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130A -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몰드 - Google Patents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130A
KR20240032130A KR1020247005006A KR20247005006A KR20240032130A KR 20240032130 A KR20240032130 A KR 20240032130A KR 1020247005006 A KR1020247005006 A KR 1020247005006A KR 20247005006 A KR20247005006 A KR 20247005006A KR 20240032130 A KR20240032130 A KR 20240032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ens
concave
elements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나르도 페시
Original Assignee
레오나르도 비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르도 비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레오나르도 비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4003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96Production of contact lenses for delivering compositions, e.g. drugs to the ey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19Reus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807Producing lenses combined with electronics, e.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8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7Moulds, cores,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의 몰드로 몰딩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러한 몰드(10)는 렌즈(100)를 성형하도록 의도된 액체 상태의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한 공동을 정의하기 위해 협력하는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수형 요소(11)에서 렌즈(100)의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를 성형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홈(23)을 획득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의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는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로 제작되는 콘택트렌즈(100)를 위한 몰드(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몰드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기능적 요소가 구비된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모노머 또는 폴리머 물질의 대응하는 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 몰드는 몰딩 기술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에 특히 적합하다.
적절하게 형태된(shaped) 몰드 내부에 그들을 몰딩함으로써 렌즈를 생산하는 것은 최신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매우 비싸고 힘든 공학 및 개발을 필요로 한다.
콘택트렌즈는 그들이 제작된 물질에 따라, 소프트 렌즈와 강성(rigid) 렌즈로 실질적으로 나뉘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콘택트렌즈는 렌즈의 상이한 기능을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분류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만약 그것의 표면 모두가 고정된 곡률을 가지는 경우, 렌즈는 구형일 수 있고, 만약 하나 또는 표면 모두가 상이한 곡률 중심을 가지는 경우, 비구형 또는 구형-비구형(spherical-aspherical)일 수 있으며, 만약 두 개의 주요 경선이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경우, 토릭일 수 있고, 또 다른 경우도 있다.
몰딩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작은 전문 용어로 “수형(male)” 및 “암형(female)”으로 불리는 두 개의 부분으로 성형된 몰드를 이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액체 물질이 공동(cavity)에 넣어지고, 그리고 나면 중합되면서, 몰드에서 제거될 수 있는 완전한 렌즈를 성형한다. 몰딩 기술은 물체의 좋은 재현성을 가지고, 심지어 제한된 두께의 매끄러운 표면을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고, 높은 수화(hydration) 및 중간 수화 렌즈를 생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알려진 몰드는 보통 일회용이며, 경제적이고, 치수 차원에서 안정적이며, 무엇보다도 그들의 생산 과정이 반복 가능하면서, 몰드의 좋은 치수 정확성을 획득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알려진 방법은 매우 복잡하거나 특별한 형태의 렌즈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는 몰드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하지 않는다.
특히, 시각적 결함의 유일한 보완에 더하여, 렌즈가 다른 기능을 가지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적 요소를 통합하는 렌즈가 점점 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이러한 렌즈의 기능적 요소는 전기/전자 부품,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전송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포도당 수준, 심장 박동수, pH 등 생물학적 매개 변수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약물의 지속적인 투여를 통해, 또는 제어된 간격으로, 병리의 지속적인 치료의 가능성은 증가하는 관심을 가진다. 이것은 또한 눈물 막(tear film)을 분석함으로써 또는 눈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약물은 안과의(ophthalmic)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허 출원 EP-A1-2458427은 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몰드는 수형 요소와 암형 요소를 포함한다. 수형 요소 및 또한 암형 요소 모두는 렌즈 상에 주기적인 패턴, 예를 들어 동심(concentric) 원형 홈(groove) 또는 직선을 생성하는 홈을 제작하기 위해, 일부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레이저에 의해 작업될 수 있다. 이러한 주기적인 패턴은 생물학적 매개 변수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전기/전자 요소를 수용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설명된 몰드에서, 수형 요소의 볼록부 및 대응하는 암형 요소의 오목부는 단일 곡률 반경을 가진다.
그러므로, 최신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할 수 있고, 매우 복잡하거나 특별한 형태의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기능적 요소를 수용하는 것에 적합하며 최신 기술보다 깨끗한 성형 몰드 및 재-사용 가능한 대응하는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기능적 요소가 수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형태로 콘택트렌즈가 제작되는 것에 의해 재-사용 가능한 몰드를 구성(construct)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심지어 매우 작은 크기의, 예를 들어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렌즈 상에 구성(construction) 또는 제작 세부 사항을 생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정밀하고 고도로 반복할 수 있는 방법을 완벽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다른 목적은 모노머 또는 폴리머 물질의 몰드의 생산을 렌즈의 상이한 형태 및 크기에 빠르게 그리고 간단하게 적응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재-사용 가능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최신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장점을 획득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고안하였고, 시험하였으며,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독립항에 제시되고 특징 지어진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또는 주요 발명의 아이디어에 대한 변형을 설명한다.
위의 목적에 따라, 그리고 위에 공개된 기술적 문제를 새롭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또한 선행 기술에 비해 상당한 장점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적 요소가 구비된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은 수형 요소 및 암형 요소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한다.
여기에 설명된 일부 실시예는 또한 몰딩 기술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모노머 또는 폴리머 물질로 제작되는 몰드에 관한 것이다. 몰드는 각각 볼록한 표면 및 오목한 표면을 가지는 수형 요소 및 암형 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렌즈를 성형하기로 정해진 액체 상태의 모노머 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한 공동을 정의한다.
