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085A -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085A
KR20240033085A KR1020247006103A KR20247006103A KR20240033085A KR 20240033085 A KR20240033085 A KR 20240033085A KR 1020247006103 A KR1020247006103 A KR 1020247006103A KR 20247006103 A KR20247006103 A KR 20247006103A KR 20240033085 A KR20240033085 A KR 2024003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ules
chelating
activated carb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웰터
크리스티안 마이어
크리스티안 렁필
Original Assignee
인스트랙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트랙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스트랙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3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1Gel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26Absorption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49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8Water soft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by addition of complex-form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식수의 다단계 모듈식 정제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듈은 중금속 제거 및/또는 중금속 제거 및 박테리아의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겔 또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PURIFYING DRINKING WATER}
본 출원은 식수의 다단계 모듈식 정제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하나의 모듈은 중금속 제거 또는 중금속 및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겔 또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을 포함한다.
세계 인구 증가, 세계적인 환경 오염 증가 및 높아진 품질 요건의 높아지는 필요성으로 인해, 정수의 중요성은 과소 평가될 수 없다.
물, 특히 식수의 품질은 다수의 매우 다른, 부분적으로 유해한 오염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되풀이하여, 특히 파이프 시스템(특히 납), 농업(예를 들어, 카드뮴), 석탄-기반 전기(수은) 또는 자연 공급원(아연, 우라늄, 란탄 계열 원소)으로부터의 중금속이 우려의 원인을 제공한다.
반면, 주로 인간 활동 기원의 많은 유기 미세 오염물이 식수에서 발견된다. 여기서 가장 현저한 대표물은 호르몬(원래 피임에 사용됨) 또는 약물 잔류물 또는 그 분해 산물 또는 농약을 포함한다.
박테리아는 식수에서 원하지 않는 물질의 제3 그룹을 구성한다. 이는 종종 가정용 수처리 장치 자체, 또는 - 특히 세계의 더 따뜻한 지역에서 - 파이프 시스템으로부터 나온다.
이 박테리아가 나타내는 가장 큰 위험은 유아와 어린 아이들 또는 예를 들어, 노인과 같은 약화된 면역 체계를 갖는 사람에 대한 것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소독을 위해 "염소"(차아염소산염)가 식수에 첨가되어 박테리아를 죽인다. 이는 무균 상태를 보장하지만 물 맛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해하지는 않지만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의 성분은 경도 미네랄로서 물을 경수로 만드는 것을 담당하는 고농도의 칼슘 및 마그네슘이다. 저농도는 안전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인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고농도(높은 물 경도)에서, 칼슘과 마그네슘은 현저한 맛의 저하뿐만 아니라, 주방과 욕실 또는 소위 온수기(보일러) 및 조리 기구의 보일러 스케일에서 원하지 않는 "물 얼룩"을 생성한다.
식수 정화를 위한 다수의 상이한, 부분적으로 보완적인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일부 경우에, 제공되는 장비는 다른 정수 방법을 결합하지만, 개별 오염물 또는 오염물의 클래스의 완전한 소거 또는 제거의 관점에서 차이를 남긴다. 동시에, 확립된 많은 기술은 낮은 용량, 불량한 수율, 추가 오염, 높은 에너지 소비, 펌프로부터의 소음 공해 등과 같은 뚜렷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역삼투(RO: reverse osmosis)는 정제될 물이 고압 하에서 펌핑되어 오염물을 제거하는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오염물뿐만 아니라 중요한 미네랄도 뒤에 남겨져 다시 투석유물에서 농축된다. 이 방법은 높은 물 손실(> 80 % 투석유물), (높은 에너지 소비 및 소음 공해와 함께) 추가 펌프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높은 동작 압력 및 칼슘 및 마그네슘의 후속 첨가에 의해 부분적으로 역전되어야 하는 특히 미네랄 제거와 같은 식수 처리에 많은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수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역삼투는 사용 시점의 정수에 널리 사용된다.
