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294A -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294A
KR20240031294A KR1020240028982A KR20240028982A KR20240031294A KR 20240031294 A KR20240031294 A KR 20240031294A KR 1020240028982 A KR1020240028982 A KR 1020240028982A KR 20240028982 A KR20240028982 A KR 20240028982A KR 20240031294 A KR20240031294 A KR 20240031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ock portion
holder
housing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499B1 (ko
Inventor
이수재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499B1/ko
Publication of KR2024003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불량률이 감소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일 단자가 구비되는 메일 하우징, 메일 하우징과 결합 가능하고, 메일 단자에 접속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메일 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 하우징, 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이동 부재, 및 피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이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홀더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는 몸체부, 몸체부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및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에서 몸체부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홀더는 몸통부, 및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COMPRISING MOVING UNIT AND HOLDER}
본 발명은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부재와 홀더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안정성이 향상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연결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메일 단자를 구비하는 메일 하우징과 메일 단자와 접속되는 피메일 단자를 구비하는 피메일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해 TPA(Terminal Position Assurance)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TPA 커넥터에서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결합될 때 외부 요인에 의하여 메일 단자 또는 피메일 단자의 휨 불량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량률이 감소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일 단자가 구비되는 메일 하우징, 메일 하우징과 결합 가능하고, 메일 단자에 접속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메일 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 하우징, 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이동 부재, 및 피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이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홀더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는 몸체부, 몸체부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및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에서 몸체부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홀더는 몸통부, 및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는 제1 방향에서 몸체부보다 돌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가 수용부에 삽입된 후, 가이드 돌기가 홀더 내에 삽입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는 몸체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홀더는 몸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고,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경사면을 따라 삽입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는 탄성을 갖는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와 홀더는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부재와 홀더는 일차적으로 이동 부재의 로크부와 홀더의 피로크부의 로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차적으로 이동 부재의 가이드 돌기가 홀더의 가이드 경사면에 삽입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방식으로 인하여 이동 부재와 홀더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이며, 이로 인하여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간의 휨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이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이동 부재와 도 2의 홀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이동 부재와 도 2의 메일 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메일 하우징(110)과 피메일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메일 하우징(110)과 피메일 하우징(210)은 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메일 하우징(110)은 메일 단자(12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일 단자(120)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일 하우징(110)은 일측으로 개방된 메일 단자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일 단자(120)는 상기 메일 단자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일 단자 수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메일 단자(120)는 6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일 단자 수용부도 6개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일 단자(120)는 피메일 단자(22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일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메일 단자(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일 단자 지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피메일 하우징(210)은 피메일 단자(220)를 구비할 수 있다. 피메일 단자(220)는 제1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피메일 단자(220)는 메일 단자(120)와 접속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메일 하우징(210)은 일측으로 개방된 피메일 단자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피메일 단자(220)는 상기 피메일 단자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 단자 수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메일 단자(220)의 개수는 메일 단자(1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메일 단자(120)가 6개 구비되기에, 피메일 단자(220)도 이와 대응되어 6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메일 단자 수용부도 6개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피메일 단자(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피메일 단자 지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이동 부재(150), 및 홀더(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50)는 메일 하우징(110)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50)는 메일 하우징(110) 내의 메일 단자(120)를 감쌀 수 있다. 이동 부재(150)는 메일 단자(12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동 부재(150)는 메일 하우징(110) 내에서 제1 방향(X)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동 부재(150)는 메일 하우징(110) 내에서 -제1 방향(-X)으로 이동가능할 수도 있다. 이동 부재(150)는 메일 하우징(110) 내에 제1 방향(X) 또는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홀더(250)는 피메일 하우징(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250)는 피메일 하우징(210) 내의 피메일 단자(220)를 감쌀 수 있다. 홀더(250)는 피메일 단자(220)를 보호할 수 있다. 홀더(250)는 이동 부재(150)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홀더(250)와 이동 부재(150)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이동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150)는 몸체부(151), 돌출부(152), 로크부(153), 가이드 돌기(154), 및 스토퍼(stopper)(15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1)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51)는 돌출부(152), 로크부(153), 가이드 돌기(154), 및 스토퍼(155)가 형성되는 중심부분일 수 있다. 몸체부(151)는 메일 하우징(도 1의 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51)는 메일 하우징(110) 내에서 제1 방향(X) 또는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돌출부(152)는 몸체부(151)에서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2)는 후술될 홀더(250)의 수용부(252)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돌출부(152)가 수용부(252)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기에,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일 단자(120)와 피메일 단자(220) 간의 휨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로크부(153)는 돌출부(152)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로크부(153)는 돌출부(152)의 측벽에서 제2 방향(Y) 또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로크부(153)는 제1 로크부(153a)와 제2 로크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크부(153a)는 돌출부(152)의 제1 측벽(152SW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크부(153a)는 제1 측벽(152SW1)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로크부(153b)는 돌출부(152)의 제2 측벽(152SW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크부(153b)는 제2 측벽(152SW2)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벽(152SW2)은 제1 측벽(152SW1)과 대향할 수 있다.
