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779A -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779A
KR20240031779A KR1020220110992A KR20220110992A KR20240031779A KR 20240031779 A KR20240031779 A KR 20240031779A KR 1020220110992 A KR1020220110992 A KR 1020220110992A KR 20220110992 A KR20220110992 A KR 20220110992A KR 20240031779 A KR20240031779 A KR 2024003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sensing
nod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김슬기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779A/ko
Priority to US18/452,788 priority patent/US20240077541A1/en
Priority to DE102023122550.2A priority patent/DE102023122550A1/de
Publication of KR2024003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Indicating direction of current; Indicating polarity of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정전압 센싱 회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역전압 보호 회로; 일단이 상기 배터리의 일극과 연결되는 부스팅 저항; 및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 노드와 상기 부스팅 저항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노드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역전압 센싱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BATTERY VOLT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연료 전지(fuel cell)는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수소를 연료로 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수소 연료 전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친환경 자동차는 연료 전지 각 셀의 정전압(positive voltage)을 측정하는 전압 센싱 회로를 통해 각 셀의 전압 밸런싱 등 다양한 전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연료 전지는 공급되는 연료나 공기가 부족할 경우 역전압(reverse voltage)이 발생하며, 이는 전지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연료 전지를 탑재한 차량의 비정상적인 운행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 자동차는 전압 센싱 회로를 통해 연료 전지에 대한 정전압뿐만 아니라 역전압도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전압 센싱 회로를 통해 연료 전지에 대한 정전압과 역전압을 모두 측정할 경우, 전압 센싱 회로의 면적 소모 및 설계 복잡도가 증가하고, 전압 센싱에 대한 정밀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정전압은 배터리 셀 각각에 대해 정밀하게 측정하고, 역전압은 정전압과 별도로 배터리 셀 전체에 대해 측정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정전압 센싱 회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역전압 보호 회로; 일단이 상기 배터리의 일극과 연결되는 부스팅 저항; 및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 노드와 상기 부스팅 저항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노드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역전압 센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정전압 센싱 회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역전압 보호 회로; 및 일단이 상기 배터리의 일극과 연결되는 부스팅 저항을 포함하되,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는,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 노드와 상기 부스팅 저항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노드 사이의 전압을 상기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배터리로부터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역전압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어느 하나와 내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도통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소자가 도통 상태일 경우, 상기 내부 노드의 전류를 부스팅 저항을 거쳐 피드백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노드 및 상기 부스팅 저항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압은 배터리 셀 각각에 대해 정밀하게 측정하고, 역전압은 정전압과 별도로 배터리 셀 전체에 대해 측정함으로써, 전압 센싱 회로의 면적 소모 및 설계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전압 센싱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셀에 역전압이 발생할 경우 부스팅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 센싱 회로의 센싱단 전압을 높임으로써, 역전압 발생 시 전압 센싱 회로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다음의 예들의 기재에 있어서, "기 설정된"이라는 용어는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에서 매개변수를 사용할 때 매개변수의 수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매개변수의 수치는 예에 따라서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이 시작할 때 설정되거나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구간 동안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직접 연결되어" 및 "직접 접속되어"라는 기재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지 않고 직접 연결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예를 통하여 본 개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예는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는 배터리(10) 및 센싱 반도체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끼리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FC<1: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은 연료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은 정상 동작 여부에 따라 상이한 전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은 정상 동작 상태 시 정전압(positive voltage) 범위에서 0(V) 내지 4(V) 범위를 가지고, 고장 상태에 따른 역전압(reverse voltage)이 발생할 경우 -4(V) 내지 0(V)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커패시터(C<1:N>) 각각은 복수의 배터리 셀(FC<1:N>)의 양 단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Rf<0:N>)은 복수의 배터리 셀(FC<1:N>)과 커패시터(C<1:N>)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센싱 반도체 장치(20)는 정전압 센싱 회로(21), 역전압 보호 회로(22) 및 역전압 센싱 회로(2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반도체 장치(20)는 친환경 자동차 등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 대한 반도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복수의 센싱단(S<0:N>)을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센싱 채널별로 0(V) 내지 5(V) 범위에 해당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의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모터 제어기(미도시)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구비하거나, 멀티플렉서(multiplexer)와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구비할 수 있다.
