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671A -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671A
KR20240031671A KR1020220110658A KR20220110658A KR20240031671A KR 20240031671 A KR20240031671 A KR 20240031671A KR 1020220110658 A KR1020220110658 A KR 1020220110658A KR 20220110658 A KR20220110658 A KR 20220110658A KR 20240031671 A KR20240031671 A KR 2024003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martphone
interior
video file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효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스퀘어
Priority to KR102022011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671A/en
Publication of KR2024003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6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진단의 수행이 가능한 전기개폐장치 및 전기개폐장치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획득된 건물 실내에 대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와; 상기 수신단계(S10)에서 수신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건물 실내의 꼭지점 위치를 파악하는 꼭지점 파악단계S20)와;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을 기준으로 건물의 치수정보를 파악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도면작성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witchgea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 switchgear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 diagnosis and a diagnostic method for the electric switchgea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of receiving a video file about the interior of a building acquired using a smartphone 10; A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vertex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video file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S10); A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is disclosed, which includes a drawing creation step (S30) of creating a drawing by identifying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vertices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도면 작성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건물 실내 도면을 작성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reating a draw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which creates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images captured by a smartphone.

스마트폰은, 카메라, 위치센서 등의 IT모듈이 구비되어 단순 통신수단을 넘어 촬영된 이미지에 위치속성을 부가하거나, 촬영된 이미지 내 물건의 크기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이 부여되고 있다.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IT modules such as cameras and location sensors, and are equipped with various smart functions beyond simpl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dding location attributes to captured images or measuring the size of objects in the captured images.

한편, 이사, 철거 등을 위하여, 건물 내 크기, 냉장고, 가구 등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작업자가 미리 방문하여 건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후 이사, 철거 등을 수행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for moving, demolition, etc.,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size and location of refrigerators, furniture, etc., and currently workers visit in advanc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and then perform moving, demolition,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is cumbersom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토대로 건물 실내의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건물에 대한 방문없이 건물에 대한 치수정보를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reating a drawing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mage taken with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using a smartphone that can determine the 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without visiting the building. The goal is to provide a method for creating building interior drawi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획득된 건물 실내에 대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와; 상기 수신단계(S10)에서 수신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건물 실내의 꼭지점 위치를 파악하는 꼭지점 파악단계(S20)와;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을 기준으로 건물의 치수정보를 파악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도면작성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of receiving a video file about the interior of a building obtained using a smartphone 10; A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vertices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video file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S10); A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is disclosed, which includes a drawing creation step (S30) of identifying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vertices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nd creating a drawing.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건물 실내의 꼭지점 중심으로 연결하여 촬영될 수 있다.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can be filmed by connecting to the center of the vertex inside the build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건물 실내의 꼭지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vertices inside the building may be sequentially photograph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내장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건물 실내의 꼭지점들의 각 위치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vertex inside the building can be received together by util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uilt into the smartphone 10.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 및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탑재된 전용앱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and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can be performed through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1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토대로 건물 실내의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건물에 대한 방문없이 건물에 대한 치수정보를 파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rmine 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without visiting the building by creating a drawing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ased on images captured with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건물에 대한 방문없이 건물에 대한 치수정보의 파악이 가능하여 철거, 이사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rmine dimens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without visiting the building, allowing tasks such as demolition and moving to be convenient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도면 작성 방법 중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의 수행을 위한 영상촬영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b는, 도 2의 도면 작성 방법 중 도면작성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작성된 2D 도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c는, 도 2의 도면 작성 방법 중 도면작성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작성된 3D 도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reating an indo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video capturing process for performing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in the drawing creation method of FIG. 2.
FIG. 3B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2D drawing created by performing the drawing creation step in the drawing creation method of FIG. 2.
FIG. 3C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3D drawing created by performing the drawing creation step in the drawing creation method of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reating an indo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획득된 건물 실내에 대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와; 상기 수신단계(S10)에서 수신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건물 실내의 꼭지점 위치를 파악하는 꼭지점 파악단계S20)와;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을 기준으로 건물의 치수정보를 파악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도면작성단계(S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ethod of creating a building interior draw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fil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video file of the building interior obtained using a smartphone 10 ( S10) and; A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vertex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video file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S10); It includes a drawing creation step (S30) in which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s identified based on the vertices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nd a drawing is creat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스마트폰(10) 자체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 및 전기통신망에 연결된 서버(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creating a building interior draw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the smartphone 10 itself or, as shown in FIG. 1, by a server 20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0 and a tele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상기 스마트폰(10)은, IOS, 안드로이드 등 모바일 OS가 탑재되며, 카메라, 위치센서 등을 구비한 모바일 통신기기이면 모두 가능하다.The smartphone 10 can be an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mobile OS such as IOS or Android and equipped with a camera, a location sensor, etc.