산업 식품 처리 응용(와인 및 맥주 생산)에서 자주 사용되는 한외 여과는 부유 물질과 박테리아를 상대적으로 신뢰성 있게 제거하지만 중금속 또는 "염소"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는다. 유기 미세 오염물도 다루어지지 않거나, 다루어진다면 매우 미미하게 다루어진다.
활성탄은 많은 가정용 정수기에서 주로 "염소" 맛을 제거하고 동시에 유기 미세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활성탄은 중금속에 결합하지 않고, 물의 경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며, 그 구조로 인해 박테리아 성장(바이오 필름 형성)에 매우 취약하며, 이는 결국 박테리아 및 대사 물질로 식수의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장내 독소").
예를 들어, 중금속 제거를 위해 MetCap-T라는 이름으로 시판되는 카트리지는 킬레이팅 수지(instAction MetCap)로 채워지며, 그 생산은 DE 10 2014 012 566 A1호 및 DE 10 2016 007 662 A1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카트리지에서의 적용은 또한 DE 102016007662 A1호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킬레이트 특성으로 인해, MetCap-T 수지는 거의 배타적으로 중금속에 결합한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은 그 훨씬 낮은 컴플렉스 결합 상수로 인해 전혀 결합되지 않거나 단지 매우 약하게 결합되며, 중금속의 존재시에 이로 대체된다. 이러한 선택성은 연화에 사용되는 이온 교환기에 대한 선택성과 정확히 반대이다.
모든 중금속을 고용량 및 비가역적으로 결합시키는 MetCap-T 수지 유형의 특성에 추가하여, (독일 출원 10 2017 007 273.6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MetCap-T 변형은 동시에 박테리아를 제거하며, 즉, 중금속 흡수제로서의 그 기능에 추가하여 살균 효과를 갖는다.
입자 필터는 수돗물로부터 부유 물질과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정수 장치의 입력측에 종종 설치된다. 이는 주로 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막힘으로부터 보호하고 그에 따라 압력 증가와 생산성 감소를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물 연화 모듈의 일부로서의 이온 교환기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제거함으로써 물의 경도를 낮추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온 교환기는 염소나 박테리아를 다루지 않는 것과 똑같이 미세 오염물을 다루지 않으며; 반대로, 이는 종종 바이오 필름 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 다른 단점은 특히 경수에서 낮은 용량이다.
물 연화 모듈의 사용이 특히 지시되는 경우, 이온 교환 수지의 용량은 다소 빨리 소모된다. 모든 정수 기술 중에서, 이온 교환기는 재생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단연코 높다. 이는 일반적으로 농축 식염수로 헹구어 수행된다.
이온 교환기는 칼슘 및 마그네슘 외에도 또한 중금속에 결합한다. 그러나 결합 용량이 더욱 소진될수록, 중금속은 훨씬 더 높은 농도의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 대체되고 결국 결과로서 용출액에 농축된다. 궁극적으로, 이온 교환기는 칼슘 및 마그네슘보다 중금속에 대해 선택성이 결여되어 있다. 칼슘 및 마그네슘은 중금속과 직접 경쟁하기 때문에, 이는 단순한 이온 교환에서 훨씬 더 높은 농도로 인해 결합 장소에 대해 더욱 우수하다.
반대로, 상술한 MetCap-T 수지는 중금속에 선택적으로 그리고 강한 선호도로 결합하고, 건강에 좋지 않은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이 대체로 결합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모든 양이온을 비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이온 교환기와 용액으로부터 중금속을 선택적으로 또는 강한 선호도로 결합시키는 MetCap-T 킬레이트 수지 사이에 중심적이고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설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열거된 성분들 중 어느 것도 그 자체로 복잡하고 다층의 불순물 프로파일을 다루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역삼투(RO)와 같이, 심각한 단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이유로, 열거된 기술 중 몇몇을 결합하는 장치를 갖는 다수의 제조업체가 시장에 이미 존재한다. 단지 일 예는 입자 필터, 킬레이팅 수지 및 한외 여과 유닛이 결합된 CN 206359334 U호에 설명된 장치이다. 이 경우, "염소" 맛 및 유기 미세 오염물은 제거되지 않는다.