역전압 보호 회로(22)는 복수의 저항(R<0:N>) 및 복수의 다이오드(D<0:N>)를 포함하며, 복수의 저항(R<0:N>) 및 복수의 다이오드(D<0:N>)를 통해 복수의 보호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저항(R)과 하나의 다이오드(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호 회로는 각각의 일단이 복수의 센싱단(S<0:N>)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노드(nd1)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저항(R)은 복수의 센싱단(S<0:N>)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다이오드(D)는 저항(R) 및 제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다이오드(D)는 애노드(anode)가 제1 노드(nd1)에 연결되고, 캐소드(cathode)가 저항(R)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S)의 전압에 따라,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S)과 제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의 도통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S)의 전압이 음전압에 해당할 경우, 즉,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할 경우, 피드백 전류(Ifb)를 제1 노드(nd1)에서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S)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S)으로 출력된 피드백 전류(Ifb)를 부스팅 저항(Rboost)을 거쳐 제1 노드(nd1)로 재입력받을 수 있다.
부스팅 저항(Rboost)은 센싱 반도체 장치(20)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노드(nd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노드(nd2)는 외부 전압(Vext)을 출력하는 외부 전압원의 일단이 연결되고, 외부 전압원의 타단은 접지단(GND)과 연결될 수 있다.
부스팅 저항(Rboost)은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할 경우, 피드백 전류(Ifb)를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에서 제2 노드(nd2)로 출력하여 복수의 센싱단(S<0:N>)의 전압이 양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Vboost)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역전압 보호 회로(22)는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할 경우, 부스팅 전압(Vboost)을 이용하여 복수의 센싱단(S<0:N>)의 전압을 접지단(GND)의 전압보다 높임으로써, 역전압 발생 시 정전압 센싱 회로(21)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역전압 센싱 회로(23)는 제1 노드(nd1) 및 제2 노드(nd2) 사이에 연결된 역전압 감지 저항(Rrev)의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10)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역전압 센싱 회로(23)의 음극 단자(-)는 제1 노드(nd1)에 연결되고, 역전압 센싱 회로(23)의 양극 단자(+)는 제2 노드(nd2)에 연결될 수 있다.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정상 동작 상태에 해당하는 정전압에 대해 배터리 셀(FC<1:N>) 별로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단, 정전압과 달리 고장 상태에 해당하는 역전압은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역전압 센싱 회로(23)는 복수의 배터리 셀(FC<1:N>) 전체에 대해 역전압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반도체 장치(20)는 배터리 셀에 대한 전압 센싱 회로의 면적 소모 및 설계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전압 센싱에 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배터리에서 역전압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고, 도 3은 배터리에서 역전압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FC<1:2>)의 전압은 +4(V)로 정전압의 범위에 해당한다. 이때, 다이오드(D<0:2>)는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에 의해 모두 오프(OFF)된다. 이에 따라, 부스팅 저항(Rboost)에는 피드백 전류(Ifb)가 흐르지 않고, 부스팅 전압(Vboost)은 0(V)를 가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FC<1:2>)의 전압은 -4(V)로 역전압의 범위에 해당한다. 