즉, 돌출부(152)는 제1 방향(X)으로 연장하고, 로크부(153)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2)의 연장 방향과 로크부(153)의 돌출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크부(153)는 후술될 홀더(250)의 피로크부(253)와 로크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로크부(153)와 피로크부(253)가 로크 결합하여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는 몸체부(15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는 몸체부(151)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제3 방향(Z) 또는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154)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돌출부(152)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제1 방향(X)을 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제1 방향(-X)을 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154)는 홀더(250)의 가이드 경사면(254)을 따라 삽입 가능할 수 있다.
돌출부(152)는 제1 방향(X)으로 돌출되고, 로크부(153)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고, 가이드 돌기(154)는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2)의 돌출 방향과 로크부(153)의 돌출 방향과 가이드 돌기(154)의 돌출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 부재(150)는 로크부(153)와 가이드 돌기(154)를 구비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홀더(25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부재(150) 내의 메일 단자(도 1의 120)와 홀더(250)의 피메일 단자(도 1의 220) 간의 휨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스토퍼(155)는 몸체부(151)의 내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55)는 제1 스토퍼(155a)와 제2 스토퍼(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55a)와 제2 스토퍼(155b)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155a)가 몸체부(151)의 좌상단에 배치된다면, 제2 스토퍼(155b)는 몸체부(151)의 우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스토퍼(155a)가 몸체부(151)의 우상단에 배치된다면, 제2 스토퍼(155b)는 몸체부(151)의 좌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토퍼(155a)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토퍼(155b)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퍼(155)는 메일 하우징(110)과 이동 부재(150)를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155)는 메일 하우징(110) 내에서 이동 부재(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55)는 후술될 메일 하우징(110)의 걸림 턱(도 7의 11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 부재(150)가 이동하면, 스토퍼(155)가 걸림 턱(도 7의 115)에 고정되어 이동 부재(1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250)는 몸통부(251), 수용부(252), 피로크부(253) 및 가이드 경사면(254)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251)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통부(251)는 수용부(252), 피로크부(253), 및 가이드 경사면(254)이 형성되는 중심부분일 수 있다. 몸통부(251)는 피메일 하우징(도 1의 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252)는 몸통부(251)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52)는 이동 부재(150)의 돌출부(152)가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동 부재(150)의 제1 방향(X)으로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152)가 수용부(252)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52)는 수용부(25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52)가 수용부(252)에 삽입되어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피로크부(253)는 몸통부(251)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피로크부(253)는 수용부(252)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피로크부(253)는 몸통부(251)의 내측벽에서 제2 방향(Y) 또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피로크부(253)는 제1 피로크부(253a)와 제2 피로크부(2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로크부(253a)는 몸통부(251)의 일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로크부(253b)는 몸통부(251)의 타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로크부(253a)는 몸통부(251)의 일측벽에서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피로크부(253b)는 몸통부(251)의 타측벽에서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피로크부(253a)는 제1 로크부(153a)와 로크 결합할 수 있다. 제2 피로크부(253b)는 제2 로크부(153b)와 로크 결합할 수 있다. 제1 로크부(153a)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고, 제1 피로크부(253a)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기에 서로 로크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로크부(153b)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고, 제2 피로크부(253b)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기에 서로 로크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로크부(153)와 피로크부(253)는 서로 돌출부(152)의 연장 방향(X 방향)과 수직한 방향(Y 방향)으로 로크 결합되기에, 결합이 보다 더 안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결합이 돌출부(152)의 양측에서 이루어지기에 보다 더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로크부(253)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피로크부(253)는 후술될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도 5의 110c)를 타고 로크부(15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가이드 경사면(254)은 몸통부(25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경사면(254)은 이동 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4)가 삽입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즉, 이동 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4)는 가이드 경사면(254)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154)는 탄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이동 부재와 도 2의 홀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5는 X-Y 평면에서의 단면일 수 있고, 도 6은 X-Z 평면에서의 단면일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로크부(153)와 피로크부(25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피로크부(253)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피로크부(253)는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를 타고 로크부(153)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는 메일 하우징(110)의 측벽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의 두께는 -제1 방향(-X)을 향함에 따라 점점 두꺼워진다.