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060A - 체인 텐셔너 - Google Patents

체인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060A
KR20240031060A KR1020230108351A KR20230108351A KR20240031060A KR 20240031060 A KR20240031060 A KR 20240031060A KR 1020230108351 A KR1020230108351 A KR 1020230108351A KR 20230108351 A KR20230108351 A KR 20230108351A KR 20240031060 A KR20240031060 A KR 20240031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locking member
holding portion
receiving hole
chain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고 오사와
타이키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24003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1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 F16H2007/0855Ratchets comprising a clip member engaging with the rack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 작업 및 메인터넌스 작업에 따른 수고를 억제하고, 플런저의 운동을 충분히 감쇠할 수 있고, 플런저나 텐셔너 바디의 가공 코스트나 대형화를 억제 가능한 체인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런저 수용홀(111)을 갖는 텐셔너 바디(110), 플런저(120)와, 플런저(120)를 바이어스 하는 부세부재(S)를 구비하는 체인 텐셔너(100)로서, 플런저(120)는 계지부재(130)가 맞물림 가능한 플런저 철부(122)를 갖고,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에는 계지부재 유지부(113)가 설치되고, 계지부재 유지부(113)의 플런저 진입 방향측의 단부에는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얕게 형성된 경사면(114)이 설치되고, 계지부재(130)는 플런저 철부(122)와 맞물려서 계지부재 유지부(113) 내에서 단면이 탄성변형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인 텐셔너{CHAIN TENSIONER}
본 발명은, 일방이 개방된 플런저(plunger) 수용홀(收容穴, bore)을 갖는 텐셔너 바디와, 상기 플런저 수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付勢) 하는 부세부재(付勢部材, biasing member)를 구비하고, 체인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체인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체인 텐셔너로서, 예를 들면,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킷 사이에 무단으로 걸어 돌린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주행 안내 슈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체인 텐셔너에 의해 주행 안내 슈를 갖는 요동 체인 가이드를 바이어스 하는 것이 특허문헌 1 등에서 공지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체인 텐셔너는, 일방이 개방된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을 갖는 텐셔너 바디(하우징(1))와,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플런저(3)와, 플런저(3)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 하는 부세부재(리턴 스프링)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3)에는, 외주면에 복수의 원환 형상의 플런저 철부(벽면(331, 332))를 갖고 있고, 플런저 철부(벽면(331, 332))에 맞물림(係合, engage) 가능한 계지부재(係止部材, locking member)(레지스터 링(7))가 맞물림 가능하게 플런저(3)의 주위에 장착(取付, attach)되어 있다.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과 플런저(3)의 내부는 오일이 공급되고 있고, 오일의 유압에 의해 엔진 운전 중의 체인으로부터의 진동을 플런저(3)가 받아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 내를 진퇴 이동했을 때에, 플런저(3)의 운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계지부재(레지스터 링(7))는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의 개방측에 설치된 계지부재 유지부(가이드 홈(18)) 내를 이동 가능하고, 플런저의 진퇴 이동에 소정량 추종하여 진퇴 이동할 수 있지만, 플런저(3)가 계지부재 유지부(가이드 홈(18))의 형성 범위보다 크고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의 개방부측으로 이동했을 경우는, 계지부재(레지스터 링(7))은 확경하여 플런저 철부(벽면(331, 332))의 경사면(테이퍼면)을 넘어서는 위치에서 플런저 철부(벽면(331, 332))의 로크 벽(331)에 맞물린다.
그 후,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의 진입 방향측으로 플런저(3)가 이동을 시작하면, 계지부재(레지스터 링(7))도 계지부재 유지부(가이드 홈(18)) 내를 플런저(3)와 함께 이동하지만, 계지부재(레지스터 링(7))가 계지부재 유지부(가이드 홈(18))의 경사면(제1 스토퍼(21))에 맞닿으면(當接) 경사면(제1 스토퍼(21))과 로크 벽(331)에 끼워진 계지부재(레지스터 링(7))는 플런저(3)의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의 진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체인이 마모 등에 의해 신장한 경우에서도, 체인을 충분히 가압(押壓)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한 범위 내에서 플런저(3)가 진동하기 때문에, 체인에의 적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립시에서는, 공구나 전용의 조작 도구 등을 사용하여 계지부재(레지스터 링(7))를 계지부재 유지부(가이드 홈(18)) 내에서 확경시키면서 플런저(3)를 플런저 수용홀(실린더부(11))에 삽입하는 작업을 수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005249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서 공지된 체인 텐셔너에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특허문헌 1에서 공지된 체인 텐셔너는, 플런저를 플런저 수용홀에 장착할 때, 공구나 전용의 조작 도구 등을 사용하여 계지부재를 계속 확경시킬 필요가 있고, 엔진 등에 장착된 작업성이 나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도 많아, 조립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에 수고가 걸릴 우려가 있었다.
