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670A -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670A
KR20240030670A KR1020220110011A KR20220110011A KR20240030670A KR 20240030670 A KR20240030670 A KR 20240030670A KR 1020220110011 A KR1020220110011 A KR 1020220110011A KR 20220110011 A KR20220110011 A KR 20220110011A KR 20240030670 A KR20240030670 A KR 20240030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container
housing
spray nozzle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670A/en
Publication of KR2024003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67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4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영역이 형성되어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관통 영역에 삽입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아래쪽이 개방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이동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하우징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이동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승강 유닛;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컨테이너 콘을 포함하는 전처리 대상물을 향해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블라스팅 유닛을 포함한다.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is disclosed.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ncludes a fixed housing that has a penetration area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llar; a movable housing having a concave shape with its bottom open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area to form a receiving space; a lifting unit each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and the movable housing to raise and lower the movable housing relative to the fixed housing; and a blast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to spray abrasive material toward a pretreatment object including a container cone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Description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 spray nozzle elevation structure.

선박의 건조에 있어서 도장은 선박의 내구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도장 작업은 도료를 분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작업 행위인 스프레이 작업과, 표면을 클리닝하여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거칠게 가공하여 도료 부착력을 높여주는 작업 행위인 전처리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ship construction, painting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urability of a ship. Painting work can be divided into spraying work, which is the work of spraying paint to form a film, and pretreatment work, which is the work of cleaning the surface to prevent rust and roughing it to increase paint adhesion.

여기서, 전처리 작업은 전체 도장 작업의 80% 이상이 소요되고, 에어 그라인더와 같은 그라인딩 장비를 사용하여 표면을 갈아내는 매우 힘든 작업이다. Here, the pretreatment work takes more than 80% of the total painting work and is a very difficult task that involves grinding the surface using grinding equipment such as an air grinder.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이어진 용접선을 따라가며 전처리 작업이 가능한 캐리지 형태의 장비로 블라스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promot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orkers performing pretreatment work, blasting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s carriage-type equipment that can perform pretreatment work while following a continuous weld line.

이러한 블라스팅 장치는 주로 직각면이 만나는 용접선이나 평면이 만나는 용접선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다. These blasting devices are mainly developed for welding lines where right angles meet or welding lines where planes meet.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바닥의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컨테이너 콘(container cone)(70)이 용접 설치된다. In the case of a container ship, as shown in FIG. 1, a container cone 70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at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컨테이너 콘(70)은 컨테이너 박스를 화물창 바닥에 안착시킬 때, 컨테이너 박스의 하부 코너에 용접된 코너 피팅(corner fitting)을 안착시켜, 컨테이너 박스가 전후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When seating a container box on the cargo hold floor, the container cone 70 seats a corner fitting welded to the lower corner of the container box, preventing the container box from flow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컨테이너 콘(70)의 상단은 코너 피팅의 캐스트 홀에 잘 삽입되도록 대략적인 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개선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캐스트 홀이 컨테이너 콘(70)에 안착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전후좌우 방향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The top of the container cone 70 is inclined in a roughly horn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ast hole of the corner fitting, and a welding improvement surface for wel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is formed at the bottom. Accordingly, the cast hole is seated on the container cone 70, so that the flow of the container box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suppressed.

그러나, 캐리지 형태로 개발되는 종래의 블라스팅 장치는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 설치되는 컨테이너 콘(70)을 위한 전처리 작업에는 이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lasting device developed in the form of a carriag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be used for pretreatment work for the container cone 70, which has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shape and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at regular intervals.

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라고 단정될 수는 없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technical background section of this invention are for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cannot be assumed to b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311호(2019.09.18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9-0002311 (published on September 18, 2019)

본 발명은 화물창 바닥에서 더블 패드의 상면에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설치되는 컨테이너 콘의 전처리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 spray nozzle elevating structure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treatment work on container cones that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a cargo hold on the upper surface of a double pad and are welded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은 돌출된 컨테이너 콘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고정 하우징을 위치시키면, 이동 하우징에 장착된 분사 노즐이 이동 하우징의 이동에 상응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더블 패드 및 컨테이너 콘에 대한 전처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xed housing is positioned so that the protruding container con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spray nozzle mounted on the mobile housing rises or fall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housing, thereby completing the pretreatment work for the double pad and container co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that can be lifted.

