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562A -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562A
KR20240031562A KR1020220110197A KR20220110197A KR20240031562A KR 20240031562 A KR20240031562 A KR 20240031562A KR 1020220110197 A KR1020220110197 A KR 1020220110197A KR 20220110197 A KR20220110197 A KR 20220110197A KR 20240031562 A KR20240031562 A KR 20240031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roduct
information
scann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러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시어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시어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시어돈
Priority to KR102022011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562A/ko
Publication of KR2024003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고나한 것으로서, 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은 제품에 인쇄된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정품인증 앱 설치 고객 정보, 판매자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이 제품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모조품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products using QR code}
본 발명은 정품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QR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품은 고유의 브랜드를 가지고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브랜드는 상품의 가치 및 구매 욕구 등을 촉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품을 불법적으로 복제한 위조품(가품)을 생산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행위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 가치가 높은 제품일수록 불법으로 복제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위조품의 제조, 유통 및 판매를 방지하기 위해 시리얼 번호, 바코드, 태그형 RFID 라벨 등을 상품에 부착/식각/인쇄하여 정품으로 표시한 후 상품을 유통시키고 있다. 하지만 시리얼번호, 1차원 바코드, 태그형 RFID 라벨 등의 인식 방법은 복제/복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어렵지 않게 위조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어서 정품에 대한 신뢰도를 충분하게 제공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정품 및 중고 명품을 취급하는 온라인/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새로운 정품인증시스템을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진위성과 신뢰도를 제공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243호, 2013.07.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 판매자 정보, 및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등을 포함하는 QR코드를 생성하고, QR코드 스캔을 통해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품인증 앱을 관리서버를 통해 고객의 단말에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정품 인증 및 QR코드 스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서버에 구축함으로써, 온라인/오프라인 시장에서 의도적인 위조품 제조나 판매를 억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또한 구매자로 하여금 제품 구매 시점에 QR코드를 이용하여 관리서버의 DB에 등록된 제품의 정품 인증 여부를 제품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QR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은, 제품에 인쇄된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정품인증 앱 설치 고객 정보, 판매자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이 제품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QR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은 상기 인증결과 정품이면, 상기 관리서버는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인지 체크하여 첫번째 스캔이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의 정품 인증 앱으로부터 수신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정품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로 정품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품이 아니면 상기 관리서버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QR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시스템은, 제품에 인쇄되며, 제품정보,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가 인쇄된 공장 정보, 제품 판매자 정보를 포함함하는 QR코드; 상기 QR코드를 인쇄하는 QR코드 인쇄 공장; 상기 QR코드를 스캔하는 단말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품인증 앱;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QR코드가 정품이면,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인지 체크하여 첫번째 스캔이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하는 정품인증부; 및 상기 정품인증부에 의해 상기 제품이 정품이라고 인증되면 상기 단말로 정품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모조품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정품인증 정보, 판매자 정보, 및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등을 포함하는 QR코드를 제품에 인쇄하고, 상기 QR코드 스캔을 통해 정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품인증 앱을 관리 서버를 통해 고객 단말에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정품 인증 및 QR코드 스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서버에 구축함으로써, 온라인/오프라인 시장에서 의도적인 위조품 제조나 판매를 억제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고객(구매자)으로 하여금 제품 구매 시점에 QR코드를 이용하여 제품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관리서버의 DB에 등록된 제품인지 정품 인증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정품인증 앱과 관리서버가 통신함으로써 정품에 대한 QR코드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관리서버는 스캔정보 이력을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고객은 구입하고자 하거나 구입한 제품이 정품인지 여부를 바로 확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에서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이 제품의 QR코드를 스캔 후 관리서버와의 통신시 송수신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QR코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에서 관리서버가 정품인증 후 단말의 정품인증 앱으로 전송하는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에서 정품 인증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 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 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 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 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 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 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 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은 QR코드가 인쇄된 제품(140), QR코드 인쇄 공장(120),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130) 및 관리서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품인증 대상인 제품(110)은 QR코드(112)가 인쇄되어 있다. QR코드(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정보,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가 인쇄된 공장 정보, 제품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110)마다 QR코드의 고유 번호는 다르다. QR코드의 고유 번호는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가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QR코드 인쇄 공장(120)은 QR코드(112)를 인쇄한다. QR코드 인쇄 공장(120)에서의 QR코드 인쇄 속도는 초당 200 미터 인쇄 가능하고, 한달에 3,500만개 QR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단말(130)에는 정품인증 앱(135)이 설치되어 있다. 정품인증 앱(135)은 단말(130)이 QR코드(112)를 스캔하면 상기 스캔된 QR코드(112)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관리서버(1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정품인증 앱(135)은 고객이 관리서버(140)를 통해 고객의 단말(130)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관리서버(140)는 회원가입 등의 절차를 통해 정품인증 앱(135)을 다운로드 받은 고객(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정품인증 앱(135)은 관리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40)는 단말(130)로부터 단말(130)이 정품인증 앱(135)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112)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며, 정품인증부(142) 및 메시지 전송부(144)를 포함한다.
