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23A -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23A
KR20240032423A KR1020220111376A KR20220111376A KR20240032423A KR 20240032423 A KR20240032423 A KR 20240032423A KR 1020220111376 A KR1020220111376 A KR 1020220111376A KR 20220111376 A KR20220111376 A KR 20220111376A KR 20240032423 A KR20240032423 A KR 2024003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ercise
bench
base fram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준
Original Assignee
정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준 filed Critical 정기준
Priority to KR102022011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23A/ko
Publication of KR2024003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배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치 프레임이 구비되어 벤치 프레임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체에 가해지는 하중 부하를 감소시킨 상태로 정확한 자세로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벤치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벤치 프레임 앞쪽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 및 베이스 프레임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벤치 프레임의 앞쪽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A lats exercise device that can reduce lower body load}
본 발명은 광배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치 프레임이 구비되어 벤치 프레임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체에 가해지는 하중 부하를 감소시킨 상태로 정확한 자세로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단련하고자 하는 부위에 적합한 다양한 방식의 운동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특정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특화된 구조를 가지며, 운동하고자 하는 부위에 적절하게 제작되어 해당 부위를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등쪽에 위치한 광배근을 운동하기 위한 운동 방식으로는 허리를 굽힌 상태로 바벨을 들어 올려 운동하는 방식과, 덤벨을 이용하여 한쪽 씩 운동할 수 있으며, 케이블이 설치된 운동 기구나 회동 방식의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운동 시 선 상태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하체에 하중이 가해져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초심자일수록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고, 광배근 중에서도 상부, 중부, 하부 부위를 부위 별로 운동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2193103 신체운동기구)에서는 다양한 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선 상태로 운동기구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신체를 지지하지 않고 선 상태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하체에 하중이 가해져 부상의 위험이 높고, 정확한 위치로 고정하여 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정 부위를 세밀하게 운동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2193103 신체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체에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둔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체 측으로 당기면서 들어 올리는 동작의 운동할 수 있고, 운동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세부적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손의 파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둔부의 지지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벤치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벤치 프레임 앞쪽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벤치 프레임의 앞쪽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 고정 프레임과, 상기 지면 고정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벤치 프레임 및 발판이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 및 상기 벤치 프레임의 뒤쪽에 구비된 지면 고정 프레임에서 일정 구간 연장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프레임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벤치 프레임은, 둔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장 패드와, 상기 안장 패드의 뒤쪽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바 및 한쪽 끝부분은 상기 각도 조절바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각도 조절바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회동되며 안장 패드의 뒤쪽을 지지하는 각도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체 측으로 당기는 동작의 운동을 할 수 있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운동 시 사용하고자 하는 중량에 맞게 중량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운동할 수 있는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 프레임에서 상기 파지부의 앞쪽에는 파지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는 둔부를 지지한 상태로 운동할 수 있어서 하체로 가해지는 하중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둔부의 지지 위치와 운동을 위해 파지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부위별로 세부적인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자세 및 운동 위치의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서 벤치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서 회동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 자이로 센서 카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서 중량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본 발명은 광배근을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둔부를 지지한 상태로 하체로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하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운동할 수 있고, 운동 부위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둔부가 지지되는 위치와 운동 시 파지하는 파지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면에 전체적으로 'I'자 형티를 이루며 설치되어 운동 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동 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벤치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벤치 프레임(200) 앞쪽에는 사용자가 벤치 프레임(200)에 둔부를 지지한 상태로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판(3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벤치 프레임(200)의 앞쪽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벤치 프레임(200)에 둔부를 지지한 상태로 손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회동 프레임(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면에 고정되어 운동기구를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지면 고정 프레임(110)과, 상기 지면 고정 프레임(110)의 중간 부분에서 수직을 이루며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부에 상기 벤치 프레임(200) 및 발판(300)이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면 고정 프레임(110) 중 벤치 프레임(200)의 뒤쪽에 구비된 지면 고정 프레임(110)에서 상기 설치 프레임(120)의 양측으로 일정구간 연장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40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프레임 설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면 고정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에는 지면에 앵커 볼트 등을 이용해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플레이트(111)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 프레임(120)은, 상기 발판(300)이 설치되는 발판 설치부(121)와, 상기 벤치 프레임(200)이 설치되는 벤치 프레임 설치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발판 설치부(121)는, 설치 프레임(120)의 앞쪽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300)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벤치 프레임 설치부(122)는 상기 벤치 프레임(200)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하부에 브라켓 형태로 구비되되, 후술하는 벤치 프레임(200)의 각도 조절바(220)와 각도 지지바(2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벤치 프레임 설치부(122)는, 설치 프레임의 발판(300) 측 앞쪽에는 각도 조절바(220)가 회동 구조로 설치되는 각도 조절바 설치부(122a)가 구비되고, 설치 프레임(120)의 뒤쪽 끝부분에는 각도 지지바(230)가 회동 구조로 설치되는 각도 지지바 설치부(122b)가 구비된다.