본 발명은 컨테이너 콘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시 비산되는 먼지 및 연마재가 수용 공간 내에 머무르도록 하여 먼지 및 연마재의 외부 확산이 억제되고,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먼지를 흡입하여 회수함으로써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분사 노즐 승강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external diffusion of dust and abrasives by allowing the dust and abrasives scattered during the blasting operation on the container cone to stay within the receiving space, and effectively complies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suctioning and recovering the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 correspond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영역이 형성되어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관통 영역에 삽입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아래쪽이 개방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이동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하우징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이동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승강 유닛;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컨테이너 콘을 포함하는 전처리 대상물을 향해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블라스팅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해 측부가 한정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의해 상부와 측부가 한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연마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재와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분사기 몸체; 및 상기 분사기 몸체에 유입된 연마재와 압축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상기 전처리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housing is formed with a penetration area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llar; a movable housing having a concave shape with its bottom open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area to form a receiving space; a lifting unit each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and the movable housing to raise and lower the movable housing relative to the fixed housing; and a blast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to spray abrasive material toward a pretreatment object including a container cone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wherein the receiving space is defined at a side by the fixed housing, and It is formed with a limited top and sides by a movable housing, and the blasting unit includes: a sprayer body into which abrasive material supplied from an abrasive material supply unit and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are introduced; and a spray nozzle that sprays the abrasive and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sprayer body toward the pretreatment object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s provided.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이동 하우징의 상부면에 몸체의 일측이 고정되고, 몸체의 타측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주 승강판; 및 상기 가이드 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수직 자세로 고정된 주 가이드바와, 상기 주 가이드바가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주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includes: a main lifting plate on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and a guide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 main guide bar fixed in a vertical position to be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and a driving force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to raise or lower the main lifting plate along a path formed by the main guide bar,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xed housing. It may include a height adjuster fixedly mounted on the side.

컨트롤러는 상기 분사 노즐이 연마재를 분사되는 동안 상기 이동 하우징이 미리 지정된 한계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한계 높이까지 상기 이동 하우징이 상승되면 상기 분사 노즐의 연마재 분사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o that the movable housing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limit height while the spray nozzle sprays abrasive, and when the movable housing is raised to the limit height, the abrasive spray operation of the spray nozzle ends.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는, 더블패드에 용접 고정된 컨테이너 콘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된 컨테이너 콘을 끼움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측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는 콘 끼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 끼움부에 컨테이너 콘이 끼움 고정되면,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한 컨테이너 콘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 및 상기 콘 끼움부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e fitting part fix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to fit and secure a container cone located outside the receiving space among the container cones welded and fixed to the double pad, wherein the cone When the container cone is fitted into the fitting, the sizes of the fixed housing, the movable housing, and the cone fitting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spray nozzle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container cone loca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분사 노즐은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분사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기 몸체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시 노즐 구조를 가지되, 상기 분사 노즐은 분사구가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ㄴ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ray nozzle is coupled to the sprayer body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has a nozzle structure when rotated wit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prayer body as the center of rotation. It can be formed into a shape bent to face the L shape.

상기 고정 하우징의 몸체에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 및 먼지가 흡입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관이 형성될 수 있다.A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body of the fixed housing so that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are sucked out and dis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창 바닥에서 더블 패드의 상면에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설치되는 컨테이너 콘의 전처리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one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and is effectively used for pretreatment of container cones that are welded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돌출된 컨테이너 콘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고정 하우징을 위치시키면, 이동 하우징에 장착된 분사 노즐이 이동 하우징의 이동에 상응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더블 패드 및 컨테이너 콘에 대한 전처리 작업을 완료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xed housing is positioned so that the protruding container cone is accommoda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the spray nozzle mounted on the movable housing rises or fall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ousing, thereby completing the pretreatment work for the double pad and container cone. There is also.