정품인증부(142)는 단말(130)로부터 정품인증 앱(135)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112)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140)의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한다.
메시지 전송부(144)는 정품인증부(142)에 의해 상기 제품이 정품이라고 인증되면 단말(130)로 정품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말(130)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144)는 QR코드(112)가 정품이면,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인지 체크하여 첫번째 스캔이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단말(130)에게 전송하고,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에서 관리서버가 정품인증 후 단말의 정품인증 앱으로 전송하는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QR코드(112)가 정품이면,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이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의 예로서 환영의 메시지와 포인트를 주는 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4의 (b)는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단말(130)에게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에서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이 제품의 QR코드를 스캔한 후 관리서버와의 통신시 송수신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품인증 앱(135)이 설치된 단말(132)이 제품(110)에 인쇄된 QR코드(112)를 스캔하여 스캔한 결과를 관리서버(140)으로 전달한다. 상기 스캔한 결과는 스캔시간, 스캔장소, 고객정보, 국가정보 등을 포함한다. 스캔 장소는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서버(140)의 정품인증부(142)는 단말(130)로부터 스캔된 QR코드(112)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140)의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한다.
정품인증부(142)는 QR코드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품이면 정품인증 메시지를 보내고, 정품이 아니면 스캔이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제품(110)에 인쇄된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정품인증 앱 설치 고객 정보, 판매자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서버(140)의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S510 단계). QR코드(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정보,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가 인쇄된 공장 정보, 제품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110)마다 QR코드의 고유 번호는 다르다. QR코드의 고유 번호는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가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나서, 정품인증 앱(135)이 설치된 단말(130)이 제품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한다 (S520 단계). 단말(130)이 정품인증 앱(135)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관리서버(140)로 전송한다 (S530 단계). 예를 들어, 고객이 단말(130)을 통해 제품의 QR코드(112)를 찍으면 QR코드를 찍은 고객 정보가 관리서버(140)로 전송된다. 또한 QR코드(112)에 대한 첫번째 스캔일 때 메시지 전송부(114)를 통해 정품 인증 확인 메시지가 단말(130)로 전송되고, 이미 정품인증이 이루어 진 후에 타인이 동일한 QR코드를 찍으면, 누가 어디에서 언제 QR코드를 찍었는지 관리서버(140)로 전송되어, 타인의 QR코드 스캔 일시, 장소, QR코드가 인쇄된 공장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의 데이터는 위조품 적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40)는 QR코드 고유 정보(시리얼넘버),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판매자 정보를 통해 위조품이 어느 인쇄공장에서 얼마나 제조되고, 판매자가 누구인지 등을 알 수 있다.
관리서버(140)가 단말(130)로부터 단말(130)이 정품인증 앱(135)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정품인증부(142)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한다 (S540 단계).
상기 인증결과 정품이면, 관리서버(140)는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인지 체크하여 (S550단계), 첫번째 스캔인지 여부에 따라 메시지 전송부(144)를 통해 상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스캔이면 메시지 전송부(144)를 통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고 (S560 단계),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S570 단계). 그리고 두번째 스캔 부터는 스캔이력을 전송함으로써 스캔날짜, 스캔장소, 판매자 정보, 고객정보 등을 통해 위조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에서 정품 인증 단계(S540)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40)가 단말(130)로부터 단말(130)이 정품인증 앱(135)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한다 (S610 단계).