특히, 문제의 몰드는 그들의 마모가 필수적인 교체를 결정하기 전에, 심지어 수 백번의 몰딩 주기에도 재-사용되는 것에 적합하다.
볼록한 표면 및 오목한 표면은 곡률 반경이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동심(concentric) 영역을 가지며, 하나는 내부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이다. 내부 영역은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외부 영역은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환형(annular)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볼록한 표면의 외부 영역은, 렌즈의 표면 상에 제작될 부조의(in relief) 기능적 요소와 형태 및 크기에서 짝을 이루는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 매개 변수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나,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라 약물의 제어된 방출 투여를 작동시키는 것에 적합한 기능적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그러므로 특히 렌즈 상에 구성 또는 제작 세부 사항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매우 작은 크기의, 예를 들어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능적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능적 요소를 수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태, 심지어 복잡하거나 특별한 형태의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몰드의 홈은 생리학적 매개 변수를 모니터링하는 것 또는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라 약물의 제어된 방출 투여를 작동시키는 것에 적합한 기능적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홈은 평행육면체 또는 원의 형태일 수 있다. 홈은 대응하는 기능적 요소에 대응하여 렌즈의 특정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는 암형 요소의 오목한 표면의 외부 영역에 대응하여, 렌즈의 전방 표면 상에 제작될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recessed) 요소와 형태와 크기에서 짝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런 방식으로 렌즈의 전방 표면 상에, 즉, 안구 상에 위치(rest)하지 않는 렌즈의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요소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오목한 요소는 부조의 기능적 요소의 두 개의 별개의 부분을 분리하는 것에 적합하고, 따라서 렌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그것을 눈 표면에 더 잘 적응하는 것을 허용한다.
몰드의 수형 요소 및 암형 요소는 이에 따라 금속 물질로 제작된 성형 매트릭스를 이용하는 몰딩에 의해 획득될 수 있거나, 고정밀(high precision) 숫자상 제어된 선반(lathe)을 이용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는 또한 수형 요소 또는 암형 요소 중 어느 하나의 주위에 삽입되고 다른 요소, 즉, 수형 요소 또는 암형 요소 중 다른 하나의 내부 벽의 적어도 일부를 간섭하도록 구성된 관(tubular)형 지지 요소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지지 요소는 잘린 원뿔형(truncated conical)의 외부 측면을 가진다. 더욱 유리하게는, 잘린 원뿔형의 외부 측면은 지지 요소가 간섭하도록 구성된 내부 벽을 가지는 요소를 향하는 수렴(convergence)을 가진다. 훨씬 더 유리하게는, 이러한 내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간섭 또는 동일-형태 커플링에 의해, 지지 요소의 외부 표면과 커플링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는 몰드가 제작된 물질보다 더 큰 변형성(deformability)을 가지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작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다. 몰드는 PEEK, 테플론 또는 RADEL 폴리페닐술폰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그러므로 수형 요소 및 암형 요소를 제작하는 방법은 신속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방법은 수형 요소 상에 위에 설명된 부조의 기능적 요소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홈을 제작하는 레이저 가공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 실시예에 따르면, 홈은 렌즈의 표면 상에 제작될 부조의 기능적 요소와 짝을 이루거나, 부조의 기능적 요소를 상보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은 바람직하게는 물질의 가열 및 변형을 감소하는 것을 허용하는 펨토초(femtosecond) 유형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본 방법을 매우 정밀하고 고도로 반복 가능하게 한다.
실제, 레이저 가공은 수형 요소의 표면 상에, 특히 볼록한 표면 상에, 또는 그러한 표면의 일부 상에만, 균일하게 분포된 다수의 홈을 생산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더하여, 획득된 홈은 감소된 크기, 예를 들어 1 마이크론의 크기를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홈은 수형 요소의 표면에 횡방향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제작된다.
레이저 가공은 또한 일반적으로 물질의 제거와 함께하는 기계적인 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먼지 또는 미립자를 생산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허용한다.
실제, 먼지는 인간의 건강과 공정 자체에, 특히 정밀 메커니즘에 해로우며, 이는 예를 들어 장기적으로 먼지의 축적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생산 과정의 계량학적 매개 변수의 분산을 증가시킨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가공은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의 렌즈를 생산하는 몰드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에 의해 수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부조의 기능적 요소를 통합하는 렌즈를 제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몰드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몰드는 또한 임의의 알려진 유형의 렌즈, 예를 들어 구형 및/또는 토릭 및/또는 다초점 렌즈를 제작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레이저 가공으로, 레이저 가공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폴리머 물질의 몰드의 생산을 다른 형태 및 크기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적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방법은 또한 레이저 가공에 의해, 내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즉, 볼록한 표면의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오목한 요소를 획득하는 것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목한 요소는 렌즈의 표면 상에 제작될 부조의 구성적 요소와 형태에서 짝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몰드는, 오직 부조의 구성적 요소에 대응하여 안구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눈물 액체가 눈의 표면과 렌즈의 내부 표면 사이에서 최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렌즈를 제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눈물 액체는 렌즈의 기능적 요소에 더욱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안구의 구조에 영양을 공급하고 수화시키는 그것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적 요소에 수용된 임의의 약물은 눈의 모든 영역, 중앙 및 주변 영역 모두에 더 쉽게 도달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눈물 액체에 수용된 임의의 물질은 만약 예를 들어 그들이 센서를 수용하면, 생리학적 매개 변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적 요소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양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비 제한적 예시로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 도 1은 여기에 설명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3D 도면이다.
-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단면도이다.
