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350A - 벽면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50A
KR20240033350A KR1020220111883A KR20220111883A KR20240033350A KR 20240033350 A KR20240033350 A KR 20240033350A KR 1020220111883 A KR1020220111883 A KR 1020220111883A KR 20220111883 A KR20220111883 A KR 20220111883A KR 20240033350 A KR20240033350 A KR 2024003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slit
soil
insertion ro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건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청파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청파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청파조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50A/ko
Publication of KR2024003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전면에 식재공이 마련되며,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식재공의 인근으로 배선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토양에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 상기 함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배면슬릿; 상기 배면슬릿의 상부 테두리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배면슬릿의 하부 테두리 아래에 위치되는 배면지지판; 및 상기 배면슬릿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채워진 토양과 접촉되는 배면삽입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면 식물재배장치{WALL PLANTING DEVICE}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건물의 벽면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구조물 내부에 토양을 보관하며, 토양에 뿌리를 식재하여 식물을 생장하는 장치이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0463호(다층 화분)와 제10-1010730호(녹화용 식생패널)에 예시적 형태가 게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농지는 토양의 밀도를 낮춰 식물의 뿌리가 깊게 생장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토양을 개간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구조물의 내부에 토양을 보관하되, 개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토양의 경도가 증가되며, 식물의 뿌리가 깊게 생장할 수 없으므로, 토양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토양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식재된 식물의 뿌리 생장을 촉지할 수 있도록, 토양을 개간할 수 있는 벽면 식물재배장치가 필요하다.
KR 10-1510463 B1 (2015.04.10.) KR 10-1010730 B1 (2011.01.25.)
토양의 통기성을 증대시켜 식재된 식물의 뿌리 생장을 촉진하도록, 토양을 개간할 수 있는 벽면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전면에 식재공이 마련되며,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식재공의 인근으로 배선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토양에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 상기 함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배면슬릿; 상기 배면슬릿의 상부 테두리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배면슬릿의 하부 테두리 아래에 위치되는 배면지지판; 및 상기 배면슬릿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채워진 토양과 접촉되는 배면삽입로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함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되, 상기 배면슬릿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 배치되는 전면슬릿; 상기 전면슬릿의 상부 테두리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전면슬릿의 하부 테두리 아래에 위치되는 전면지지판; 및 상기 전면슬릿에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채워진 토양과 접척되는 전면삽입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배면슬릿 하부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배면지지판의 단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함체로부터 토양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면보조판; 상기 전면슬릿 하부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전면지지판의 단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함체로부터 토양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보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면지지판에는, 테두리가 상방으로 휘어진 배면홀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지지판에는, 테두리가 상방으로 휘어진 전면홀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면삽입로드의 타단부에는, 제1 보조홀이 상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삽입로드의 타단부에는, 제2 보조홀이 상면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보조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보조홀에 결합되어, 상기 배면삽입로드와 상기 전면삽입로드를 동시에 상기 함체의 폭 방향으로 이송하는 보조손잡이;를 포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내부의 토양을 개간하여, 식물이 식재된 토양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기 용이한 토양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는, 함체 내부에 있는 토양의 하중을 분배하여, 토양의 하부가 낮은 밀도로 유지되도록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도 4 및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이하, ‘벽면 식물재배장치(10)’라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a)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에 식물(A)을 식재한 상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의 (b)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에 식물(A)을 식재한 상태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a)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2의 (a)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벽면 식물재배장치(10)는 함체(100), 양분공급기(110), 배면슬릿(120), 배면지지판(130) 및 배면삽입로드(140)를 포함한다.
도 1의 (b) 를 참조하면, 함체(100)는 전면에 식재공(101)을 마련되고, 직육면체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토양이 채워진다.
도 3은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함체(100)는 전면판의 측면과 일측면판의 측면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전면이 개방될 수도 있다.
식재공(101)은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마련되며, 함체(100)의 폭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마련될 수 있다.
함체(100)는 식재공(1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식재망(102)이 구비될 수 있다.
식재망(102)은 식재공(101)으로부터 토양, 물, 양액 및 역병약이 함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함체(100)는 측면에 개폐문(10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개폐문(103)은 함체(10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방하여 함체(100) 내부의 토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토양을 교체하기 위해 개폐될 수 있다.
함체(100)는 하부에 하부보관함(10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부보관함(104)은 내부에 양분공급기(110), 수조(미도시) 및 IOT 시스템(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분공급기(110)는 펌프(111)와 파이프(112)를 포함하고, 물과 양분을 토양에 공급한다.