많은 장치는 입력측에 거친 입자 필터를 갖는다. 이는 연결된 장치를 먼지 입자로부터, 그에 따라 막힘 및 압력 증가뿐만 아니라 연관된 생산성 감소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열거된 많은 정제 모듈의 심각한 단점은 (활성탄 및 이온 교환기와 같이)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는 바이오 필름 형성이며, 부정적인 결과 중 일부는 여기서: 용량 감소, 여과 성능 손실, 압력 증가, 생산성 저하, 해로운 박테리아 및/또는 그 독성 대사 산물에 의한 식수의 오염, 일반적으로 식수의 품질 저하로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기술의 상술한 단점을 극복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기존 기술의 상술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식수의 다단계 모듈식 정제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작업은 식수의 다단계 모듈식 정제를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되었으며, 여기서 모듈은 중금속 제거 또는 중금속 및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겔 또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파이프를 통해 또는 직접 서로 연결되는 다른 독립적인 모듈 또는 카트리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오염물 스펙트럼을 연속적으로 다룸으로써 최고 품질 요건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다른 직교 정수 기술을 결합하고 단순화한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이하를 나타낸다:
도 1: 입자 필터, 활성탄 모듈, 물 연화 모듈, MetCap 모듈 및 RO 멤브레인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2: 입자 필터, 활성탄 모듈, MetCap 모듈 및 RO 멤브레인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3: 입자 필터, 활성탄 모듈, 물 연화 모듈, MetCap 모듈 및 UF 멤브레인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4: 입자 필터, 활성탄 모듈, MetCap 모듈 및 UF 멤브레인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5: 입자 필터, 활성탄 모듈, 물 연화 모듈 및 추가 살균 기능을 갖는 MetCap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6: 입자 필터, 활성탄 모듈 및 추가 살균 기능을 갖는 MetCap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7: 입자 필터, 물 연화 모듈 및 추가 살균 기능을 갖는 MetCap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8: 입자 필터 및 추가 살균 기능을 갖는 MetCap 모듈을 갖는 정수를 위한 장치의 개략 구조도.
카트리지는 파이프 시스템/탭 또는 상류 카트리지로부터의 물이 카트리지로 진입하여 각각의 카트리지 충진물과 접촉하는 입구 개구를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는 처리된 정제수가 다음 카트리지로 흐르거나 제거 지점에 도달하는 출구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제거, 교체 또는 재생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치에 고정된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0.5-6 바(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2-4 바의 파이프 라인 압력에서 동작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장치의 핵심은 살균 기능을 갖거나 갖지 않는 독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해 킬레이팅 MetCap-T 수지로 채워진 카트리지이다. DE 특허 출원 10 2017 007 273.6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MetCap-T 수지의 살균 변형이 사용되는 경우,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 유닛이 필요하지 않다.
중앙 카트리지는 킬레이팅 수지에 의해 다루어지지 않는 특정 오염물 스펙트럼을 각각 다루는 다수의 다른 카트리지와 결합될 수 있다. 이 카트리지는 중앙 MetCap-T 카트리지의 상류 또는 하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체 장치는 탱크에 연결되거나 추출 밸브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물 가열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빈번하게 필요하게 되는 재생으로 인해, 이온 교환 수지를 갖는 카트리지에는 용이한 재생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는 농축 식염수로 헹구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재생에 대한 필요성은 (물의 경도, 전도도, 플로우 셀 등과 같은) 적절한 센서에 의해 결정되고 경고등에 의해 표시된다.
