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740A -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740A
KR20240016740A KR1020220094867A KR20220094867A KR20240016740A KR 20240016740 A KR20240016740 A KR 20240016740A KR 1020220094867 A KR1020220094867 A KR 1020220094867A KR 20220094867 A KR20220094867 A KR 20220094867A KR 20240016740 A KR20240016740 A KR 2024001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asting
container cone
group for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740A/en
Publication of KR2024001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74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Abstract

연마재 흡입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는,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을 위치시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방의 측면이 폐쇄되고, 속이 비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콘을 대상으로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블라스팅 유닛;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블라스팅 유닛을 상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서 분사된 연마재가 모이도록, 상기 컨테이너 콘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한다.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n abrasive suction structure is disclosed.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the sides are closed on all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hollow and open so as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to place the container cone to be pretreated; a blasting unit position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spray abrasive material onto the container cone; a transfer unit that is fixed using an edge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blasting unit at the top and transfers the blast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recovery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to surround the container cone and collect the abrasives sprayed from the blasting unit.

Description

연마재 흡입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연마재 흡입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n abrasive suction structure.

선박의 건조에 있어서 도장은 선박의 내구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도장 작업은 도료를 분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작업 행위인 스프레이 작업과, 표면을 클리닝하여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거칠게 가공하여 도료 부착력을 높여주는 작업 행위인 전처리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ship construction, painting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urability of a ship. Painting work can be divided into spraying work, which is the work of spraying paint to form a film, and pretreatment work, which is the work of cleaning the surface to prevent rust and roughing it to increase paint adhesion.

여기서, 전처리 작업은 전체 도장 작업의 80% 이상이 소요되고, 에어 그라인더와 같은 그라인딩 장비를 사용하여 표면을 갈아내는 매우 힘든 작업이다. Here, the pretreatment work takes more than 80% of the total painting work and is a very difficult task that involves grinding the surface using grinding equipment such as an air grinder.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블라스팅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In order to promot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orkers performing pretreatment work, a blasting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1 has been develop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1)을 포함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부착되어 대상물의 외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블라스팅부(20)와, 본체(10)의 프레임(11)에 장착되어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blast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10 including a rectangular frame 11, a blasting unit 20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to spray abrasiv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bject,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part 30 that is mounted on the frame 11 of the main body 10 and moves the main body 10.

블라스팅 장치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용접선을 따라가며 전처리 작업이 가능한 캐리지 형태의 장비로서, 주로 직각면이 만나는 용접선이나 평면이 만나는 용접선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다. The blasting device is a carriage-type equipment that can perform pretreatment work by following a continuous weld line. It is mainly developed for weld lines where right angles meet or weld lines where planes meet.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바닥의 더블 패드(60)의 상면에 컨테이너 콘(container cone)(70)이 용접 설치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container ship, as shown in (a) of FIG. 2, a container cone 70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60 at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컨테이너 콘(70)은 컨테이너 박스를 화물창 바닥에 안착시킬 때, 컨테이너 박스의 하부 코너에 용접된 코너 피팅(corner fitting)을 안착시켜, 컨테이너 박스가 전후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When seating a container box on the cargo hold floor, the container cone 70 seats a corner fitting welded to the lower corner of the container box, preventing the container box from flow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콘(70)의 상단은 코너 피팅의 캐스트 홀에 잘 삽입되도록 대략 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더블 패드(60)의 상면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개선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캐스트 홀이 컨테이너 콘(70)에 안착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전후좌우 방향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b),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cone 70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roughly horn shape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ast hole of the corner fitting, and the lower end is provided for wel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60. A weld improvement surface is formed. Accordingly, the cast hole is seated on the container cone 70, so that the flow of the container box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suppressed.

그러나, 캐리지 형태로 개발되는 종래의 블라스팅 장치는 화물창 바닥의 더블 패드(60)의 상면에 용접 설치되고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콘(70)을 위한 전처리 작업에는 이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lasting device developed in the form of a carriage cannot be used for pretreatment work for the container cones 70, which are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60 on the cargo hold floor and hav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shape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re are limits.

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라고 단정될 수는 없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technical background section of this invention are for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cannot be assumed to b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311호(2019.09.18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9-0002311 (published on September 18, 2019)

본 발명은 화물창 바닥에서 더블 패드의 상면에 용접 설치되어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콘의 전처리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마재 흡입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having an abrasive suction structure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treatment of container cones that are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double pad at the bottom of a cargo hold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shape. .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블라스팅 작업시 비산되어 발생되는 먼지의 확산을 억제할 뿐 아니라, 밀폐된 구역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먼지를 흡입하여 회수함으로써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마재 흡입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uppresses the spread of dust generated during blasting by forming a closed space, but also creates an abrasive suction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suctioning and recovering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closed area. The branch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을 위치시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방의 측면이 폐쇄되고, 속이 비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콘을 대상으로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블라스팅 유닛;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블라스팅 유닛을 상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서 분사된 연마재가 모이도록, 상기 컨테이너 콘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having a shape in which the sides are closed on all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hollow and open so as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to place a container cone to be preprocessed; a blasting unit position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spray abrasive material onto the container cone; a transfer unit that is fixed using an edge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blasting unit at the top and transfers the blast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recovery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cone to collect abrasives sprayed from the blasting unit.