또한, 컨테이너 콘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시 비산되는 먼지 및 연마재가 수용 공간 내에 머무르도록 하여 먼지 및 연마재의 외부 확산이 억제되고,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먼지를 흡입하여 회수함으로써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diffusion of dust and abrasives is suppressed by allowing dust and abrasives scattered during the blasting operation on the container cone to stay within the receiving space, and by suctioning and recovering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re is also a possible effec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화물창 바닥의 콘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고정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수거 경로를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cone installation on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fixed arrangement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abrasive collection path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외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고정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수거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fixed arrangement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abrasive collection path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는 고정 하우징(110), 이동 하우징(120), 콘 끼움부(140), 블라스팅 유닛, 승강 유닛 및 컨트롤러(1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includes a fixed housing 110, a movable housing 120, a cone fitting 140, a blasting unit, an elevating unit, and a controller 190.

여기서, 블라스팅 유닛은 분사기 몸체(132), 연마재 공급부(134) 및 분사 노즐(136,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승강 유닛은 높이 조절부(150), 주 승강판(151), 보조 승강판(152a, 152b), 주 가이드바(153) 및 보조 가이드바(154a, 154b) 및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lasting unit may include a spray body 132, an abrasive supply unit 134, and a spray nozzle 136 (see FIG. 4), and 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150, a main lifting plate 151, and an auxiliary lifting unit. It may include a lifting plate (152a, 152b), a main guide bar (153), an auxiliary guide bar (154a, 154b), and a controller (190).

고정 하우징(11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관통 영역을 가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컨테이너 콘(70)을 관통 영역에 위치시키도록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안착된다. 도 2 및 도 4에는 고정 하우징(110)과 이동 하우징(120)이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들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The fixed housing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llar with the top and bottom open, having a penetration area that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to position the container cone 70 in the penetration area. do. 2 and 4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fixed housing 110 and the movable housing 1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llar, but their shapes are naturally not limited thereto.

이동 하우징(120)은 고정 하우징(110)의 관통 영역 내에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고정 하우징(110)의 관통 영역 내에 이동 하우징(120)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통 영역의 상측 내경은 이동 하우징(120)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movable housing 120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 In order to allow the movable housing 120 to be inserted and positioned within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penetration area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ovable housing 120.

또한, 고정 하우징(110)의 관통 영역의 하측 내경은 상측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고정 하우징(110)이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컨테이너 콘(70)이 관통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콘(70)의 폭 길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inner diameter of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upper inner diameter, but when the fixed housing 1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the container cone 70 penetrates. It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container cone 70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area.

이동 하우징(120)은 아래쪽이 개방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고정 하우징(110)에 형성된 관통 영역의 둘레면 형상에 대응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하우징(110)의 관통 영역 내에 삽입 배치되어 관통 영역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커버함으로써 관통 영역 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The movable housing 120 is open at the bottom, has a concave shape, and is formed in a pil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on area formed in the fixed housing 110, and is inserted and disposed within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to form the penetration area. Forms a receiving space within the penetration area by covering the open upper area of .

즉, 수용 공간은 고정 하우징(110)에 의해 측부가 한정되고 이동 하우징(120)에 의해 측부와 상부가 한정되어 형성되며, 수용 공간 내에는 고정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부 공간을 통해 도입된 컨테이너 콘(70)이 위치된다. That is, the receiving space is defined on the side by the fixed housing 110 and the side and upper part are defined by the movable housing 120,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rough the open lower space of the fixed housing 110. The container cone 70 is positioned.

이동 하우징(120)은 고정 하우징(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도 4 참조)될 수도 있으나, 이동 하우징(120)과 고정 하우징(110)의 높이 관계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The movable housing 120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height compared to the fixed housing 110 (see FIG. 4), but the he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housing 120 and the fixed housing 110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고정 하우징(110)의 관통 영역에 삽입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이동 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블라스팅 유닛이 장착된다. A blasting uni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1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and positioned to form a receiving space.

블라스팅 유닛은 분사기 몸체(132), 연마재 공급부(134)와 분사 노즐(136)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The blasting unit may include a spray body 132, an abrasive supply 134 and a spray nozzle 136 (see FIGS. 2 and 4).

분사기 몸체(132)와 연마재 공급부(134)는 이동 하우징(120)의 상부면을 경계로 하여 이동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고, 분사 노즐(136)은 수용 공간 내에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이동 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분사기 몸체(132)와 연마재 공급부(134)가 이동 하우징(120)의 외부에 장착되도록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The injector body 132 and the abrasive supply unit 134 may be mounted outside the movable housing 120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120 as a boundary, and the spray nozzle 136 supplies the abrasive within the receiving space. It can be mounted inside the mobile housing 120 to spray. Of cour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jector body 132 and the abrasive supply unit 134 are not limited to being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vable housing 120.