재생은 장치가 각각의 실시예에서 소금 또는 식염수 용액을 위한 적절한 센서 및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있는지에 따라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 연화 모듈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적절한 연결부 및 밸브를 구비한다. 잉여 소금은 구멍을 통해 하수관으로 또는 추출 밸브를 통해 직접 처리된다.
다른 모든 카트리지의 경우, 재생이 불가능하고 및/또는 가정용 제품으로는 기술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자 필터의 입력은 급수 시스템에 연결되고, 그 출력은 활성탄 필터의 입력에 연결되며, 활성탄 필터의 출력은 차례로 물 연화 모듈의 입력에 연결되고, 물 연화 모듈의 출력은 MetCap 카트리지에 연결되고, MetCap 카트리지의 출력은 차례로 RO 모듈에 연결되며, RO 모듈의 출력은 추출 지점으로 흐른다(도 1 참조). 장치의 입력측의 수압이 낮으면, 펌프가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입자 필터는 활성탄 필터에 직접 연결한 다음, MetCap 카트리지에, 그리고 마지막으로 RO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마지막 2개의 실시예에서, MetCap 카트리지 및 물 연화기의 순서는 또한 역전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자 필터는 물 연화 모듈에 연결된 활성탄 카트리지에 연결된 다음 MetCap 카트리지에, 후속하여 UF 멤브레인에 연결된다(도 3 참조). 대안적으로, 입자 필터는 또한 활성탄 카트리지, MetCap 카트리지 및 UF 멤브레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도 4 참조). 필요한 경우, 물 연화 모듈을 또한 MetCap 카트리지의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장치가 낮은 배압(back pressure)을 가져 파이프라인 압력이 정규 동작에 충분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펌프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자 필터는 활성탄 카트리지 및 물 연화 카트리지에 연결되며, 이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을 포함하는 MetCap 카트리지에 차례로 연결된다(도 5 참조).
대안적으로 입자 필터는 또한 활성탄 카트리지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활성탄 카트리지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로 충진된 MetCap 카트리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본 실시예에서, 추가의 박테리아 제거 멤브레인이 생략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자 필터는 물 연화 카트리지에 직접 연결되고, 물 연화 카트리지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로 충진된 MetCap 카트리지에 직접 연결된다(도 7 참조).
장치의 추가 실시예에서, 입자 필터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로 충진된 MetCap 카트리지에 직접 연결된다(도 8 참조). 이 실시예는 DE 102016007662 A1호에서 설명된 카트리지와 유사하지만, 킬레이팅 및 살균 겔로 충진되는 점에서 다르다.
장치는 정제수를 저장하기 위한 인접한 탱크와 같은 다른 모든 일반적인 정제 또는 저장 모듈 또는 UV 소독(탱크에서 또는 온라인으로), 레독스 필터 등과 같은 다른 정제 기술, 또는 온수 준비에서의 추가의 사용을 위해 탄산수 생산을 위한 CO2 첨가 모듈, 후속적인 소독 또는 보존을 위한 염소화 또는 과산화수소 첨가제 등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장치는 후속하는 물 추출 또는 수처리 유형에 영향을 주거나 간섭하지 않는다.
장치의 성능은 추출 지점 또는 개별 모듈 사이의 지점과 같은 적절한 위치에서 적절한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적절한 센서의 예는 pH 센서, 전도도 센서, 박테리아 농도 검출 센서, 이온 선택 센서, UV 센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로우 셀은 처리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가 교체 또는 재생되어야 할 때 센서는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개별 모듈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메시지를 발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연결된다. 센서의 도움으로, 모듈의 교체는 또한 순전히 시간-제어 또는 볼륨-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물 연화 모듈의 자동 재생을 개시할 수 있거나 밸브를 폐쇄하여 모듈의 교체를 지속 작동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강제할 수 있다.