상기 서버(20)는,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 후 꼭지점 파악단계(S20), 도면작성단계(S30)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10)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면서 꼭지점 파악단계(S20), 도면작성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서버가 사용될 수 있다.The server 20 is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smartphone 10 and identifies the vertex in order to perform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nd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after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As a configuration that can perform the step (S20) and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a general server can be used.

또한 상기 서버(20)는, 꼭지점 파악단계(S20), 도면작성단계(S30)를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 수신된 동영상 파일의 선택적 저장, 도면작성단계(S30)에서 작성된 도면의 저장 등을 위한 DB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20 executes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nd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selectively saves the received video file, and stores the drawing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DB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서버(20)는, 사용자 스마트폰(10)과의 통신시 보안을 위하여 로그린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rver 20 may be equipped with a program executed by a log-green system to ensure security when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smartphone 10.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획득된 건물 실내에 대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is a step of receiving a video file about the interior of a building obtained using the smartphone 10, and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구체적으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건물 실내를 촬영한 후 촬영된 동영상 및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전용앱을 통하여 저장 및 전송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involves the user taking picture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using the smartphone 10 and then stor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aptured videos and images through a dedicated app. It can be performed by:

이때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건물 실내의 꼭지점 중심으로 연결하여 동영상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video shooting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o the center of the vertex inside the build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건물 실내의 꼭지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영상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video may be captur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t the vertex of the building interior.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내장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건물 실내의 꼭지점들의 각 위치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vertex inside the building can be received together by util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uilt into the smartphone 10.

특히,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내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건물 실내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각 꼭지점의 거리를 추정하고, 추정된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when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uilt into the smartphone 10, the distance of each vertex is estimated in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the user, and the estimated information is sent to the server ( 20) can be transmitted.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는, 상기 수신단계(S10)에서 수신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건물 실내의 꼭지점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is a step of identifying the vertex position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video file received in the reception step S10, and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특히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는, 사용자에 의한 동영상 촬영, 사진 촬영 과정에서 AI 기능을 이용하여 꼭지점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can be performed as a step of identifying the vertex position using an AI function during the video or photo shooting process by the user.

또한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는, 전용앱에 의한 카메라 조작을 통하여 건물 실내의 꼭지점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지정하고 지정된 꼭지점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designates the vertex inside the building by the user's manipulation through camera manipulation by a dedicated app, and the designated vertex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by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

한편 상기 꼭지점의 정의는, 건물 실내가 직육면체 등 다면체 구조를 가지는 점에 착안하여, 적어도 세 개의 평면이 교차하는 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finition of the vertex can be defined as a point where at least three planes intersect,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interior of a building has a polyhedral structur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예를 들면, 건물 실내는 직육면체 구조를 가짐이 일반적인바 바닥 측에서의 4개의 꼭지점, 천정 측에서의 4개의 꼭지점이 지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ior of a building typicall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so four vertices on the floor side and four vertices on the ceiling side can be specified.

또한 건물 실내 구조에 따라 기둥이 있는 경우, 기둥의 형상이 다각기둥인 경우 3개의 면이 만나는 지점으로 꼭지점이 지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re is a pillar depending on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building, or if the shape of the pillar is a polygonal pillar, the vertex may be designated as the point where three sides meet.

다만, 기둥형상이 원기둥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 임의로 지정하거나, 원기둥인식에 의하여 해당 부분에 원기둥이 있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However, if the pillar shape is a cylinder, it can be designated arbitrarily by the user's operation, or can be set as if there is a cylinder in the corresponding part through cylinder recognition.

