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579A - Drainage trap structure - Google Patents

Drainage trap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579A
KR20240033579A KR1020220112396A KR20220112396A KR20240033579A KR 20240033579 A KR20240033579 A KR 20240033579A KR 1020220112396 A KR1020220112396 A KR 1020220112396A KR 20220112396 A KR20220112396 A KR 20220112396A KR 20240033579 A KR20240033579 A KR 20240033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utlet
inlet
water
over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기영
하헌일
Original Assignee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스이엔티 filed Critical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to KR102022011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579A/en
Publication of KR2024003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5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다단으로 수봉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H1)와 배출구(H2)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H1)와 배출구(H2)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25, 27)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115, 117)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되며, 상기 유입구(H1) 및 배출구(H2)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H1)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H2)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봉의 형성과 관련된 상향격벽(115)은, 상기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잡배수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잡배수가 잠기는 하측에 통공 형상의 바이패스로(115h)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에어포켓(A)을 수반하는 다단 수봉 구조에서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원할히 잡배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함으로써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층(S)이나 몰탈층(M)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층상 배관용 바닥 슬라브층의 형성에 유리하다. Disclosed is a drainage reservoir (1) that is used to collect and discharge waste water from the bathroom floor and is sealed in multiple stages to prevent odor from flowing back. This drainage overpass (1) is provided with an inlet (H1) and an outlet (H2) so that wastewater can flow in and be discharged from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ilet, and is located in the water collection space between the inlet (H1) and the outlet (H2). It is sealed by miscellaneous water between the protruding downward bulkheads (25, 27) and the upwardly protruding upward bulkheads (115, 117), and in the rel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let (H1) and outlet (H2), the inlet (H1) side At least two water seals are formed, including an inner water seal formed adjacent to and an outer water seal formed adjacent to the outlet (H2) side. In addition, the upward partition wall 115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inner water seal has an open upper side so that the mixed waste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H1 can overflow, and has a lower side where the mixed wastewater is submerged so that the mixed wastewater can flow in and out. A bypass path 115h having a through hole shape is provid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multi-stage water seal structure with air pockets (A), miscellaneous water can be discharged smoothly without water pooling on the bathroom or toilet floor, and by providing a lower height drainage overpass, the floor slab layer (of the bathroom or toilet, etc.) It is advantageous for forming a floor slab layer for layered piping because it can prevent the S) or mortar layer (M) from becoming thicker than an appropriate range.

Figure P1020220112396
Figure P1020220112396

Description

배수육가{Drainage trap structure}Drainage trap structure}

본 발명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육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다단으로 수봉되는 다단 수봉 구조의 배수육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overpass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miscellaneous wastewater from a bathroom flo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ainage overpass with a multi-stage water-sealed structure that is sealed in multiple stages to prevent odor from flowing back.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에는 잡배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수 육가가 설치되며, 배수 육가를 통해 외부로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관으로 연결된다. 배수관의 배설 방법은 층하 배관 공법과 층상 배관 공법으로 구분되며, 층간소음이나 유지 보수 측면에서 층상 배관 공법이 유리하다. 여기서, 층하 배관 공법은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 층을 관통하여 아래층으로 배설하는 시공 방법이나, 층상 배관 공법은 당해층의 바닥 슬라브층 위에 배설하는 시공 방법이다. 상기 층상 배관 공법에 의해 배수관을 배설하고 콘크리트로 매립할 경우 바닥 슬라브층이 두꺼워질 경우 콘크리트가 다량 투입 및 마감되어야 하므로 시공 비용이 상승하고 작업시간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층상 배관 공법에 있어 바닥 슬라브층을 다운시켜 배수관을 배설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한 후에 몰탈을 투입 및 마감할 경우에도 다량의 몰탈 투입 및 마감되어야 하므로 시공 비용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바닥 슬라브층이나 몰탈층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 슬라브층에 설치되는 배수 육가의 경우,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수봉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커질 수 밖에 없어 바닥 슬라브층이나 몰탈층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수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는 배수육가가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 다단 수봉 구조의 배수육가가 주목된다. Generally, a drainage overpass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to discharge waste water, and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so that waste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overpass. The drainage pipe method is divided into sub-floor piping and layered piping, and the layered piping metho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nter-floor noise and maintenance. Here, the sub-floor piping method is a construction method of discharging water to the lower floor by penetrating the floor slab layer of a bathroom or toilet, etc., while the layered piping method is a construction method of discharging water onto the floor slab layer of the relevant floor. When drain pipes are laid out and buried with concrete using the layered piping method, if the floor slab layer becomes thick, a large amount of concrete must be poured and finished, which increases construction costs and increases work time, which reduces economic feasibility. In addition, in the layered piping method, when mortar is injected and finished after the floor slab layer is brought down to secure space for discharging the drain pipe, a large amount of mortar must be injected and finished,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floor slab layer or mortar layer is not thicker than an appropriate range, but in the case of a drainage overpass installed on the floor slab layer of a bathroom or toilet, it must have a water-sealed structure to prevent odors from flowing back, so it can only be increased.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oor slab layer or mortar layer. To solve this problem, a drainage overpass with a low height and effective water sealing is needed, and a multi-stage water seal structur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olution.

