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232A -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 Google Patents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232A
KR20240030232A KR1020220108987A KR20220108987A KR20240030232A KR 20240030232 A KR20240030232 A KR 20240030232A KR 1020220108987 A KR1020220108987 A KR 1020220108987A KR 20220108987 A KR20220108987 A KR 20220108987A KR 20240030232 A KR20240030232 A KR 20240030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wafer heater
discharge passage
hea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형철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232A/en
Publication of KR2024003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2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supporting substrates in the reaction chamber
    • C23C16/4582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 C23C16/4583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the substrate being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C23C16/4586Elements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e.g. electrodes, heating or coo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15Workpiece holder
    • H01J37/32724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3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edge profile or support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히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히터로서, 상기 웨이퍼, 상기 안착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경계 영역이 형성되고, 유입구가 상기 경계 영역과 연통하며 유출구가 상기 웨이퍼 히터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배출 유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fer heater.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fer heater includ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 wafer is mounted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side of the seating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side, between the wafer, the seating surface, and the protrusion. A boundary area is formed, an inlet communicates with the boundary area and an outlet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Description

부산물을 배출할 수 있는 웨이퍼 히터{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본 발명은 웨이퍼 히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퍼 처리 공정 중 누적되는 부산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웨이퍼 히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fer hea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fer heater that can easily discharge by-products accumulated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웨이퍼 처리 장치는 웨이퍼에 반응 가스를 공급하여 웨이퍼의 상면에 박막을 증착시킨다. 박막 형성 기술로서 원자층 증착, 원자층 식각, 화학 기상 증착 등이 있으며, 원자층 증착의 경우, 높은 점착성(conformality)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를 형성할 수 있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wafer processing device supplies a reaction gas to the wafer to deposit a th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Thin film formation technologies include atomic layer deposition, atomic layer etching,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In the case of atomic layer deposition, it is widely used recently as it can secure high conformality and form a high aspect ratio. .

이와 같은 웨이퍼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진공 챔버 내에 배치된 히터가 웨이퍼를 지지하고, 웨이퍼 상에 공정 가스를 공급하여 박막을 증착시킨다. 또한, 플라즈마를 이용할 경우 진공 챔버 내에 배치된 샤워 헤드와 히터 사이에서 발생한 플라즈마에 의해 공정 가스를 여기(excitation)시킬 수 있고, 여기된 반응체를 이용해 웨이퍼 상에 박막을 증착시킨다.In such a wafer processing device, a heater disposed in a vacuum chamber generally supports the wafer and supplies a process gas to the wafer to deposit a thin film. Additionally, when using plasma, the process gas can be excited by the plasma generated between the shower head and the heater disposed in the vacuum chamber, and the excited reactant is used to deposit a thin film on the wafer.

그런데 처리 공정이 반복될수록 웨이퍼와 히터 사이에 공정 부산물(byproduct)이 축적된다. 특히 웨이퍼의 외측과 히터의 경사면 또는 포커스링의 사이에 부산물이 축적되는데, 이와 같이 축적된 부산물은 웨이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웨이퍼 처리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악화시킨다. However, as the processing process is repeated, process byproducts accumulate between the wafer and the heater. In particular, by-products accumulate between the outside of the wafer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eater or the focus ring. These accumulated by-products affect the quality of the wafer and deteriorat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wafer processing device.