연마재 공급부(134)에는 연마재 공급을 위해 블라스팅 호스가 체결될 수 있다. 연마재 공급부(134)를 통해 공급되는 연마재는 압축 공기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기 몸체(132)로 유입되고, 분사 노즐(136)을 통해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더블 패드(80)와 컨테이너 콘(70)을 향하여 분사된다. A blasting hose may be connected to the abrasive supply unit 134 to supply abrasive. The abrasive supplied through the abrasive supply unit 134 is introduced into the sprayer body 132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not shown), and a double pad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spray nozzle 136 ( 80) and is sprayed toward the container cone 70.

이때, 컨테이너 콘(70)이 용접된 더블 패드(80)의 상부 표면과 컨테이너 콘(70)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전처리 작업(도 6 참조)될 수 있도록, 분사 노즐(136)은 미리 지정된 경사각을 가지고, 분사기 몸체(132)와 분사 노즐(136)이 결합된 결합 부위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축(도 4의 (b)의 P)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식 노즐 구조로 분사기 몸체(132)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분사기 몸체(132)에는 분사 노즐(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jection nozzle 136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to which the container cone 70 is welded and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cone 70 can be pretreated as a whole (see FIG. 6). , It is mounted on the injector body 132 as a rotary nozzle structure that rotates around the vertical axis (P in (b) of Figure 4)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joint area where the injector body 132 and the injection nozzle 136 are combined. do. To this end, the sprayer body 132 may be equipped with a rotation driver (not shown) to rotate the spray nozzle 136.

또한, 분사 노즐(136)은 ㄴ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깥쪽 단부에 위치된 분사구가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장착됨으로써,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연마재가 회전 중심 방향의 하부에 위치된 연마 대상 영역에 효과적이며 집중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136 is formed in an L-shaped bent shape and is mounted with the injection hole located at the outer end facing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so that the abrasive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le is directed to the polishing target located below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Areas can be reached effectively and intensively.

이와 같이, ㄴ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장착된 분사 노즐(136)이 가까운 단부(즉, 분사기 몸체측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분사 노즐(136)의 먼 단부(즉, 컨테이너 콘(70)에 상대적으로 인접된 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으로 회전 이동되며 연마재를 분사시키고, 이로 인해 더블 패드(80)이 상부 표면뿐 아니라 컨테이너 콘(70)의 측면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연마재가 분사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In this way, the spray nozzle 136, which is formed in an L-shaped bent shape and is mount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rotated and driven with the nearby end (i.e., the end on the sprayer body side) as the center of rotation, so that the spray nozzle 136 The far end (i.e., the end relatively adjacent to the container cone 70) is rotated over a relatively large area and sprays the abrasive material, causing the double pad 80 to contact the top surface as well as the sides of the container cone 70. The abrasive can be sprayed over a wide range including (see Figure 6).

분사 노즐(136)이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70)의 수직 상방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 하우징(1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콘 끼움부(140a, 140b)가 고정 장착된다. 여기서, 콘 끼움부(140a, 140b)는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 컨테이너 콘(70)의 크기에 대응되는 끼움 홈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In order to easily position the spray nozzle 136 vertically above the container cone 70 to be pretreated, cone fitting parts 140a and 140b are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110. Here, the cone fitting portions 140a and 140b are formed to have fit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cone 70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 2개의 컨테이너 콘(70) 중 어느 하나를 수용 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컨테이너 콘(70)을 측면 방향에서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하우징(110)의 외측면 양 측의 하부에는 콘 끼움부(140a, 140b)가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A fixed housing ( Cone fitting portions 140a and 140b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110).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 2개의 컨테이너 콘(70) 중 어느 하나에 콘 끼움부(140a, 140b)가 끼워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의 자세가 고정되면, 분사 노즐(136)이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 콘(7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는 폭 길이(L)를 가지도록 고정 하우징(110), 이동 하우징(120) 및 콘 끼움부(140a, 140b)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4, the cone fitting portions 140a and 140b are inserted into one of the two container cones 70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to form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When the posture of ) is fixed, the fixed housing 110, the movable housing 120, and the cone fitting unit are installed so that the injection nozzle 136 has a width and length (L)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other container cone 70. The sizes of (140a, 140b) can be determined.