상기 다단 수봉 구조의 배수육가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2493으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2단 구조의 수봉부재로 수봉의 면적을 넓히고 그 높이를 줄임으로써 배수트랩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러나, 단순히 다단으로 수봉할 경우 다단 사이의 수봉 내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됨으로써 잡배수가 원할히 배출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수봉부재의 높이를 크게 해야 하는데 이는 바닥 슬라브층이나 몰탈층의 두께를 커지게 한다. As a prior art regarding the multi-stage water seal structure, an example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02493. In the case of the above prior art, a method of lower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drain trap is proposed by expanding the area of the water seal and reducing its height using a two-stage water seal member. However, when simply water sealing in multiple stages, air pockets are formed inside the water seal between the multiple stages, causing the problem that miscellaneous water cannot be discharged smooth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eight of the water sealing member must be increased, which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floor slab layer or mortar layer.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2493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9024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잡배수가 다단으로 수봉되면서 보다 낮은 높이에서 물고임 없이 보다 원할히 배수될 수 있는 다단 수봉 구조의 배수육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multi-stage water-sealed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and allows miscellaneous waste water to be water-sealed in multiple stages and drained more smoothly without water stagnation at a lower height. It has a purpos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되며,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되는 배수육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봉의 형성과 관련된 상향격벽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잡배수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잡배수가 잠기는 하측에 통공 형상의 바이패스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향격벽은, 상기 배출구측 보다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높낮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향격벽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면배수로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돌출하는 출구유도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잡배수의 유입 방향 또는 낙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익편을 구비하는 걸름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익편은, 상기 유입구의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에서 볼 경우, 상기 유입구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그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는,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 상기 배수커버가 놓여지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커버에 분리되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챔퍼링부를 구비하는 커버틀; 상기 커버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가 챔퍼링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에 마련되고 상향격벽이 바닥면에 상향하여 배치되는 배수홈통; 그리고 상기 유입구가 마련되고 하향격벽이 하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홈통과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집수공간이 마련되는 내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챔퍼링부보다 높게 상향 돌출하는 받침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구는,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The drainage over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so that wastewater can flow in and be discharged from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and has a downward protruding shape in the water collection spa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t is sealed by miscellaneous water between the downward bulkhead and the upwardly protruding upward bulkhead, and includes an inner water seal formed adjacent to the inlet side and an outer water seal formed adjacent to the outlet side in a rel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let and outlet. Provide a draining stock in which at least two water seals are formed. In addition, the upward bulkhead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inner water seal has an open shape at the top so that the mixed waste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can overflow, and has a through-hole-shaped bypass on the lower side where the mixed wastewater is submerged to allow the mixed wastewater to flow in and ou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ward bulkhead is formed with a height gradient so that waste water can overflow by bypassing the surrounding area rather than the outlet sid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lope drain with a height difference so that the sewage overflowing the upward bulkhead increases the flow rate toward the outlet. The slope drainage channel preferably has an outlet guide port protruding toward the outlet.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rainer having inclined blade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flow direction or falling direction of the wast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When the inclined blade is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enters or fall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located at the edge of the inlet is larger than the are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let. In addition, the drainage hexag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inage cov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 cover frame including a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drain cover is placed, and a chamfer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drain cover; a drain trough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frame, the outlet provided on a side wall located below the chamfering portion, and an upward partition wall disposed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let is provided, the downward partition wall is disposed downward, and an internal member is coupled with the drain trough to provide a water collection space therein. The inner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 higher than the chamfering portion, and the outlet may have a non-circular shape with a horizontal width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로에 의해 에어포켓을 수반하는 다단 수봉 구조에서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 없이 원할히 잡배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함으로써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층이나 몰탈층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층상 배관용 바닥 슬라브층의 형성에 유리하다. By using the bypass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stage water seal structure with air pockets, miscellaneous wastewater can be discharged smoothly without water pooling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ilet, and by providing a lower height drainage overpass, it can be used on the floor slab of a bathroom or toilet, etc. It is advantageous for forming a floor slab layer for layered piping because it can prevent the layer or mortar layer from becoming thicker than an appropriate ra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걸름망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걸름망체의 사시도이고 (b)는 걸름망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의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측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rainer screen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ainer mesh, and (b) is a plan view of the strainer mesh,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gutt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ngitudinal cut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outlet in a drainage gutt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n from the outlet side of a drainage gutt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배수 트랩을 사용하여 배수관의 일부에 물이 고이게 함으로써 하수 가스와 같은 취기가 역류 또는 통하지 못하게 하는 용어로서 "봉수" 또는 "수봉"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잡배수"라 칭하고, 배수육가에 잡배수가 일부 고이게 함으로서 취기가 역류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서 "수봉"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상기 배수육가의 배치 구조와 관련하여 "상향" 및 "하향"의 용어를 사용한다. "하향"은 수평 방향에서 잡배수가 낙하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수평 방향에서 잡배수가 낙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잡배수가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서 "사선 방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야에서 배수육가의 내부집수공간에 수봉을 2단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되는 예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2개 또는 2단 수봉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배수육가를 그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terminology used to describe drained beef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bongsu" or "water bong" are used interchangeably to refer to the use of a drain trap to allow water to accumulate in a part of a drain pipe, preventing odors such as sewage gas from flowing back or passing through.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 water that drains from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is called "miscellaneous water", and the term "subong" is used to refer to the water that is partially accumulated in the drainage area to prevent odor from flowing back. The terms “upward” and “downward” are used in relation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rainage overpass. “Downward” refers to a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which miscellaneous water falls, and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miscellaneous water fal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ditionally, the term “oblique direction” is used to refer to a direction slanted to the direction in which miscellaneous water flows in or falls.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of forming a water seal in two or more stages in the internal water collection space of a drainage overpass,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 drainage overpass in which two or two-stage water seals are formed continuously is used. This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drainage meat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를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Figure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hexag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hexag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is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age overpas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1)는, 배수홈통(10), 내입부재(20), 걸름망체(30), 패킹부재(40), 및 배수커버(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overpass (1) includes a drain trough (10), an inner member (20), a strainer screen (30), a packing member (40), and a drain. A cover 50 is provided.

상기 배수홈통(10)은, 집수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통바디(110), 및 상기 홈통바디(1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측향하여 단면이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각형의 커버틀(120)을 가진다. 상기 커버틀(12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며 지지면부(121)와 테두리부(122)를 갖는다. 상기 테두리부(122)는 배수커버(50)의 형상에 상응하여 지지면부(121)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단차진 형상이며, 상기 지지면부(12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수커버(50)를 지지하는 받침부(121b)와 그 내측으로 2단 경사지게 성형되어 받침부(121b)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의 챔퍼링부(121a)를 가진다. 상기 챔퍼링부(121a)는 테두리부(122)의 변측에 중첩하여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121b)는 테두리부(122)의 모서리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커버(50)는 판상의 부재로서 커버틀(120)의 테두리부(122)에 맞춰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 다수의 배수공(50a)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틀(120)에 배수커버(50)가 배치될 경우, 상기 배수커버(50)가 지지면부(121)의 받침부(121b)에 놓여지고 챔퍼링부(121a)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커버틀(120)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마련된다. The drain gutter 10 has a gutter body 110 in a recessed shape to provide a water collection space, and a rectangular cover frame whose cross-section is expanded lateral from the upper edge of the gutter body 110. It has (120). The cover frame 120 has an overall rectangular shape and has a support surface portion 121 and an edge portion 122. The edge portion 122 has a stepped shap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ain cover 50, and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upports the drain cover 50. It has a support portion (121b) and a chamfering portion (121a)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wo stages inside the support portion (121b) and has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1b). The chamfering portion 121a is located overlapping the side of the edge portion 122, and the support portion 121b is located on the corner side of the edge portion 122. In addition, the drain cover 50 is a plate-shaped member that is shaped to fit the edge portion 122 of the cover frame 120, and its edge is bent downward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50a are provided on the inside. do. Accordingly, when the drain cover 50 is disposed on the cover frame 120, the drain cover 50 is placed on the support portion 121b of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1 and is separated from the chamfering portion 121a. A separ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frame 120 and the cover frame 120.

