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929A -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929A
KR20240031929A KR1020230116152A KR20230116152A KR20240031929A KR 20240031929 A KR20240031929 A KR 20240031929A KR 1020230116152 A KR1020230116152 A KR 1020230116152A KR 20230116152 A KR20230116152 A KR 20230116152A KR 20240031929 A KR20240031929 A KR 2024003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ter
measuring unit
measurement
sh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맹준
송호영
정득일
이경식
김동년
유미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전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전사
Publication of KR2024003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9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를 중심으로 상기 계측부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계측부는 상기 기능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커버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미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커버 및 함몰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커버가 상기 미터커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Individually sealed smart watt-hour meter with detachable structure}
본 발명은 스마트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각각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봉인할 수 있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량을 계측 및 기록하는 계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기계식 전력량계 및 전자식 전력량계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기계식 전력량계는 적산 전력량만을 계측하고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식 전력량계는 단위시간마다 한번씩 적산치를 계측하여, 저장한 후,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므로,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식 전력량계는 현장 또는 원격에서 계절별/시간대별 요금적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설정된 요금 프로그램에 의하여 유효/무효/피상 전력량, 최대 수요전력, 전압, 전력, 주파수, 역률등을 측정 및 표시가 가능한 기기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어, 배선 환경이 협소한 장소에 전력량계 설치 시, 공간적인 제약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내부 기판을 보호하는 전면커버, 계기 하부의 전선연결 단자부분 및 터미널포트 등의 임의조작, 변조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커버 및 통신커버에 봉인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를 봉인하기 위해 별도의 봉인함이 필요하다. 그리고, 계측부의 션트가 외부로 노출된 계기의 경우, 계측 시 임의조작, 경년 변화 등의 이유로 보안 문제, 오차 발생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KR 20-0301261 Y1 KR 20-0337636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각각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봉인할 수 있어 별도의 봉인함이 필요없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측 용량 변경 시, 상기 계측 용량에 맞게 계측부만 별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모델에 적용이 가능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부가 좌우형 또는 상하형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배전 환경에 따라 설치의 용이성이 증대된 스마트 전력량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상기 기능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커버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미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커버 및 함몰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커버가 상기 미터커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측부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계측부는 션트 베이스; 및 상기 션트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션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상기 션트커버의 좌측 및 우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기능부는 상기 션트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미터베이스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양측이 상기 터미널커버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션트커버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는 구획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미터베이스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부가 다수 함몰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가 다수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터베이스는 상기 가이드부 및 돌출부를 통해 상기 션터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커버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계측부를 봉인하기 위한 한 쌍의 봉인부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봉인부의 저면에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션터커버의 상면 양측에는 상면에 삽입홀이 함몰 형성된 고정부재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커버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좌우 봉인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는 체결홀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는 결합홀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상기 관통홀, 체결홀 및 결합홀을 통해 상기 션트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터커버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기능부를 봉인하기 위한 중앙 봉인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중앙 봉인부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미터베이스의 내측 상면에는 상면에 삽입공이 함몰 형성된 중앙 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터커버는 내측 하면에는 상기 중앙 봉인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중앙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중앙 삽입부를 관통하고, 상기 삽입공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관통공 및 결합공을 통해 상기 미터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측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계측부는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하형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기능부는 상면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상하형 터미널커버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하형 미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형 미터커버는 상면 전방 및 후방에 제2 함몰부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하형 터미널커버는 상면 일측에 상기 제2 함몰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돌출커버가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형 미터커버는 상기 상하형 미터커버의 상면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산출된 전력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미터커버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계측부에 의해 산출된 전력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계측부는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하형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기능부는 상면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상하형 터미널커버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하형 미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좌우형 계측부, 상기 좌우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우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좌우형 기능부, 상기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는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분리할 수 있어, 계측부 및 기능부를 설치하는데 공간적인 제약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계측 용량 변경 시, 상기 계측 용량에 맞게 계측부만 별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에서는 기능부와 계측부를 각각 봉인할 수 있어, 기존의 전력량계와 달리 전력량계를 봉인하기 위한 봉인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는 기능부가 좌우형 또는 상하형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배전 환경에 따라 설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우형 계측부 및 좌우형 기능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전력량계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좌우형 계측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원측단자, 부하측단자, 션트 및 션트 베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션트커버, 좌측 터미널 커버 및 우측 터미널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좌우형 기능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터 베이스, 미터커버,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좌우형 기능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션트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좌우형 계측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2는 션트커버, 좌측 터미널커버 및 우측 터미널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션트커버와 미터 베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션트커버와 미터 베이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션트커버 및 미터 베이스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션트커버 및 미터 베이스를 CC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션트커버와 미터 베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션트커버와 미터 베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도 9에 도시된 좌우형 기능부를 DD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의 구성도이다.