또, 계지부재가 레지스터 링과 같은 링 형상의 금속 스프링이기 때문에, 계지부재는 경사면과 로크 벽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플런저의 플런저 수용홀에 진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지만, 쿠션성이 부족한 금속 등으로 구성된 계지부재로 플런저의 진입하는 기세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엔진 시동시나 고속 회전시 등의 운전 조건이나 오일 펌프의 성능이 불충분한 경우 등, 텐셔너 내에 오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트로크량은 규제할 수 있지만 플런저의 운동의 기세 자체를 감쇠할 수 없고, 텐셔너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우려나, 체인이 플런저의 불안정한 동작에 추종하지 못하고 덜컹거림으로써(rattling) 큰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 계지부재가 레지스터 링과 같은 링 형상의 지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금속 스프링이면, 플런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하기 위해, 플런저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계지부재와 맞물리는 플런저 철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플런저의 가공 코스트가 증가할 우려가 있었다.
또, 레지스터 링과 같은 계지부재를 확경시키기 위한 공구나 전용 조작 도구 등에 의한 조작부를 필요로 하고, 플런저 수용홀의 주위에 조작 도구를 진입시키기 위한 공간을 설치하기 위해 텐셔너 바디를 대형화해 버릴 우려나, 텐셔너 바디의 가공 코스트가 증가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 작업이나 메인텐넌스 작업에 수반하는 수고를 억제하고, 텐셔너 내에 오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플런저의 운동을 충분히 감쇠할 수 있어, 플런저나 텐셔너 바디의 가공 코스트나 대형화를 억제 가능한 체인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체인 텐셔너는, 일방이 개방된 플런저 수용홀을 갖는 텐셔너 바디와, 상기 플런저 수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 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한 체인 텐셔너로서, 상기 플런저는 외주면에 계지부재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플런저 철부를 갖고, 상기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에는 상기 플런저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계지부재를 유지하는 계지부재 유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의, 적어도 상기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수용홀에 진입하는 방향인 플런저 진입 방향측의 단부에는,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얕게 형성된 경사면이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플런저 철부와 맞물려서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서 단면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체인 텐셔너에 의하면, 플런저는 외주면에 계지부재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플런저 철부를 갖고,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에는 계지부재 유지부가 설치되고, 계지부재 유지부의 플런저 진입 방향측의 단부에는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 얕게 형성된 경사면이 설치되고, 계지부재는 플런저 철부와 맞물려서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서 단면이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플런저가 플런저 수용홀 내에서 운동한 경우에도, 계지부재가 플런저 철부와 플런저 수용홀의 경사면에 끼워져 압축됨으로써, 플런저의 플런저 진입 방향측으로의 운동을 감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 수용홀 및 플런저 내에 오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분히 플런저의 플런저 수용홀에 진입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기세를 계지부재로 감쇠할 수 있어, 체인의 덜컹거림이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체인이 마모 등으로 늘어났을 때에, 플런저가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계지부재가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서 확경하여 플런저 철부를 넘어서 플런저의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플런저가 다시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해도, 넘어간 플런저 철부에 계지부재가 맞물려서 플런저 철부와 플런저 수용홀의 경사면에 끼워져 압축되어 플런저의 플런저 수용홀로의 진입 방향측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계지부재를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하면, 공구나 조작 도구 등의 필요 없이 간단히 계지부재를 신축할 수 있어, 플런저의 주위에 간단히 맞물릴 수 있다.