상기 배수홈통(10)은, 그 내부에 집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내입부재(20)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커버틀(120)과 홈통바디(110)의 경계에 내입부재(20)의 고정을 위한 장착돌기(124)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내입부재(20)의 안착을 위해 홈통바디(110)의 내부로 단차진 형상의 절입단부(110a)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40)는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내입부재(20)와 절입단부(110a)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drain trough 10 is coupled to the internal member 20 so that a water collection space can be formed therein, and for this purpose, the internal member 20 is fix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over frame 120 and the gutter body 110. Mounting protrusions 124 for are disposed radially, and a cut end 110a having a stepped shape is provided inside the gutter body 110 for seating the inner member 20. Here, the packing member 40 is disposed between the internal member 20 and the cut end 110a to prevent the odor from flowing back.

상기 내입부재(20)는, 환형의 절입단부(110a)에 상응하여 환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큰 구경의 유입구(H1)가 마련된다. 상기 유입구(H1)로 잡배수가 원할히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내입부재(20)의 형상은 깔대기상으로 하고, 상기 장착돌기(124)를 통과하여 배수홈통(10)과의 결합을 위해 내입부재(20)의 가장자리에 장착돌기(124)에 상응하여 장착홈(20a)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커버(50)가 커버틀(120)에 놓여진 후, 위에서 눌려질 경우 배수커버(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의 받침돌기(23)가 내입부재(2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돌기(23)의 상향 돌출은 커버틀(120)의 받침부(121b) 상면과 같은 높이, 및 챔퍼링부(121a)의 상면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member 20 is made of an ann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annular cut end 110a, and an inlet H1 of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s provided in its center so that wastewater can flow in. Since it is desirable to allow miscellaneous water to flow smoothly through the inlet (H1), the shape of the inner member (20) is funnel-shaped, and the inner member (20) passes through the mounting protrusion (124) to be combined with the drain trough (10). A mounting groove (20a) is disposed at the edge of (20)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124). And after the drain cover 50 is placed on the cover frame 120, an upwardly protruding support protrusion 23 is radially disposed on the inner member 20 so as to support the drain cover 50 when pressed from above.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ward projec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23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21b of the cover frame 120 an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fering portion 121a.

상기 내입부재(20)는 그 유입구(H1)를 통해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지만,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잡배수의 배출이 원할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구(H1)에 걸름망체(3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향 단차진 형상의 안착단부(20b)가 내입부재(20)의 유입구(H1)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안착단부(20b)는 걸름망체(30)가 측향하여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걸름망체(30)의 폭보다 안착단부(20b)의 폭을 다소 크게 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The internal member 20 must allow miscellaneous water to flow in through the inlet H1. However, if foreign matter such as hair flows in, the discharge of miscellaneous water is not smooth, so to prevent this, a filtering screen is installed at the inlet H1. It is desirable to place 30). For this purpose, a downwardly stepped seating end 20b is provided at the inlet H1 of the inner member 2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end 20b allows the strainer 30 to move or rotate laterally, and this is achieved by making the width of the seating end 20b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ainer 30. It can b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걸름망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걸름망체의 사시도이고 (b)는 걸름망체의 평면도이다. Figure 4 shows a strain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ainer and (b) is a plan view of the strain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름망체(30)는, 그 중앙측의 허브(31)와 가장자리측의 림부(35) 사이에서 다수의 경사익편(33)이 방사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사익편(33)은 잡배수의 유입 방향 또는 낙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잡배수가 하향하여 유입될 경우 사선 방향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름망체(30)는 잡배수가 사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과 함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걸름망체(30)가 안착단부(20b)에서 잡배수의 유동에 따라 자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잡배수가 유입구(H1)에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측의 허브(31)에서 가장자리측의 림부(35)로 갈수록 경사익편(33)의 면적을 크게 한다. 도시된 예의 경우, 경사익편(33)이 허브(31)에서 45°각도로 비틀려서 림부(35)에 일체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는 나선형이나 헬리컬 기타 비틀림각을 보다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4, the mesh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nclined blade pieces 33 are radially connected between the hub 31 on the center side and the rim portion 35 on the edge side. The inclined blades 33 are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flow direction or falling direction of the miscellaneous water, and allow the miscellaneous water to flow in a diagonal direction when it flows downward. It is desirable that the filtering screen 30 allows wastewater to flow in a diagonal direction and more effective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This can be achieved by allowing the strainer 30 to freely rotate according to the flow of miscellaneous water at the seating end 20b. For this purpose, the area of the inclined blade 33 is increased from the central hub 31 to the edge rim 35 in the direction in which miscellaneous water flows into or falls into the inlet H1, that is,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In the example shown, the inclined blade 33 is twisted at an angle of 45° at the hub 31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im portion 35. This can also be done by changing the twist angle more freely, such as spiral or helical.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입부재(20)는 그 하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의 하향격벽(25, 27)을 구비한다. 상기 하향격벽(25, 27)은 내입부재(2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내측의 하향격벽(25)은 유입구(H1)에 연통하여 하향하여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고 있고, 외측의 하향격벽(27)은 내측의 하향격벽(25)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내입부재(2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하여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격벽(25, 27)의 돌출 길이는, 배수홈통(10)의 바닥면(112)과의 사이로 잡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홈통바디(110)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3, the inn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two downward partition walls 25 and 27 arranged on its lower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The downward partition walls 25 and 27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member 20. 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downward partition wall 25 on the inn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inlet H1 and extends downwar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downward partition 27 is radially spaced from the inner downward partition 25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ner member 20 in a cylindrical shape. Her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downward partition walls 25 and 27 is set at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gutter body 110 so that miscellaneous water can flow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drain trough 1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의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에 적용된 배수홈통에서 배출구측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gutt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 gutt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outlet.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n by cutting, and Figure 7 is a side view shown from the outlet side of a drainage gutter applied to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홈통(10)은 내입부재(20)와 결합되어 집수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측벽(111)과 그 바닥면(112)으로 둘러싸여진 상부 개방의 홈통바디(110)을 갖는다. 그리고 집수공간으로부터 잡배수가 배출되어야 하므로 그 측벽(111)에 타원형의 배출구(H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H2)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원형이나 각형 기타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나 배수홈통(1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의 일예로서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H2)가 외부의 배수관(P :도 8 참조)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배출구(H2)에 연통하여 타원형의 배수연결관(113)이 측벽(111)에 일체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5 to 7, the drain trough 10 is surrounded by a cylindrical side wall 111 and its bottom surface 112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internal member 20 to provide a water collection space. It has a gutter body 110 that is open at the top. And since miscellaneous water must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collection space, an oval-shaped discharge port (H2)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11). Here, the outlet H2 may be circular, square, or other various shapes know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n oval shape is preferred as an example of a non-circular shape with a horizontal width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drain trough 10. do. In addition, since the outlet (H2) must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rain pipe (P: see Figure 8) to allow miscellaneous water to flow, an oval-shaped drain connector 113 is connected to the outlet (H2) on the side wall (111). ) is integrally connected to.