상기 회수 유닛은, ㅁ자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수집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와 제1 및 제2 블로킹 박스; 및 상기 수집 공간을 위쪽으로 확장시키되, 아래로 진행할수록 수집 공간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하향 협소 기울기로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에 각각 고정되는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 콘은 상기 수집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ecovery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and first and second blocking box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ㅁ shape and form a collection spac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swash plate and a second swash plat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tile forming box and the second tile forming box with a downward narrow slope that expands the collection space upward, but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lection space as it progresses downward. Including, the container cone may be placed in the collection space.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는 외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흡입 호스 연결구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기로 형성 박스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공동(空洞)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는 상기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외기 유입구측 측면의 상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집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수집 공간측 측면의 하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상기 수집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수집 공간측 측면의 하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흡입호스 연결구측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흡입 호스 연결구는 연결 호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group forming box is located adjacent to the external air inlet, and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is located adjacent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so that the first group forming box and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group forming box and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have a hollow interior space, and the first group forming box allows air flowing from the outside air inlet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group forming box.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outside air inlet side, and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side to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into the collection space, and the second The group forming box has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spac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An out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hose connector, and the outlet and the suction hose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ng hose.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테두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며 이격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정지되는 제1 이송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이송체와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되는 제2 이송체;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단부가 상기 제1 이송체와 상기 제2 이송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정지되는 제3 이송체를 포함하되,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3 이송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guide rail and a second guide rail installed on opposing edges of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respectively,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transport member mounted on the first guide rail and moved and stopped in a first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 second transport member mounted on the second guide rail, moving at the same speed and direction as the first transport member in a first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nd stopp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third guide rail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each end of which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first transport member and the second transport member; and a third transport member mounted on the third guide rail and moved and stopped in a second direction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rein the blasting unit has a shape extending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3 Can be combined with a carrier.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연마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재와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분사기 몸체; 및 상기 분사기 몸체에 유입된 연마재와 압축 공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lasting unit includes a sprayer body into which abrasive material supplied from an abrasive material supply unit and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are introduced; And it may include a spray nozzle that sprays the abrasive and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sprayer body to the outside.

상기 분사 노즐은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분사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기 몸체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시 노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spray nozzle may be coupled to the sprayer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may have a nozzle structure when rotated wit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prayer body as the center of rotation.

영역 한정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방된 상부 영역과 폐쇄된 하부 영역으로 분리하도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영역 한정 커버는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몸체 내측의 일 영역이 상기 분사기 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사방 테두리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사방 측벽에 대응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A region-limiting cover is fixedly installed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into an open upper region and a closed lower region, and the region-limiting cover has an area inside the body such that the spray nozzle is located in the closed lower region. It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or body, and the four-way border area may be fixed to correspond to the four-way side walls of the housing.

상기 분사 노즐의 연마재 분사에 의해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흡입 호스가 연결될 상기 흡입 호스 연결구가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하나의 측벽 일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될 외기 유입구가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벽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discharge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closed lower area to the outside by spraying abrasives from the spray nozzle, the suction hose connector to which the suction hose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any side wall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wer area. may be formed in one area, and an external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will flow may be formed in an area of another side wall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wer area.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창 바닥에서 더블 패드의 상면에 용접 설치되어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콘의 전처리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one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at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and is effectively used for pretreatment of container cones that hav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shape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블라스팅 작업시 비산되어 발생되는 먼지의 확산을 억제할 뿐 아니라, 밀폐된 구역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먼지를 흡입하여 회수함으로써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closed space, it not only suppresses the spread of dust generated during blasting work, but also effectively responds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suctioning and recovering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closed area.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화물창 바닥의 콘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이송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블라스팅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작업 순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회수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 유닛을 이용한 연마재 및 분진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영역 한정 커버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cone installation on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blasting unit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ainer cone blasting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recovery unit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recovering abrasives and dust using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area-limited cover installation shape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이송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블라스팅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작업 순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회수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 유닛을 이용한 연마재 및 분진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의 영역 한정 커버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a blasting unit of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ainer cone blasting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recovery unit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recovering abrasives and dust using a recove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shows the shape of the area-limited cover installation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는 이송 유닛(110), 블라스팅 유닛(120), 회수 유닛(130) 및 하우징(135)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includes a transfer unit 110, a blasting unit 120, a recovery unit 130, and a housing 135.