이러한 부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샤워 헤드에서 퍼지 가스를 분사하여, 부산물을 비산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웨이퍼 처리 공정이 종료된 후 또는 웨이퍼 처리 공정을 중단시킨 후에 별도로 실시해야 하는 점에서 웨이퍼 처리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린다.As a prior art for processing such by-products, a technique of spraying a purge gas from a shower head to scatter the by-products has been disclosed. However, this prior art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in that it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after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is completed or after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is stopped.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미국등록특허공보 US 6402847 B1US Patent Publication US 6402847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웨이퍼 처리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배출할 수 있는 웨이퍼 히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relates to a wafer heater that can discharge by-products generated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히터로서, 상기 웨이퍼, 상기 안착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경계 영역이 형성되고, 유입구가 상기 경계 영역과 연통하며 유출구가 상기 웨이퍼 히터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배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fer heater includ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 wafer is mounted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side of the seating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side, between the wafer, the seating surface, and the protrusion. A boundary area is formed, an inlet communicates with the boundary area, and an outlet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exten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의 유입구는 상기 안착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경계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경계선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may include a boundary line betwee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or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boundary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ssage may be inclined downward and exten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ssage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길이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may gradually incre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경계 영역에 배치된 유입구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분기되는 복수 개의 분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ss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branch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inlet disposed in the boundary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에 포함된 복수 개의 분기유로는 상기 웨이퍼 히터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included in the discharge passage may exten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wafer he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웨이퍼 히터의 외주면의 접선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ssage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a tangent li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when viewed in pl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지지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착면의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surface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a support axis, and the discharge passage may be disposed inclin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ating surface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가 연장되는 각도는 15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t which the discharge passage extends may be 15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 유로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 유로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 유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착면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do not overlap the seating surface when viewed in plan,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히터는 상기 안착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퍼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RF 패턴 및 열선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RF 패턴 및 상기 열선 패턴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fer heater is disposed inside the seating surface and includes an RF pattern and a hot wire pattern disposed to overlap the wafer, and the discharge passage includes the RF pattern and the hot wire pattern. It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the heating patter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는 웨이퍼 처리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도 웨이퍼 처리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ischarge by-products generated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without stopp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단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배출 유로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배출 유로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의 배출 유로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히터를 나타낸다.
1 shows a wafer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discharge passage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discharge passage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n enlarged discharge path of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show wafer heat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10)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의 단면 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의 배출 유로(140)를 확대하여 나타낸다.FIG. 1 shows a wafer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 to an example is shown, and FIG. 4 shows an enlarged discharge passage 140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10)는 웨이퍼(W)에 박막을 증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퍼 처리 장치(10)는 원자층 증착 장치로 설정된 온도의 챔버(C) 내에서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1가스와 반응체를 포함하는 제2가스를 공급하여 웨이퍼(W)의 상면에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10)는 원자층 박막 형성 중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추가 공정 없이 또한 원자층 박막 형성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다.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posit a thin film on the wafer (W). For example, the wafer processing apparatus 10 supplies a first gas containing a precursor and a second gas containing a reactant within a chamber C at a temperature set by an atom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to deposit the first gas containing a precursor and a second gas containing a reacta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W. A thin film can be formed. Additionally,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by-products generated during atomic layer thin film formation without additional processes or without stopping the atomic layer thin film forming process.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히터(H)를 나타낸다. 웨이퍼 히터(H)는 웨이퍼(W) 상에 플라즈마를 확장하고 전기장을 집중시켜 플라즈마 균일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에 돌출부 또는 경사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웨이퍼(W)의 외주면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B)이 누적되고, 공정이 진행될수록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산물(B)이 고리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More specifically, FIGS. 10 to 12 show a wafer heater (H)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wafer heater (H) has a protrusion or inclined surface at the edge to improve plasma uniformity by expanding the plasma on the wafer (W) and concentrating the electric field. As a result, by-products (B)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accumulate in the step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W) and the inclined surface, and as the process progresses, the by-products (B) appear in a ring shape as shown in FIG. 11.

이와 같은 부산물(B)은 웨이퍼(W)의 품질과 전체 장치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악화시키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에서 퍼지 가스(G)를 분사하여 부산물(B)을 비산시킨 후 이를 펌프 등으로 흡입하여 배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산물 배출 공정은 웨이퍼 처리 공정을 중단 후 진행해야 하므로 웨이퍼 처리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비산된 부산물(B)이 다시 웨이퍼(W) 상으로 낙하하거나 챔버 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Such by-products (B) need to be removed because they deteriorate the quality of the wafer (W) and the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entire device.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2, a purge gas (G) is sprayed from the head to scatter the by-products (B), and then the by-products (B) are sucked in and discharged using a pump or the like. Since this byproduct discharge process must be performed after stopp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the efficiency of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is reduced,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scattered byproducts (B) falling back onto the wafer (W) or flowing into the cha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10)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10)는 챔버(C), 세정가스 공급원(11), 퍼지가스 공급원(12), 게이트 밸브(12a), 제1가스 유로(13), 제2가스 유로(14), 샤워헤드(15), 노즐(16), 분사구(17), 배기구(18), 펌프(19) 및 웨이퍼 히터(100)를 포함한다.1 to 4,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C, a cleaning gas source 11, a purge gas source 12, a gate valve 12a, It includes a first gas flow path 13, a second gas flow path 14, a shower head 15, a nozzle 16, an injection port 17, an exhaust port 18, a pump 19, and a wafer heater 100. .

챔버(C)는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에는 웨이퍼 히터(100), 웨이퍼(W) 및 샤워헤드(1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챔버(C)는 상부에 세정가스 공급원(11), 퍼지가스 공급원(12) 및 노즐(16)과 연결될 수 있다.The chamber C has an internal space where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a wafer heater 100, a wafer W, and a showerhead 15 may be placed inside. Additionally, the chamber C may be connected to a cleaning gas source 11, a purge gas source 12, and a nozzle 16 at the top.

세정가스 공급원(11)은 웨이퍼 처리 장치(10)의 상부에, 특히 샤워헤드(15)보다 위에 배치되어 세정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정 가스는 현장 세정을 위하여 리모트 플라즈마 방식에 따라 플라즈마로 여기(excitation)된 가스일 수 있다. 세정가스 공급원(11)에서 공급된 세정가스는 챔버(C)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챔버(C)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The cleaning gas source 11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particularly above the showerhead 15, to supply cleaning gas. The cleaning gas may be a gas excited by plasma according to a remote plasma method for on-site cleaning. The cleaning gas supplied from the cleaning gas source 11 may move into the chamber (C) through a pipe connected to the chamber (C).

퍼지가스 공급원(12)은 세정가스 공급원(11)을 챔버(C)와 연결하는 관로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퍼지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일 수 있다.The purge gas source 1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ipe connecting the cleaning gas source 11 to the chamber C. The purge gas may be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or argon.