도 6의 (a)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의 (b) 또는 도 6의 (a)를 참조하면, 펌프(111)는 하부보관함(105)에 구비되며, 양액과 역병약이 투입되어, 물과 함께 섞어 파이프(112)로 이송할 수 있다.
파이프(112)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 등으로 제작되며, 일측이 펌프(11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후, 타측이 특정 높이에 마련된 각각의 식재공(101)으로 분배되도록 연장된다.
양분공급기(110)는 각각의 파이프(11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드리퍼(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리퍼(113)는 일정 시간마다 물과 양분을 함체(100) 내부로 배출하며, 경작되는 식물(A)에 따라 배출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배면슬릿(120)은 함체(100)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며, 함체(100)의 배면에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단, 도 5를 참조하면, 배면슬릿(120)은 길이가 한정되지 않아 짧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배면지지판(130)은 배면슬릿(120)의 상부 테두리에서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되, 단부가 배면슬릿(120)의 하부 테두리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배면지지판(130)의 단부는 배면슬릿(120)의 하부 테두리보다 아래에 있음으로서,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면지지판(130)은 함체(100) 내부의 토양이 서로 이어지도록, 배면홀(131)이 마련될 수 있다.
배면홀(131)은 테두리가 상방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배면홀(131)의 테두리에는 물이 배면지지판(130)의 하방으로 배수되는 것을 일부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면삽입로드(140)는 배면슬릿(120)에 삽입되어, 함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부가 함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토양과 접촉된다.
배면삽입로드(140)는 타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배면삽입로드(140)는 일단부의 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갈퀴형태로 형성되어 함체(100) 내부에 보관된 토양을 고르게 개간할 수 있다.
도 4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벽면 식물재배장치(10)는 전면슬릿(150), 전면지지판(160) 및 전면삽입로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의 제2 변형예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벽면 식물재배장치(10)의 제2 변형예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b)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전면슬릿(150)은 함체(100)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며, 함체(100)의 전면에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되, 배면슬릿(120)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다. 단, 도 5의 (a)와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전면슬릿(150)은 길이가 한정되지 않아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홀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다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전면지지판(160)은 배면지지판(130)과 동일하게 전면슬릿(150)의 상부 테두리에서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되, 단부가 전면슬릿(150)의 하부 테두리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전면지지판(160)의 단부는 전면슬릿(150)의 하부 테두리보다 아래에 있음으로서,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면지지판(160)은 함체(100) 내부의 토양이 서로 이어지도록, 전면홀(161)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홀(161)은 배면홀(131)과 마찬가지로, 테두리가 상방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전면홀(161)의 테두리에는 물이 하방으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삽입로드(170)는 전면슬릿(150)에 삽입되어, 함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부가 함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토양과 접촉된다.
전면삽입로드(170)는 타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전면삽입로드(170)는 배면삽입로드(140)와 마찬가지로, 일단부의 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갈퀴형태로 형성되어 함체(100) 내부에 보관된 토양을 고르게 개간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벽면 식물재배장치(10)는 배면보조판(180)과 전면보조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보조판(180)은 배면슬릿(120)의 하부 테두리에서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되, 배면지지판(13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보조판(180)의 단부가 배면지지판(130)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배면지지판(130)의 단부보다 아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전면보조판(190)은 전면슬릿(150)의 하부 테두리에서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되, 전면지지판(16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보조판(190)의 단부가 전면지지판(160)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전면지지판(160)의 단부보다 아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배면삽입로드(140)에는 제1 보조홀(1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삽입로드(170)에는 제2 보조홀(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홀(141)은 배면삽입로드(140) 타단부의 상면 중앙에 마련되며, 배면삽입로드(140)의 하면을 관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보조홀(171)은 전면삽입로드(170) 타단부의 상면 중앙에 마련되며, 전면삽입로드(170)의 하면을 관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a)와 (b)를 참조하면, 벽면 식물재배장치(10)는 배면삽입로드(140)와 전면삽입로드(140)를 동시에 함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송하는 보조손잡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손잡이(200)는 배면삽입로드(14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201)와, 전면삽입로드(17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02)를 포함한다.