또, 공구나 조작 도구에 의해 작업하기 위한 공간을 텐셔너 바디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체인 텐셔너의 가공 코스트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플런저 철부는 플런저의 외주면에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의 외주면의 방향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플런저 철부에 계지부재 유지부 내의 계지부재를 맞물릴 수 있고, 플런저를 방향 규제하는 구성이 필요 없고,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계지부재 유지부의 용적은 계지부재의 용적 이상이기 때문에, 플런저가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으로 이동할 때, 계지부재가 확경이나 단면을 탄성변형함으로써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 모두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에 계지부재로부터 큰 저항을 부여하지 않고 플런저를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계지부재 유지부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지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는 플런저 전체 둘레에 걸쳐 플런저 철부에 맞물릴 수 있고, 플런저의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의 운동을 전 둘레에 균일한 힘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 레지스터 링 등 종래의 금속 링용의 계지부재 유지부가 설치된 텐셔너 바디를 유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도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계지부재 유지부는 플런저 수용홀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된 복수의 구멍(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지부재는 구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 유지부 및 계지부재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플런저에 주는 계지부재로부터의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계지부재 유지부는 플런저 수용홀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계지부재는 단부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 유지부 및 계지부재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플런저에 주는 계지부재로부터의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계지부재 유지부의 홈의 방향이나 플런저의 외주면과 플런저 수용홀 사이로부터의 오일 리크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계지부재는 계지부재 유지부에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철부와 경사면에 끼워진 계지부재가 압축되어 크게 단면을 탄성변형한 경우에서도, 계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확실하게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 머물고, 압축을 해제한 계지부재가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 위치한 상태로 확실하게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또, 체인 텐셔너 조립시의 계지부재의 위치 어긋남이나 낙하, 플런저와 플런저 수용홀 사이에의 얽힘(entanglement)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의 A부 모식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의, 플런저(120)가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A부 모식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의, 플런저(120)가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으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A부 모식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는 설명을 위해 텐셔너 바디(110), 플런저(120) 및 계지부재(130) 이외의 구성을 도시하지 않는다.
체인 텐셔너(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이 개방된 플런저 수용홀(111)을 갖는 텐셔너 바디(110)와, 플런저 수용홀(111)에 슬라이딩(摺動)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플런저(120)와, 플런저(120)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付勢) 하는 부세부재(S)를 구비하고 있다.
텐셔너 바디(110)에는 플런저 수용홀(111)의 안(奧)에 오일 공급로(112)가 설치되어 있고, 오일 공급로(112)와 플런저 수용홀(111)은 체크 밸브(V)를 통해 차단됨과 동시에, 오일 공급로(112)측의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V)를 개방 가능 또는 오일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의 내주면에는, 플런저 수용홀(111)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의 계지부재 유지부(113)가 환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재 유지부(113)는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의 계지벽(115)과 경사면(114)으로 구성되고, 경사면(114)은 플런저 수용홀(111)의 안쪽(奧側)으로 나아감에 따라 서서히 얕아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계지부재 유지부(113)의 용적은 적어도 후술하는 계지부재(130)의 용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120)는, 플런저 홀(121)과, 플런저(120)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 철부(122) 및 플런저 요부(123)를 갖는다.
플런저 홀(121)은 부세부재(S)가 진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부세부재(S)는 플런저(120)를 항상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으로 바이어스 한다.
계지부재(130)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외력에 의해 단면 형상이 탄성변형 가능한 환 형상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계지부재(130)의 내경은 적어도 플런저 철부(122)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의 플런저(120) 및 계지부재(130)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텐셔너 바디(110)의 플런저 수용홀(111)과 오일 공급로(112)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체크 밸브(V)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부세부재(S), 플런저(120) 및 계지부재(130)가 플런저 수용홀(111) 내에 장착된다.