세정가스 공급원(11) 아래에는 게이트 밸브(12a)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밸브(12a)는 세정가스 공급원(11)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세정 가스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A gate valve 12a may be disposed below the cleaning gas source 11. The gate valve 12a has a function of allowing cleaning gas to pass or blocking it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leaning gas source 11 is supplied.

제1가스 유로(13) 및 제2가스 유로(14)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가스를 웨이퍼 처리 장치(10)로 유입시킨다. 예를 들어 제1가스 유로(13)와 제2가스 유로(14)는 각각 제1가스로서 소스 가스와 제2가스로서 반응물 가스의 유입 경로일 수 있다. 웨이퍼 처리 공정, 즉 증착 공정이 진행되면 게이트 밸브(12a)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가스가 제1가스 유로(13)를 통해 유입되고, 제2가스가 제2가스 유로(14)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The first gas flow path 13 and the second gas flow path 14 allow the same or different gases to flow into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 For example, the first gas flow path 13 and the second gas flow path 14 may be inflow paths for a source gas as the first gas and a reactant gas as the second gas, respectively. When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that is, the deposition process, proceeds, the first gas flows in through the first gas flow path 13 and the second gas flows in through the second gas flow path 14 with the gate valve 12a closed. It can be.

제1가스 및 제2가스는 챔버(C) 내에 배치된 노즐(16)을 통해 샤워헤드(15)로 공급된다. 샤워헤드(15)는 웨이퍼 히터(100) 상에 지지된 웨이퍼(W)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분사구(17)를 통해 웨이퍼(W) 상에 제1가스 및 제2가스를 분사해 증착 공정을 실시한다. The first gas and the second gas are supplied to the showerhead 15 through the nozzle 16 disposed in the chamber C. The showerhead 15 is disposed to face the wafer W supported on the wafer heater 100, and sprays the first gas and the second gas onto the wafer W through the injection hole 17 to perform a deposition process. Conduc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처리 장치(10)가 PEALD인 경우 웨이퍼(W) 상에 전구체를 포함하는 제1가스가 공급될 수 있고 이어서 퍼지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후 반응체를 포함하는 제2가스를 공급하여 웨이퍼(W) 상에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스 공급시 반응체는 샤워헤드(15)와 웨이퍼 히터(100) 사이에서 발생한 플라즈마에 의해 여기(excitation)될 수 있고, 여기된 반응체는 웨이퍼(W)상의 전구체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반응해 웨이퍼(W) 상에 설정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afer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PEALD, a first gas containing a precursor may be supplied to the wafer W, and then a purge gas may be supplied. Afterwards, a second gas containing a reactant may be supplied to form a thin film on the wafer (W). Here, when supplying the second gas, the reactant can be excited by the plasma generated between the showerhead 15 and the wafer heater 100, and the excited reactant ha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precursor on the wafer W. can react to form a thin film set on the wafer (W).

웨이퍼 처리 장치(10)의 일측에는 배기구(18)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구(18)는 웨이퍼 처리 장치(10)의 측면에 형성되며, 펌프(19)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구(18)의 높이는 증착 공정이 진행될 때 웨이퍼 히터(1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기구(18)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웨이퍼 히터(100)의 저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 유로(140)가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과 만나는 유출구도 배기구(18)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어, 배출 유로(140)에서 배출된 부산물(B)은 자연스럽게 배기구(18)를 통해 펌프(19)로 배출된다.An exhaust port 1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As shown in FIG. 1, the exhaust port 1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19.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exhaust port 18 may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fer heater 100 when the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lowest point of the exhaust port 18 may be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let where the discharge passage 140 mee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is also located higher than the exhaust port 18, and the by-products B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40 ar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 It is discharged to the pump (19) through 18).

웨이퍼 히터(100)는 웨이퍼(W)를 지지하며, 증착 공정 중에 웨이퍼(W)를 가열하여 원하는 박막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The wafer heater 100 supports the wafer W and is used to heat the wafer W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o form a desired thin film.

일 실시예로 웨이퍼 히터(100)는 안착면(110), 지지축(120), 돌출부(130) 및 배출 유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fer heater 100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110, a support shaft 120, a protrusion 130, and a discharge passage 140.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착면(110)은 웨이퍼(W)를 지지하는 면으로서, 웨이퍼(W)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안착면(1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흡착홀(111)이 형성되어, 웨이퍼 처리 공정 중에 웨이퍼(W)를 지지한다. 안착면(110)은 웨이퍼(W)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ating surface 110 is a surface that supports the wafer (W) and may be circular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afer (W).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110 to support the wafer W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The seating surface 110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wafer (W).