- 도 2a 및 도 2b는 도 2의 단면도의 확대도이다.
- 도 3a, 도 3b, 도 3c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홈의 상면도이다.
- 도 4는 여기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단면도이다.
- 도 4a는 도 4의 단면도의 확대도이다.
-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적 요소를 구비한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폴리머 몰드에 의해 획득된 콘택트렌즈의 배면도이다.
- 도 5a는 도 5의 콘택트렌즈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 도 6은 도 5의 윤곽선(VI-VI)이 있는 단면 평면도에 따라 취득된 도 5의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 도 6a는 도 6의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 도 7a및 도 7b는 몰드의 변형의 정면도이며, 도 7b는 분해도이다.
- 도 8a 및 도 8b는 몰드의 다른 변형의 정면도이며, 도 8a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분해도이다.
우리는 본 설명에서 사용된 어법(phraseology) 및 용어, 또한 첨부된 도면의 그림 역시 설명된 대로, 오직 본 발명을 더 잘 묘사하고 및 설명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고,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므로, 그들의 기능은 본 발명 자체의 비 제한적 예시를 제공한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도면에서 공통의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하나의 실시예의 요소 및 특징은 별도의 언급 없이 편의상 결합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몰딩 기술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100)를 제작하기 위한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의 몰드(10)가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알려진 방식대로, 몰드(10)는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를 포함한다.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는 중심축(X) 주위에서 축으로 대칭적으로 연장된다.
암형 요소(12)는 액체 상태의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하고, 물질을 렌즈(100)를 위한 원하는(desired)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수형 요소(11)와 협력하는 것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암형 요소(12)는 오목한 표면(13)을 가지고 그리고 그것은 또한 외부 벽(14) 및 위치결정(positioning) 수단(15)을 포함한다.
오목한 표면(13)은 액체 상태의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하며, 렌즈(100)의 전방 표면을 성형하는 것에 적합하고, 그것의 전방 곡률, 즉, 안구에 위치하지 않는 렌즈(100)의 표면을 정의한다.
오목한 표면(13)은 렌즈의 그것과 상관된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어 구형, 비 구형, 토릭 형태 등을 가진다.
위치결정 수단(15)은 암형 요소(12)에 대해 수형 요소(11)가 정확하게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들은 수형 요소(11)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요소(16)의 형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짝을 이루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요소(11, 12) 사이에 동일-형태 커플링을 생성한다. 위치결정 수단(15)은 오목한 표면(13) 및 외부 벽(14)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정의된 나머지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 요소(16)는 나머지 가장자리에 인접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수단(15)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요소(16)에 인접하는 것에 적합한 연동(interlocking)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수형 요소(1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환형 돌기(projection)로 구성될(conformed) 수 있다. 위치결정 요소(16)는 인접(abutment) 가장자리(17)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위치결정 수단(15)에 인접하는 것에 적합하다.
위치결정 요소(16)는 곧거나(straight) 오목할 수 있고 및/또는 수직이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인접 가장자리(17)는 수평이거나 경사질 수 있다.
수형 요소(11)는 볼록한 표면(18)을 가지며, 이는 렌즈(100)의 후방 표면을 정의하는 것에 적합하고, 그것의 후방 곡률, 즉, 안구 상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렌즈(100)의 표면을 정의한다. 여기에 제공된 예시에서, 볼록한 표면(18)은 오목한 표면(13)과 형태에서 짝을 이룬다. 예를 들어, 볼록한 표면(18) 및 오목한 표면(13)은 정확히 동일한 구조(conformation)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렌즈가 그것의 전체 전개에서 획일적인(uniform) 두께를 가지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일부 변형에서, 성형될 렌즈가 상이한 두께의 영역을 제공하면, 볼록한 표면(18) 및 오목한 표면(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윤곽(profile)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형 요소(11)의 볼록한 표면(18)은 내부 영역(19) 및 외부 영역(2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영역(19) 및 외부 영역(20)에 더하여, 수형 요소(11)의 볼록한 표면(18)은 내부 영역(19) 및 외부 영역(20) 사이의 전이(transition)의 중간 영역(21)을 포함한다.
내부 및 외부 영역(19, 20) - 만약 제공된다면 - 중간 영역(21) 각각은 중심축(X) 주위에서 대칭적으로 연장된다. 내부 영역(19)은 원형 둘레를 가지는 반면, 영역(20, 21)은 원형 관(circular crowns)으로 구성된다(conformed).
내부 영역(19)은 동공 및 홍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에 적합한 렌즈(100)의 표면을 성형하도록 의도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내부 영역(19)의 직경(D1)은 11.50 mm 및12.50 mm 사이에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약11.80 mm과 동일한 반면, 내부 영역(19)의 곡률 반경(R1)은 6.50 mm 및 9.50 mm 사이에 포함된다.
외부 영역(20)은 공막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에 적합한 렌즈(100)의 표면을 성형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외부 영역(20)의 최대 직경(D2)은 13.50 mm 및 16.00 mm 사이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15.00 mm와 동일하다.
중간 영역(21)이 존재하는 실시예에서, 이것은 직경(D1)과 일치하는 하부 직경 및 첨부된 도면에서 Di로 표시된 상부 직경 사이에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외부 영역(20)의 최소 직경과 일치한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상부 직경(Di)(즉, 외부 영역(20)의 최소 직경)은 11.50 mm 및 13.50 mm 사이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12.80 mm와 동일하다.
만약 하부 직경(D1과 일치)과 상부 직경(Di)이 일치하면, 중간 영역(21)이 부재하고 내부 영역(19)과 외부 영역(20)이 원주선에 의해서만 분리되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가 획득되는 점에 유의한다.