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의 두께는 제1 방향(X)을 향함에 따라 점점 얇아진다. 따라서,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 피로크부(253)는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를 타고 로크부(153)와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이동 부재(150)의 돌출부(152)가 홀더(250)의 수용부(25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피로크부(253)는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를 타고 로크부(153)와 결합될 수 있다. 피로크부(253)와 로크부(153)가 결합될 경우, 피로크부(253)와 로크부(153)는 서로 제1 방향(X)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피로크부(253a)는 제1 로크부(153a)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피로크부(253b)는 제2 로크부(153b)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피로크부(253a)는 제1 로크부(153a)와 제1 방향(X)으로 오버랩된다. 제2 피로크부(253b)는 제2 로크부(153b)는 서로 제1 방향(X)으로 오버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54)는 가이드 경사면(254)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제1 방향(X)을 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진다. 가이드 돌기(154)의 제3 방향(Z)으로의 두께는 -제1 방향(-X)을 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두꺼워진다. 가이드 돌기(154)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 돌기(154)는 홀더(250)의 가이드 경사면(25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는 로크부(153) 및 피로크부(253)의 로크 결합과, 가이드 돌기(154) 및 가이드 경사면(254)의 삽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는 로크부(153) 및 피로크부(253)의 로크 결합 및 가이드 돌기(154)의 삽입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되기에 보다 더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크부(153) 및 피로크부(253)의 로크 결합은 제2 방향(Y)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돌기(154)의 삽입은 제3 방향(Z)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크부(153) 및 피로크부(253)의 로크 결합 및 가이드 돌기(154)의 삽입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에,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는 보다 더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이동 부재와 도 2의 메일 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7은 X-Y 평면에서의 단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토퍼(155a)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메일 하우징(110)은 걸림 턱(1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 제1 스토퍼(155a)는 걸림 턱(115)에 걸리게 된다. 즉, 제1 스토퍼(155a)와 걸림 턱(115)은 이동 부재(150)와 메일 하우징(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스토퍼는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 제2 스토퍼는 걸림 턱(115)에 걸리게 된다. 즉, 제1 스토퍼와 걸림 턱(115)은 이동 부재(150)와 메일 하우징(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 방법은 돌출부가 수용부에 삽입되는 것(S110), 로크부와 피로크부가 서로 결합하는 것(S120), 및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경사면에 삽입되는 것(S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는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먼저 돌출부가 수용부에 삽입되고, 이어서 로크부와 피로크부가 서로 결합되고, 이어서,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경사면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여 돌출부(152)가 수용부(252)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피로크부(253)는 로크부(153)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로크부(253)는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를 타고 로크부(153)와 결합될 수 있다(S120).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는 제1 방향(X)으로 향할수록 얇은 두께를 갖기에,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되면, 피로크부(253)는 챔퍼(110c)를 타고 로크부(153)와 로크 결합될 수 있다. 피로크부(253)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챔퍼(110c)를 타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돌기(154)는 아직 가이드 경사면(254)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54)가 가이드 경사면(254)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는 제3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54)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 가이드 돌기(154)가 제3 방향(Z)으로 밀리면서 가이드 경사면(254)을 타고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가 가이드 경사면(254)에 삽입됨에 따라 커넥터의 결합이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일차적으로 로크부(153)와 피로크부(253)의 로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차적으로 가이드 돌기(154)의 가이드 경사면(254)으로의 삽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 부재(150)와 홀더(250) 간의 결합이 안정되고, 메일 단자(120) 및 피메일 단자(220) 간의 휨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해체 방법은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경사면에서 해체되는 것(S210), 로크부와 피로크부의 결합이 해체되는 것(S220), 및 돌출부가 수용부에서 해체되는 것(S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는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먼저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경사면에서 해체되고, 이어서 로크부와 피로크부의 결합이 해체되고, 이어서, 돌출부가 수용부에서 해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54)가 가이드 경사면(254)을 따라 해체될 수 있다.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 돌기(154)의 탄성이 풀릴 수 있다. 가이드 돌기(154)는 삽입된 가이드 경사면(254)을 따라 해체될 수 있다. 이 때, 로크부(153)와 피로크부(253)의 결합은 해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부재(15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피로크부(253)와 로크부(153)의 결합이 해체된다. 피로크부(253)는 메일 하우징(110)의 챔퍼(110c)를 따라 이동하면서 로크부(153)와 결합이 해체될 수 있다. 이어서, 돌출부(152)는 수용부(252)에서 해체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메일 하우징 210: 피메일 하우징