지지축(120)은 안착면(1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안착면(110)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지지축(120)은 승강 가능하며, 웨이퍼 처리 공정 전에는 하강하고, 웨이퍼 처리 공정 시에는 상승하여 안착면(110)을 샤워헤드(15)의 분사구(17)에 근접시킨다. 또한 지지축(120)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지지축(120)은 샤워헤드(15)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안착면(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축(120)이 회전함으로써 웨이퍼 처리 공정 중에 전구체 및/또는 플라즈마에 의해 활성화된 반응체를 웨이퍼(W) 상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The support shaft 120 is disposed below the seating surface 110 and supports the seating surface 110. For example, the support shaft 120 can be raised and lowered before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and rises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to bring the seating surface 110 closer to the spray hole 17 of the showerhead 15. Additionally, the support shaft 120 may be rotatable. The support shaft 120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howerhead 15 and can rotatably support the seating surface 110. As the support shaft 120 rotates, the precursor and/or the reactant activated by plasma can be uniformly sprayed onto the wafer W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돌출부(130)는 안착면(110)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30)는 안착면(110)의 외주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평평하게 연장된 후 아래로 경사져 연장되거나 수직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0)는 웨이퍼 히터(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웨이퍼 히터(10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돌출부(130)는 포커스링(focus ring)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면(110) 상에 돌출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웨이퍼(W) 상에 플라즈마를 확장하고 전기장을 집중시켜 플라즈마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trusion 130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the protrusion 13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110, extends flatly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n extends slanted downward or extends vertically, forming an overall ring shape. You can have it. The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fer heater 10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wafer heater 100 . Alternatively, the protrusion 130 may be a focus ring. By forming the protrusion 130 on the seating surface 110 in this way, plasma uniformity can be improved by expanding the plasma on the wafer W and concentrating the electric field.

배출 유로(140)는 웨이퍼 히터(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웨이퍼 처리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부산물(B)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유로(140)는 웨이퍼 히터(100)의 외측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유입구(141)가 안착면(110)과 연통하고 유출구(142)가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중 발생한 부산물(B)이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로 유입된 후 유출구(142)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된 부산물(B)은 펌프(19)를 통해 배기구(18)로 배출된다.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fer heater 100 to discharge by-products B generated during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to the outside. For example, one or more discharge passages 140 are disposed at the outer edge of the wafer heater 100, the inlet 141 communicates with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outlet 142 communicate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It can be extended to do so. Accordingly, by-products (B)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may flow into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and the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42. The discharged by-product (B)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8) through the pump (19).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는 웨이퍼 히터(10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의 접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배출 유로(140)의 길이 방향 축은 배출 유로(140)와 웨이퍼 히터(100)의 중심을 연장하는 선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가 웨이퍼 히터(100)에 배치됨으로써 웨이퍼 히터(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누적된 부산물(B)을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fer heater 1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each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That is,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a line extending between the centers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and the wafer heater 100. As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are disposed in the wafer heater 100, the by-products B accumul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fer heater 100 can be uniformly discharged.

도 3에는 배출 유로(140)가 웨이퍼 히터(100)의 중심에 대해 15°의 각도로 24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배출 유로(140)의 개수 및 각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웨이퍼 히터(100) 전체에 걸쳐 부산물(B)을 균일하게 배출하기 위해 배출 유로(140)의 최소 개수는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배출 유로(140)는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유로(140)는 6개 이상, 8개 이상, 10개 이상 또는 1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는 반드시 웨이퍼 히터(100)의 중심에 대해 평면 상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홀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3 shows that 24 discharge passages 140 are arranged at an angle of 15°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afer heater 100, but the number and angle of the discharge passages 14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rder to uniformly discharge the by-product B throughout the wafer heater 100, the minimum number of discharge passages 140 is preferably four or more, and these discharge passages 140 may be arranged at an equal angle. There may be 6 or more discharge passages 140, 8 or more, 10 or more, or 12 or more.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afer heater 100, and may be arranged in an odd number.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는 아래로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웨이퍼(W)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배출 유로(140)의 유출구(142)는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로(140)는 수평선 또는 안착면(110)에 대해 각도 ?틘매? 아래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W)와 돌출부(130) 사이 영역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웨이퍼(W), 안착면(110) 및 돌출부(130) 사이에 존재하는 부산물(B)이 하방으로 경사진 배출 유로(140)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disposed inclined downwar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to face the wafer W, and the outlet 142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align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It can be arranged to communicate. Additionally,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angled at an angle relative to the horizontal line or the seating surface 110. It can be placed tilted downwar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y-products (B) present between the wafer (W),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protrusion 130 from gathering in the area between the wafer (W) and the protrusion 130, and are discharged slanted downward. It can be discharged naturally through the flow path 140.