외부 영역(20)은 내부 영역(19)의 곡률 반경(R1)보다 큰 곡률 반경(R2)을 가진다.
렌즈(100)가 0.40의 편심률을 가지는 한 실시예에서, 곡률 반경(R2, R1) 사이의 차이는 1 및 6 mm 사이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4 mm와 동일하다.
만약 중간 영역(21)이 존재하면, 그것은 외부 영역(20)의 곡률 반경(R2)보다 큰 곡률 반경(Ri)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그것은 또한 내부 영역(19)의 곡률 반경(R1)보다 크다. 렌즈(100)가 0.40의 편심률을 가지는 한 실시예에서, 곡률 반경(R1, Ri) 사이의 차이는 2 및 8 mm 사이에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6 mm와 동일하다.
유사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암형 요소(12)의 오목한 표면(13)은 내부 영역(19’) 및 외부 영역(2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영역(19’)에 및 외부 영역(20’)에 더하여, 암형 요소(12)의 오목한 표면(13)은 내부 영역(19’)과 외부 영역(20’) 사이의 전이의 중간 영역(21’)을 포함한다.
볼록한 표면(18)은 복수의 홈(23)을 포함하며,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질 수 있고, 도 2a 및 도 4a의 확대도에서도 명료함의 이유로 과장되게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홈(23)은 볼록한 표면(18)의 외부 영역(20)에 배치되고, 그들은 렌즈(100)의 후방 표면 상에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를 성형하도록 의도된다.
홈(23)은 볼록한 표면(18) 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도, 또는 분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23)은 예를 들어 각각이 중심축(X)에서부터 나오는 각각의 방사형 준선(directrix)을 따라 배치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전체 외부 영역(20)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홈(23)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막힌 구멍 또는 유사한 공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홈(23)은, 몰딩된(molded) 렌즈(100)의 표면 상에, 홈(23)과 형태에서 짝을 이루는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를 성형하는 것에 적합하며, 도 6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질 수 있고, 도 5 및 도 5a에서도 명료함의 이유로 과장되게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히 포도당, pH 또는 생물학적 관심의 임의의 매개 변수와 같은 결정적인 생리학적 매개 변수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구성된 센서로서, 또는 제공된 느린-방출(slow-release)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눈으로 방출되는 관심의 액체, 예를 들어 인공 눈물 또는 의학적 액체 또는 안약을 수용하는 저장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홈(23)은 2 및 340 사이에 포함되는 개수로 존재하며, 홈(23)의 개수는 그들의 크기뿐만 아니라 렌즈(100)의 크기와도 상관된다.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면, 홈(23)의 상이한 가능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실시예에서(도 3a), 홈(23)은 평행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예시로서 700μm 및 2000μm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약 1400μm와 동일한 길이(L1), 160μm 및 900μm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약 500μm와 동일한 너비(L2), 및 5μm 및 25μm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약 15μm와 동일한 높이(H1)(도 2a 및 도 4a)를 가진다.
제2 실시예에서(도 3b), 홈(23)은 두 개의 분리된 부분(23a 및 23b)으로 분할되며, 두 개 모두 평행육면체의 형태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들은 예를 들어 센서 요소에 의해 작동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두 개의 부분은 단일의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를 성형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부분(23a 또는 23b)은 예시로서 350μm 및 1000μm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약 700μm와 동일한 길이(L1), 80μm 및 450μm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약 250μm와 동일한 너비(L2), 및 5μm 및 25μm 사이에 포함되는, 예를 들어 약 15μm와 동일한 높이(H1)(도 2a 및 도4a)를 가진다.
홈(23)의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의 분할은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에 대응하여 렌즈(100)의 특정한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외부 영역(20)이 안구에 더 잘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3 실시예에서(도 3c), 홈(23)은 항상 두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되나 예를 들어 도 3b에서와 같이, 센서 요소(32)를 통해 상호 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지만, 각 부분은 원형을 가진다.
위에 설명된 세 개의 실시예에서, 홈(23)은 예를 들어, 센서 요소 또는 액체 물질의 제어된 방출을 위한 요소일 수 있는 기능적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능력이 있는 돌기를 렌즈 상에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다. 특히, 기능적 요소는 하나의 평행육면체-형태의 돌기에서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는 두 개의 분리된 평행육면체-형태 또는 원-형태의 돌기에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에서, 각 홈(23)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의해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에 의해 성형될 수 있고, 그러한 요소/그러한 부분은 요구 사항에 따라, 어떤 형태든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시작해서, 각 요소/부분을 적절하게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완벽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렌즈(100) 전체의 크기를 고려하고, 외부 영역(20)의 크기를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b의 확대도에서 더 잘 가시적인 것처럼, 몰드는 암형 요소(12)의 오목한 표면(13)의 외부 영역(20)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2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요소(25)는 오목한 표면(13) 상에서 연속적인 고리(ring)를 성형하는 단일 요소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요소(25)는 복수의 섹터로 구성되며, 각각은 오목한 표면(13) 상에 원의 호(arc)로 구성된다(conformed).