도 21은 좌우형 계측부 및 좌우형 기능부의 분리 설치도이다.
도 22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하형 기능부의 분리 설치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전력량계(1)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는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하형 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계측부와 기능부는 각각 좌우형 또는 상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측부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한다. 또한, 기능부는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계측부는 한 쌍의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기능부는 미터커버를 포함하며, 터미널커버 및 미터커버에 의해 결합되어 계측부와 기능부가 연결된다.
이에,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력량계(1), 상하형 계측부 및 상하형 기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력량계(1),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와 상하형 계측부 및 상하형 기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력량계(1) 등 다양한 스마트 전력량계(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전력량계(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좌우형 계측부(5)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 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한다.
그리고, 좌우형 기능부(30)는 좌우형 계측부(5)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형 계측부(5)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계측/계량 데이터를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좌우형 계측부(5)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전원측단자(10), 부하측단자(11), 션트(12) 및 션트 베이스(15)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션트커버(20) 및 터미널커버(25)의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좌우형 계측부(5)는 전원측단자(10), 부하측단자(11), 션트(12), 산출부(13)(미도시), 메인회로(14)(미도시), 션트 베이스(15), 션트커버(20) 및 터미널커버(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원측단자(10)에는 전력 공급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전원측단자(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전력 공급처는 한국전력공사일 수 있다.
그리고, 부하측단자(11)는 전원측단자(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가의 부하로 공급한다. 이때, 부하측단자(11)는 전원측단자(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수용가는 가정, 사무실, 공장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션트(12)는 전원측단자(10) 및 부하측단자(11)와 각각 연결되어, 전원측단자(10)에서 부하측단자(11)로 공급되는 전력으로부터 전압값 및 전류값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이때, 션트(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션트(12)는 충분히 낮은 저항값을 갖고 있어, 회로를 통해 전류가 충분히 흐를 수 있는 금속 도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산출부(13)(미도시)는 션트(12) 양단의 전압차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션트(12) 양단의 전압차 및 션트(12) 자체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션트(12)를 통과하는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회로(14)(미도시)는 산출부(13)로부터 산출된 전압값 및 전류값을 바탕으로, 전력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션트 베이스(15)의 상면 전방 및 후방에는 션트(12)가 장착되는 션트 장착부(15a)가 각각 함몰 형성된다. 이때, 션트 장착부(15a)도 션트(12)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션트커버(20)는 션트 베이스(15)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션트커버(20)의 내측에는 전원측단자(10) 및 부하측단자(11)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터미널커버(25)는 션트커버(20)의 좌측 및 우측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좌우형 기능부(3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터베이스(31), 미터커버(35) 및 커버(45)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좌우형 기능부(30)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좌우형 기능부(30)는 미터베이스(31), 미터커버(35), PCB(40)(미도시), 디스플레이부(41), 펄스표시부(42) 및 터미널포트(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미터베이스(31)는 션트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미터베이스(31)는 좌우형 기능부(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션트커버(20)의 미터베이스 안착부에 장착된다. 이때, 미터베이스(31)는 정면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등변 사다리꼴의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커버(35)는 미터베이스(3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미터커버(35)의 상부 양측은 터미널커버(25)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된다. 