상기 배수홈통(10)의 바닥면(112)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분산돌부(114), 상향격벽(115, 117), 및 사면배수로(118)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On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drain trough 10, a dispersion protrusion 114, an upward partition wall 115, 117, and a slope drain 118 are sequentially provided from the center thereof.

상기 분산돌부(114)는 중앙에서 외측 주변으로 잡배수가 분산되어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예컨데 원뿔 형상이며, 내입부재(20)의 유입구(H1) 또는 하향격벽(25)의 중심축선에 위치한다. The distributing protrusion 114 is, for example, conical in shape so that miscellaneous water can be dispersed and flow smoothly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periphery, and is located at the central axis of the inlet H1 of the internal member 20 or the downward partition 25.

상기 상향격벽(115, 117)은, 분산돌부(114)에서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내입부재(20)의 하향격벽(25, 27)에 상응하여 원통형상이고, 상기 바닥면(112)으로부터 상향 돌출하나 잡배수가 그 상단을 넘어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 도시된 예의 경우 내입부재(20)의 하측면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는 높이로 돌출한다. 여기서, 상기 상향격벽(115, 117)은, 잡배수에 난류 발생을 줄이고 부드럽게 타고 흘러갈 수 있도록 바닥면(112) 또는 분산돌부(114)에 라운드진 만곡부(115a, 117a)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115, 117)은, 반경방향으로 내측과 외측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데, 내입부재(20)와 결합될 경우, 내입부재(20)의 하향격벽(25,27)이 상향격벽(115,117)의 사이에 서로 이격하여 교호적으로 위치함으로써 잡배수에 의해 내측 수봉과 외측 수봉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격지도록 배치된다. The upward bulkheads 115 and 117 are arranged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spersing protrusion 114 and hav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bulkheads 25 and 27 of the inner member 20, and the bottom surface 112 It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but has an open upper side so that waste water can flow beyond the top. In the example shown, it protrudes at a heigh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ternal member 20 without contacting it. Here, the upward bulkheads (115, 117) a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12) or the dispersion protrusion (114) with rounded curved portions (115a, 117a) to reduce turbulence in the miscellaneous water and allow it to flow smoothly. . In addition, the upward bulkheads 115 and 117 are loca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combined with the inner member 20, the downward bulkheads 25 and 27 of the inner member 20 move upward. By being alternately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15 and 117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y are arranged so that the inner water seal and the outer water seal can be formed by miscellaneous drainage.

한편, 상기 상향격벽(115, 117)의 상측 돌출단의 경우,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때 배출구(H2) 측 보다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높낮이 구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그 일예로서 배출구(H2)를 면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게 단차져 돌출하는 뱅크부(115b, 117b)가 마련된다. 상기 뱅크부(115b, 117b)는 그 폭이 과도하게 커질 경우 배수홈통(10)이 넓어지거나 또는 잡배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배출구(H2) 폭(w)의 0.7 ~ 1.3배의 비율의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115, 117) 중에서 내측에 위치한 상향격벽(115)은,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잡배수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잡배수가 잠기는 하측에 통공 형상의 바이패스로(115h)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upper protruding ends of the upward bulkheads 115 and 117, it is desirable to have a height gradient so that when miscellaneous water overflows, it can bypass and overflow around the outlet (H2) rather than toward the outlet (H2). For this purpose, the As an example, bank portions 115b and 117b that protrude in relatively high steps are provided in a portion facing the outlet H2. If the width of the bank portions (115b, 117b) is excessively large, the drain trough (10) may become wider or the flow of miscellaneous water may be obstructed, so it is preferably 0.7 to 1.3 times the width (w) of the outlet (H2).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a width of the ratio. In addition, among the upward partition walls 115 and 117, the upward partition wall 115 located on the inner side has an open upper side so that the wast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H1 can overflow, and at the same time, the upward partition wall 115 can allow the waste water to flow in and out.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hole-shaped bypass passage 115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where miscellaneous water is submerged.