예시로, 돌출 요소(25)는 반경 방향으로 측정되고, 60 및 300μm 사이에 포함되며, 예를 들어 약 150μm인 너비와 5 및 60μm 사이에 포함되는, 예를 들어 30μ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돌출 요소(25)는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100)의 표면 상에 제작될 적어도 하나의 오목 요소(103)와 짝을 이루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오목 요소(103)는 렌즈(10)의 전방 표면 상에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돌출 요소(25)가 고리를 성형하는 단일 요소라면, 홈(23)은 도 3b를 참조하며 위에 설명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하며, 두 개의 분리된 부분(23a 및 23b)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경우, 렌즈(100)는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 요소(103)에 대응하여 서로 분리된, 두 개의 별개의 부위(101a 및 101b)로 분할되는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를 가진다.
볼록한 표면(18)은 또한 그것의 표면 상에 복수의 오목한 요소(24)를 가지며, 도 1에 개략적으로 가시적이며, 그들은 명료함의 이유로 도 2a 및 도 4a의 확대도에서도 과장되게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오목한 요소(24)는 볼록한 표면(18) 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거나, 분포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목한 요소(24)는 예를 들어 중심축(X)에서부터 방사하는 복수의 열(row)에 의해 정의된 기하학적 패턴에 따라, 전체 내부 영역(19)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오목한 요소(24)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막힌 구멍 또는 유사한 공동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들은 몰딩된 렌즈(100)의 표면 상에, 오목한 요소(24)와 형태에서 짝을 이루는 구성적(constructive) 요소(102)를 성형하는 것에 적합하며, 이는 도 6에 개략적으로 가시적이며, 그들은 명료함의 이유로 도 5 및 도 5a에서도 과장되게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예시에서, 요소(102)는 마이크로미터 크기를 가지며 미세-돌기로 구성되고(conformed), 또한 “기둥” 또는 “미세-기둥”으로도 불리며, 콘택트렌즈가 각막 표면에서부터 살짝 들어올려진 것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 중 눈을 향하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렌즈(100)의 내부 표면에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각막 표면에 대해, 그것의 전체 또는 적어도 그것의 일부 부분에 대해, 렌즈의 이러한 들어올림(raising)은 유리하게는 눈의 더 나은 산소화를 허용하며, 이는 눈물 액체의 순환을 위한 미세-채널의 형성을 허용하고 및/또는 특히 적은 두께의 렌즈(100)가 눈 상에 렌즈의 더 나은 움직임을 허용한다.
오목한 요소(24)는 1μm 내지 500μm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20μm 및 300μm 사이인 횡방향 크기(즉, 만약 그들이 실린더형이면 직경, 또는 최대 전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오목한 요소(24)는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해, 상이한 높이의 오목한 요소(24)는 몰드의 상이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한 요소(24)의 최대 높이(H2)는 5μm 및 25μm 사이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μm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는 동일 높이의 미세-돌기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눈물 막의 두께에 대응하고, 일반적으로 8.5μm 및 9.5μm 사이에 포함된다.
두 개의 인접한 오목한 요소(24)의 각 중심 사이의 거리는 30μm 및 500μm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60μm 및 140μm 사이에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μm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오목한 요소(24)의 최대 높이(H2)의 1 및 4 배 사이에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높이(H2)의 1 및 3 배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오목한 요소(24)는 빗각(beveled) 또는 둥근 형태를 가지는 렌즈에서 대응하는 요소를 생성하기 위해, 렌즈(100)의 표면에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에서 빗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한 요소(24)는 테이퍼 형태를 가진다.
오목한 요소(24)의 측벽은 볼록한 표면(18)에 대해, 후자와 80° 및 10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85° 및 95° 사이에 포함되는,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90°의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유리하게는, 오목한 요소(24)의 개수는 300 및 65,000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2,000 및 20,000 사이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및 8,000 사이에서 다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100)의 하부에서 눈의 일부의 좋은 산소화를 보장하기 위한 개수로, 구성적 요소(102)의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된 렌즈(100)를 제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요소(24)는 실린더형, 잘린 원뿔형 또는 포물면형,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을 가진다. 특히, 오목한 요소(24)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및 바닥을 가진다. 베이스의 직경 및 바닥의 직경은 5 및 255μm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오목한 요소(24)의 바닥은 바람직하게는 30 및 5,000μm 사이에 포함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적 요소(102)는 눈의 표면 상에 놓이는 것에 특히 적합한 오목한 표면을 가지는 상부로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형 요소(11)는 외부 영역(20)에서 홈(23)만 가질 수 있으나, 내부 영역(19)에서 오목한 요소(24)는 부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7a 및 도 7b는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에 더하여, 환형 지지 요소(40)를 또한 포함하는 몰드(10)의 변형을 도시한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한 전방 가장자리(40a) 및 후방 가장자리(40b)를 제공한다. 전방 가장자리(40a)는, 사용 중, 암형 요소(12)를 향해 배향된다.
지지 요소(4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물질,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되고; 그러나 플라스틱 등의 다른 물질이 몰드(10)의 물질보다 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면, 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40)는 일부 방식으로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 사이에서 그들 사이에 더 나은 커플링의 장점을 위해 패킹으로 작용한다. 그러한 지지 요소(40)의 다른 장점은 커플링 및 커플링해제(uncoupling) 작동이 반복되는 동안, 시간 경과에 따라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를 보호한다는 것이다. 실제, 이러한 작동 동안, 더 단단하고 더 저항력이 있는 물질로 제작된, 지지 요소(40) 및 암형 요소(12) 사이에 마찰이 작동한다. 이것은 지지 요소가 마모되도록 하고, 몰드(10) 자체는 마모되게 하지 않는다.
지지 요소(40)는 수형 요소(11) 주위에, 특히 그것의 후방 부분(11a) 주위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후방 부분(11a)에 의해, 우리는 수형 요소(11)의 부분을 의미하는데, 여기에서 성형될 렌즈(100)의 내부 표면에 그것의 형태를 부여하는 볼록부가 제공되지 않는다.