하우징(135)은 내부에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70)을 위치시키고, 컨테이너 콘(70)의 인접한 상부 영역에 블라스팅 유닛(120)이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사방의 측면이 폐쇄되고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어 속이 빈 관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housing 135 places the container cone 70 to be pretreated therein, and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blasting unit 120 is located in the adjacent upper area of the container cone 70, so that the housing 135 is closed on all sides and has a top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d formed into a hollow, penetrating shape.

하우징(135)의 사방의 측벽은 불투명 재질의 판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컨테이너 콘(70)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 상황이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아크릴판과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ide walls on all sides of the housing 135 may be closed with a plate made of an opaque material, but may be completely or partial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acrylic plate so that the blasting operation on the container cone 70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하우징(135)의 측벽 일측에는 흡입 호스 연결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호스 연결구(140)에 외부에서 연결되는 흡입 호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컨테이너 콘(70)의 전처리 작업 과정에서 분사되는 연마재, 분사된 연마재 및 압축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135)의 외부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흡입 호스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A suction hose connector 14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35. Through a suction hose (not shown) externally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the abrasives sprayed during the pretreatment process of the container cone 70, dust generated by the sprayed abrasives and compressed ai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e. A vacuum pump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to provide suc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5.

흡입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연마재와 분진은 회수 유닛(13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축적될 수 있으며,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수용 공간에 축적된 연마재와 분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기 유입구가 하우징(135)의 측벽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Abrasives and dust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hose may accumulate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recovery unit 130, and by forming an air flow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35, the abrasives and dust accumulated in the receiving space are effectively removed. An external air inle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35 so that the external air can be discharged (see FIG. 8).

하우징(135)의 개방된 상면에는, 블라스팅 유닛(120)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110)이 구비될 수 있다. A transfer unit 110 that transfers the blas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3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10)은 제1 가이드 레일(310), 제2 가이드 레일(312), 제1 이송체(315), 제2 이송체(317), 제3 가이드 레일(330) 및 제3 이송체(335)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transfer unit 11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310, a second guide rail 312, a first transfer element 315, a second transfer element 317, and a third guide rail. It may include 330 and a third transporter 335.

제1 가이드 레일(310)과 제2 가이드 레일(312)은 하우징의 상측 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테두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호 나란하며 이격되게 설치된다. The first guide rail 310 and the second guide rail 312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opposite edges of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are install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가이드 레일(310)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제1 가이드 레일(3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 이송체(315)가 장착되고, 제2 가이드 레일(312)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 이송체(317)가 장착된다. A first transport body 315 is mounted on the first guide rail 310 so as to move along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first guide rail 310 by a motor, which is a driving source (not shown), and on the second guide rail 312, a motor (not shown) is installed. The second transport member 317 is mounted to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312 by a motor, which is an unused driving source.

제1 이송체(315)와 제2 이송체(317) 각각이 대응되는 제1 가이드 레일(310) 또는 제2 가이드 레일(312)을 따라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port body 315 and the second transport body 317 each move at the same speed and direction along the corresponding first guide rail 310 or second guide rail 312, and stop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제3 가이드 레일(330)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310, 312)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되, 각 단부가 제1 이송체(315)와 제2 이송체(317)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제3 가이드 레일(330)은 제1 및 제2 이송체(315, 317)가 이동될 때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third guide rail 330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310 and 312, and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arrier 315 and the second carrier 317. ) is installed to be fixed to. Because of this, the third guide rail 33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 members 315 and 317 are moved.

제3 이송체(335)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제3 가이드 레일(3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3 가이드 레일(330)에 장착된다. The third transport member 335 is mounted on the third guide rail 330 to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hird guide rail 330 by a motor, which is a driving source (not shown).

제3 이송체(335)에는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블라스팅 유닛(120)이 결합된다(도 3 참조). A blasting unit 120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35 is coupled to the third transporter 335 (see FIG. 3).

블라스팅 유닛(120)은 하우징(135)의 높이를 고려하여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가 고정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텔레스코픽 구조로 길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lasting unit 120 may be formed with a fixed length extending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35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housing 135, but may also be formed with a telescopic structure to allow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length.

제1 및 제2 이송체(317)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3 이송체(335)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3 이송체(335)에 결합된 블라스팅 유닛(12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가이드 레일(330)은 한 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carriers 317 ar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carrier 335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blasting unit 120 coupled to the third carrier 335 is To ensure stable support, the third guide rails 330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as a pair, as shown in FIG. 4 .