120: 메일 단자 220: 피메일 단자
150: 이동 부재 151: 몸체부
152: 돌출부 153: 로크부
154: 가이드 돌기 155: 스토퍼
250: 홀더 251: 몸통부
252: 수용부 253: 피로크부
254: 가이드 경사면 115: 걸림 턱

Claims (7)

  1.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일 단자가 구비되는 메일 하우징;
    상기 메일 하우징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메일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메일 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 하우징;
    상기 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에서 상기 몸체부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몸통부,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몸체부보다 돌출된,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후,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홀더 내에 삽입되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몸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경사면을 따라 삽입 가능한,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탄성을 갖는, 커넥터.
KR1020240028982A 2022-06-03 2024-02-28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65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8982A KR102652499B1 (ko) 2022-06-03 2024-02-28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891A KR20230167803A (ko) 2022-06-03 2022-06-03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40028982A KR102652499B1 (ko) 2022-06-03 2024-02-28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891A Division KR20230167803A (ko) 2022-06-03 2022-06-03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94A true KR20240031294A (ko) 2024-03-07
KR102652499B1 KR102652499B1 (ko) 2024-03-29

Family

ID=89159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891A KR20230167803A (ko) 2022-06-03 2022-06-03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40028982A KR102652499B1 (ko) 2022-06-03 2024-02-28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891A KR20230167803A (ko) 2022-06-03 2022-06-03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6780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12B1 (ko) * 2007-12-10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50445B1 (ko) * 2017-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방수 커넥터
KR20200008269A (ko) * 2018-07-16 2020-01-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 커넥터
KR20210011257A (ko) * 2019-07-22 2021-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12B1 (ko) * 2007-12-10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50445B1 (ko) * 2017-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방수 커넥터
KR20200008269A (ko) * 2018-07-16 2020-01-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 커넥터
KR20210011257A (ko) * 2019-07-22 2021-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03A (ko) 2023-12-12
KR102652499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159B2 (en) Connector that enables connection between circuit boards with excellent space efficiency
JP5692421B1 (ja) 電気コネクタ
US730031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ggered contacts
KR101625745B1 (ko) 상호 계합 커넥터 장치
US1058118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US20090156046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atch
US10749295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US803385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00009494A (ko) 커넥터
US20180261946A1 (en) Connector
WO2015019842A1 (ja) コネクタ
US7255614B1 (en) Electrical terminal
US9564711B2 (en) Connector having an operation member and a locking member
US20060116017A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9468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US9882303B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KR102652499B1 (ko)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EP1998412B1 (en)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2007507842A (ja) 急速切断システム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2014004537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Housing
EP2477280A1 (en) Connector
US6551146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US702195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220302648A1 (en) Connector mating method and connecto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