이를 통해, 더블 패드(80)의 상부면에 쌍(pair)으로 용접 고정된 컨테이너 콘(70)들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도록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를 위치시키기만 하면, 전처리 작업 대상인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 콘(70)은 정확하게 전처리 작업 위치(즉, 분사 노즐(136)의 수직 하부)에 위치된다. Through this, by simply positioning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to fix any one of the container cones 70 welded and fixed in pair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the other one that is subject to pretreatment work The container cone 70 is positioned precisely at the pretreatment operation position (i.e., vertically below the spray nozzle 136).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에서 분사 노즐(136)은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지정된 영역 범위에 대한 무작위의 전처리 작업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정확한 작업 위치 조준을 위한 제어 부담도 제거될 수 있다. In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pray nozzle 136 is mounted to have a pre-specified inclination angle, so random pre-processing work for a designated area range is possible, and this allows accurate aiming at the work position. The control burden can also be eliminated.

또한, 연마재를 이용한 전처리 작업시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분사 노즐(136)의 주변이 수용 공간을 형성한 고정 하우징(110)과 이동 하우징(120)에 의해 전체적으로 밀폐되어 고속 분사되는 연마재의 분산이 억제되고, 회전식 분사에 의해 작업 범위에 대한 양질의 작업 품질 확보를 위한 확률이 향상됨으로써, 한번 설치된 장치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정확하게 어디를 어떻게 작업하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pretreatment using abrasives, the entire area around the spray nozzle 136 is sealed by the fixed housing 110 and the movable housing 120 that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by suppressing the dispersion of the abrasives sprayed at high speed. As the probability of securing good work quality for the work range is improved by rotary spraying, the device, once installed, can solve the existing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heck exactly where and how work was done in real time until the work was completed. There are also characteristics.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 노즐(136)은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7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고, 분사기 몸체(132)와 분사 노즐(136)의 결합 부위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축(도 5의 P)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더블 패드(80) 및 컨테이너 콘(70)을 향해 연마재를 분사함으로써 전처리 작업을 진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pray nozzle 136 is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container cone 70 to be pretreated, and the vertical axis (P in FIG. 5) passes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prayer body 132 and the spray nozzle 136. )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pretreatment work is performed by spraying abrasives toward the double pad 80 and the container cone 70.

이 과정에서, 코너 피팅의 캐스트 홀에 잘 삽입되도록 대략적인 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컨테이너 콘(70)의 전체 영역(즉, 바닥 영역부터 꼭대기 영역까지)이 전처리 작업되도록 분사 노즐(136)은 상승 조작된다. In this process, the spray nozzle 136 is operated upward so that the entire area (i.e., from the bottom area to the top area) of the container cone 70, which is inclined to an approximate horn shape, is pretreated so that it can be well inserted into the cast hole of the corner fitting. do.

분사 노즐(136)이 상승 조작되도록 하기 위해, 블라스팅 유닛이 고정된 이동 하우징(120)을 고정 하우징(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이 구비된다. In order for the spray nozzle 136 to be operated upward, a lifting unit is provided to raise and lower the movable housing 120 on which the blasting unit is fixed relative to the fixed housing 110.

승강 유닛은 높이 조절부(150), 주 승강판(151), 보조 승강판(152a, 152b), 주 가이드바(153) 및 보조 가이드바(154a, 154b)를 포함한다. The lifting unit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unit 150, a main lifting plate 151, an auxiliary lifting plate (152a, 152b), a main guide bar 153, and an auxiliary guide bar (154a, 154b).

높이 조절부(150)는 고정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높이 조절부(150)의 몸체에는 주 가이드바(153)가 수직 자세로 고정 장착되며, 주 승강판(151)을 주 가이드바(153)가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조작한다.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fixed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110, the main guide bar 153 is fixedly mounted on the body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 a vertical position, and the main lifting plate 151 is installed. It is operated to rise or fall along the path formed by the main guide bar 153.