또한, 계지부재(130)는 가장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에 설치된 플런저 요부(123)와 계지부재 유지부(113)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체인 텐셔너(100)의 플런저(120)의 진동 감쇠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런저(120)는 부세부재(S)에 의해 항상 돌출 방향, 즉 플런저 수용홀(111)의 개방측으로 바이어스 되고, 이로 인해 안내 슈(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걸어 돌려진 체인(도시하지 않음)에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 수용홀(111) 및 플런저 홀(121)로 형성된 공간은 압유실이 되어,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은, 오일 공급로(112)로부터 체크 밸브(V)를 통해 공급된 오일로 채워지기 때문에, 플런저(120)가 안내 슈(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받는 진동을 감쇠하는 유압 댐퍼로서 기능하고 있고, 이에 의해 플런저(120)의 진동의 기세를 감쇠할 수 있고, 체인의 덜컹거림이나 소음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압유실 내의 오일은 플런저 수용홀(111)이나 플런저(120)에 설치된 오일 리크 통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약간 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엔진의 첫 시동시나, 잠시 동작하고 있지 않은 엔진을 작동시킨 직후는, 압유실 내가 오일로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가 되는 일이 있어, 유압 댐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플런저(120)의 진동의 기세를 감쇠하지 못하고, 플런저(120)의 불안정한 동작에 수반하여 체인의 덜컹거림이나 소음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여기서, 엔진 시동시에서의 플런저(120)의 진동에 대한 계지부재(130)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플런저(120)가 플런저 수용홀(111) 내로 진입하는 방향(이하, 플런저 진입 방향이라고 함)으로 이동할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재(130)는 플런저 철부(122)와 함께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계지부재 유지부(113)의 경사면(114)이 플런저 수용홀(111)의 안쪽(奧側)으로 나아감에 따라 서서히 얕아 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130)는 경사면(114)과 플런저 요부(123a) 사이에서 단면을 탄성변형하면서 어느 정도 추종하지만, 이윽고 계지부재(130)의 반력을 플런저 요부(123a)를 통해 플런저(120)에 전달하여, 플런저(120)의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서서히 억제하여 멈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시동시 등에서 압유실 내에 오일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여도, 계지부재(130)의 단면이 탄성변형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으로 플런저(120)의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충분히 감쇠할 수 있어, 체인의 덜컹거림이나 소음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런저(120)의 플런저 수용홀(11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하, 플런저 돌출 방향이라고 함)으로 이동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재(130)는 계지벽(115)에 접촉할 때까지는 플런저(120)와 함께 플런저 돌출 방향으로 이동한다.
계지부재(130)가 계지벽(115)과 접촉하면, 계지부재(130)는 이동이 차단되지만, 플런저(120)는 플런저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계지부재(130)는 플런저 요부(123a)로부터 플런저 철부(122)를 따라 서서히 확경함과 동시에, 계지부재 유지부(113)의 형상에 맞춰 단면을 탄성변형 시킨다.
이에 의해, 계지부재(130)에 의한 플런저 요부(123a)와 플런저 철부(1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플런저(120)는 계지부재(130)로부터의 저항을 받지 않고 플런저 돌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가이드 슈를 통해 체인을 가압(押壓)한다.
이 때, 체인이 마모 등으로 늘어났을 경우, 플런저(120)의 돌출량이 증가하고, 계지부재(130)가 플런저 철부(122)를 넘어 플런저 요부(123b)에 들어간다.
또한, 계지부재 유지부(113)의 용적은, 계지부재(130)의 용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 철부(122)를 넘을 때 계지부재(130)의 대부분이 계지부재 유지부(113) 내로 이동할 수 있고, 플런저(120)의 플런저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 계지부재(130)로부터 큰 저항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다시 플런저(120)가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플런저 요부(123b) 및 경사면(114)에 끼워진 계지부재(130)에 의해, 플런저(120)의 이동의 기세를 감쇠하면서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인이 마모 등에 의해 늘어난 경우에서도, 체인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한 범위 내에서 플런저(120)가 진동하기 때문에, 체인으로의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계지부재(130)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단부를 갖는 봉 형상이나 구체 형상으로 계지부재를 형성하고, 계지부재의 형상에 맞춰 플런저 수용홀(111)의 내주면에 복수의 오목 홈 형상(凹溝狀)이나 구멍 형상(穴狀) 등의 계지부재 유지부를 형성해도 좋고, 계지부재의 수나 형상에 맞춰 플런저의 외주면에 플런저 철부나 플런저 요부를 돌기 형상이나 오목 홈 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계지부재(130)를 구체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는, 계지부재 유지부 및 계지부재의 수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플런저에 주는 계지부재로부터의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계지부재(130)를 단부를 갖는 홈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는, 계지부재 유지부 및 계지부재의 수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플런저에 주는 계지부재로부터의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계지부재 유지부의 홈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플런저의 외주면과 플런저 수용홀 사이로부터의 오일 리크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 계지부재(130)의 일부를 계지부재 유지부(113)에 접착이나 용착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플런저 철부(122)와 