각도 ?틈? 설정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틈? 부산물(B)이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를 통해 유출구(142)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각도 ?틈? 약 30도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도 ?틈? 약 20도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도 ?틈? 약 1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도가 약 30도를 초과할 경우 웨이퍼 히터(100) 내부에 배치된 배선, 열선 등과 중첩될 수 있어 설계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Angle? Gap? It can have a set range. For example, angle ?gap? An angle that allows the by-product (B) to move through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to the outlet 142 is sufficient. For example, angle ?gap? It may be about 30 degrees or less. In detail, angle ?gap? It may be about 20 degrees or less. Preferably the angle ?gap? It may be about 15 degrees or less. If the angle exceeds about 30 degrees, it may overlap with wiring and heating wires placed inside the wafer heater 100, making design difficult.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출 유로(140)는 위로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웨이퍼(W)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배출 유로(140)의 유출구(142)는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로(140)는 수평선 또는 안착면(110)에 대해 상기 각도 ?틘매? 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W)와 돌출부(130) 사이 영역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웨이퍼(W), 안착면(110) 및 돌출부(130) 사이에 존재하는 부산물(B)이 상방으로 경사진 배출 유로(140)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disposed inclined upward. For example,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wafer W, and the outlet 142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In addition,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bent at the above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or the seating surface 110. It can be placed tilted upwar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y-products (B) present between the wafer (W),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protrusion 130 from gathering in the area between the wafer (W) and the protrusion 130, and are discharged at an upward angle. It can be discharged naturally through the flow path 140.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출 유로(14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도리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웨이퍼(W)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배출 유로(140)의 유출구(142)는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로(140)는 수평선 또는 안착면(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W)와 돌출부(130) 사이 영역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웨이퍼(W), 안착면(110) 및 돌출부(130) 사이에 존재하는 부산물(B)이 상방으로 경사진 배출 유로(140)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ischarge passage 14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For example,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to face the wafer W, and the outlet 142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It can be. Additionally,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or the seating surface 1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y-products (B) present between the wafer (W),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protrusion 130 from gathering in the area between the wafer (W) and the protrusion 130, and are discharged at an upward angle. It can be discharged naturally through the flow path 140.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는 돌출부(13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와 유출구(142)는 돌출부(130)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돌출부(13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유출구(142)는 웨이퍼 히터(10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유로(140)가 안착면(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웨이퍼(W)와 이격시킴으로써, 배출 유로(140)가 웨이퍼(W)의 증착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로(140)가 웨이퍼 히터(100) 전체에 대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inlet 141 and outlet 142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to be contained within the protrusion 130 when viewed from the top. Additionally,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0, and the outlet 142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discharge passage 140 from overlapping the seating surface 110 and separating it from the wafer (W), the discharge passage 140 can be prevented from affecting the deposition quality of the wafer (W). Additionally, the discharge passage 1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long for the entire wafer heater 100.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웨이퍼(W), 안착면(110) 및 돌출부(130)가 구획하는 경계 영역(A)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계 영역(A)은 웨이퍼(W)의 외측면, 안착면(110)의 상면 및 돌출부(130)의 내측면(경사면)으로 구획되며, 웨이퍼(W)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가 부산물(B)이 주로 누적되는 경계 영역(A)에 배치됨으로써, 부산물(B)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area A divided by the wafer W,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protrusion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boundary area A is divid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fer W,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inner surface (slope surface) of the protrusion 130, and the wafer W It may be a ring-shaped area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 Accordingly,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in the boundary area A where the by-products B are mainly accumulated, so that the by-products B can be discharged more efficiently.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안착면(110)과 돌출부(130)의 경계선(L)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30)는 안착면(110) 상에 돌출 형성되며, 안착면(110)과 접하는 부분에 경계선(L)을 형성한다. 그리고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경계선(L)을 포함하도록 배치되거나 경계선(L)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하단이 경계선(L)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은 돌출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유로(140)가 안착면(110)과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 또는 없도록 하여, 배출 유로(140)에 증착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효율적으로 부산물(B)을 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placed close to the boundary line L between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protrusion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 130 protrudes on the seating surface 110 and forms a boundary line L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110. And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to include a boundary line (L) or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boundary line (L). More specifically,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so that its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line L, and its upper e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0. Accordingly,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area where the discharge passage 140 overlaps the seating surface 110, the by-product B can be discharged efficiently without affecting the deposition process in the discharge passage 140.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 각각의 유입구(141) 및/또는 유출구(142)는 모두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전영역에서 배출 유로(140)를 통해 부산물(B)을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s 140 may b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That is, the inlet 141 and/or outlet 14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dditionally,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refore, the embodiment can uniformly discharge the by-product (B)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40 in the entire area.

이와 다르게,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 중 적어도 일부의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 및/또는 유출구(142)는 모두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 중 적어도 일부는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는 등간격으로 배치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산물(B)이 보다 많이 누적되는 높이 또는 영역에 보다 많은 수의 배출 유로(140)를 형성하고, 배출 유로(140)의 각도 및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부산물(B)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at is, the inlet 141 and/or outlet 142 of at least some of the discharge passages 140 among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b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Accordingl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have different slopes.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not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but at least some of them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Therefore, a greater number of discharge passages 140 are formed at heights or areas where more by-products (B) are accumulated, and the angle and end position of the discharge passages 140 are adjusted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by-products (B). can do.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는 RF 패턴(150) 및/또는 열선 패턴(16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 히터(100)는 웨이퍼(W)를 가열하기 위한 RF 패턴(150) 및 열선 패턴(160)을 포함할 수 있다. RF 패턴(150) 및 열선 패턴(160)은 안착면(110)의 내측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전압이 인가되면 가열되어 웨이퍼(W)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유로(1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 전체에 걸쳐 RF 패턴(150) 및 열선 패턴(16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웨이퍼 처리 공정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the RF pattern 150 and/or the hot wire pattern 16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wafer heater 100 may include an RF pattern 150 and a hot wire pattern 160 for heating the wafer W. The RF pattern 150 and the hot wire pattern 160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inside of the seating surface 110 and are heate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heat the wafer W. Here,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the RF pattern 150 and the hot wire pattern 160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F 패턴(150) 및 열선 패턴(160)은 돌출부(130)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배출 유로(140)와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RF 패턴(150)과 열선 패턴(160)의 외측 단부가 웨이퍼(W)의 외측 단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d1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 배출 유로(140)의 유입구(141)는 RF 패턴(150)과 열선 패턴(160)의 외측 단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 유로(140)는 증착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웨이퍼(W)뿐만 아니라 RF 패턴(150) 및 열선 패턴(16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 처리 장치(10)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부산물(B)을 배출하여 웨이퍼(W)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F pattern 150 and the hot wire pattern 160 are arranged radially inward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dge of the protrusion 130, and overlap the discharge passage 140. It doesn't work. In addition, when the outer ends of the RF pattern 150 and the hot wire pattern 160 are spaced apart by d1 in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wafer W, the inlet 141 of the discharge passage 140 is connected to the RF pattern 150. )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nd of the hot wire pattern 160 by d2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way, the discharge passage 140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not only the wafer W but also the RF pattern 150 and the hot wire pattern 160 so as not to affect the deposition process.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wafer processing device 10 can be secured and the quality of the wafer W can be improved by discharging the by-product B.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는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로(14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유입구(141)에서 유출구(142) 전체에 걸쳐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all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passage 140 has an empty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141 to the outlet 142. 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A)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A)의 배출 유로(140A)를 확대하여 나타낸다FIG. 5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discharge passage 140A of the wafer heater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의 배출 유로(140)와 비교했을 때, 배출 유로(140A)의 형상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 유로(14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5 and 6 , when compared to the discharge passage 140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 to FIGS. 3 and 4 ,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ssage 140A is different,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scharge passage 140A.