그리고, 상기 사면배수로(118)는, 상향격벽(117)을 타고 넘쳐 그 주변으로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H2)를 향하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구배지도록 상향격벽(117)외측 또는 홈통바디(110)의 측벽(111)에 마련된다. 이 경우, 잡배수는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경됨에 따라 배출구(H2)를 향해 유속이 커지므로 잡배수의 원할한 배출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면배수로(118)는, 그 경사에 있어 일방향으로 구배지게 할 수도 있으나 배출구(H2)에 대향하는 지점을 최고점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구배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출구(H2)에서 양방향으로 잡배수가 맞부딪치면서 배출구(H2)로의 잡배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면배수로(118)의 최저점, 또는 배출구(H2)에 교차하는 위치에 출구유도구(119)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출구유도구(119)는 배출구(H2)를 향해 점차 단면이 축소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잡배수의 유동 저항이 줄어들 수 있도록 그 측면이 만곡되고, 그 상면은 사면 커팅되어 예컨데 새부리형의 형상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slope drain 118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upward bulkhead 117 or on the gutter body 110 so that the miscellaneous drainage that overflows through the upward bulkhead 117 and flows around it is inclined with a height difference toward the outlet H2. It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11. In this case, as the potential energy of the miscellaneous water is changed to kinetic energy, the flow rate increases toward the outlet (H2), which is desirable for smooth discharge of the miscellaneous water. Here, the slope drain 118 may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in terms of its slope, but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in both directions with the point opposite to the outlet H2 as the highest point. In this case, miscellaneous wastewater collides in both directions at the discharge port (H2), which may hinder the flow of miscellaneous water to the discharge port (H2).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outlet guide port 119 at the lowest point of the slope drain 118 or at a position intersecting the outlet H2. For this purpose, the outlet guide port 119 is formed in a shape whose cross-section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outlet H2. Looking more specifically, its side is curved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miscellaneous wastewater, and its upper surface is slope-cut. For example, it has the shape of a bird's beak.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 will look at the effects of drained meat.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내입부재(20)의 외측 둘레에 패킹부재(40)를 끼우고, 그 장착홈(20a)이 배수홈통(10)의 장착돌기(124)에 위치하도록 배향시킨 다음 배수홈통(10)의 절입단부(110a)에 안착시킨다. 상기 내입부재(20)를 회전시키면 방사상으로 배치된 장착돌기(124)에 걸려 내입부재(20)가 배수홈통(10)과 결합된다. 이 경우 유입구(H1)와 배출구(H2) 만이 개방되어 있고, 배수홈통(10)과 내입부재(20)는 패킹부재(40)로 밀폐됨으로써 그 내부에 유입구(H1)와 배출구(H2)의 사이의 집수공간이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member 40 is inser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member 20, and its mounting groove 20a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rotrusion 124 of the drain trough 10. ) and then seated on the incised end (110a) of the drain trough (10). When the internal member 20 is rotated, the internal member 20 is caught by the radially arranged mounting protrusion 124 and is coupled to the drain trough 10. In this case, only the inlet (H1) and outlet (H2) are open, and the drain trough (10) and the inner member (20) are sealed with the packing member (40), so that there is space between the inlet (H1) and the outlet (H2) therein. A water collection space is provid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걸름망체(30)를 내입부재(20)의 유입구(H1)에 넣으면, 내입부재(20)의 단차진 안착단부(20b)에 위치한다. 이 경우 걸름망체(30) 보다 안착단부(20b)가 다소 크게 형성되므로 걸름망체(30)는 측향하여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름망체(30)의 경사익편(33)은 잡배수의 유입이나 낙하 방향에 경사져 있고 또한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잡배수가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될 경우, 경사익편(33)을 따라 유입되면서 사선방향으로 부드럽게 흘러 들어갈 수 있고 잡배수의 급격한 유동과 부딪힘으로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잡배수의 유동에 반작용하여 경사익편(33)이 측향 또는 회전하면서 유연한 머리카락이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ainer mesh 30 is inserted into the inlet H1 of the inner member 20, it is located at the stepped seating end 20b of the inner member 20. . In this case, since the seating end 20b is formed to be somewhat larger than the holding net 30, the holding net 30 can move or rotate laterally. In addition, the inclined blades 33 of the filter net 30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inflow or fall of miscellaneous water and have a larger projection area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ccordingly, when miscellaneous water flows in through the inlet (H1), it can flow smoothly in a diagonal direction as it flows in along the inclined wing piece 33, and the rapid flow and collision of miscellaneous water can reduce the inflow of air into foam. Flexible hair can be effectively filtered out as the inclined wing piece 33 orients or rotates in reaction to the flow of miscellaneous water.