언급된 대로, 지지 요소(40)는 환형이고, 간섭에 의해 커플링을 생성하기 위해, 수형 요소(11)의 후방 부분(11a)의 외부 직경과 적절하게 동일한 내부 직경(D3)을 가진다.
유리하게는, 위치결정 요소(16)가 특히 만약 그것이 들어올려진(raised) 벽으로 구성되면(conformed), 암형 요소(12)의 위치결정 수단(15)과 상호 작용하는 인접 가장자리(17)와 대향하는 제2 인접 가장자리(27)를 또한 제공한다. 제2 인접 가장자리(27)는 수형 바디(11)의 후방 부분(11a)에 대해 유리하게는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40)는 그것의 전방 가장자리(40a)가 제2 인접 가장자리(27)에 대항하여 인접할 때까지, 후방 부분(11a) 주위에 삽입된다(도 7a).
지지 요소(40)는 암형 요소(12)의 내부에 수형 요소(11)를 위한 지지(support)로 작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특히, 지지 요소(40)는 암형 요소(12)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간섭하고 그에 따라 수형 요소(11)의 위치결정을 안정화시킨다.
이러한 목적으로, 잘린 원뿔형 외부 측면(40c)을 가지는 지지 요소(4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방 가장자리(40a)에 대응하는 그것의 직경(D4)은 후방 가장자리(40b)에 대응하는 그것의 직경(D5)보다 작다. 원뿔 섹션의 수렴은 지지 요소가 간섭하는 내부 벽(34)을 가지는 암형 요소(12)를 향하여 배향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 벽(14)에 대향하는 암형 요소(12)의 내부 표면(34)은 후방 부분(34a)(즉, 그것의 구멍(aperture)에 대응하고, 오목한 표면(13)에 대향하는)을 가지며 후방 부분(34a)은 경사지며, 지지 요소(40)의 외부 벽(40c)과 커플링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가지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직경(D4 및 D5)이 서로 동일하거나, 지지 요소(40)의 외부 측벽(40c)은 실린더형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에서, 암형 요소(12)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지지 요소(40)가 도시된다; 그러나, 그것은 암형 요소(12)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40)의 높이는 제2 인접 가장자리(27)와 암형 요소(12)의 후방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므로, 지지 요소(40)가 암형 요소(12) 내부에 한번 삽입되면, 그것의 후방 가장자리(40b)는 암형 요소(12)의 후방 가장자리(12a)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암형 요소(12)의 후방 가장자리(12a)는 그립 요소로 및/또는 강화 부분(26)으로 작용할 수 있는 횡방향 플랜지와 제공되는 점에 유의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수형 요소(11)에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로 구성된(conformed) 손잡이(36)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형 요소(11)의 후방 부위 주위에 지지 요소(40)의 용이한 삽입이 허용된다. 그러나, 손잡이(36)는 선택 사항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에서, 지지 요소(40)는 수형 요소(11) 주위에 그리고 암형 요소(12) 내부에 삽입된다.
도 8a 및 도 8b는 대신 다른 변형을 도시하는데, 이것 또한 지지 요소(40)를 제공하지만, 수형 요소(11) 주위에 삽입되는 대신에, 암형 요소(12) 주위에 오목한 표면(13)을 넘어 연장되는 외부 측벽(120)이 구비된 암형 요소(12)의 바디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서, 오목한 표면(13)은 베이스(122)에서부터 연장되는 실린더형 바디(121) 내에서 제작된다. 외부 측벽(120)은 실린더형 바디(121)의 외부 측벽이다.
외부 측벽(120)은 지지 요소(40)의 내부 직경(D3)과 동일한 직경의 실질적으로 원형 섹션을 가진다.
이러한 변형에서, 사용 중, 항상 암형 요소(12)를 향해 배향되는 그것의 전방 가장자리(40a)에 대응하는 지지 요소(40)의 직경(D4)은 전방 가장자리(40a)와 대향하는 그것의 후방 가장자리(40b)에 대응하는 직경(D5) 보다 크다는 점에 유의한다(도 8a 및 도 8b).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에서, 원뿔 섹션의 수렴은 수형 요소(11)를 향해 배향된다.
지지 요소(40)에 의해 지지되기 위해, 수형 요소(11)는 지지 요소(40) 주위에 삽입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볼록한 표면(18) 주위에서 연장되는, 즉, 사용 중 암형 요소(12)를 향해 배향되는 주변 벽(110)과 제공된다(도 8a).
주변 벽(110)은 볼록한 표면(18)을 향해 배향되고 지지 요소(40)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내부 표면(111)을 가지며, 내부 표면(111)은 즉, 암형 요소(12)에 반대 방향에서 위쪽을 향해 배향되는 수렴을 가지는 잘린 원뿔형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변 벽(110)의 내부 표면(111)은 지지 요소(40)의 외부 형태에 잘 적응되며(도 8a), 최적화된 지지를 보장한다.