웨이퍼 히터(100A)는 안착면(110A), 지지축(미도시), 돌출부(130A) 및 배출 유로(140A), RF 패턴(150A) 및 열선 패턴(160A)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fer heater 100A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110A, a support shaft (not shown), a protrusion 130A, a discharge path 140A, an RF pattern 150A, and a hot wire pattern 160A.

배출 유로(140A)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단면적이 점차 커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로(140A)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유입구(141A)에서 유출구(142A)를 향해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유로(140A)로 유입된 부산물(B)이 내부에서 병목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40A may gradually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discharge passage 140A may have an overall truncated cone shape,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let 141A to the outlet 142A. Accordingly, the by-product B flowing into the discharge passage 140A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causing a bottleneck inside.

일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A)는 유입구(141)와 유출구(142)가 동일한 중심축(AX)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AX)에 대해 수직으로 단면을 잘랐을 때, 배출 유로(140A)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A may be arranged so that the inlet 141 and the outlet 142 have the same central axis (AX). Additionally, when the cross-section is cut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AX,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scharge passage 140A may be circular and may increase or decrease at a certain 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른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A)는 반경 방향 외측을 따라 단면적이 커지되, 원주 방향으로만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출 유로(140A)의 단면적이 커지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만 단면적이 커져 유출구(142A)는 좌우로 긴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A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outer radial direction, but may only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140A does not incre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ross-section, but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on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outlet 142A can have an elongated ov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다른 실시예로 배출 유로(140A)는 반경 방향 외측을 따라 단면적이 커지되, 수직 방향으로만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출 유로(140A)의 단면적이 커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단면적이 커져 유출구(142A)는 위아래로 긴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40A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outer radial direction, but may only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140A does not increas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ross section, but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utlet 142A can have an elongated oval shape up and down.

이때 배출 유로(140A)의 단면이 원 형상 또는 타원(좌우로 긴 타원, 위아래로 긴 타원) 형상을 가질 경우, 유출구(142A)의 단면적은 유입구(141A) 단면적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유출구(142A)의 단면적은 유입구(141A) 단면적의 2배 내지 10배 이하일 수 있다. 유출구(142A)의 단면적이 유입구(141A) 단면적의 2배 미만인 경우 병목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유출구(142A)의 단면적이 유입구(141A) 단면적의 10배를 초과할 경우 배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웨이퍼 히터(100)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유출구(142A)를 통한 이물질 유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41A)와 유출구(142A)의 비율은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ross-s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140A ha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long ellipse left and right, long ellipse up and dow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42A may be more than twi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41A. In detail,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42A) may be 2 to 10 times or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41A).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42A) is less than twi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41A),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ottleneck phenomenon may be minimal. In addition,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142A exceeds 10 tim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141A, discharg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but problems with the reliability of the wafer heater 100 may occur, and foreign substances may pass through the outlet 142A. Inflow may occur.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ratio of the inlet 141A and the outlet 142A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range.

일 실시예로 웨이퍼 히터(100A)는 서로 다른 형상의 복수 개의 배출 유로(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이퍼 히터(100A)는 전술한 다양한 형상의 배출 유로(140A)를 포함함으로써, 웨이퍼 히터(100A) 상에 국소적으로 다르게 누적된 부산물(B)에 대응하도록 배출 유로(140A)를 배치하여, 원활하게 부산물(B)을 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fer heater 10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40A of different shapes. That is, the wafer heater 100A includes the discharge passages 140A of various shapes described above, and the discharge passages 140A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by-products B accumulated differently locally on the wafer heater 100A. , Byproducts (B) can be discharged smoothly.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B)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7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10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의 배출 유로(140)와 비교했을 때, 배출 유로(140B)의 형상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 유로(140B)를 중심으로 설명한다.In FIG. 7 ,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ssage 140B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discharge passage 140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 to FIGS. 3 and 4 ,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scharge passage 140B.