도 2와 도 3, 및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배수홈통(10)의 커버틀(120)에 배수커버(50)가 놓여지는데, 이를 위해 커버틀(120)에는 배수커버(50)의 형상에 상응하여 지지면부(121)와 테두리부(12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경우, 지지면부(121)에는 받침부(121b)와 함께 챔퍼링부(121a)가 마련된다. 통상의 경우, 배수커버(5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배수공(50a)으로 잡배수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밟고 지나가더라도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배수커버(50)의 가장자리를 절곡시켜 커버틀(120) 과의 사이를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디자인한다. 이러한 통상의 방식에 따르면 커버틀(120)의 테두리부(122)의 전체에 걸쳐 배수커버(50)가 지지된다. 그런데, 배수홈통(10)의 측벽(111)에는 배출구(H2)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 또는 높이의 커버틀(120)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층상구조의 슬라브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배수육가(1)로서 그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할 경우, 배출구(H2)가 마련되는 부분에 별도로 보강 구조물을 마련하거나 커버틀(120)의 두께 또는 높이를 크게 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높이를 낮게 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받침부(121b)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챔퍼링부(121a)를 마련하여 챔퍼링부(121a)와 받침부(121b)를 분리하여 커버틀(120)의 사각 모서리부의 받침부(121b)에서 배수커버(5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상기 챔퍼링부(121a)의 하방에 배출구(H2)를 배치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나 낮은 높이로 할 수 있고 배수용량에 따라 배출구(H2)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우, 내입부재(20)에는 받침돌기(23)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데, 상기 받침돌기(23)는 챔퍼링부(121a) 보다 높게 상향 돌출하고 있으므로, 배수커버(50)를 밟고 지나더라도 챔퍼링부(121a)로의 직접적인 영향을 제거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구(H2)로의 외력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배출구(H2)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으로서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배수육가의 높이를 낮게 하는데 매우 유익하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and FIGS. 5 and 6,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cover 50 is placed on the cover frame 120 of the drain trough 10, and for this purpose, the cover frame 120 A support surface portion 121 and an edge portion 122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ain cover 50.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1 is provided with a chamfering portion 121a along with a support portion 121b. In normal cases,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by the drain cover 50 and miscellaneous waste water flows into the drain hole 50a, and at the same time, it is supported even when stepped on from the outside. To this end, the edge of the drain cover 50 is bent. It is designed in a way that distances it from the cover frame (120).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the drain cover 50 is supported over the entire edge portion 122 of the cover frame 120. However, since an outlet H2 must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111 of the drain trough 10, a cover frame 120 of sufficient thickness or height to resist external force must be secured. For this reason, when it is desired to lower the height of the drainage overpass (1) that can be applied to a layered slab structure, a separate reinforcing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outlet (H2) is provided, or the thickness or height of the cover frame 120 is adjusted. Because it has to be enlarged,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 are limits to lowering the heigh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mfering portion 121a is provid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1b, and the chamfering portion 121a and the support portion 121b are separated to form the cover frame 120. The drain cover 50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121b of the square corner, and damage due to external force is prevented by placing the discharge port H2 below the chamfering portion 121a, so it has a thin thickness. It can be made at a low height and the outlet (H2) can be made larger depending on the drainage capacity. Moreo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radial support protrusion 23,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 protrudes upward higher than the chamfering portion 121a, so that it passes through the drain cover 50. Even so, direct influence on the chamfering portion 121a can be eliminated and damage caused by external force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ce on the outlet H2 can be reduced, the shape of the outlet H2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in particular, it can be formed into an oval shape as a non-circular shape with a horizontal width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It is very beneficial in lowering the height of the drainage ridg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drainage overpass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콘크리트 슬라브층(S)의 바닥에 배치하고 배수관(P)에 연결하여 마감 몰탈하여 몰탈층(M)을 형성하고 타일(T)을 부착하여 설치한다. Referring to Figure 8, 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overpass (1)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crete slab layer (S) of a bathroom or toi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P), and finished with mortar to form a mortar layer (M). Form and install by attaching the tile (T).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될 경우, 배수커버(50)의 배수공(50a)을 통해 유입되는데, 내입부재(20)의 경우 깔대기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잡배수가 유입구(H1)로 흘러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8, when waste water flows in from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it flows in through the drain hole 50a of the drain cover 50. In the case of the internal member 20, it is formed in a funnel shape, so the waste water flows in. It can flow to the inlet (H1).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입구(H1)에는 걸름망체(30)의 경사익편(33)에 의해 잡배수가 곧바로 직하하지 않고 경사익편(33)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는 것을 줄이면서 집수공간 내에서 선회하면서 배수홈통(10)의 바닥면(112)에 마련된 분산돌부(114), 만곡부(115a)를 따라 부드럽게 중앙부에서 주변으로 유동한다. Referring to FIGS. 2, 4, and 8, as seen previously, miscellaneous water does not fall directly into the inlet H1 due to the slanted blades 33 of the strainer 30, but rather flows in a diagonal direction along the slanted blades 33. As it flows in, it flows smoothly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long the dispersion protrusions 114 and curved portions 115a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drain trough 10 while rotating within the water collection space while reducing the flow of air into the foam. .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잡배수는 내입부재(20)의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과 홈통바디(110)의 바닥면(112) 사이를 통과하는데, 배수홈통(10)의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에 이르러서 그 하측의 바이패스로(115h)를 통해 일부 흘러가고 점차 차올라서 상측 개구되었으므로 넘쳐 흘러간다. 그리고 내입부재(20)의 외측 제2의 하향격벽(27)과 홈통바디(110)의 바닥면(112) 사이를 통과하는데, 배수홈통(10)의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에 이르러서 또한 점차 차올라서 상측 개구되었으므로 넘쳐 흘러간다. 상기 배수홈통(10)의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에 넘쳐 흐른 잡배수는 사면배수로(118)를 따라 흘러 가고, 출구유도구(119)의 안내를 받아 배출구(H2), 배수연결관(113), 및 배수관(P)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S. 2, 4, and 8, miscellaneous water passes between the first downward partition wall 25 inside the inner member 20 and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gutter body 110, and the drain gutter 10 ), some of it flows through the bypass passage 115h on the lower side, and gradually fills up and overflows due to the upper opening. And it passes between the second downward partition wall 27 on the outside of the internal member 20 and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gutter body 110, and reaches the second upward partition wall 117 on the outside of the drain gutter 10. Also, as it gradually fills up and opens at the top, it overflows. The miscellaneous water overflowing the second upward bulkhead 117 outside the drain trough 10 flows along the slope drain 118 and is guided by the outlet guide port 119 to the outlet H2 and the drain connection pipe ( 11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P).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흘러갈 경우, 내입부재(20)의 내측 제1의 하향격벽(25)과 배수홈통(10)의 내측 제1의 상향격벽(115)에 의해 내측수봉이 형성되며, 또한 내입부재(20)의 외측 제2의 하향격벽(27)과 배수홈통(10)의 외측 제2의 상향격벽(117)에 의해 외측수봉이 형성된다. 이때 내측수봉과 관계되는 내측과 외측의 하향격벽(25, 27)의 사이에는 잡배수에 의해 밀폐되므로 에어포켓(A)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포켓(A)의 경우, 유입구(H1)를 통해 잡배수가 낙하하거나 부딪히면서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면서 공기가 누적되면서 공기압이 커지게 됨으로써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배출되지 못하는 물고임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다단 수봉에 있어 특히 지적되고 있는 바, 에어포켓(A)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장실의 바닥에서 유입구(H1)까지의 높이를 크게 해야 하는데 이는 배수홈통(10) 또는 배수육가(1)의 높이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상향격벽(115, 117)의 높이를 낮게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수봉 파괴 염려가 있으므로 배수육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바이패스로(115h)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다량 고이는 사이클 초기에는 에어포켓(A)의 공기압을 극복하고 바이패스로(115h)와 함께 상향격벽(115)를 넘어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고, 사이클 후반부에서 화장실 바닥의 잡배수의 양이 적어 에어포켓(A)의 공기압에 의해 상향격벽(115)을 넘어갈수 없더라도 바이패스로(115h)를 통해 잡배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물고임 현상을 방지하면서 배수육가(1)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경사익편(33)에 의해 잡배수가 직하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고 선회하면서 유동하도록 하고 또한 분산돌부(114)와 만곡부(115a)에 의해 잡배수의 난류 발생이 저감되도록 하고 있어 유입구(H1)에서 공기가 포말로 유입되어 에어포켓(A)의 공기압이 높아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6, and 8, when wastewater flows from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the first downward bulkhead 25 inside the internal member 20 and the first inner downward partition wall 25 of the drain gutter 10 The inner water seal is formed by the upward bulkhead 115, and the outer water seal is formed by the second downward bulkhead 27 outside the inner member 20 and the second upward bulkhead 117 outside the drain trough 10. is formed At this time, an air pocket (A) is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ownward bulkheads (25, 27) related to the inner water seal because they are sealed by miscellaneous water. In the case of this air pocket (A), as wastewater falls or hits through the inlet (H1), air flows into the foam, and as the air accumulates, the air pressure increases, causing water stagnation that prevents wastewa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ilet. It is pointed out. It is especially pointed out in the case of multi-stage water seals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ir pockets (A), the height from the floor of the toilet to the inlet (H1) must be increased, which is the height of the drain gutter (10) or drain overpass (1). There is a problem with the increase in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upward bulkheads 115 and 117 may be lowered, but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drainage overpass cannot be lowered because there is a risk of water seal destru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ypass path (115h) is provided, the air pressure of the air pocket (A) is overcome at the beginning of the cycle when a large amount of waste water accumulates from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ilet, and the upward bulkhead is formed along with the bypass path (115h). Miscellaneous wastewater may be discharged beyond (115), and even if the amount of wastewater on the toilet floor is small in the latter half of the cycle and cannot go beyond the upward bulkhead (115) due to the air pressure of the air pocket (A), the waste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path (115h). Since water can flow, the height of the drainage outlet (1) can be lowered while preventing water from pooling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ile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blades 33 allow the miscellaneous water to flow in a diagonal direction rather than straight down and flow while rotating, and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in the miscellaneous water is reduced by the dispersion protrusion 114 and the curved portion 115a.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rease in air pressure in the air pocket (A) due to air flowing into the foam from the inlet (H1).