처음으로, 본원에 설명된 장치는 가정용의 단순한 해결책으로서 식수의 포괄적인 정제를 허용하며, 이는 정제수의 품질 및 수율 또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모든 공지된 시스템보다 우수하다.
한편, 장치는 실제로 해로운 부분적으로 독성인 물질의 제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맛을 개선함으로써(예를 들어, "염소"를 제거함으로써) 수질의 일반적인 개선에 집중한다.
최소 버전에서, 본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일반적인 소비에 기초한다. 더 큰 버전에서 본 장치는 또한 복수의 주거지, 주거 단지, 식당, 병원, 선박 또는 고품질 식수가 필요한 다른 시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수의 정제를 위한 상술한 장치의 용도이다.

Claims (12)

  1. 식수의 다단계 모듈식 정제를 위한 장치로서,
    하나의 모듈이 중금속의 제거 또는 중금속 및 박테리아의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겔 또는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의 제거를 위한 상기 모듈은 입자 필터, 물 연화 모듈, 활성탄 필터 및 필터 멤브레인과 같은 다른
    모듈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자 필터, 활성탄, 물 연화기, 킬레이팅 겔, RO 멤브레인의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입자 필터, 활성탄, 물 연화기, 킬레이팅 겔, UF 멤브레인의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입자 필터, 활성탄, 물 연화기,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의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입자 필터, 활성탄, 킬레이팅 겔, RO 멤브레인의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입자 필터, 활성탄, 킬레이팅 겔, UF 멤브레인의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거나,
    입자 필터, 활성탄, 킬레이팅 및 살균 겔의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RO 모듈이 사용되지 않을 때 수돗물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어 파이프라인 압력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RO 모듈이 사용될 때 펌프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교체 또는 재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연화 모듈은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재생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pH 센서, 전도도 센서, UV 센서 또는 박테리아 결정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정의된 한계가 초과되거나 언더슈팅(undershooting)될 때 경고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요소들은 물 탱크, 물 가열 시스템, (UV) 소독 시스템, 레독스 필터, CO2 투여 유닛 또는 염소화 유닛으로부터 선택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수의 정제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
KR1020247006103A 2018-01-24 2019-01-23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KR20240033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0396.8U DE202018100396U1 (de) 2018-01-24 2018-01-24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Trinkwasser
DE202018100396.8 2018-01-24
PCT/EP2019/051650 WO2019145368A1 (de) 2018-01-24 2019-01-23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trinkwasser
KR1020207023122A KR20200108452A (ko) 2018-01-24 2019-01-23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122A Division KR20200108452A (ko) 2018-01-24 2019-01-23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085A true KR20240033085A (ko) 2024-03-12

Family

ID=615640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103A KR20240033085A (ko) 2018-01-24 2019-01-23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KR1020207023122A KR20200108452A (ko) 2018-01-24 2019-01-23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122A KR20200108452A (ko) 2018-01-24 2019-01-23 식수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078889A1 (ko)
EP (1) EP3743385A1 (ko)
JP (1) JP2021511207A (ko)
KR (2) KR20240033085A (ko)
CN (2) CN213623558U (ko)
AU (1) AU2019211004B2 (ko)
CA (1) CA3087920A1 (ko)
DE (1) DE202018100396U1 (ko)
TR (1) TR201801845U5 (ko)
WO (1) WO2019145368A1 (ko)
ZA (1) ZA202005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1904A1 (de) * 2018-09-07 2020-03-12 Instraction Gmbh Doppelhohlmantelkartusche mit zentralem Ablauf