상기 벤치 프레임(200)은 쿠션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안장 패드(210)와, 상기 안장 패드(210)의 뒤쪽에서 상기 설치 프레임(120)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각도 조절바 설치부(122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바(220)의 중간 지점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설치 프레임(120)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각도 지지바 설치부(122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지지바(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도 지지바(230)는 상기 각도 조절바(220)에서 회동되고, 상기 벤치 프레임 설치부(122)에서도 회동되며 상기 각도 조절바(220)의 각도 조절에 따라 안장 패드(210)의 하부 뒤쪽의 각도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도 지지바(230)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벤치 프레임 설치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231)와, 상기 회동바(231)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것으로, 끝부분이 상기 각도 조절바(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입바(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231)의 일측에는 각도 조절바(220)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회동바(231)로부터 인출입바(232)가 인출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각도 고정구(23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출입바(232)에는 상기 각도 고정구(233)에 의해 인출입 상태가 고정될 수있는 다수개의 각도 고정홀(232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안장 패드(210)의 각도를 운동 부위나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한 상태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판(300)은 상기 설치 프레임(120)의 발판 설치부(12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발판 설치부(121)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발판(300)은, 발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발 위치 표시홀(310)이 형성되고, 발판의 하부로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발판 프레임(320)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 프레임(4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뒤쪽에 구비되는 회동 프레임 설치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벤치 프레임(200)에 둔부를 거치한 상태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상체 측으로 들어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직접적인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400)은, 상기 회동 프레임 설치부(130)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회동부(410)와, 상기 회동부(410)로부터 양측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되, 벤치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확장되며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확장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410)는 회동되는 중심 축을 지지하는 회동축(411)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41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회동 프레임 설치부(130)와 베어링(412)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확장부(420)의 앞쪽 끝부분에는 확장부(420)의 내측 공간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봉 형태의 파지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파지부(430)의 외측에는 봉 형태로 연장되는 것으로, 운동하고자 하는 중량에 맞게 중량 플레이트(P)를 결합할 수 있는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가 구비된다.
상기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는 파지부(430)의 외측을 향해 파지부(430)와 수평을 이루며 일정 구간 연장되는 결합봉(44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441)에는 중량 플레이트(P)를 결합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중량 플레이트(P)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마찰 코팅층(4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420)의 양측 앞쪽 끝부분에는 파지부(4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450)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450)는, 상기 확장부(420)의 앞쪽 끝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각관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45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51)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45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높이 조절 프레임(4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51)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451)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452)의 길이가 조절되면 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높이 고정구(45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45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높이 고정구(453)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높이 고정홀(452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높이 고정구(453)가 가이드 프레임(45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452)의 높이 고정홀(452a)로 삽입되며 파지부(4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452)의 아래쪽 끝부분에는 높이 조절 프레임(452)이 지면에 지지될 때 길이 조절에 따른 지면과의 각도에 대응하며 높이 조절 프레임(452)을 지지할 수 있는 지면 지지판(454)이 구비된다.
상기 지면 지지판(454)은, 높이 조절 프레임(452)의 조절된 길이에 따라 지면과의 변동되는 각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볼 회전부(45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 회전부(454a)는 볼 회전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지면 지지판(454)이 높이 조절 프레임(452)의 각도에 따라 회전되며 지면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동 프레임(400)의 뒤쪽에는 회동 프레임(400)의 회동부 측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460)이 구비된다.