이때, 미터커버(35)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PCB(40)(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는 미터커버(35)의 내측에 구비되어, 각종 신호처리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PCB(40)는 메인 MCU, 보안칩,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과금을 위해 설계되어, 외부인이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좌우형 계측부(5)와 달리 다양한 현장 상황에 맞추어 기능 구현, 업데이트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1)는 미터커버(35)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어, 좌우형 계측부(5)의 메인회로(14)에 의해 산출된 전력량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는 메인회로(14)에 의해 산출된 유효/무효/피상 전력량, 최대 수요전력, 전압, 전력, 주파수 및 역률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펄스표시부(42)는 디스플레이부(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기적으로 깜빡이는 램프를 통해 유효, 무효 및 피상 전력량에 대한 펄스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터미널포트(43)는 미터커버(35)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전압값, 전류값, 센서에 의한 측정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45)는 미터커버(35)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터미널포트(43)를 보호한다. 이때, 커버(45)는 사다리꼴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45)는 좌우형 계측부(5)로부터 좌우형 기능부(30) 분리 시, 좌우형 기능부(30)의 미터커버(35)의 상면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1. 션터커버(20) 및 미터베이스(31)의 결합 관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션트커버(20)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좌우형 계측부(5)의 분해도이고, 도 12는 션트커버(20) 및 터미널커버(25)의 분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션트커버(20)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는 일측면 및 상면이 각각 개방된 구획부(21)가 다수 형성된다. 이때, 구획부(21)는 단면이 ㄷ자 형태인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획부(21)의 개수는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측에 형성된 구획부(21)의 내측에는 전원측단자(10)가 장착되는 전원측단자 장착부(21a)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전원측단자 장착부(21a)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에 형성된 구획부(21)의 내측에는 부하측단자(11)가 장착되는 부하측단자 장착부(21b)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부하측단자 장착부(21b)는 전원측단자 장착부(21a)와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3은 션트커버(20)와 미터베이스(31)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션트커버(20)와 미터베이스(31)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션트커버(20) 및 미터베이스(31)을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션트커버(20) 및 미터베이스(31)를 CC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션트커버(20)와 미터베이스(31)의 분해도이고,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션트커버(20)와 미터베이스(31)의 분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미터베이스(31)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부(31a)가 다수 함몰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31a)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획부(21)의 타측면에는 미터베이스(31)의 가이드부(31a)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2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2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미터베이스(31)는 상기 미터베이스(31)의 가이드부(31a) 및 션터커버(20)의 돌출부(23)를 통해 상기 션터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2)의 일측에는 U자 형상의 경사진 클립부(24)가 구비된다. 이때, 좌측에 구비된 클립부(24)는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에 구비된 클립부(24)는 좌측에 구비된 클립부(24)와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클립부(24)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베이스(31)의 양측면의 중앙에는 클립부(24)에 삽입되는 쐐기부(32)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쐐기부(32)의 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션터커버(20)의 중앙에는 미터커버(35)가 안착되는 미터커버 안착부(20a)가 구비된다. 이때, 미터커버 안착부(20a)는 정면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등변 사다리꼴의 구조로 형성된다.
2. 터미널(25) 및 미터커버(35)의 결합관계
도 3을 참조하면, 미터커버(35)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함몰부(36)가 각각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함몰부(36)의 상면에는 블록부재(36a)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블록부재(36a)는 사다리꼴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그리고, 터미널커버(25)의 상면 일측에는 미터커버(35)의 함몰부(36)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커버(27)가 형성된다.