DE102022105112A1 (de) 2022-03-04 2023-09-07 Vaillant Gmbh Verfahren zur Desinfektion eines Volumenstromes Wasser, Filtereinheit, Computerprogramm, Regel- und Steuergerät und Anordnung zur Bereitstellung von Warmwass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0313A (en) * 1997-08-29 2000-06-27 Kelada; Maher I. Point-of-use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a cascade ion exchange option
JP3964573B2 (ja) * 1999-05-25 2007-08-22 中部キレスト株式会社 金属キレート形成性繊維の製法、並びに該繊維を用いた金属イオン捕捉法及び金属キレート繊維
US20040129637A1 (en) * 2000-07-07 2004-07-08 Hidayat Husain Multi-stage filtration and softening module and reduced scaling operation
JP4291812B2 (ja) * 2005-12-02 2009-07-08 トン ハイ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水又は水系からの重金属除去並びに水又は水系中のカルシウムスケール及び/又はマグネシウムスケールの溶解におけるγ−ポリグルタミン酸(γ−PGA、H体)、γ−ポリグルタメート又はγ−ポリグルタメートヒドロゲルの使用。
US20130098816A1 (en) * 2011-10-17 2013-04-25 International Water Company Mobile water purification station
GB2527128A (en) * 2014-06-13 2015-12-16 Imp Innovations Ltd Method for reducing arsenic concentration in aqueous solutions
DE102014012566A1 (de) 2014-08-29 2016-03-03 Instraction Gmbh Sorbens zur Bindung von Metallen und dessen Herstellung
DE102016007662A1 (de) * 2015-11-27 2017-06-01 Instraction Gmbh Filterkartusche zum Reinigen von Wasser
CN206051749U (zh) * 2016-08-20 2017-03-29 上海统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行业模块化纯化水处理装置
CN206624720U (zh) * 2016-10-29 2017-11-10 武汉时珍水结构研究所有限公司 一种十级卡接式直饮净水机
CN206359334U (zh) 2016-11-22 2017-07-2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净水器
DE102017007273A1 (de) 2017-08-01 2019-02-07 Instraction Gmbh Entfernung von Bakterien aus Trinkwasser über Fil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11004A1 (en) 2020-08-20
CN213623558U (zh) 2021-07-06
ZA202005119B (en) 2021-07-28
US20210078889A1 (en) 2021-03-18
KR20200108452A (ko) 2020-09-18
CA3087920A1 (en) 2019-08-01
EP3743385A1 (de) 2020-12-02
WO2019145368A1 (de) 2019-08-01
RU2020125872A (ru) 2022-02-24
JP2021511207A (ja) 2021-05-06
DE202018100396U1 (de) 2018-02-19
RU2020125872A3 (ko) 2022-03-30
TR201801845U5 (tr) 2019-08-21
CN111630006A (zh) 2020-09-04
AU2019211004B2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3298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CN101514060B (zh) 应急饮用水处理设备
US20060219613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AU2019211004B2 (en) Device for purifying drinking water
CN201587893U (zh) 具有双吸附双过滤臭氧杀菌消毒的家庭净水设备
CN201395538Y (zh) 应急饮用水处理设备
Alfa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mall scale water disinfection system
KR101051597B1 (ko) 인공신장기용 정수장치
CN201010530Y (zh) 复合式净水系统
MX2008000564A (es) Sistema, aparato y metodo de ablandamiento de agua, de vida extendida.
CN203976554U (zh) 瓶装饮用纯净水生产装置
CN205442908U (zh) 一种水净化装置
RU279418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JP2024075577A (ja) 飲料水精製装置
EP2603460B1 (en) Low cost water purification device
CN205603377U (zh) 一种饮用水制备设备
CN107215991A (zh) 一种舰船厨房水净化系统
Kajitvichyanukul et al. Membrane Technologies for Point-of-Use and Point-of-Entry Applications
Varma et al. An improved technique for reducing water wastage from micro-RO-membrane-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s: An experimental study
Cappelli et al. Water treatment for contemporary hemodialysis
CN211770741U (zh) 一种软化水设备
CN203728677U (zh) 自动售水系统
CN106800347A (zh) 一种水净化装置
CN105585187B (zh) 一种饮用水制备设备以及采用该设备的饮用水制备方法
Azar et al. Hemodialysis 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