이때, 한 쌍의 제3 가이드 레일(330)에 각각 하나씩의 제3 이송체(335)가 장착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할 수 있고, 한 쌍의 제3 이송체(335)는 동일한 이동 방향과 속도로 이동하고 동일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제3 가이드 레일(3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나의 제3 이송체(335)가 장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At this time, one third carrier 335 may be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third guide rails 330 to form a pair, and the pair of third carriers 335 may have the same moving direction and speed. The movemen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move to and stop at the same location. Of cour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ne third transport body 335 may be mounted to move along the pair of third guide rails 330.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10)은 제1 방향 및/또는 제2 방향으로 블라스팅 유닛(120)을 이동시켜, 블라스팅 유닛(120)의 분사 노즐(420)이 화물창 바닥의 컨테이너 콘(70)의 인접한 상부 영역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unit 110 moves the blasting unit 120 in the first direction and/or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spray nozzle 420 of the blasting unit 120 is aligned with the container cone 70 on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It can be located in the adjacent upper area of .

이송 유닛(110)의 제3 이송체(335)에 결합되어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블라스팅 유닛(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기 몸체(400), 연마재 공급부(410)와 분사 노즐(4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lasting unit 120 coupled to the third transport body 335 of the transport unit 110 and arranged to extend downward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35, as shown in FIG. 5, is connected to the injector body 400. ), may include an abrasive supply unit 410 and a spray nozzle 420.

연마재 공급부(410)에는 연마재 공급을 위해 블라스팅 호스가 하우징(135)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도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연마재 공급부(410)를 통해 공급되는 연마재는 압축 공기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기 몸체(400)로 유입되고 분사 노즐(420)을 통해 컨테이너 콘(70)을 향하여 분사된다. A blasting hose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35 and fastened to the abrasive material supply unit 410 to supply abrasive material. The abrasive supplied through the abrasive supply unit 410 flows into the sprayer body 400 together with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not shown) and is sprayed toward the container cone 70 through the spray nozzle 420. .

이때, 컨테이너 콘(70)이 용접된 더블 패드(60)의 상부 표면과 컨테이너 콘(70)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전처리 작업(도 2의 (b) 참조)될 수 있도록, 분사 노즐(420)이 미리 지정된 경사각을 가지고, 분사기 몸체(400)와 분사 노즐(420)이 결합된 결합 부위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직축(도 5의 P)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식 노즐 구조로 분사기 몸체(40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분사기 몸체(400)에는 분사 노즐(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ray nozzle 420 is pre-treat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60 to which the container cone 70 is welded and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cone 70 can be pretreated as a whole (see (b) of FIG. 2). It has a designated inclination angle and is mounted on the sprayer body 400 as a rotary nozzle structure that rotates around the vertical axis (P in Figure 5)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joint where the sprayer body 400 and the spray nozzle 420 are combined. do. To this end, the sprayer body 400 may be equipped with a rotation drive unit (not shown) to rotate the spray nozzle 420.

이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장착된 분사 노즐(420)이 가까운 단부(즉, 분사기 몸체측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분사 노즐(420)의 먼 단부(즉, 컨테이너 콘(70)에 상대적으로 인접된 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며 연마재를 분사시키고, 이로 인해 더블 패드(60)이 상부 표면뿐 아니라 컨테이너 콘(70)의 측면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연마재가 분사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injection nozzle 420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driven to rotate with the near end (i.e., the end on the sprayer body side) as the center of rotation, so that the fa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420 (i.e., the container cone (i.e., container cone) The end (relatively adjacent to 70) moves over a relatively wide area and sprays the abrasive, which causes the double pad 60 to apply abrasive to a wide area including not only the upper surface but also the side of the container cone 70. can be sprayed.

분사 노즐(420)이 컨테이너 콘(70)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전처리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컨트롤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10)을 제어하여 컨테이너 콘(70)을 대상으로 하는 상대적인 블라스팅 유닛(1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조작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enable the injection nozzle 420 to pre-process the entire area of the container cone 7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ransfer unit 110 to target the container cone 70,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and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elative blasting unit 120 to chang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콘(70)의 상면과 측면, 컨테이너 콘(70)에 인접된 더블 패드(60)의 상부 표면을 전체적으로 전처리 작업하기 위해서는, 분사 노즐(420)이 결합된 분사기 몸체(400)가 컨테이너 콘(7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평면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420)도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장착되어 회전되어야 한다.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pre-treat the entir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cone 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60 adjacent to the container cone 70, a sprayer coupled with a spray nozzle 420 is used. The body 400 must be able to move in the plane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cone 70, and the spray nozzle 420 for spraying the abrasive is also mounted to achie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t must be rotated.

이를 위해, 블라스팅 유닛(120)이 체결된 이송 유닛(110)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 평면에서 수평 이동하도록 조작되고, 블라스팅 유닛(120)의 분사 노즐(420)은 1개의 구동축만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작업 범위 확보가 가능하도록 회전식 노즐 구조로 장착되는 특징이 있다. To this end, the transfer unit 110 to which the blasting unit 120 is fastened is operated to move horizontally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planes, and the spray nozzle 420 of the blasting unit 120 uses only one drive shaft. It features a rotating nozzle structure to ensure an effective work range.