주변 벽(110)은 인접 가장자리(17)에 대해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특히 그것의 후방 가장자리(40b)에 대응하는 지지 요소(4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서 수형 요소(11)의 바디에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표면(111)은 지지 요소의 외부 표면(40c)과 접촉하게 되며, 동일-형태 커플링을 생성하고, 동시에 인접 가장자리(17)는, 오목한 표면(13) 주위에 위치하고 외부 벽(12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암형 요소(12)의 가장자리(123)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에서, 지지 요소(40)는 암형 요소(12) 주위에 그리고 수형 요소(11)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는 또한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는 재-사용 가능한 몰드(10)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수형 요소(11)의 볼록한 표면(18)의 외부 영역(20)에서 홈(23)을 제작하는 것을 제공한다. 홈(23)은 렌즈(100)의 표면 상에 제작될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와 짝을 이루고, 즉, 그들은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실질적으로 가진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몰드(10)의 암형 요소(12)의 오목한 표면(13)의 외부 영역(20’)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25)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렌즈(100)의 전방 표면 상에 제작될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요소(103)(도 6a)와 짝을 이루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돌출 요소(25)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수형 요소(11)의 볼록한 표면(18)의 내부 영역(19) 상에 오목한 요소(24)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한다. 오목한 요소(24)는 렌즈(100)의 표면 상에 제작될 구성적 요소(102)와 짝을 이루고, 즉, 그들은 구성적 요소(102)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실질적으로 가진다.
요소(11, 12)는 렌즈(100)를 성형하도록 의도된 액체 상태의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한 공동을 정의하기 위해 협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특히 펨토초 레이저에 의해, 홈(23) 및 오목한 요소(24)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획득될 몰드와 상보적인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금속 물질의 성형 매트릭스 내에서 몰딩 기술에 의해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를 획득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매트릭스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는 것, 특히 수형 요소(11)에 특별한 원하는 구조(conformation)를 제공할 하나 이상의 표면의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는 것, 예를 들어 홈(23) 및 오목한 요소(24)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성형 매트릭스에서, 홈(23) 뿐만 아니라 수형 요소(11)의 오목한 요소(24)를 성형할 다수의 돌출부(protrusions)를 제작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유리하게는 홈(23) 및 오목한 요소(24)를 위해 기 적용된(indicated)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개수로 존재한다.
유사하게는, 돌출 요소(25)를 성형할 암형 요소(12)의 성형 매트릭스에서, 만약 제공된다면, 리세스(recess)를 제작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돌출 요소(25)는 정밀 기계 가공, 예를 들어 선삭(turning)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일부 변형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적층(additive) 인쇄 기술에 의해, 또는 정밀 기계 가공, 예를 들어 선삭, 밀링(milling)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폴리머 물질의 몰드(10)의 요소(11 및 12)를 획득하는 것을 제공한다.
수형(11) 및 암형(12) 요소를 제작하는 기술에 상관없이, 수형 요소(11) 상에서 또는 이러한 요소의 성형 매트릭스 상에서 직접적으로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레이저, 고온 및 마모에 저항성이 있는 폴리머 물질의 몰드(10)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하며, 레이저 저항성 물질에 의해, 레이저를 이용하여 작업되는 것에 적합한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폴리머 물질은 PEEK, 테플론 또는 라델(RADEL) 폴리페닐술폰일 수 있다. PEEK 및 테플론은 그들이 매우 단단하고 강하고, 따라서 마모가 훨씬 더 적어서 특히 선호된다.
본 방법은 몰드(10) 내부에서, 물질,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삽입의 적절한 시간을 사용하는 것을 제공하며, 이는 물질이 균일하고 완전하게 홈(23) 및 오목한 요소(24)를 채우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적합하다.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것처럼, 본 발명의 분야 및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고, 앞에서 설명된 콘택트렌즈(100)를 위한 폴리머 물질의 몰드(10) 및 몰드(10)를 제작하는 방법에 수정 및/또는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비록 본 발명이 일부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청구항에 기술된 특징을 가지고, 그에 따라 모두 이에 의해 정의된 보호 분야 내에서 비롯된 몰드(10)의 많은 다른 등가 형태 및 제조 방법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을 것 또한 분명하다.
다음 청구항에서, 괄호 안의 부호의 유일한 목적은 읽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고, 그들이 동일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보호의 분야와 관련하여 제한적인 요소로 간주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15)

  1. 각각 볼록한 표면(18) 및 오목한 표면(13)을 가지며, 렌즈(100)를 성형하도록 의도된 액체 상태의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한 공동을 정의하는 수형 요소(11) 및 암형 요소(12)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100)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따라서 상기 볼록한 표면(18) 및 오목한 표면(13)은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R1, R2)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동심 영역을 가지며, 하나는 내부(19, 19’)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20, 20’) 영역이며,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볼록한 표면(18)의 외부 영역(20)에서, 상기 렌즈(100)의 표면 상에 제작될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와 짝을 이루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홈(23)을 획득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10)를 제작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관된 형태의 금속 성형 매트릭스 내에서 몰딩 기술에 의해 상기 요소(11 및 12)를 제작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은 펨토초 유형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제공하고, 상기 레이저 가공은 몰드(10)의 수형 요소(11) 상에서 직접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가공에 의해, 상기 볼록한 표면(18)의 적어도 상기 내부 영역(19)에 있는 복수의 오목한 요소(24)를 획득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오목한 요소(24)는 상기 렌즈(100)의 표면 상에 제작될 부조의 구성적(constructive) 요소(102)와 짝을 이루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가 구비된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기 