이때, 터미널커버(25)는 상기 터미널커버(26)의 돌출커버(27) 및 미터커버(35)의 함몰부(36)를 통해 미터커버(35)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돌출커버(27)의 저면에는 미터커버(35)의 블록부재(36a)에 고정 결합되는 블록결합부(27a)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45)의 저면에는 미터커버(35)의 블록부재(36a)에 고정 결합되는 블록삽입부(45a)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커버(35)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터미널포트(43)가 장착되는 터미널포트 장착부(36b)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미터커버(35)의 후면 하부에는 사각링 형상의 고리부(37)가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베이스(31)의 후면 상부에는 미터커버(35)의 고리부(37)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부(3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리부(37)는 측면에 바라본 경우,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3. 션터커버(20) 및 터미널커버(25)의 결합관계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터미널커버(25)의 상면 양측에는 좌우형 계측부(5)의 양측을 봉인하기 위한 좌우 봉인부(28)가 각각 함몰 형성된다. 이때, 좌우 봉인부(28)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터미널커버(25)의 좌우 봉인부(28)의 저면에는 관통홀(28a)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터미널커버(25)의 삽입부(26)의 저면에는 관통홀(28a)에 대응하는 체결홀(26a)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션터커버(45)의 상면 양측에는 삽입홀(22b)이 함몰 형성된 고정부재(22)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재(22)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터미널커버(25)의 내부 일측에는 좌우 봉인부(28)의 하부에 배치되고, 션트커버(20)의 삽입홀(22b)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26)가 중력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26)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션트커버(20)의 삽입홀(22b)의 저면에는 터미널커버(25)의 체결홀(26a)에 대응하는 결합홀(22c)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션트커버(20)의 저면 양측에는 고정부재(22)의 결합홀(22c)과 연통되고,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홀(22a)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육각홀(22a)에는 육각 너트가 삽입된다.
이때, 터미널커버(25)는 터미널커버(25)의 관통홀(28a), 체결홀(26a), 션트커버(20)의 결합홀(22c) 및 육각홀(22a)을 통해 션트커버(20)에 결합된다.
4. 미터베이스(31) 및 미터커버(35)의 결합관계
도 19는 도 9에 도시된 좌우형 기능부(30)를 DD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9를 참조하면, 미터커버(35)의 상면 일측에는 좌우형 기능부(30)를 봉인하기 위한 중앙 봉인부(38)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중앙 봉인부(38)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커버(35)의 중앙 봉인부(38)의 저면에는 관통공(38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베이스(31)의 내측 상면에는 상면에 삽입공(34b)이 함몰 형성된 중앙 고정부재(34)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중앙 고정부재(34)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커버(35)는 내측 하면에는 중앙 봉인부(38)의 하부에 배치되고, 중앙 고정부재(34)의 삽입공(34b)에 삽입 결합되는 중앙 삽입부(39)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중앙 삽입부(39)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관통공(38a)은 중앙 삽입부(39)의 내측을 관통한다. 그리고, 삽입공(34b)의 저면에는 관통공(38a)에 대응하는 결합공(34c)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미터베이스(31)의 저면 양측에는 중앙 고정부재(34)의 결합공(34c)과 연통되고,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공(34a)이 각각 함몰 형성된다. 상기 육각공(34a)에는 육각 너트가 삽입된다.
이때, 미터커버(35)는 상기 미터커버(35)의 관통공(38a) 및 미터베이스(31)의 결합공(34c) 및 육각공(34a)을 통해 상기 미터베이스(31)에 결합된다.
5. 션트커버(20) 및 미터베이스(31)의 조립 과정
한편, 미터베이스(31)가 션트커버(20)에 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터베이스(31)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미터베이스(31)의 쐐기부(32)는 클립부(24)의 상부를 일방향으로 밀어낸다. 그 이후, 미터베이스(31)의 가이드부(31a)는 구획부(21)의 돌출부(23)를 따라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미터베이스(31)의 저면이 션트커버(20)의 상면에 밀착되면, 쐐기부(32)의 상부는 클립부(24)의 내측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클립부(24)의 상부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 이후, 미터베이스(31)의 가이드부(31a)는 구획부(21)의 돌출부(23)에 안착된다.
6. 스마트 전력량계(1)의 조립 과정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의 조립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터베이스(31)를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켜, 션트커버(20)에 고정 결합시킨다.
그 이후, 미터베이스(31)의 상부에 미터커버(35)를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미터베이스(31)의 걸림부(33)를 미터커버(35)의 고리부(37)에 삽입 결합시킨다.
그 이후, 미터커버(35)의 상부 양측에 터미널커버(25)를 각각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미터커버(35)의 블록부재(36a)를 터미널커버(25)의 블록결합부(27a)에 삽입 결합시킨다.
그 이후, 션트커버(20)의 양측에 터미널커버(25)를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터미널커버(25)의 삽입부(26)를 션트커버(20)의 삽입홀(22b)에 삽입 결합시킨다.