분사 노즐(420)이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지정된 영역 범위에 대한 무작위의 전처리 작업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정확한 작업 위치 조준을 위한 제어 부담이 제거되는 특징이 있다. Since the spray nozzle 420 is mounted to have a pre-specified inclination angle, random pre-processing work for a designated area range is possible, and this has the feature of eliminating the control burden for accurately aiming the work position.

또한, 연마재를 이용한 전처리 작업시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블라스팅 장치 주변을 전체적으로 밀폐하여 고속 분사되는 연마재의 분산을 억제하기 때문에, 작업 범위에 대한 양질의 작업 품질 확보를 위한 확률을 향상시킴으로써, 한번 설치된 장치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정확하게 어디를 어떻게 작업하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pretreatment using abrasives, the entire area around the blasting device is sealed to suppress the dispersion of abrasives sprayed at high speed, thereby improving the probability of securing good work quality for the work range, once the device is installed. It also has the feature of solving the existing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heck exactly where and how work was done in real time until the work was complet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바닥면(예를 들어, 화물창 바닥)에 접촉되도록 회수 유닛(130)이 배치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recovery unit 130 is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35 so as to contact the floor (eg, cargo hold floo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유닛(130)은 제1 기로 형성 박스(710), 제2 기로 형성 박스(715), 제1 및 제2 블로킹 박스(720, 725), 제1 및 제2 경사판(730, 735)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7, the recovery unit 130 includes a first group forming box 710, a second group forming box 715, first and second blocking boxes 720, 725, and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It may include inclined plates 730 and 735.

제1 기로 형성 박스(710), 제1 블로킹 박스(720), 제2 기로 형성 박스(715) 및 제2 블로킹 박스(725)가 ㅁ자 형상으로 순차적 연결되어 제1 기로 형성 박스(710) 등에 의해 둘러싸인 수집 공간을 형성한다. 상하 방향에서 관통 형성된 수집 공간에는 컨테이너 콘(70)이 용접된 더블 패드(80)가 위치되며, 위쪽에 위치된 블라스팅 유닛(120)의 분사 노즐(420)로부터 컨테이너 콘(70)과 더블 패드(80)를 대상으로 연마재가 분사된다. The first group forming box 710, the first blocking box 720,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715, and the second blocking box 725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 ㅁ shape by the first group forming box 710, etc. Forms an enclosed collection space. A double pad 80 to which the container cone 70 is welded is located in the collection space formed throug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tainer cone 70 and the double pad ( 80), the abrasive is sprayed on the targe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공간에 공기 흐름을 야기시키는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710, 715)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710, 715)는 몸체 내부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공동(空洞)인 내부 공간을 가진다. As shown in Figure 8,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710, 715, which cause air flow in the collection space,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710, 715 are It has a hollow internal space that allows air to flow through the body.

제1 기로 형성 박스(710)는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제1 기로 형성 박스(7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외기 유입구측 측면의 상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수집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수집 공간측 측면의 하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된다. The first air forming box 710 has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rnal air inlet side so tha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external air inlet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air inlet forming box 710, and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inflow air is changed and discharged into the collection space.

이에 대응하여, 제2 기로 형성 박스(715)는 수집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기로 형성 박스(715)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수집 공간측 측면의 하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흡입호스 연결구측 측면에 배출구(717)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구(717)와 흡입 호스 연결구(140)는 연결 호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9 참조). In response to this,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715 is formed with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sid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collection spac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715. , an outlet 71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hose connector so that the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is chang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 the outlet 717 and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ng hose (see FIG. 9).

즉,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710, 715)는 수집 공간측 측면에 형성된 관통 슬롯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집 공간 내에서 아래쪽에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하여 수집 공간에 위치하는 연마재 및 분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710 and 715 have a through slot formed on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disposed at the bottom, so that an air flow is generated downward within the collection space, so that the abrasives located in the collection space and Dust can be discharged effectively.

또한,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710, 715)는 수집 공간에서 먼 측면에 형성된 관통 슬롯 또는 배출구(717)가 수집 공간측 측면에 형성된 관통 슬롯과 평행하지 않게 배치시킴으로써, 연마재와 분진의 확산 공간이 회수 유닛(130)이 형성하는 수집 공간으로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710 and 715 are arranged so that the through slot or outlet 717 formed on the side far from the collection space is not parallel to the through slot formed on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thereby preventing abrasives and dust from flowing. The diffusion space may be limited to the collection space formed by the recovery unit 130.