높이 조절부(150)에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190)의 제어에 의해, 주 승강판(151)을 주 가이드바(153)가 형성하는 경로로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위해 구동력 공급 수단(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cludes a driving force supply means (e.g., a driving force supply means)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elevate the main lifting plate 151 along the path formed by the main guide bar 153,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For example, hydraulic cylinders, pneumatic cylinders, etc.) may be included.

주 승강판(151)의 몸체 일측에는 주 가이드바(153)를 관통 삽입시키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몸체 타측은 이동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고정 장착된다. 즉, 주 승강판(151)은 높이 조절부(150)에서 제공되는 힘에 의해 주 가이드바(153)가 형성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주 승강판(151)의 상승 또는 하강에 상응하여 주 승강판(151)에 고정된 이동 하우징(120)도 함께 이동된다.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main guide bar 153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main lifting plate 151,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120. That is, the main lifting plate 151 rises or falls along the movement path formed by the main guide bar 153 by the force provid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and the rising or lowering of the main lifting plate 151 Correspondingly, the movable housing 120 fixed to the main lifting plate 151 is also moved.

주 가이드바(153)는 높이 조절부(150)의 몸체에 수직 자세로 고정 장착되고, 주 승강판(151)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주 승강판(151)의 이동 경로를 한정한다. The main guide bar 153 is fixedly mounted on the body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 a vertical position and is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main lifting plate 151 to define the movement path of the main lifting plate 151.

높이 조절부(15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 하우징(120)이 안정된 자세로 승강될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20)의 상부면에는 둘 이상의 보조 승강판(152a, 154b)이 서로 이격되도록 더 고정 장착될 수 있다. Two or more auxiliary lifting plates 152a and 154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120 so that the movable housing 120, which is moved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stable position. It can be mounted more fixedly if possible.

보조 승강판(152a, 152b)의 승강 경로를 한정하기 위해, 보조 승강판(152a, 152b)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조 가이드바(154a, 154b)가 콘 끼움부(140a, 140b)에 수직 자세로 고정 장착되고, 보조 승강판(152a, 152b)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대응되는 보조 가이드바(154a, 154b)가 끼움 결합된다. In order to define the lifting path of the auxiliary lifting plates 152a and 152b, the auxiliary guide bars 154a and 154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uxiliary lifting plates 152a and 152b are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cone fittings 140a and 140b. It is fixedly mounted, and the corresponding auxiliary guide bars (154a, 154b) are fitted into the guide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auxiliary lifting plates (152a, 152b).

이와 같이, 이동 하우징(120)은 높이 조절부(150)의 구동력 공급 수단에서 가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주 승강판(151)의 높이 변화에 상응하여 승강된다. 이때, 이동 하우징(120)는 주 승강판(151)과 주 가이드바(153), 보조 승강판(152a, 152b)과 보조 가이드바(154a, 154b)의 결합 관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어 수용 공간의 크기를 증감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movable housing 120 is raised and lowered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height of the main lifting plate 151, which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force applied by the driving force supply means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At this time, the movable housing 120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lifting plate 151 and the main guide bar 153, the auxiliary lifting plates 152a and 152b, and the auxiliary guide bars 154a and 154b.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이와 같이, 더블 패드(80) 및 컨테이너 콘(70)에 대한 전처리 작업 과정에서 이동 하우징(120)이 높이 조절부(150)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상승 조작될 수 있고, 이동 하우징(120)의 상승에 상응하여 분사 노즐(136)이 함께 상승됨으로써 분사 노즐(136)은 대략적인 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컨테이너 콘(70)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전처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In this way, during the preprocessing process for the double pad 80 and the container cone 70, the movable housing 120 can be raised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and the movable housing 120 As the spray nozzle 136 rises in response to the rise, the spray nozzle 136 can perform pretreatment on the entire area of the container cone 70, which is inclined to an approximate horn shape (see FIGS. 5 to 7). ).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110)의 몸체에는 컨테이너 콘(70) 및 더블 패드(80)에 대한 전처리 작업에 의해 고정 하우징(110)과 이동 하우징(12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비산되는 연마재와 먼지가 회수하기 위한 흡입관(115)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7, the body of the fixed housing 110 is formed by the fixed housing 110 and the movable housing 120 by preprocessing the container cone 70 and the double pad 80. A suction pipe 115 is formed to collect abrasives and dust scattered in the receiving space.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 및 먼지의 회수 처리는 분사 노즐(136)에서 연마재를 분사하여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실시될 수 있다. Recovery of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performed even while pretreatment is in progress by spraying abrasives from the spray nozzle 136.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 및 먼지의 회수 처리를 위해 흡입관(115)에는 흡입 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고,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흡입 처리될 수 있다. A suction hos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15 for recovery of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and may be suctioned by a vacuum pump (not shown).