그 이후, 션트(12)를 션트 베이스(15)의 션트 장착부(15a)에 장착한다.
그 이후, 전원측단자(10)를 션트커버(20)의 전원측단자 장착부(21a)에 장착하고, 부하측단자(11)를 션트커버(20)의 부하측단자 장착부(21b)에 장착한다.
그 이후, 션트 베이스(15)를 션트커버(20)에 결합시킨다.
7. 상하형 계측부(50) 및 상하형 기능부(60)의 구성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의 구성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는 상하형 계측부(50) 및 상하형 기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하형 계측부(50)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한다.
그리고, 상하형 기능부(60)는 상하형 계측부(50)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형 계측부(50)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한다.
한편, 상하형 계측부(50)는 상기 상하형 계측부(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하형 터미널커버(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하형 기능부(60)는 상면 전방 및 후방이 상하형 터미널커버(51)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하형 미터커버(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하형 미터커버(61)의 상면 전방 및 후방에는 제2 함몰부(62)가 각각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형 터미널커버(51)의 상면 일측에는 제2 함몰부(62)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돌출커버(52)가 형성된다.
한편, 표시부(63)는 상하형 미터커버(61)의 상면 좌측에 구비되어, 상하형 계측부(50)에 의해 산출된 전력량을 표시한다.
상하형 계측부(50) 및 상하형 기능부(60)의 구체적인 세부 구성은 상술하여 설명한 것 외에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의 세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8.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와, 상하형 계측부(50) 및 상하형 기능부(60)의 구성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는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와, 상하형 계측부(50) 및 상하형 기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전력량계(1)는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좌우형 계측부(5), 상기 좌우형 계측부(5)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우형 계측부(5)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좌우형 기능부(30), 상기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50), 상기 상하형 계측부(50)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50)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좌우형 계측부(5) 및 좌우형 기능부(30)의 분리 설치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좌우형 계측부 및 기능부(5,30)는 (A)+(B) 또는 (A)+(C)의 형태로 배전반에 설치 가능하다.
도 22는 상하형 계측부(50) 및 상하형 기능부(60)의 분리 설치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하형 계측부 및 기능부(50,60)는 (D)+(E) 또는 (D)+(F)의 형태로 배전반에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는 적산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분리할 수 있어, 계측부 및 기능부를 설치하는데 공간적인 제약이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계측 용량 변경 시, 상기 계측 용량에 맞게 계측부만 별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에서는 기능부와 계측부를 각각 봉인할 수 있어, 기존의 전력량계와 달리 전력량계를 봉인하기 위한 봉인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1)는 기능부가 좌우형 및/또는 상하형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배전 환경에 따라 설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5: 좌우형 계측부 10: 전원측단자
11: 부하측단자 12: 션트
13: 산출부 14: 메인회로
15: 션트 베이스 15a: 션트 장착부
20: 션트커버 20a: 미터커버 안착부
21: 구획부 21a: 전원측단자 장착부
21b: 부하측단자 장착부 22: 고정부재
22a: 육각홀 22b: 삽입홀
22c: 결합홀 23: 돌출부
24: 클립부 25: 터미널커버
26: 삽입부 26a: 체결홀
27: 돌출커버 27a: 블록결합부
28: 좌우 봉인부 28a: 관통홀
30: 좌우형 기능부 31: 미터베이스
31a: 가이드부 32: 쐐기부
33: 걸림부 34: 중앙 고정부재
34a: 육각공 34b: 삽입공
34c: 결합공 35: 미터커버
36: 함몰부 36a: 블록부재
36b: 터미널포트 장착부 37: 고리부
38: 중앙 봉인부 38a: 관통공
39: 중앙 삽입부 40: PCB
41: 디스플레이부 42: 펄스표시부
43: 터미널포트 45: 커버
45a: 블록삽입부 50: 상하형 계측부
51: 상하형 터미널커버 52: 제2 돌출커버
60: 상하형 기능부 61: 상하형 미터커버
62: 제2 함몰부

Claims (10)

  1.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상기 기능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커버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미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함몰부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커버 및 함몰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커버가 상기 미터커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계측부는
    션트 베이스; 및
    상기 션트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션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상기 션트커버의 좌측 및 우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기능부는
    상기 션트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미터베이스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양측이 상기 터미널커버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커버의 상면 좌측 및 우측에는
    구획부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미터베이스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부가 다수 함몰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부가 다수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터베이스는
    상기 가이드부 및 돌출부를 통해 상기 션터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커버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계측부를 봉인하기 위한 한 쌍의 봉인부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각 봉인부의 저면에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션터커버의 상면 양측에는