또한, 지정된 꼭지점들에 대하여 상대 높이에 따라 바닥의 꼭지점인지 천정측의 꼭지점인지 분류하고 각 꼭지점의 연결을 통한 건물 실내의 도면 작성을 위하여 각 꼭지점의 순서, 각 꼭지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designated vertices can be classified as floor vertices or ceiling vertice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heights, and the order of each vertex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vertex can be measured in order to create a drawing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by connecting each vertex.

상기 도면작성단계(S30)는,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을 기준으로 건물의 치수정보를 파악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vertices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nd creating a drawing, and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예로서,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의 위치, 순서를 기준으로 각 꼭지점을 연결함으로써 건물 실내의 형상을 2D 내지 3D로 작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building interior can be created in 2D or 3D by connecting each vertex based on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vertex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예를 들면,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의 위치, 순서, 거리가 측정되는바, 바닥 측의 꼭지점 및 순서에 따라 각 꼭지점을 연결하면 바닥의 평면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position, order, and distance of the vertices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re measured, a plan drawing of the floor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each vertex according to the vertices and order of the floor.

또한, 꼭지점의 높이의 특정이 가능한바 천정 측의 평면 도면 또한 작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the height of the vertex can be specified, a flat drawing of the ceiling side can also be created.

더 나아가 바닥의 평면 도면 및 천정 측의 평면 도면의 작성이 완료되면, 천정 측 및 바닥 측을 연결함으로써 실내의 3D 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Furthermore, once the floor plan drawing and the ceiling side plan drawing are completed, a 3D drawing of the room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the ceiling side and the floor side.

상기 상기 도면작성단계(S30)에 의하여 작성된 건물 실내의 도면은, 전용앱의 실행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형식의 파일 포맷, JPG, TIF 등의 그림파일, PDF 파일, 워드 파일, HWP 파일, PPT 파일 등의 문서파일, 캐드 등의 도면프로그램파일 등 다양한 포맷으로 저장될 수 있다.The drawing of the building interior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is a file format preset for execution of the dedicated app, picture files such as JPG and TIF, PDF files, Word files, HWP files, PPT files, etc. It can be sav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document files and drawing program files such as CAD.

한편, 상기 상기 도면작성단계(S30)에 의하여 작성된 건물 실내의 도면은, 사용자의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2D 또는 3D로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awing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can be displayed in 2D or 3D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s smartphone 10.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의 수행에 의하여 작성된 도면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 created by performing the method for creating a building interior draw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의 수행에 의하여 작성된 도면은, 건물 실내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는바, 건물 실내의 인테리어 작업 수행, 건물 실내의 인테리어 철거 작업 수행, 건물 실내에 있는 가구, 냉장고 등의 파악에 따른 이사 물량 산정에 활용될 수 있다.First, the drawing created by performing the building interior drawing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size of the building interior, perform interior work inside the building, perform interior demolition work inside the building, and It can be used to calculate moving quantity by identifying furniture, refrigerators, etc. inside the room.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의 수행에 의하여 작성된 도면은, 인테리어 작업 전 사전 그래픽 작업의 실내 공간 데이터로 활용활 수 있다.Inspired by this, the drawing created by performing the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ndoor space data for preliminary graphic work before interior work.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전용앱을 통하여 상기 도면작성단계(S30)에서 작성된 건물 실내 공간을 사용자의 스마트폰(10)에 가상공간으로 표시하고, 가상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구, 냉장고 등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여 건물의 실내공간의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creating a building interior draw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building interior space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as a virtual space on the user's smartphone 10 through a dedicated app, and displays the building interior space created in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as a virtual space through a dedicated app.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furniture, refrigerators, etc. can be placed in the virtual space to help utilize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더 나아가, 사용자의 인테리어 선택 완료 후 완료된 인테리어에 따라 인테리어 작업시간, 비용견적을 전용앱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fter the user's interior selection is completed, interior work time and cost estimates can be provided through a dedicated app depending on the completed interi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작성된 실내 공간의 크기를 추정하여 건물 실내의 철거작업의 소요시간, 소요비용견적을 전용앱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reating an indo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imate the size of the created indoor space and provide an estimate of the time and cost of demolition work inside the building through a dedicated ap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작성된 실내 공간의 크기 및 해당 공간에 설치된 가구, 냉장고 등을 인식하여 이사시 이사를 위한 필요인력, 이사시간 및 이사비용견적을 전용앱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reating a building interior draw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size of the created indoor space and the furniture, refrigerator, etc. installed in the space, and provides an estimate of the required manpower, moving time, and moving cost for moving. It can be provided through an app.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 및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탑재된 전용앱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and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can be performed through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전용앱의 실행에 의하여 모두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creating an indo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executing a dedicated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은, 도면작성단계(S30)를 제외한 나머지 단계들을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전용앱에 의하여 수행되고, 스마트폰(10)에서 수행된 수행결과를 서버(20)로 전송하여 서버(20)에서 도면작성단계(S30)의 수행 후 그 결과를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전용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creating an indo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steps except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are performed by a dedicated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10, and the steps performed on the smartphone 10 The result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the drawing creation step (S30) is performed on the server 20, and the result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a dedicated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10.