웨이퍼 히터(100B)는 안착면(110B), 지지축(미도시), 돌출부(130B) 및 배출 유로(140B), RF 패턴(150B) 및 열선 패턴(16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fer heater 100B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110B, a support shaft (not shown), a protrusion 130B, a discharge path 140B, an RF pattern 150B, and a hot wire pattern 160B.

배출 유로(140B)는 웨이퍼 히터(100B)의 중심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로(140B)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웨이퍼 히터(100B)의 중심과 배출 유로(140B)(배출 유로(140B)의 유출구(142B))를 연장하는 선에 대해 각도 ?疸매?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각도 ?鍛? 배출 유로(140B)의 연장 방향과, 배출유로(140B)의 배출구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가상의 선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배출 유로(140B)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배출 유로(140B)의 웨이퍼 히터(100B)에 대한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이 아닌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40B may be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afer heater 100B.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assage 140B is on a line extending the center of the wafer heater 100B and the discharge passage 140B (outlet 142B of the discharge passage 140B). About the angle? It can be placed at an angle. angle ?鍛? It may refer to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140B extends and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at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assage 140B. That is,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assage 140B may have an angle other tha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140B with respect to the wafer heater 100B.

또한, 웨이퍼 히터(100B)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경우 회전 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부산물(B)이 기울어진 배출 유로(140B)를 따라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도 7의 경우, 웨이퍼 히터(10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유로(140B)는 웨이퍼 히터(100B)의 접선에 수직이 아닌, 회전 방향을 향해 각도 ?疸매? 기울어져 있으므로, 부산물(B)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wafer heater 100B is provided to be rotatable, the by-products B can be more smoothly discharged along the inclined discharge passage 140B due to centrifugal force generated during rotation. That is, in the case of FIG. 7, the wafer heater 100B may rotate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ssage 140B is not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wafer heater 100B, but is angled toward the direction of rotation. Because it is tilted, the by-product (B)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이때, 각도 ?鍛? 15도 내지 45도일 수 있다. 각도 ?緞? 15도 미만인 경우 부산물(B)의 배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각도 ?緞? 45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각도에 의해 부산물(B)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鍛? It may be 15 to 45 degrees. angle ?緞? If it is less than 15 degree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discharge by-products (B) may be minimal, and the angle ?緞? If it exceeds 45 degrees, it may not be easy to discharge the by-product (B) due to the relatively large angl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C)의 평면 투시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C)의 배출 유로(140C)를 확대하여 나타낸다.FIG. 8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fer heater 10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n enlarged discharge passage 140C of the wafer heater 10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웨이퍼 히터(100)의 배출 유로(140)와 비교했을 때, 배출 유로(140C)의 형상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 유로(140C)를 중심으로 설명한다.8 and 9 have a different shape of the discharge passage 140C compared to the discharge passage 140 of the wafer heater 100 according to FIGS. 3 and 4,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scharge passage 140C.

웨이퍼 히터(100C)는 안착면(110C), 지지축(미도시), 돌출부(130C) 및 배출 유로(140C), RF 패턴(150C) 및 열선 패턴(160C)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fer heater 100C may include a seating surface 110C, a support shaft (not shown), a protrusion 130C, a discharge passage 140C, an RF pattern 150C, and a hot wire pattern 160C.

배출 유로(140C)는 복수 개의 분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로(140C)는 유입구(141C)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며, 이때 유입구(141C)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분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41C)에서 연장된 배출 유로(140C)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점차 단면적이 커지며, 소정의 지점에서 제1분기유로(143C), 제2분기유로(144C) 및 제3분기유로(145C)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각각의 제1분기유로(143C), 제2분기유로(144C) 및 제3분기유로(145C)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웨이퍼 히터(100C)의 외주면과 연통하는 유출구(142C)를 가질 수 있다.The discharge flow path 140C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flow path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discharge flow path 140C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inlet 141C at an incline downward,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flow paths branched from the inlet 141C. You can.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flow path 140C extending from the inlet 141C gradually increases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t a predetermined point, the first branch flow path 143C,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44C, and the third branch flow path are formed. It can be branched to (145C). Each of the branched first branch passages 143C, second branch passages 144C, and third branch passages 145C extends radially outward and forms an outlet 142C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100C. You can have it.

이에 따라 하나의 유입구(141C)에서 유입된 부산물(B)이 복수 개의 유출구(142C)로 배출되면서, 단일 유로로 부산물(B)이 배출되는 경우에 비해 부산물(B)의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by-product (B) flowing in from one inlet (141C) is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outlets (142C), thereby reducing the bottleneck phenomenon of the by-product (B)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y-product (B) is discharged through a single flow path. .