이때, 센싱단(S<0:2>)의 전압 변화에 따라 다이오드(D<0:2>)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스팅 저항(Rboost)에는 피드백 전류(Ifb)가 흐르게 되고, 부스팅 전압(Vboost)은 Rboost*Ifb(V)을 가지게 된다. 부스팅 전압(Vboost)은 센싱단(S<0:2>)의 전압을 접지단(GND)의 전압보다 높임으로써, 역전압 발생 시 정전압 센싱 회로(21)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전압 감지 저항(Rrev)에도 피드백 전류(Ifb)가 흐르게 되고, 역전압 센싱 회로(23)는 역전압 감지 저항(Rrev)의 전압을 통해 역전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압 보호 회로(22')는 도 1의 역전압 보호 회로(22)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역전압 보호 회로(22')는 복수의 저항(R<0:N>) 및 복수의 PMOS 트랜지스터(P<0:N>)를 포함하며, 복수의 저항(R<0:N>) 및 복수의 PMOS 트랜지스터(P<0:N>)를 통해 복수의 보호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저항(R)과 하나의 PMOS 트랜지스터(P)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호 회로는 각각의 일단이 복수의 센싱단(S<0:N>)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노드(nd1)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저항(R)은 복수의 센싱단(S<0:N>)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PMOS 트랜지스터(P)는 저항(R) 및 제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PMOS 트랜지스터(P)는 복수의 센싱단(S<0:N>) 중 두 센싱단의 전압 차에 따라 도통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PMOS 트랜지스터(P<1>)는 센싱단(S<2>)의 전압이 센싱단(S<1>)의 전압보다 낮을 경우 턴-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센싱단(S)의 전압에 따라, 센싱단(S)과 제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의 도통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싱단(S<0:N>)을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정전압 센싱 회로(2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정전압 센싱 회로(21)와 달리, 도 5의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제1 노드(nd1) 및 제2 노드(nd2) 사이에 연결된 역전압 감지 저항(Rrev)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여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배터리(10)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정전압 센싱 회로(21')의 양극 단자(+)는 제1 노드(nd1)에 연결되고, 정전압 센싱 회로(21')의 음극 단자(-)는 제2 노드(nd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도 1의 정전압 센싱 회로(21)에 구비된 센싱 채널에 1개의 센싱 채널을 추가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역전압 센싱 회로(23)의 구성 없이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전압 센싱 회로(21, 21')는 배터리(10)로부터 복수의 센싱단(S<1:N>)을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배터리 셀(FC<1:N>)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할 수 있다(S101).
이후, 복수의 배터리 셀(FC<1:N>)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10)의 역전압 발생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103).
배터리(10)에서 역전압이 발생될 경우(S103의 YES), 역전압 보호 회로(22, 22')는 복수의 센싱단(S<1:N>) 중 어느 하나와 제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도 1의 다이오드 또는 도 4의 PMOS 트랜지스터)를 도통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S105).
스위칭 소자가 도통 상태일 경우, 내부 노드(nd1)의 전류, 즉 피드백 전류(Ifb)는 부스팅 저항(Rboost)을 거쳐 피드백될 수 있다(S107). 좀 더 구체적으로, 피드백 전류(Ifb)는 제1 노드(nd1)로부터 복수의 센싱단(S<1:N>)으로 출력되고, 배터리(10), 부스팅 저항(Rboost), 제2 노드(nd2) 및 역전압 감지 저항(Rrev)을 거쳐 제1 노드(nd1)로 재입력될 수 있다.
이후, 역전압 센싱 회로(23) 또는 정전압 센싱 회로(21')는 제1 노드(nd1) 및 부스팅 저항(Rboost)의 타단이 연결된 제2 노드(nd2) 사이에 연결된 역전압 감지 저항(Rrev)의 전압을 감지하여 배터리(10)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9).