    상면에 삽입홀이 함몰 형성된 고정부재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커버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각 봉인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는
    체결홀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는 결합홀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커버는
    상기 관통홀, 체결홀 및 결합홀을 통해 상기 션트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터커버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기능부를 봉인하기 위한 중앙 봉인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중앙 봉인부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미터베이스의 내측 상면에는
    상면에 삽입공이 함몰 형성된 중앙 고정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미터커버는 내측 하면에는
    상기 중앙 봉인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중앙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중앙 삽입부를 관통하고,
    상기 삽입공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관통공 및 결합공을 통해 상기 미터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50)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계측부는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하형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기능부는
    상면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상하형 터미널커버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하형 미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 미터커버는
    상면 전방 및 후방에 제2 함몰부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상하형 터미널커버는
    상면 일측에 상기 제2 함몰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돌출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형 미터커버는
    상기 상하형 미터커버의 상면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산출된 전력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터커버는
    상기 미터커버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계측부에 의해 산출된 전력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9.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계측부는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하형 터미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형 기능부는
    상면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상하형 터미널커버에 의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하형 미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10.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좌우형 계측부;
    상기 좌우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좌우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좌우형 기능부;
    상기 배전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계측/계량 데이터를 계측하는 상하형 계측부; 및
    상기 상하형 계측부의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형 계측부에 의해 계측된 계측/계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하형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KR1020230116152A 2022-09-01 2023-09-01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KR20240031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786 2022-09-01
KR20220110786 2022-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929A true KR20240031929A (ko) 2024-03-08

Family

ID=9023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152A KR20240031929A (ko) 2022-09-01 2023-09-01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9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261Y1 (ko) 2002-09-30 2003-01-24 주식회사 남전사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37636Y1 (ko) 2003-09-27 2004-01-03 주식회사 남전사 관통형 전자식 전력량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261Y1 (ko) 2002-09-30 2003-01-24 주식회사 남전사 전자식 전력량계
KR200337636Y1 (ko) 2003-09-27 2004-01-03 주식회사 남전사 관통형 전자식 전력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6108B1 (en) Three-phase electricity meter including integral test switch
KR100687782B1 (ko) 전기 미터
US4791362A (en) Modularized solid state register
EP1488243B1 (en) Modular housing for electrical instrument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EP2901166B1 (en) Power meter configured for rear and side expansion
US10274572B2 (en) Calibration system for a power meter
KR20070083660A (ko)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와 광 통신하기 위해 적응할 수 있는적산 전력계
US20100240326A1 (en) Multi-functional container for electric and/or electronic apparatuses
JP2006170787A (ja) ユニット型電力量計
AU651404B2 (en)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KR20240031929A (ko) 착탈형 구조로 개별 봉인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량계
US6614219B2 (en) Metering assembly
JP2000295723A (ja) 分電盤
JP3831215B2 (ja) 配線用遮断器形電子式電力量計
US11650235B2 (en) Power metering transducer system
JP6338944B2 (ja) 電力配電機器の磁気コア保持具
JP2000230945A (ja) 分電盤
JP4382996B2 (ja) 使用電力量表示端末
CN217332614U (zh) 一种机械数显一体化电流表
US20230403800A1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display module
JP4230121B2 (ja) 使用電力量表示端末
CN117214492A (zh) 一种带自查表盖松紧功能的电能表
KR101554147B1 (ko) 퓨즈 내장형 계량기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JP2000230946A (ja) 分電盤
JP2022137571A (ja) 電子式電力量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