경사면(114)에 끼워진 계지부재(130)가 압축되어 크게 단면을 탄성변형한 경우에도, 계지부재(130)의 적어도 일부는 확실하게 계지부재 유지부(113) 내에 머물고, 압축을 해제한 계지부재(130)가 계지부재 유지부(113)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체인 텐셔너(100) 조립시의 계지부재(130)의 위치 어긋남이나 낙하, 플런저(120)와 플런저 수용홀(111) 사이의 얽힘(entanglement)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계지부재 유지부는 경사면과 계지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계지부재 유지부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경사면과 계지벽을 잇는 접속벽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경사면이 단계적으로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계지부재는 환 형상(環狀), 단부를 갖는 봉 형상(棒狀), 구체 형상(球體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계지부재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통 형상(筒狀), 각기둥 형상(角柱狀), 각뿔체 형상(角錐體狀)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 수용홀이나 플런저에는 오일 리크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오일 리크 통로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런저 수용홀과 플런저 사이의 경미한 간극을 오일 리크 통로로 해도 좋고, 계지부재의 표면에 홈을 설치해 오일 리크 통로로 해도 좋다.
100 ···체인 텐셔너
110 ···텐셔너 바디
111 ···플런저 수용홀
112 ···유 공급로
113 ···계지부재 유지부
114 ···경사면
115 ···계지벽
120 ···플런저
121 ···플런저 홀
122 ···플런저 철부
123, 123a, 123b ···플런저 요부
130 ···계지부재
S ···부세부재
V ····체크 밸브

Claims (7)

  1. 일방이 개방된 플런저 수용홀을 갖는 텐셔너 바디와, 상기 플런저 수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돌출 방향으로 바이어스 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한 체인 텐셔너로서,
    상기 플런저는 외주면에 계지부재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플런저 철부를 갖고,
    상기 플런저 수용홀의 개방측에는 상기 플런저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계지부재를 유지하는 계지부재 유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의, 적어도 상기 플런저가 상기 플런저 수용홀에 진입하는 방향인 플런저 진입 방향측의 단부에는, 플런저 진입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얕게 형성된 경사면이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플런저 철부와 맞물려서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 내에서 단면이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철부는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의 용적은 상기 계지부재의 용적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는 상기 플런저 수용홀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된 복수의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재는 구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는 상기 플런저 수용홀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재는 단부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계지부재 유지부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셔너.
KR1020230108351A 2022-08-29 2023-08-18 체인 텐셔너 KR20240031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36286 2022-08-29
JP2022136286A JP2024032565A (ja) 2022-08-29 2022-08-29 チェーンテンショ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060A true KR20240031060A (ko) 2024-03-07

Family

ID=8999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351A KR20240031060A (ko) 2022-08-29 2023-08-18 체인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8547A1 (ko)
JP (1) JP2024032565A (ko)
KR (1) KR20240031060A (ko)
CN (1) CN117628129A (ko)
BR (1) BR102023014583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249A (ja) 2000-06-16 2002-01-09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249A (ja) 2000-06-16 2002-01-09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23014583A2 (pt) 2024-03-05
US20240068547A1 (en) 2024-02-29
JP2024032565A (ja) 2024-03-12
CN117628129A (zh)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4989A (ko) 체인 텐셔너
KR101280280B1 (ko) 유압 텐셔너
CN109210158B (zh) 张紧装置
WO2012144402A1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US20110287880A1 (en) Chain tensioner
KR102054151B1 (ko) 텐셔너
CN108799426B (zh) 链条张紧装置
KR20190099134A (ko) 체인 텐셔너
KR101927588B1 (ko) 텐셔너
KR20170024536A (ko) 텐셔너
JP4980798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010121748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N108431455B (zh) 用于链传动装置的液压的张紧设备
JP4243793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WO2020032094A1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20240031060A (ko) 체인 텐셔너
JP2012017824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3072493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200149614A1 (en) Tensioner
JP4991490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N110686055A (zh) 张紧装置
KR20100063483A (ko) 쿠션링 조립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JP2007239822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US20170108093A1 (en) Tensioner
JP2005180544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