상기 보강 프레임(460)은 상기 설치 프레임(12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회동 프레임(400)이 회동되는 뒤쪽에서 대칭되는 회동 프레임(400)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회동 프레임(400)이 틀어지지 않고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운동 시 하중에 의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서 벤치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벤치 프레임(200)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운동 부위에 맞게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먼저 각도 지지바(230)에서 각도 고정구(233)를 해제한다.
이후, 안장 패드(210)와 각도 조절바(220)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각도 지지바(230)는 각도 고정구(233)가 해제되어 회동바(231)와 인출입바(232)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인출입되며 각도 조절바(220)의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동된다.
적정 각도로 설정이 완료되면 각도 고정구(233)를 인출입바(232)의 각도 고정홀(232a)에 체결하여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서 회동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동 프레임(400)은 높이 조절부(450)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의 목적은 사용자가 둔부를 안착 패드에 지지한 상태에서 손을 이용해 파지부(430)를 파지하기 적당한 위치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회동 프레임(400)의 높이르 조절할 때에는 먼저 높이 조절부(450)에서 높이 고정구(453)를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높이 고정구(453)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451) 내측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452)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 프레임(400)을 적당한 위치로 설정하고 설정 위치에서 높이 고정구(453)를 이용해 가이드 프레임(451)과 높이 조절 프레임(452)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파지부(430)의 위치가 적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이용해 광배근을 운동할 때에는 먼저 사용자가 안장 패드(210)에 둔부를 지지하고, 발판(300)에 발을 지지한 상태로 회동 프레임(400)의 파지부(430)를 파지한다.
이후, 파지부(430)를 상체 측으로 당겨 들어 올리고 다시 내려놓는 동작을 반복하며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 프레임(400)에서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에는 중량 플레이트(P)를 운동하고자 하는 무게에 맞도록 결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 자이로 센서 카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동 프레임(400)에서 파지부(430)가 설치된 일측에는 자이로 센서 카운터(4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 카운터(470)는 내부에 자이로 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회동 프레임(400)을 들어 올리고 내려놓는 동작을 반복하며 운동할 때, 회동 프레임(400)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운동량을 카운팅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이로 센서 카운터(470)는, 회전하는 물체의 단위시간당 각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회동 프레임(400)의 변경되는 각도와 속도를 이용해 적정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운동 횟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에서 중량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량 플레이트(P)를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에 결합할 때 중량 플레이트(P)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부(4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480)는,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에서 중량 플레이트(P)가 결합되는 내측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중량 플레이트(P)가 결합될 때에는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인입되었다가 중량 플레이트(P)의 결합이 완료되면 탄성에 의해 승강되면서 중량 플레이트(P)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슬라이딩 고정구(4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고정구(481)는 내측에 탄성 지지부재(482)가 구비되어 탄성 지지부재(482)에 의해 항상 승강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 유지되고,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 내측으로 슬라이딩 홈(483)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483)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며 상하로 인출입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고정구(481)는 상부에 중량 플레이트(P)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구동 경사면(481a) 이 형성되고, 중량 플레이트(P)가 결합 완료된 위치를 기준으로 중량 플레이트(P)가 분리되는 방향 측에 중량 플레이트(P)가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플레이트 고정면(481b)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고정면(481b)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중량 플레이트(P)의 측면과 대응되는 평면 형태로 중량 플레이트(P)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중량 플레이트(P)를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로 결합할 때에는 상기 구동 경사면(481a)에 의해 슬라이딩 고정구(481)가 하강되며 슬라이딩 홈(483)으로 인입되고, 중량 플레이트(P)가 슬라이딩 고정구(481)의 상부를 통과하면 상기 탄성 지지부재(482)의 탄성에 의해 다시 승강되면서 플레이트 고정면(481b)이 중량 플레이트(P)의 외측을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결합된 중량 플레이트(P)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고정구(481)를 손으로 눌러 하강시킨 후 중량 플레이트(P)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광배근 운동 시 둔부를 지지한 상태로 운동할 수 있어서 하체로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주어 하체에 무리가 가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이나 운동하고자 하는 세부적인 부분에 대해 적절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둔부가 지지되는 벤치 프레임의 각도 및 운동 시 파지하는 파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지면 고정 프레임
