밟고 지나가더라도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배수커버(50)의 가장자리를 절곡시켜 커버틀(120) 과의 사이를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디자인한다. 이러한 통상의 방식에 따르면 커버틀(120)의 테두리부(122)의 전체에 걸쳐 배수커버(50)가 지지된다. 그런데, 배수홈통(10)의 측벽(111)에는 배출구(H2)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 또는 높이의 커버틀(120)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층상구조의 슬라브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배수육가(1)로서 그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할 경우, 배출구(H2)가 마련되는 부분에 별도의 강성 보강 구조물을 마련하거나 커버틀(120)의 두께 또는 높이를 크게 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높이를 낮게 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받침부(121b)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챔퍼링부(121a)를 마련하여 챔퍼링부(121a)와 받침부(121b)를 분리하여 커버틀(120)의 사각 모서리부의 받침부(121b)에서 배수커버(5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상기 챔퍼링부(121a)의 하방에 배출구(H2)를 배치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나 낮은 높이로 할 수 있고 배수용량에 따라 배출구(H2)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우, 내입부재(20)에는 받침돌기(23)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데, 상기 받침돌기(23)는 챔퍼링부(121a) 보다 높게 상향 돌출하고 있으므로, 배수커버(50)를 밟고 지나더라도 챔퍼링부(121a)로의 직접적인 영향을 제거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구(H2)로의 외력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배출구(H2)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으로서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배수육가의 높이를 낮게 하는데 매우 유익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콘크리트 슬라브층(S)의 바닥에 배치하고 배수관(P)에 연결하여 마감 몰탈하여 몰탈층(M)을 형성하고 타일(T)을 부착하여 설치한다.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될 경우, 배수커버(50)의 배수공(50a)을 통해 유입되는데, 내입부재(20)의 경우 깔대기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잡배수가 유입구(H1)로 흘러갈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입구(H1)에는 걸름망체(30)의 경사익편(33)에 의해 잡배수가 곧바로 직하하지 않고 경사익편(33)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는 것을 줄이면서 집수공간 내에서 선회하면서 배수홈통(10)의 바닥면(112)에 마련된 분산돌부(114), 만곡부(115a)를 따라 부드럽게 중앙부에서 주변으로 유동한다.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잡배수는 내입부재(20)의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과 홈통바디(110)의 바닥면(112) 사이를 통과하는데, 배수홈통(10)의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에 이르러 점차 차올라서 상측 개구되었으므로 넘쳐 흘러간다. 그리고 내입부재(20)의 외측 제2의 하향격벽(27)과 홈통바디(110)의 바닥면(112) 사이를 통과하는데, 배수홈통(10)의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에 이르러서 또한 점차 차올라서 상측 개구되었으므로 넘쳐 흘러간다. 상기 배수홈통(10)의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에 넘쳐 흐른 잡배수는 사면배수로(118)를 따라 흘러 가고, 출구유도구(119)의 안내를 받아 배출구(H2), 배수연결관(113), 및 배수관(P)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흘러갈 경우, 내입부재(20)의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과 배수홈통(10)의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에 의해 내측수봉이 형성되며, 또한 내입부재(20)의 외측 제2의 하향격벽(27)과 배수홈통(10)의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에 의해 외측수봉이 형성된다. 이때 내측수봉과 관계되는 내측과 외측의 하향격벽(25, 27)의 사이에는 잡배수에 의해 밀폐되므로 에어포켓(A)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포켓(A)의 경우, 유입구(H1)를 통해 잡배수가 낙하하거나 부딪히면서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면서 공기가 누적되면서 공기압이 커지게 됨으로써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배출되지 못하는 물고임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다단 수봉에 있어 특히 지적되고 있는 바, 에어포켓(A)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장실의 바닥에서 유입구(H1)까지의 높이를 크게 해야 하는데 이는 배수홈통 또는 배수육가의 높이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상향격벽(115, 117)의 높이를 낮게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수봉 파괴 염려가 있으므로 배수육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경사익편(33)에 의해 잡배수가 직하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고 선회하면서 유동하도록 하고 또한 분산돌부(114)와 만곡부(115a)에 의해 잡배수의 난류 발생이 저감되도록 하고 있어 유입구(H1)에서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어 에어포켓(A)의 공기압이 높아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물고임 없이 원할히 배출되기 위해서는 배출구(H2)로부터 잡배수가 배출되는 용량을 크게 하고 막힘없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커버틀(120)의 받침부(121b)가 외부의 작용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배출구(H2)가 위치하는 측벽(111)에 작용 하중이 덜 받도록 구성되므로 배출구(H2)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비원형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어 배출구(H2)를 통한 배수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높이차를 가지고 구배진 사면배수로(118)를 구비하고 있어 사면배수로(118)를 통해 잡배수가 흘러감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여 배출구(H2)로 신속히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격벽(117)을 타고 넘친 잡배수는 사면배수로(118)에서 그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유속이 커지도록 저점 보다는 고점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배출구(H2)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잡배수가 상향격벽(117)을 타고 넘칠 경우 사면배수로(118)로 유동하는 잡배수와 부딪히면서 배출구(H2)로의 흐름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H2)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향격벽(117)으로는 잡배수가 곧바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향격벽(115, 117)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단차져 돌출하는 뱅크부(115b, 117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뱅크부(115b, 117b)에 이르러서 잡배수는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넘쳐 흘러가서 사면배수로(118)의 고점에서 그 위의 잡배수와 합류하여 유동하기 때문에 배출구(H2)로의 유동이 보다 원할하다. 더욱이, 상기 배수홈통(10)에 있어, 배출구(H2)에 대향하는 측벽(111)의 최원점을 기준으로 그 둘레의 양방향으로 사면배수로(118)가 마련됨에 따라 잡배수가 양쪽 방향에서 합류되는 배출구(H2)에 이르러서 잡배수가 서로 부딪히면서 유동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사면배수로(118)의 최저점으로서 배출구(H2)에 교차 또는 위치하는 지점에 배출구(H2)를 향해 돌출하면서 만곡, 및 상부가 사면 커팅된 새부리형의 출구유도구(119)가 마련되어 있어 사면배수로(118)의 양쪽 방향에서 잡배수가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와 타원형의 배출구(H2)로 통해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배수육가 10 : 배수홈통
20 : 내입부재 20a : 장착홈
20b : 안착단부 23 : 받침돌기
25, 27 : 하향격벽 30 : 걸름망체
31 : 허브 33 : 경사익편
35 : 림부 40 : 패킹부재
50 : 배수커버 50a : 배수공
110 : 홈통바디 110a : 절입단부
111 : 측벽 112 : 바닥면
113 : 배수연결관 114 : 분산돌부
115, 117 : 상향격벽 118 : 사면배수로
115a, 117a: 만곡부 115b, 117b : 뱅크부
119 : 출구유도구 120 : 커버틀
121 : 지지면부 121a : 챔퍼링부
121b : 받침부 122 : 테두리부
124 : 장착돌기 H1 : 유입구
H2 : 배출구