수집 공간에 연마재와 분진이 효과적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710, 715)와, 제1 및 제2 블로킹 박스(720, 725)에 의해 형성된 수집 공간을 위쪽으로 확장시키되 수집 공간의 단면적이 아래쪽으로 진행될수록 감소되는 하향 협소 기울기로 제1 경사판(730)과 제2 경사판(735) 각각이 대응되는 제1 기로 형성 박스(710) 또는 제2 기로 형성 박스(715)와 대응되는 하우징(135)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collect abrasives and dust in the collection space, the collection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710, 715)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boxes (720, 725) is expanded upward.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lection space progresses downwar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lates 730 and 735 has a downward narrow slope that corresponds to the first group forming box 710 or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715 and It may be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corresponding housing 135.

물론, 경사판은 4 방향 모두에서 아래쪽으로 진행할수록 수집 공간의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이 되도록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710, 715)뿐 아니라, 제1 및 제2 블로킹 박스(720, 725)에 대해서도 하향 협소 기울기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f course, the inclined plate is formed into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lection space decreases as it moves downward in all four directions,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710 and 715,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boxes 720 and 725.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installed with a narrow downward slope.

도 9에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에 영역 한정 커버(910)가 설치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 9 shows the shape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with the area limiting cover 910 installed.

일반적으로, 연마재를 이용한 전처리 작업시, 작은 블록 단계에서는 주변을 전체적으로 폐쇄하는 쉘터를 형성하고, 쉘터 내부에서 압축 공기에 연마재를 혼합하여 고속 분사함으로써, 연마재와 분진의 확산에 따른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Generally, during pretreatment using abrasives, a shelter is formed that completely closes the surrounding area at the small block stage, and inside the shelter, abrasives are mixed with compressed air and sprayed at high spee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spread of abrasives and dust. I'm doing it.

또한, 블라스팅 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작업의 경우에도 연마재와 분진의 회수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장치 자체 또는 연마재 분사 영역에 대한 밀폐가 매우 중요하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mobile work using a blasting device, the recovery of abrasives and dust is very important, so sealing the blasting device itself or the abrasive spraying area is very important.

연마재 분사 영역에 대한 밀폐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100)의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을 개방된 상부 영역과 폐쇄된 하부 영역으로 분리하도록 영역 한정 커버(910)가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seal the abrasive spraying area, as shown in FIG. 9, an area-defining cover 910 is installed to separat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35 of the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100 into an open upper area and a closed lower area. ) can be installed.

영역 한정 커버(910)는 사방 테두리 영역이 사방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35)의 사방 측벽에 고정되고, 몸체 영역의 일 영역이 분사기 몸체(4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형상으로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rea-limiting cover 910 is fixed to the four side walls of the housing 135 so that the four edge areas are formed to close all four directions, and one area of the body area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or body 400. Can be installed in interior space.

이때, 사방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35)의 사방 측벽과, 영역 한정 커버(910)의 하부면과, 컨테이너 콘(70)이 용접되는 화물창 바닥에 의해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에 폐쇄된 하부 영역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70), 컨테이너 콘(70)이 용접되는 더블 패드(60) 및 분사 노즐(420)은 폐쇄된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lower part is cl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35 by the four side walls of the housing 135 formed to close on all sides, the lower surface of the area limiting cover 910, and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to which the container cone 70 is welded. A region is formed. In this case, the container cone 70 to be pretreated, the double pad 60 to which the container cone 70 is welded, and the spray nozzle 420 are located in the closed lower area.

분사 노즐(420)에서 강력한 분사압으로 분사된 압축 공기와 연마재는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의 폐쇄된 하부 영역을 팽창시키게 되고, 폐쇄된 하부 영역의 팽창시에도 폐쇄된 하부 영역이 유지될 수 있도록 영역 한정 커버(910)는 예를 들어 유연한 섬유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영역 한정 커버(910)는 분산되는 연마재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섬유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ompressed air and abrasives sprayed with strong injection pressure from the injection nozzle 420 expand the closed lower area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35, and the closed lower area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closed lower area is expanded. For example, the area-limiting cover 910 may be made of a flexible fiber material. Of cour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rea-limited cover 910 can be made of a fiber material that has a strength that does not cause damage by dispersed abrasives.

또한, 분사기 몸체(400)에 의해 일측이 고정된 영역 한정 커버(910)가 유연한 섬유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컨테이너 콘(70)에 대한 전처리 작업을 위한 이송 유닛(110)의 이동에 의해 블라스팅 유닛(120)의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the area-limited cover 910, one side of which is fixed by the sprayer body 400, is made of a flexible fiber material, so that the blasting unit ( 120) It is natural to be able to respond flexibly even if the location changes.

더블 패드(60)의 상면과 컨테이너 콘(70)의 전처리 작업을 위해 폐쇄된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분진은 흡입 호스 연결구(140)에 외부에서 연결되는 흡입 호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흡입 호스를 통한 연마재와 분진의 외부 배출을 위해 흡입 호스 연결구는 폐쇄된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하우징(135)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60 and the lower area closed for pretreatment of the container cone 70 may be discharged through a suction hose externally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suction hose connector can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3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wer area to discharge the abrasives and dus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se.