10: 배터리 20: 센싱 반도체 장치
21, 21': 정전압 센싱 회로 22, 22': 역전압 보호 회로
23: 역전압 센싱 회로

Claims (20)

  1.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정전압 센싱 회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역전압 보호 회로;
    일단이 상기 배터리의 일극과 연결되는 부스팅 저항; 및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 노드와 상기 부스팅 저항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노드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역전압 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은,
    연료 전지로 구현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상기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센싱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상기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의 전압이 음전압에 해당할 경우, 피드백 전류를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센싱단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피드백 전류를 상기 부스팅 저항을 거쳐 상기 제1 노드로 재입력받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팅 저항은,
    상기 피드백 전류를 상기 배터리의 일극에서 상기 제2 노드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단의 전압이 양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을 생성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일극은,
    상기 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해당하고,
    상기 부스팅 저항의 타단은,
    외부 전압원에 연결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저항과 연결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P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두 센싱단의 전압 차에 따라 도통 상태가 제어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역전압 감지 저항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압 센싱 회로는,
    상기 역전압 감지 저항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역전압 센싱 회로의 음극 단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역전압 센싱 회로의 양극 단자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4.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정전압 센싱 회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서로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역전압 보호 회로; 및
    일단이 상기 배터리의 일극과 연결되는 부스팅 저항을 포함하되,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는,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 노드와 상기 부스팅 저항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노드 사이의 전압을 상기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역전압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역전압 감지 저항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는,
    상기 역전압 감지 저항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의 양극 단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압 센싱 회로의 음극 단자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 회로 각각은,
    상기 일단이 연결된 센싱단의 전압이 음전압에 해당할 경우, 피드백 전류를 상기 제1 노드에서 상기 센싱단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피드백 전류를 상기 부스팅 저항을 거쳐 상기 제1 노드로 재입력받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팅 저항은,
    상기 피드백 전류를 상기 배터리의 일극에서 상기 제2 노드로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단의 전압이 양전압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을 생성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20. 배터리로부터 복수의 센싱단을 통해 입력받은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정전압 범위에서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역전압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복수의 센싱단 중 어느 하나와 내부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도통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소자가 도통 상태일 경우, 상기 내부 노드의 전류를 부스팅 저항을 거쳐 피드백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노드 및 상기 부스팅 저항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에 역전압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10992A 2022-09-01 2022-09-01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31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92A KR20240031779A (ko) 2022-09-01 2022-09-01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8/452,788 US20240077541A1 (en) 2022-09-01 2023-08-21 Apparatus for measuring battery volt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23122550.2A DE102023122550A1 (de) 2022-09-01 2023-08-23 Vorrichtung zur Messung einer Batteriespann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92A KR20240031779A (ko) 2022-09-01 2022-09-01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779A true KR20240031779A (ko) 2024-03-08

Family

ID=8990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92A KR20240031779A (ko) 2022-09-01 2022-09-01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77541A1 (ko)
KR (1) KR20240031779A (ko)
DE (1) DE1020231225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096B1 (ko) 2021-02-01 2023-04-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프리페네이트 탈수 효소 (Prephenate dehydratase)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분지쇄 아미노산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122550A1 (de) 2024-03-07
US20240077541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4442B2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US11327122B2 (en) Voltage detection integrated circuit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US10622685B2 (en) Problem detection apparatus
US11881566B2 (en) Battery pack monitoring system
US20100134069A1 (en) Battery system with practical voltage detection
US7852047B2 (en) Disconnection detection device of assembled battery system and disconnection detection method of same
US8836341B2 (en) Semiconductor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diagnosing abnormality of wir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9158539A (ja) 電池監視装置
US20230147606A1 (en)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KR101496648B1 (ko) 자율 배터리 밸런싱
US20190081366A1 (en) Battery control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9979278B1 (en) Power supply device
US8643376B2 (en) Voltage measuring apparatus of assembled battery
US94650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maximum cell voltage
KR20240031779A (ko) 배터리 전압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159035A1 (ja) 放電回路および蓄電装置
US93292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minimum cell voltage
CN113514766B (zh) 电池监视装置
JP5163624B2 (ja) 電池監視装置
EP3629040B1 (en) Open w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210111713A1 (en) Electronic circuit with two voltage supply circuits
JP2020005334A (ja) 電流検出回路および電源装置
JP2021061562A (ja) 半導体装置
JP4116756B2 (ja) 組電池の異常検出装置
KR102324584B1 (ko) 회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전압 센싱 회로 및 그것의 회로 보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