Claims (11)

  1.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이 형성되는 배수육가에 있어서,
    상기 상향격벽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배수로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돌출하는 출구유도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격벽은,
    상기 배출구측 보다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높낮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5. 제 4 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잡배수에 의해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2개의 하향격벽 중에서 유입구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어느 하나를 제1의 하향격벽이라 하고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하나를 제2의 하향격벽이라 하며, 상기 제1의 하향격벽과 제2의 하향격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향격벽을 제1의 상향격벽이라 할 때,
    상기 제1의 하향격벽과 제1의 상향격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의 상향격벽과 제2의 하향격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의 0.8 내지 1.2 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하향격벽을 사이에 두고 제1의 상향격벽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향격벽을 제2의 상향격벽이라 할 때,
    상기 제1의 하향격벽과 제1의 상향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의 하향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의 1.5 내지 2.2배가 되며;
    상기 제2의 하향격벽과 제2의 상향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의 상향격벽과 제2의 하향격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잡배수의 유로 단면적의 1.5 내지 2.2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잡배수의 유입 방향 또는 낙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익편을 구비하는 걸름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익편은,
    상기 유입구의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에서 볼 경우, 상기 유입구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그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9.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
    상기 배수커버가 놓여지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커버에 분리되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챔퍼링부를 구비하는 커버틀;
    상기 커버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가 챔퍼링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에 마련되고 상향격벽이 바닥면에 상향하여 배치되는 배수홈통; 그리고
    상기 유입구가 마련되고 하향격벽이 하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홈통과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집수공간이 마련되는 내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챔퍼링부보다 높게 상향 돌출하는 받침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KR1020220112397A 2022-09-05 2022-09-05 배수육가 KR20240033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397A KR20240033580A (ko) 2022-09-05 2022-09-05 배수육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397A KR20240033580A (ko) 2022-09-05 2022-09-05 배수육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580A true KR20240033580A (ko) 2024-03-12

Family

ID=9029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397A KR20240033580A (ko) 2022-09-05 2022-09-05 배수육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5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93B1 (ko) 2016-10-24 2018-11-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93B1 (ko) 2016-10-24 2018-11-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653B2 (en) Rain overflow basin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CA1242397A (en) Waste screen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EP3303724B1 (en) Cover for water flow inlet
KR101263000B1 (ko)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NO311146B1 (no) Anordning for drenering av regnvann fra takflaten på en bygning
US20180185770A1 (en) Hydrodynamic separator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RU2347871C2 (ru) Водос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водоот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926464B1 (en) Detention pond water quality apparatus and system
KR20240033580A (ko) 배수육가
KR20240033579A (ko) 배수육가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AU2009100093B4 (en) Self Flushing Leaf Filter
CN2778948Y (zh) 虹吸排水雨水斗
US6460574B2 (en) Sewer pipe structures and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JP4504832B2 (ja) 雨水流出抑制システム
KR102265280B1 (ko) 교량용 집수구
CN212507101U (zh) 一种大排量虹吸排水雨水斗结构
CA3046647C (en) Hydrodynamic separator
JP2004141133A (ja) 排水、換気用等の多孔蓋
JP2024033128A (ja) 雨水排水システム及び屋根上構造
SU1409741A1 (ru) Дренажна система
JPH0450336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