이때,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무게가 무거운 연마제가 효율적으로 흡입 회수되지 못하면, 전처리 작업 후 화물창 바닥에 남아 화물창 바닥을 오염시키거나 다른 장치로 흘러들어가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heavy abrasives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are not efficiently sucked in and recovered, they may remain on the cargo hold floor after pretreatment and contaminate the cargo hold floor, or may flow into other devices and cause malfunctions.

연마재의 흡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외기 유입을 위한 틈새가 고정 하우징(110)의 관통 영역의 둘레면과 이동 하우징(120)의 몸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관(115)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고정 하우징(110)의 몸체 영역에도 외기 유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abrasive, a gap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may be form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and the body of the movable housing 120. In addition, one or more through holes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body area of the fixed housing 110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ipe 115.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90)는 블라스팅 유닛(120)의 연마재 분사 동작, 블라스팅 유닛에 의한 연마재 분사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동 하우징(120)의 상승 조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he abrasive spraying operation of the blasting unit 12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bile housing 120 while the abrasive spraying operation by the blasting unit is performed, etc.

또한, 컨트롤러(190)는 이동 하우징(120)이 미리 지정된 한계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높이 조절부(150)가 동작되면, 블라스팅 유닛의 연마재 분사 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 다른 컨테이너 콘(70)에 대한 전처리 작업을 위한 준비 과정으로 이동 하우징(120)이 미리 지정된 초기 높이까지 하강하도록 높이 조절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can control the abrasive spraying operation of the blasting unit to end when the height adjuster 150 is operated so that the movable housing 120 rises to a predetermined limit height, and the double pad 80 In preparation for pre-processing the other container cone 70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er 15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movable housing 120 descends to a predetermined initial heigh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는 화물창 바닥에서 더블 패드(80)의 상면에 용접 설치되어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콘(70)의 전처리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80 at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to pre-process the container cones 70 that hav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shape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t has features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work.

또한, 돌출된 컨테이너 콘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고정 하우징을 위치시키면, 이동 하우징과 함께 분사 노즐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더블 패드 및 컨테이너 콘에 대한 전처리 작업을 완료하며,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먼지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특징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xed housing is positioned so that the protruding container con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spray nozzle rises or lowers together with the movable housing to complete the pretreatment work on the double pad and container cone, and removes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recovered by inhal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at it can be changed.

70 : 컨테이너 콘 80 : 더블 패드
100 :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110 : 고정 하우징
115 : 흡입관 120 : 이동 하우징
132 : 분사기 몸체 134 : 연마재 공급부
136 : 분사 노즐 140a, 140b : 콘 끼움부
150 : 높이 조절부 151 : 주 승강판
152a, 150b : 보조 승강판 153 : 주 가이드바
154a, 154b : 보조 가이드바 190 : 컨트롤러
70: Container Cone 80: Double Pad
100: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10: Fixed housing
115: Suction pipe 120: Mobile housing
132: sprayer body 134: abrasive supply unit
136: spray nozzle 140a, 140b: cone insertion part
150: Height adjustment unit 151: Main lifting plate
152a, 150b: Auxiliary lifting plate 153: Main guide bar
154a, 154b: Auxiliary guide bar 190: Controller