위한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로 제작되고, 렌즈(100)를 성형하도록 의도된 액체 상태의 모노머 및/또는 폴리머 물질을 수용하는 것에 적합한 공동을 정의하기 위해 협력하는 볼록한 표면(18)이 제공된 수형 요소(11) 및 오목한 표면(13)이 제공된 암형 요소(12)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는 상기 볼록한(18) 및 오목한(13) 표면이 동심이고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R1, R2)을 가지는 적어도 내부 영역(19,19’) 및 외부 영역(20,20’)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볼록한 표면(18)의 상기 외부 영역(20)은 상기 렌즈(100)의 표면 상에 제작될 상기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와 짝을 이루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홈(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 영역(20,20’)의 상기 곡률 반경(R2)은 내부 영역(19,19’)의 곡률 반경(R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곡률 반경(R2, R1) 사이의 차이는 1 및 6 mm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3 mm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18) 및 오목한(13) 표면은 세 개의 영역(19, 19’, 20, 20’, 21, 21’)을 가지고, 상기 몰드(10)의 중심축(X)에 대해 각각은 다른 하나에 대해 동심이며, 서로 상이한 각각의 곡률 반경(R1, Ri, R2)을 가지며, 상기 영역은 상기 내부 영역(19, 19’) 및 상기 외부 영역(20, 20’) 사이에 전이의 곡률 반경(Ri)을 가지는 상기 중간 영역(21, 21’)을 포함하며, 중간 영역(21, 21’)의 상기 곡률 반경(Ri)은 내부 영역(19, 19’)의 곡률 반경(R1)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곡률 반경(Ri, R1) 사이의 차이는 2 및 7 mm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5 mm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23)은 350μm 및 1000μm 사이에 포함되는 길이(L1), 80μm 및 450μm 사이에 포함되는 너비(L2), 5μm 및 25μm 사이에 포함되는 일정한(constant) 높이(H1)를 가지고, 상기 홈(23)의 개수는 2 및 340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23)은 상기 볼록한 표면(18)의 전체 외부 영역(20) 상에 특히 상기 몰드(10)의 중심축(X)에서부터 방사하는 복수의 열에 의해 정의된 규칙적인 기하학적 패턴에 따라, 각각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23)은 하나의 평행육면체형 부분 또는 두 개의 별개의 평행육면체형 부분, 또는 두 개의 별개의 원형 부분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표면(13)의 상기 외부 영역(20’)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100)의 전방 표면 상에 제작될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요소(103)와 짝을 이루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고, 상기 부조의 기능적 요소(101)의 두 개의 별개의 부분(101a, 101b)으로의 분리의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10).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형 요소(11) 또는 암형 요소(12) 중 어느 하나의 주위에 삽입되고 수형 요소(11) 또는 암형 요소(12) 중 다른 하나의 내부 벽(34, 111)의 적어도 일부와 간섭하기 위해 구성된 관형 지지 요소(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0)는 간섭하기 위해 구성된 내부 벽(34, 111)을 향해 배향되는 수렴이 있는 잘린 원뿔형의 외부 측면(40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0)가 간섭하기 위해 구성된 내부 벽(34, 111)은 지지 요소(40)의 외부 표면(40c)과 커플링하도록 경사진 부위(34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15.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KR1020247005006A 2021-07-13 2022-07-13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몰드 KR20240032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1000018356 2021-07-13
IT102021000018356A IT202100018356A1 (it) 2021-07-13 2021-07-13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di uno stampo per lenti, e relativo stampo
PCT/IT2022/050204 WO2023286099A1 (en) 2021-07-13 2022-07-13 Method to manufacture a mold for lenses, and corresponding mo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130A true KR20240032130A (ko) 2024-03-08

Family

ID=7804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006A KR20240032130A (ko) 2021-07-13 2022-07-13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몰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70316A1 (ko)
KR (1) KR20240032130A (ko)
CN (1) CN117957109A (ko)
CA (1) CA3225662A1 (ko)
IL (1) IL310103A (ko)
IT (1) IT202100018356A1 (ko)
WO (1) WO20232860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8427B1 (en) * 2007-01-16 2015-09-02 Menicon Co., Ltd. Contact lens and method of producing contact lens
JP4820348B2 (ja) * 2007-08-31 2011-11-2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09176A1 (en) * 2008-11-03 2010-05-06 Chris Davison Machined lens mol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102061813B1 (ko) * 2019-05-10 2020-01-02 이기면 석션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202100018356A1 (it) 2023-01-13
EP4370316A1 (en) 2024-05-22
WO2023286099A1 (en) 2023-01-19
CN117957109A (zh) 2024-04-30
CA3225662A1 (en) 2023-01-19
IL310103A (en)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5132B1 (en) Multicomponent optical device having a space
US5344448A (en) Multi-focal intra-ocular implant
US4865779A (en) Len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US4402579A (en) Contact-lens construction
US6391230B1 (en) Intraocular lens manufacturing process
US5674283A (en) Implantable ophthalmic lens,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a mold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02088929A (zh) 眼内透镜及其制造方法
US20230063391A1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associated methods
RU2642880C2 (ru) Узел литьевого стакана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9061251A (ja) 超薄型光学部品を含む眼用レンズ
KR101281993B1 (ko) 원환체 콘택트 렌즈 제조시의 축방향 제어
JP2021501030A (ja) 眼内レンズ、及び周縁部の安定化方法
KR20240032130A (ko) 렌즈를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방법, 및 대응하는 몰드
WO2021144821A1 (en) Method to produce a forming mold, and corresponding mold
JP7148400B2 (ja) トーリック眼内レンズ、眼内レンズ挿入器具およびトーリック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CN100349020C (zh) 光学透镜及其制造方法
JPH0698631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注型ガスケット
EP4326189A1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associated methods
CN218938687U (zh) 一种嵌入式无形环状微透镜变焦镜片
CN114041901B (zh) 一种防磨多焦点人工晶状体及其制备方法
JP2010082290A (ja) 多焦点眼内レンズ及び多焦点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