흡입 호스 연결구(140)에 외부에서 흡입 호스가 연결되고, 흡입 호스에 진공 펌프에 의한 흡입 압력이 가해지면, 회수 유닛(130)에 의해 형성된 수집 공간에 모인 연마재와 분진이 외부로 배출된다.When a suction hose is externally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and suction pressure by a vacuum pump is applied to the suction hose, abrasives and dust collected in the collection space formed by the recovery unit 13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흡입 호스에 가해지는 흡입 압력은 하우징(135)의 내부 공간 중 영역 한정 커버(910)에 의해 폐쇄된 하부 공간에 음압이 걸리게 하고, 하우징(135)의 측벽에 형성된 외기 유입구로부터 외기가 폐쇄된 하부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유입된 외기는 수용 공간을 지나 흡입 호스 연결구(14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폐쇄된 하부 영역 내의 수용 공간에는 강한 공기 흐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수용 공간에 모인 연마재와 분진의 외부 배출이 가속화된다. That is, the suction pressure applied to the suction hose causes a negative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lower space closed by the area limiting cover 910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35, and the outside air is clos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35. It is allowed to flow into the lower area, and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and through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In this process, a strong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within the closed lower area, which accelerates the external discharge of abrasives and dust collected in the receiving space.

여기서, 흡입 호스 연결구(140)를 통한 공기 배출 및 외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 유입으로 인해 수용 공간 내에 강한 공기 흐름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입 호스 연결구(140)와 외기 유입구는 회수 유닛(130)에 의해 서로 분리된 하우징(130)의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Here, in order to generate a strong air flow in the receiving space due to air discharge through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and outdoor air inflow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the suction hose connector 140 and the outdoor air inlet are connected to the recovery unit 130. It is natural that they can be formed on the side walls of the housing 130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 블라스팅 장치는 화물창 바닥에서 더블 패드의 상면에 용접 설치되어 돌출된 입체 형상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콘의 전처리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블라스팅 작업시 비산되어 발생되는 연마재 및 분진의 확산을 억제함으로써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e blast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weld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uble pad at the bottom of the cargo hold an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treatment work on cones that hav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shape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can be used in an enclosed space. It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responding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suppressing the spread of abrasives and dust generated during blasting work.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at it can be changed.

10 : 본체 11 : 프레임
20 : 블라스팅부 30 : 이동부
70 : 컨테이너 콘 80 : 더블 패드
100 : 콘 블라스팅 장치 110 : 이송 유닛
120 : 블라스팅 유닛 130 : 회수 유닛
135 : 하우징 140 : 흡입 호스 연결구
310, 312, 330 : 가이드 레일 315, 317, 335 : 이송체
400 : 분사기 몸체 410 : 연마재 공급부
420 : 분사 노즐 710, 715 : 기로 형성 박스
717 : 배출구 720, 725 : 블로킹 박스
730, 735 : 경사판 910 : 영역 한정 커버
10: Body 11: Frame
20: blasting unit 30: moving unit
70: Container Cone 80: Double Pad
100: cone blasting device 110: transfer unit
120: blasting unit 130: recovery unit
135: Housing 140: Suction hose connector
310, 312, 330: Guide rail 315, 317, 335: Transport body
400: sprayer body 410: abrasive supply unit
420: Spray nozzle 710, 715: Giro forming box
717: outlet 720, 725: blocking box
730, 735: Inclined plate 910: Area limited cover

Claims (8)