상기 전용앱을 사용자의 스마트폰(10)의 OS에 따라 탑재되는 앱으로서,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을 구비하여 실행될 수 있다.The dedicated app is an app tha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OS of the user's smartphone 10, and can be executed with various functions and designs.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on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underlying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폰 20 : 서버10: Smartphone 20: Server

Claims (5)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획득된 건물 실내에 대한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와;
상기 수신단계(S10)에서 수신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건물 실내의 꼭지점 위치를 파악하는 꼭지점 파악단계S20)와;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에서 파악된 꼭지점을 기준으로 건물의 치수정보를 파악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도면작성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
A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of receiving a video file about the interior of a building acquired using a smartphone;
A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vertex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video file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S10);
A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 drawing creation step (S30) of identifying the 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vertices identified in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nd creating a draw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건물 실내의 꼭지점 중심으로 연결하여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
In claim 1,
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A method of creating a building interior drawing using a smartphone, which is characterized by connecting and photographing the center of the vertex of the building interi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건물 실내의 꼭지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
In claim 1,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is a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e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re sequentially photograph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내장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건물 실내의 꼭지점들의 각 위치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
In claim 1,
In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A method of creating an indo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vertex inside the building is received together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uilt into the smartphone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 수신단계(S10) 및 상기 꼭지점 파악단계S20)는 상기 스마트폰(1)에 탑재된 전용앱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물 실내 도면 작성 방법.
In claim 1,
A method of creating an interior drawing of a building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file receiving step (S10) and the vertex identification step (S20) are performed through a dedicated app mounted on the smartphone (1).
KR1020220110658A 2022-09-01 2022-09-01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KR202400316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58A KR20240031671A (en) 2022-09-01 2022-09-01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58A KR20240031671A (en) 2022-09-01 2022-09-01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671A true KR20240031671A (en) 2024-03-08

Family

ID=9023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658A KR20240031671A (en) 2022-09-01 2022-09-01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67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79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fusing panoramic video images
JP6180647B2 (en) Indoor map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loud points
US11380078B2 (en) 3-D reconstru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frameworks
CN114663618A (en)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and corr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81553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image deformation
KR101181967B1 (en) 3D street view system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JP2011239361A (en) System and method for ar navigation and difference extraction for repeated photographing, and program thereof
KR102248459B1 (en) Apparatus and methdo for calibrating a camera
CN114494487B (en) House type graph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based on panorama semantic stitching
JP7161550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alculating spatial coordinates of region of interest
US1106242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4494456A (en) Multiphase external parameter calibration method, system, medium and terminal based on mobile calibration board
CN108234932B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personnel form in video monitoring image
CN110191284B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data of hous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085150A (en) Intelligen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upporting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extended reality
KR20240031671A (en) Method for drawing indoor of building by using smart phone
CN114494486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user type graph
WO2022227875A1 (en) Three-dimensional imag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80145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6076852B2 (en)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thereof
US11348335B2 (en) Computer implemented structural thermal audit systems and methods
TWI597656B (en) Ges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210112551A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electric device
US20230410451A1 (en) Augmented reality impl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mobile scanned object model scaling
US20230141372A1 (en) Context aware meas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