111 : 고정 플레이트 120 : 설치 프레임
121 : 발판 설치부 122 : 벤치 프레임 설치부
122a : 각도 조절바 설치부 122b : 각도 지지바 설치부
130 : 회동 프레임 설치부 200 : 벤치 프레임
210 : 안장 패드 220 : 각도 조절바
230 : 각도 지지바 231 : 회동바
232 : 인출입바 232a : 각도 고정홀
233 : 각도 고정구 300 : 발판
310 : 발 위치 표시홀 320 : 발판 프레임
400 : 회동 프레임 410 : 회동부
411 : 회동축 412 : 베어링
420 : 확장부 430 : 파지부
440 :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 441 : 결합봉
441a : 마찰 코팅층 450 : 높이 조절부
451 : 가이드 프레임 452 : 높이 조절 프레임
452a : 높이 고정홀 453 : 높이 고정구
454 : 지면 지지판 454a : 볼 회전부
460 : 보강 프레임 P : 중량 플레이트
470 : 자이로센서 카운터 480 : 플레이트 고정부
481 : 슬라이딩 고정구 481a : 구동 경사면
481b : 플레이트 고정면 482 : 탄성 지지부재
483 : 슬라이딩 홈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벤치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기 벤치 프레임(200) 앞쪽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30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벤치 프레임(200)의 앞쪽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광배근 운동을 할 수 있는 회동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 고정 프레임(110)과, 상기 지면 고정 프레임(110)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벤치 프레임(200) 및 발판(300)이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120) 및 상기 벤치 프레임(200)의 뒤쪽에 구비된 지면 고정 프레임(110)에서 일정 구간 연장되어 상기 회동 프레임(40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프레임 설치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치 프레임(200)은, 둔부를 지지할 수 있는 안장 패드(210)와, 상기 안장 패드(210)의 뒤쪽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바(220) 및 한쪽 끝부분은 상기 각도 조절바(22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각도 조절바(220)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회동되며 안장 패드(210)의 뒤쪽을 지지하는 각도 지지바(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4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410)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체 측으로 당기는 동작의 운동을 할 수 있는 파지부(430) 및 상기 파지부(4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운동 시 사용하고자 하는 중량에 맞게 중량 플레이트(P)를 결합하여 운동할 수 있는 중량 플레이트 결합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400)에서 상기 파지부(430)의 앞쪽에는 파지부(430)와 지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4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KR1020220111376A 2022-09-02 2022-09-02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KR20240032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76A KR20240032423A (ko) 2022-09-02 2022-09-02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76A KR20240032423A (ko) 2022-09-02 2022-09-02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23A true KR20240032423A (ko) 2024-03-12

Family

ID=9029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76A KR20240032423A (ko) 2022-09-02 2022-09-02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03B1 (ko) 2018-11-08 2020-12-18 김재범 신체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03B1 (ko) 2018-11-08 2020-12-18 김재범 신체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6574B2 (en) Translating carriage exercise machines and methods of use
US4650184A (en) Ski exerciser apparatus
JP7084083B2 (ja) 万能ユニバーサルジム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US7204790B2 (en) Multi-sport training machine with inclined monorail and roller carriage
US7608020B2 (en)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US8047968B2 (en) Simulated climbing and full body exercise and method
US10821325B2 (en) Balancing push up bar
US20070287619A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US20180290007A1 (en) Adjustable exercise suspens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WO2001030458A1 (en) Backstrong lumbar extension machine
KR20130090761A (ko)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20100016135A1 (en) Exercise device for abdominal and other core muscles
US20210361997A1 (en) Fitness exercise apparatus
US20150065321A1 (en) Exercise Device for Performing Dips
US20190314677A1 (en) Exercise apparatus
US5637062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US5839998A (en) Combination slant board and abdominal rocker
KR20240032423A (ko) 하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배근 운동 기구
RU2143938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SK288613B6 (sk) Zariadenie na posilňovanie brušných svalov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EP3915654A1 (en) Fitness exercise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