그리고,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물고임 없이 원할히 배출되기 위해서는 배출구(H2)로부터 잡배수가 배출되는 용량을 크게 하고 막힘없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커버틀(120)의 받침부(121b)가 외부의 작용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배출구(H2)가 위치하는 측벽(111)에 작용 하중이 덜 받도록 구성되므로 배출구(H2)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비원형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어 배출구(H2)를 통한 배수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높이차를 가지고 구배진 사면배수로(118)를 구비하고 있어 사면배수로(118)를 통해 잡배수가 흘러감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여 배출구(H2)로 신속히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격벽(117)을 타고 넘친 잡배수는 사면배수로(118)에서 그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유속이 커지도록 저점 보다는 고점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배출구(H2)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잡배수가 상향격벽(117)을 타고 넘칠 경우 사면배수로(118)로 유동하는 잡배수와 부딪히면서 배출구(H2)로의 흐름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H2)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향격벽(117)으로는 잡배수가 곧바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향격벽(115, 117)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단차져 돌출하는 뱅크부(115b, 117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뱅크부(115b, 117b)에 이르러서 잡배수는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넘쳐 흘러가서 사면배수로(118)의 고점에서 그 위의 잡배수와 합류하여 유동하기 때문에 배출구(H2)로의 유동이 보다 원할하다. 더욱이, 상기 배수홈통(10)에 있어, 배출구(H2)에 대향하는 측벽(111)의 최원점을 기준으로 그 둘레의 양방향으로 사면배수로(118)가 마련됨에 따라 잡배수가 양쪽 방향에서 합류되는 배출구(H2)에 이르러서 잡배수가 서로 부딪히면서 유동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사면배수로(118)의 최저점으로서 배출구(H2)에 교차 또는 위치하는 지점에 배출구(H2)를 향해 돌출하면서 만곡, 및 상부가 사면 커팅된 새부리형의 출구유도구(119)가 마련되어 있어 사면배수로(118)의 양쪽 방향에서 잡배수가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와 타원형의 배출구(H2)를 통해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waste water to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floor of a bathroom or toilet without stagn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for waste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H2) and to ensure that waste water is discharged quickly and without clogging. As seen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121b of the cover frame 1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external load, and the side wall 111 where the outlet H2 is located is configured to receive less load. The discharge port (H2) can be made large, and since it is formed in a non-circular oval shape, the drainage capacity through the discharge port (H2)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ope drain 118 that is inclined with a height difference is provided, so as the miscellaneous water flows through the slope drain 118, the flow rate increases, allowing it to quickly flow to the outlet (H2).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iscellaneous water overflowing through the upward bulkhead 117 is located at a high point rather than a low point so that its potential energy is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in the slope drain 118 and the flow rate increases, and the outlet (H2) is located. If mixed wastewater overflows through the upward bulkhead (117) at this point, it may collide with the mixed wastewater flowing into the slope drain (118) and the flow to the outlet (H2) may be interrupted, so it may be directed to the upward bulkhead (117) in the area where the outlet (H2) is located. It is desirable to prevent wastewater from immediately overflowing. For this purpose, the upward bulkheads 115 and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bank portions 115b and 117b that are stepped and protrude relatively high, so that when reaching the bank portions 115b and 117b, miscellaneous water bypasses and overflows around the bank portions (115b and 117b). Since it flows and joins the miscellaneous water above it at the high point of the slope drain 118, the flow to the outlet (H2) is smoother. Moreover, in the drain gutter 10, a slope drain 118 is provided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most distant point of the side wall 111 facing the outlet H2, so that miscellaneous drainage flows from both directions. When reaching (H2), miscellaneous water may collide with each other, causing flow resistan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lowest point of the slope drain 118, which intersects or is located at the outlet H2, there is a bird-beak-shaped outlet guide port 119 that protrudes toward the outlet H2, is curved, and has a slope-cut upper part. It is provided so that miscellaneous wastewater can naturally flow in from both directions of the slope drain 118 and be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oval-shaped outlet (H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육가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ained beef 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more detail as a preferred embodim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ulti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shape, reference sign, accessory or part, and other documents should be used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since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rights of Baejae Yukg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 : 배수육가 10 : 배수홈통
20 : 내입부재 20a : 장착홈
20b : 안착단부 23 : 받침돌기
25, 27 : 하향격벽 30 : 걸름망체
31 : 허브 33 : 경사익편
35 : 림부 40 : 패킹부재
50 : 배수커버 50a : 배수공
110 : 홈통바디 110a : 절입단부
111 : 측벽 112 : 바닥면
113 : 배수연결관 114 : 분산돌부
115, 117 : 상향격벽 118 : 사면배수로
115a, 117a: 만곡부 115b, 117b : 뱅크부
115h : 바이패스로 119 : 출구유도구
120 : 커버틀 121 : 지지면부
121a : 챔퍼링부 121b : 받침부
122 : 테두리부 124 : 장착돌기
H1 : 유입구 H2 : 배출구
1: Drainage hex 10: Drainage trough
20: internal member 20a: mounting groove
20b: Seating end 23: Support projection
25, 27: Downward bulkhead 30: Georeummanche
31: hub 33: inclined wing
35: limb 40: packing member
50: Drain cover 50a: Drain hole
110: Gutter body 110a: Cut end
111: side wall 112: bottom surface
113: Drainage connector 114: Dispersion protrusion
115, 117: upward bulkhead 118: slope drain
115a, 117a: curved portion 115b, 117b: bank portion
115h: Bypass 119: Exit guideway
120: cover frame 121: support surface portion
121a: Chamfering part 121b: Support part
122: Edge portion 124: Mounting protrusion
H1: Inlet H2: Outlet