Claims (6)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영역이 형성되어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관통 영역에 삽입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아래쪽이 개방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이동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하우징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이동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승강 유닛;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컨테이너 콘을 포함하는 전처리 대상물을 향해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블라스팅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의해 측부가 한정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의해 상부와 측부가 한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연마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재와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분사기 몸체; 및
상기 분사기 몸체에 유입된 연마재와 압축 공기를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된 상기 전처리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 fixed housing formed into a hollow column shape with a penetration area penetrat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movable housing having a concave shape with its bottom open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area to form a receiving space;
a lifting unit each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and the movable housing to raise and lower the movable housing relative to the fixed housing; and
A blast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to spray abrasive material toward a pretreatment object including a container cone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with a side defined by the fixed housing and a top and side defined by the movable housing,
The blasting unit is,
A spray body into which the abrasive material supplied from the abrasiv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are introduced; and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comprising a spray nozzle that sprays the abrasive and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sprayer body toward the pretreatment object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이동 하우징의 상부면에 몸체의 일측이 고정되고, 몸체의 타측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주 승강판; 및
상기 가이드 홀에 관통 삽입되도록 수직 자세로 고정된 주 가이드바와, 상기 주 가이드바가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주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fting unit is,
a main lifting plate on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and a guide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including a main guide bar fixed in a vertical position to be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and a driving force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to raise or lower the main lifting plate along a path formed by the main guide bar.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unit fixedly mounted on.
제2항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상기 분사 노즐이 연마재를 분사되는 동안 상기 이동 하우징이 미리 지정된 한계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한계 높이까지 상기 이동 하우징이 상승되면 상기 분사 노즐의 연마재 분사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so that the movable housing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limit height while the spray nozzle sprays abrasive, and when the movable housing is raised to the limit height, the abrasive spray operation of the spray nozzle ends.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controlled as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더블패드에 용접 고정된 컨테이너 콘들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된 컨테이너 콘을 끼움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측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는 콘 끼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 끼움부에 컨테이너 콘이 끼움 고정되면,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한 컨테이너 콘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 및 상기 콘 끼움부의 크기가 결정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one fitting part fix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to fit and secure a container cone located outside the receiving space among the container cones welded and fixed to the double pad,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n which the sizes of the fixed housing, the movable housing, and the cone fitting are determined so that the spray nozzle is positioned at the vertical top of the container con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container cone is fitted into the cone fitt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분사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기 몸체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시 노즐 구조를 가지되,
상기 분사 노즐은 분사구가 회전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ㄴ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pray nozzle is coupled to the sprayer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has a nozzle structure when rotated wit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prayer body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spray nozzle is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n which the spray nozzle is formed in an L-shaped bent shape so that the spray nozzle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의 몸체에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연마재 및 먼지가 흡입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관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n which a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fixed housing so that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receiving space are sucked out and discharged.
KR1020220110011A 2022-08-31 2022-08-31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KR202400306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11A KR20240030670A (en) 2022-08-31 2022-08-31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11A KR20240030670A (en) 2022-08-31 2022-08-31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670A true KR20240030670A (en) 2024-03-07

Family

ID=9027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011A KR20240030670A (en) 2022-08-31 2022-08-31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67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11U (en) 2018-03-08 2019-09-1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Blas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11U (en) 2018-03-08 2019-09-1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Blas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1381B2 (en)
CN111345733A (en) Cleaning machines people of stone material nursing
CA2730790C (en) Top-down hydro-demolition system with rigid support frame
CN107398808A (en) A kind of planet continuous grinder
AU2020101123A4 (en) Automatic Spraying Device
KR20240030670A (en)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US2836013A (en) Sand blasting apparatus
JP2021028063A (en) Sprinkler system
JP5721090B1 (en) Rotating nozzle head for frame scaffold cleaning
CN209198002U (en) Vehicle body is drenched with rain test device
KR101245763B1 (en) Painting apparatus
CN109648423B (en) Edging grinder connecting device for stone edging machine
KR20240030668A (en)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KR20240014702A (en) Cone blasting apparatus
KR20240016740A (en)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JP3207205U (en) Cutting car
CN111945262A (en) Humidification, water spray, oil spray and anti-collision structure of flax wet spinning frame
JPH08126998A (en) Deburring device
CN215278945U (en) Jet processing device
KR20240060102A (en) Carriage for container cone blasting
CN219562577U (en) Aircraft outward appearance paint polishing robot
CN217394660U (en) Double-end-face grinding machine is with jetting device
KR102383132B1 (en) Four-row Automatic Welding Device
CN214130889U (en) Portable spraying device
CN220091767U (en) Paint spraying equipment for machine-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