도 8 및 도 9에는 분기유로가 3개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기유로는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8 and 9 show three branch flow paths, but the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re may be two or more branch channels.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분기유로는 웨이퍼 히터(100C)의 수직축에 대해 동일한 기울기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41C)에서 분기된 제1분기유로(143C), 제2분기유로(144C) 및 제3분기유로(145C)의 각각의 유출구(142C)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ranch flow paths may be arranged at the sam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wafer heater 100C. More specifically, each outlet 142C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 143C,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44C, and the third branch flow path 145C branched from the inlet 141C may b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유로는 웨이퍼 히터(100C)의 수직축에 대해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141C)에서 분기된 제1분기유로(143C), 제2분기유로(144C) 및 제3분기유로(145C)의 각각의 유출구(142C)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clina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wafer heater 100C.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each outlet 142C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 143C,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44C, and the third branch flow path 145C branched from the inlet 141C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placed at any height.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ttach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concisely and clearly,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absence of connection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It can be express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or similar designators us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xample, the invention include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unless there is a statement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Additionally, unless the order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lear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above. The use of any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hat is not the case.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 웨이퍼 처리 장치
100, 100A, 100B, 100C: 웨이퍼 히터
10: Wafer processing device
100, 100A, 100B, 100C: wafer heater

Claims (13)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히터로서,
상기 웨이퍼, 상기 안착면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경계 영역이 형성되고,
유입구가 상기 경계 영역과 연통하며 유출구가 상기 웨이퍼 히터의 외주면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배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를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웨이퍼 히터.
A wafer heater comprising a seating surface on which a wafer is mounted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ating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side,
A boundary area is formed between the wafer, the seating surface, and the protrusion,
An inlet is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the boundary area and an outlet is in communication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extending radially out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wafer heater in which the discharge flow path extends obliquely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의 유입구는 상기 안착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경계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경계선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fer heater wherein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includes a boundary line between the seating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or is arranged to contact the boundary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fer heater, wherein the discharge passage has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길이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fer heater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gradually widens in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경계 영역에 배치된 유입구에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분기되는 복수 개의 분기유로를 포함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charge flow path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flow paths branch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inlet disposed in the boundary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에 포함된 복수 개의 분기유로는 상기 웨이퍼 히터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clause 5,
A wafer heater, wherein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included in the discharge passage extend at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wafer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웨이퍼 히터의 외주면의 접선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fer heater, wherein the discharge passage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a tangent li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fer heater when viewed in pl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착면의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fer heater is dispos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of the seating surface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가 연장되는 각도는 15도 이상 60도 이하인,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fer heater wherein the angle at which the discharge passage extends is 15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 유로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fer heater, where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 유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안착면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fer heater where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do not overlap the seating surface when viewed in plan and are disposed inside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히터는 상기 안착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이퍼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RF 패턴 및 열선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RF 패턴 및 상기 열선 패턴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웨이퍼 히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fer heater is disposed inside the seating surface and includes an RF pattern and a hot wire pattern disposed to overlap the wafer,
The wafer heater is arranged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does not overlap the RF pattern and the hot wire pattern.
챔버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로;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며 웨이퍼를 지지하는 웨이퍼 히터;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웨이퍼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분사구를 포함하는 샤워헤드; 및
상기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가스 유로 및 상기 웨이퍼 히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웨이퍼 히터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이퍼 히터인, 웨이퍼 처리 장치.
at least one gas flow path supplying gas into the chamber;
a wafer heater disposed within the chamber and supporting a wafer;
a showerhead disposed within the chamber to face the waf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and
Includes an exhaust po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hamber,
The showerhead is disposed between the gas flow path and the wafer heater,
The wafer heater is a wafer hea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220108987A 2022-08-30 2022-08-30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KR202400302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987A KR20240030232A (en) 2022-08-30 2022-08-30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987A KR20240030232A (en) 2022-08-30 2022-08-30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232A true KR20240030232A (en) 2024-03-07

Family

ID=9027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987A KR20240030232A (en) 2022-08-30 2022-08-30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23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2847B1 (en) 1998-11-27 2002-06-11 Kabushiki Kaisha Toshiba Dry processing apparatus and dry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2847B1 (en) 1998-11-27 2002-06-11 Kabushiki Kaisha Toshiba Dry processing apparatus and dry process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995B1 (en)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KR100550342B1 (en) Method for scattering a gas, and shower head, and apparatus having a shower hea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KR101354106B1 (en) Cvd reactor with a gas inlet member
JP2017226863A (en) Gas mixer, and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US7247209B2 (en) Dual outlet nozzle for the combined edge bead removal and backside wash of spin coated wafers
US200301987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enly flowing processing gas onto a semiconductor wafer
US201101205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ont side protection during backside cleaning
JP2014012891A5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atomic layer deposition system
KR20010032696A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hardware and process
JP2003324072A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JP2023002554A (en) Gas injector equipped with baffle
KR20200137372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240030232A (en) Wafer heater capable of exhausting byproduct
KR20120045149A (en) Showerhead of atom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JP2005517809A (en) Plasma processing equipment
KR20220035488A (en) Semiconductor processing chambers and methods for cleaning the same
KR101493254B1 (en) Atom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KR20070002218A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KR102632876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140134879A (en) Atom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KR20200017252A (en) Pressure control ring an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90071294A (en) Apparatus for Deposition of Thin Film
KR2024002671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CN116752121B (en) Cover plate and fluid vapor deposition device
KR102495928B1 (en) Showerhead for depositing thin film on wa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