전처리 작업될 컨테이너 콘을 위치시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방의 측면이 폐쇄되고, 속이 비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컨테이너 콘을 대상으로 연마재를 분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블라스팅 유닛;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블라스팅 유닛을 상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블라스팅 유닛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블라스팅 유닛에서 분사된 연마재가 모이도록, 바닥면에 접촉하며 상기 컨테이너 콘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 housing with closed sides on all sides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to place the container cone to be preprocessed, and a hollow top and bottom surfaces that are open;
a blasting unit position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spray abrasive material onto the container cone;
a transfer unit that is fixed using an edge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blasting unit at the top and transfers the blast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comprising a recovery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and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cone so that the abrasives sprayed from the blasting unit are col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ㅁ자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수집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기로 형성 박스와 제1 및 제2 블로킹 박스; 및
상기 수집 공간을 위쪽으로 확장시키되, 아래로 진행할수록 수집 공간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하향 협소 기울기로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에 각각 고정되는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 콘은 상기 수집 공간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covery unit is,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and first and second blocking bo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ㅁ shape and form a collection spac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ncludes a first inclined plate and a second inclined plat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group forming boxes at a downward narrow slope that expands the collection space upward, but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lection space as it progresses downward. However,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wherein the container cone is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는 외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흡입 호스 연결구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기로 형성 박스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공동(空洞)인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는 상기 외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기로 형성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외기 유입구측 측면의 상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집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수집 공간측 측면의 하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는 상기 수집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기로 형성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수집 공간측 측면의 하부에 미리 지정된 길이의 관통 슬롯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흡입호스 연결구측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상기 흡입 호스 연결구는 연결 호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group forming box is located adjacent to the external air inlet, and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is located adjacent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so that the first group forming box and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group forming box and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have a hollow internal space,
The first airflow forming box has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external air inlet side so that air flowing in from the external air inlet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airflow forming box,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to discharge into the collection space,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has a through slot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of the collection spac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collection space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roup forming box,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is formed. An outl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hose connector so that the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wherein the outlet and the suction hose connec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ng ho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테두리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며 이격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2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정지되는 제1 이송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이송체와 제1 방향을 따라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되는 제2 이송체;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단부가 상기 제1 이송체와 상기 제2 이송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3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정지되는 제3 이송체를 포함하되,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3 이송체에 결합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transfer unit is,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extend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install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pposite edges of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 first transport member mounted on the first guide rail and moved and stopped in a first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 second transport member mounted on the second guide rail, moving at the same speed and direction as the first transport member in a first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nd stopp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third guide rail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each end of which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first transport member and the second transport member; and
A third transport body mounted on the third guide rail and moved and stopped in a second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blasting unit is coupled to the third transport member in a shape extending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팅 유닛은,
연마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재와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분사기 몸체; 및
상기 분사기 몸체에 유입된 연마재와 압축 공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blasting unit is,
A spray body into which the abrasive material supplied from the abrasive material supply unit and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are introduced; and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comprising a spray nozzle that sprays the abrasive and compressed air introduced into the sprayer body to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미리 지정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분사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기 몸체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시 노즐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pray nozzle is coupled to the sprayer body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has a rotating nozzle structure in which the spray nozzle is rotated wit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sprayer body as the center of rotation.
제5항에 있어서,
영역 한정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방된 상부 영역과 폐쇄된 하부 영역으로 분리하도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영역 한정 커버는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몸체 내측의 일 영역이 상기 분사기 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사방 테두리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사방 측벽에 대응되도록 고정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region-limiting cover is fixedly installed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into an open upper region and a closed lower region,
Container cone blasting, wherein one area inside the body of the area-limited cover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ayer body so that the spray nozzle is located in the closed lower area, and the four-way border area is fixed to correspond to the four-way side walls of the hous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의 연마재 분사에 의해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연마재와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흡입 호스가 연결될 상기 흡입 호스 연결구가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하나의 측벽 일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될 외기 유입구가 상기 폐쇄된 하부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벽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콘 블라스팅 장치.
In clause 7,
In order to discharge abrasives and dust present in the closed lower area to the outside by spraying abrasives from the spray nozzle, the suction hose connector to which the suction hose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any side wall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wer area.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wherein a container cone blasting device is formed in one area, and an external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s formed in an area of the other side wall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losed lower area.
KR1020220094867A 2022-07-29 2022-07-29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KR202400167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67A KR20240016740A (en) 2022-07-29 2022-07-29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67A KR20240016740A (en) 2022-07-29 2022-07-29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740A true KR20240016740A (en) 2024-02-06

Family

ID=898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867A KR20240016740A (en) 2022-07-29 2022-07-29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74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11U (en) 2018-03-08 2019-09-1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Blas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11U (en) 2018-03-08 2019-09-1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Blas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1612B1 (en) Floor surface blasting apparatus
CN102166734B (en) Rotary abrasive jet device
JPH0352664A (en) Pipeline system processor
JP5823272B2 (en) Water jet jig
KR20240016740A (en)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abrasives suction structure
US2836013A (en) Sand blasting apparatus
KR20240014702A (en) Cone blasting apparatus
JP2015226894A (en) Rotary nozzle head for framework foothold washing
CN108979089B (en) Paint spraying device on ground
JP2002294648A (en) Wall surface cleaning car
CN211658048U (en) Intelligent crawler-type high-altitude glass composite cleaning robot
JP3044606B2 (en) Blast equipment
KR20240030668A (en)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KR20240060102A (en) Carriage for container cone blasting
KR20240030670A (en) Container cone blasting apparatus having spray nozzle lifting structure
JPH0517360Y2 (en)
JPH0631859U (en) Sprinkler for demolition work
JP7236070B2 (en) mist jet device
KR102582214B1 (en) Crawler robot
JP2006102908A (en) Abrasive jet device
JPH0349870A (en) Automatic blast device
KR102651299B1 (en) Suppression and shielding device for scattering substances generated during outdoor painting in shipyards
CN217730030U (en) Energy-conserving intelligent air brushing device of shower nozzle
JPS604688Y2 (en) vacuum cleaner
JPH1029161A (en) Rapair painting method and device for cylindrical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