Claims (9)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되며,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되는 배수육가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봉의 형성과 관련된 상향격벽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잡배수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잡배수가 잠기는 하측에 통공 형상의 바이패스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n inlet and an outlet are provided so that wastewater can flow in and discharge from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oilet, and the water collection spa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s watered by wastewater between the downwardly protruding downward bulkhead and the upwardly protruding upward bulkhead. In the drainage overpass where at least two water seals are formed, including an inner water seal formed adjacent to the inlet side and an outer water seal formed adjacent to the outlet side in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upward partition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inner water seal is,
A drainage overpass having an open shape at the top so that the waste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can overflow, and a bypass passage in the shape of a hole at the lower side where the wastewater is submerged so that the wastewater can flow in and o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격벽은,
상기 배출구측 보다 그 주변으로 우회하여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높낮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1,
The upward bulkhead is
A drainage overpass, characterized in that a height gradient is formed so that miscellaneous water can overflow by bypassing the outlet side rather than around 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격벽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1,
A drainage overpas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loped drainage channel arranged inclinedly with a height difference so that the sewage overflowing the upward bulkhead increases the flow rate toward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배수로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돌출하는 출구유도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lope drainage,
A drainage overpas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utlet guide port protruding toward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잡배수의 유입 방향 또는 낙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익편을 구비하는 걸름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1,
A drainage overpa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iner mesh body having inclined blade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flow direction or falling direction of the miscellaneous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익편은,
상기 유입구의 유입 또는 낙하되는 방향에서 볼 경우, 상기 유입구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그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5,
The inclined wing section is,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flows in or falls, the drainage overpa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located on the edge of the inlet is larger than the area located on the center side of the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배수공이 마련된 배수커버;
상기 배수커버가 놓여지는 받침부와, 상기 배수커버에 분리되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챔퍼링부를 구비하는 커버틀;
상기 커버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가 챔퍼링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벽에 마련되고 상향격벽이 바닥면에 상향하여 배치되는 배수홈통; 그리고
상기 유입구가 마련되고 하향격벽이 하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홈통과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집수공간이 마련되는 내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1,
Drain cover provided with multiple drain holes;
a cover frame including a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drain cover is placed, and a chamfer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drain cover;
a drain trough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ver frame, the outlet provided on a side wall located below the chamfering portion, and an upward partition wall disposed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drainage overpas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ternal member in which the inlet is provided, a downward partition wall is disposed downward, and a water collection space is provided therein by being combined with the drainage trough.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재는,
상기 챔퍼링부보다 높게 상향 돌출하는 받침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7,
The internal member is,
A drainage hexag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pport protrusion that protrudes upward higher than the chamfer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세로 높이보다 가로 폭이 큰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육가.
According to claim 7,
The outlet is,
A drainage landfill characterized by a non-circular shape with a horizontal width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KR1020220112396A 2022-09-05 2022-09-05 Drainage trap structure KR202400335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396A KR20240033579A (en) 2022-09-05 2022-09-05 Drainage trap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396A KR20240033579A (en) 2022-09-05 2022-09-05 Drainage trap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579A true KR20240033579A (en) 2024-03-12

Family

ID=9029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396A KR20240033579A (en) 2022-09-05 2022-09-05 Drainage trap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57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93B1 (en) 2016-10-24 2018-11-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Drain tra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93B1 (en) 2016-10-24 2018-11-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Drain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2397A (en) Waste screen
US10294653B2 (en) Rain overflow basin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EP3303724B1 (en) Cover for water flow inlet
JP6013893B2 (en) Rainwater storage piping structure
NO311146B1 (en) Device for draining rainwater from the roof surface of a building
US20060096186A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JP4681641B2 (en) Separation device
RU2347871C2 (en) Water catching device and corresponding water drainage device
US6926464B1 (en) Detention pond water quality apparatus and system
KR20240033579A (en) Drainage trap structure
KR20240033580A (en) Drainage trap structure
KR200444012Y1 (en) Outlet trap
KR20080105855A (en) Device for filtering an trash
AU2009100093A4 (en) Self Flushing Leaf Filter
CN2778948Y (en) Siphon water drain rain strainer
KR102526838B1 (en)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JP4504832B2 (en) Rainwater runoff control system
US20010042568A1 (en) Sewer pipe structures and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JP3661150B2 (en) Perforated lid for drainage, ventilation, etc.
CN207647052U (en) Build storm-water system
CN212507101U (en) Large-displacement siphon drainage rainwater hopper structure
KR102217748B1 (en) Manhole filtration device
JP2024033128A (en) Rainwater drainage system and roof structure
JPH0450336Y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