관리서버(140)는 단말(130)의 정품 인증 앱(135)으로부터 수신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와 관리서버(140)의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한다 (S620 단계). 정품이면, 관리서버(140)는 단말로 정품인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S640단계), 정품이 아니면 관리서버(140)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650 단계)
또한 본 발명에 의한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QR코드가 판독될 때마다 관리서버에서는 QR코드가 판독된 판매점의 위치 정보 및 QR코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인증 요청이 있을 경우 누적하여 저장된 정보를 파악하여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인증을 요청받은 제품이 정상 유통 경로를 통하였는지 여부 및 상기 QR코드 정보의 일치 여부를 기초로 상기 인증을 요청받은 제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품이 정품으로 판명된 경우 관리서버는 유통 경로 및 간단한 이력, 제품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제품의 유통 경로가 정상 유통 판매점을 통하지 않거나, 라벨의 고유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등, 제품이 정품으로 판명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는 경고서를 발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관리서버(140)가 정품인증 전용앱(135)을 통해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판매량, 판매점, 고객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을 통해 제품 분석과 고객 분석을 할 수 있고, 마케팅에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QR코드는 기존 QR코드와는 달리 회수 후에도 재사용을 할 수 없다. 또한 제품마다 고유한 QR코드가 인쇄됨으로써 제품 별로 서로 다른 QR코드가 인쇄됨으로써 인위적으로 조작이 어렵다. 그리고 제품별 사용시간이 추적 가능하고 위치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알 수 있고, QR코드에 제품소개와 제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부가할 수 있고, 사용자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 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 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 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 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 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QR코드가 인쇄된 제품
112 : 제품에 인쇄된 QR코드
120 : QR코드 인쇄공장
130 : 단말
132 : 정품인증 앱이 탑재된 단말
134 : QR코드를 스캔한 단말
135 : 정품인증 앱
140 : 관리서버
142 : 정품인증부
144 : 메시지 전송부
150 : 스캔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 스캔이력 DB
410 : 정품인증 메시지가 표시된 단말

Claims (6)

  1. 제품에 인쇄된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 정품인증 앱 설치 고객 정보, 판매자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정품인증 앱이 설치된 단말이 제품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결과 정품이면, 상기 관리서버는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인지 체크하여 첫번째 스캔이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의 정품 인증 앱으로부터 수신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와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정품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로 정품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품이 아니면 상기 관리서버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4. 제품에 인쇄되며, 제품정보, QR코드 고유번호, QR코드가 인쇄된 공장 정보, 제품 판매자 정보를 포함함하는 QR코드;
    상기 QR코드를 인쇄하는 QR코드 인쇄 공장;
    상기 QR코드를 스캔하는 단말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품인증 앱;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코드가 인쇄된 제품이 정품인지 인증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QR코드가 정품이면, 스캔 이력이 없는 첫번째 스캔인지 체크하여 첫번째 스캔이면 첫번째 스캔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첫번째 스캔이 아니면 스캔 이력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정품인증 앱을 통해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판매자 정보, OR코드 고유번호, QR코드 인쇄공장 정보와, 상기 QR코드를 스캔한 스캔시간, QR코드를 스캔한 장소의 스캔장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품인지 확인하는 정품인증부; 및
    상기 정품인증부에 의해 상기 제품이 정품이라고 인증되면 상기 단말로 정품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KR1020220110197A 2022-08-31 2022-08-31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1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197A KR20240031562A (ko) 2022-08-31 2022-08-31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197A KR20240031562A (ko) 2022-08-31 2022-08-31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562A true KR20240031562A (ko) 2024-03-08

Family

ID=9023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197A KR20240031562A (ko) 2022-08-31 2022-08-31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5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243A (ko) 2012-01-11 2013-07-19 노윤근 Qr 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243A (ko) 2012-01-11 2013-07-19 노윤근 Qr 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765B1 (ko) 제품인증 방법 및 그 장치
US10387695B2 (en) Authenticating and managing item ownership and authenticity
US8140852B2 (en) Authenticating serialized commodities
US20010056410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7529934B2 (en) Individual certification method
US20190347888A1 (en) Document authentication system
US8335491B1 (en) Mobilux system utilizing camera-equipped cellular telephones for anti-counterfeit authentication
KR101635074B1 (ko) 모바일 비대면 실명 확인을 통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869395A1 (en) Identity and liveness verification
CN108154362A (zh) 基于图形条码的交易方法、装置及系统
KR20190009921A (ko) 정품인증 단말, 플랫폼 및 정품인증 방법
JP2003337683A (ja) 印刷物発行管理システム、印刷物検証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
KR20240031562A (ko) Qr코드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2009211448A (ja) 製品認証システム
US20060123236A1 (en) Image data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data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00142834A (ko) 암호화되어 인쇄된 암호화 이미지의 진위 여부 판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암호화 이미지 판독 방법
KR102337582B1 (ko) 신경망 학습을 적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그 정품 인증 방법
CN113344598A (zh) 数据校验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220167089A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 위조상품 모니터링 방법
JP2007004479A (ja) 識別装置及び識別方法
CN111178467A (zh) 基于校车的身份验证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KR101990072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필서명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7190A (ko) 생체 인식 정보 검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인증 및 결제 방법
JP6167671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審査システム
KR101393600B1 (ko) 피싱 사이트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