도 4의 (a)를 기준으로, 보조손잡이(200)는 제1 결합부(201)의 상단부에서 우측을 향해 연장되며, 제2 결합부(202)의 상단부에서 우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1 결합(201)와 제2 결합부(202)에서 연장된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제1 결합부(201)는 배면슬릿(120)과 전면슬릿(150)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2 결합부(202)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손잡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벽면과 마주보는 배면슬릿(120)에서 배면삽입로드(140)를 자유롭게 함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보조손잡이(200)는 배면삽입로드(140)와 전면삽입로드(170)가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면삽입로드(17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배면삽입로드(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10 : 벽면 식물재배장치
100 : 함체 101 : 식재공
102 : 식재망
103 : 개폐문
104 : 하부보관함
110 : 양분공급기 111 : 펌프
112 : 파이프
120 : 배면슬릿
130 : 배면지지판 131 : 배면홀
140 : 배면삽입로드 141 : 제1 보조홀
150 : 전면슬릿
160 : 전면지지판 161 : 전면홀
170 : 전면삽입로드 171 : 제2 보조홀
180 : 배면보조판
190 : 전면보조판
200 : 보조손잡이 201 : 제1 결합부
202 : 제2 결합부

Claims (5)

  1. 전면에 식재공이 마련되며, 내부에 토양이 채워지는 함체;
    상기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식재공의 인근으로 배선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토양에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
    상기 함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배면슬릿;
    상기 배면슬릿의 상부 테두리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배면슬릿의 하부 테두리 아래에 위치되는 배면지지판; 및
    상기 배면슬릿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채워진 토양과 접촉되는 배면삽입로드;를 포함하는, 벽면 식물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마련되되, 상기 배면슬릿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 배치되는 전면슬릿;
    상기 전면슬릿의 상부 테두리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전면슬릿의 하부 테두리 아래에 위치되는 전면지지판; 및
    상기 전면슬릿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채워진 토양과 접척되는 전면삽입로드;를 포함하는, 벽면 식물재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슬릿 하부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배면지지판의 단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함체로부터 토양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면보조판;
    상기 전면슬릿 하부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전면지지판의 단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함체로부터 토양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면보조판;을 포함하는, 벽면 식물재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지지판에는, 테두리가 상방으로 휘어진 배면홀이 마련되며,
    상기 전면지지판에는, 테두리가 상방으로 휘어진 전면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물재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삽입로드의 타단부에는, 제1 보조홀이 상면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삽입로드의 타단부에는, 제2 보조홀이 상면 중앙에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제1 보조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 보조홀에 결합되어, 상기 배면삽입로드와 상기 전면삽입로드를 동시에 상기 함체의 폭 방향으로 이송하는 보조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식물재배장치.
KR1020220111883A 2022-09-05 2022-09-05 벽면 식물재배장치 KR20240033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83A KR20240033350A (ko) 2022-09-05 2022-09-05 벽면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83A KR20240033350A (ko) 2022-09-05 2022-09-05 벽면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50A true KR20240033350A (ko) 2024-03-12

Family

ID=9029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883A KR20240033350A (ko) 2022-09-05 2022-09-05 벽면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30B1 (ko) 2010-06-15 2011-01-25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녹화용 식생패널
KR101510463B1 (ko) 2012-01-26 2015-04-10 안청근 다층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30B1 (ko) 2010-06-15 2011-01-25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녹화용 식생패널
KR101510463B1 (ko) 2012-01-26 2015-04-10 안청근 다층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081B1 (ko)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101768555B1 (ko)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및 딸기 육묘 시스템
KR20240033350A (ko) 벽면 식물재배장치
KR100676692B1 (ko) 저수조를 겸한 식물재배용기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KR102565791B1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CN211721241U (zh) 一种浇筑花墙
JP2995275B2 (ja) 鉢植え植物のためのかん水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ター
KR20130022838A (ko) 채소 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채소 재배 장치
KR200443127Y1 (ko) 식물 새싹재배기
CN214126200U (zh) 一种提高花生幼苗整齐度且便于移栽的育苗箱
CN214430480U (zh) 一种水生植物种植装置
CN218163709U (zh) 一种便于排水的骨碎补培育和种植用放置盒
CN220965740U (zh) 一种育苗用穴盘装置
KR102214012B1 (ko) 무순 재배 용기
JPH06327357A (ja) 育苗装置
KR20220151516A (ko) 육묘포트용 저면관수시스템
CN219108263U (zh) 一种高度可调的蔬菜种植架
KR10219302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0461604Y1 (ko) 육묘상자
KR20110101545A (ko)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KR200388494Y1 (ko)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
JP3781275B2 (ja) 連結プラグを用いる葉菜類の軽石栽培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