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913A -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913A
KR20240029913A KR1020220108272A KR20220108272A KR20240029913A KR 20240029913 A KR20240029913 A KR 20240029913A KR 1020220108272 A KR1020220108272 A KR 1020220108272A KR 20220108272 A KR20220108272 A KR 20220108272A KR 20240029913 A KR20240029913 A KR 2024002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water
branch pipe
ope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733B1 (ko
Inventor
원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원산업
Priority to KR102022010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733B1/ko
Publication of KR2024002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3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lu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에 국한되었던 기존의 수문 개폐방식에서 벗어나, 수문의 개방 범위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배수량의 조절이 정밀하여지고, 나아가 수문 차폐 시 밀폐력이 적극 강화되어 누수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1) 입구를 차단하는 게이트(10)와, 게이트를 승·하강시켜 배수관을 개폐하는 권양기(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관은 측 부로 내통 연장되는 연결엘보(2) 및 연결엘보와 연속 직결되는 복수의 취수관(100)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취수관(100)은 물을 배수하는 분기관(3)과, 분기관 측부에 설치되며 수동식 레버조작으로 분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보조게이트(2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Apparatus for operating water gate}
본 발명은 저수지의 취수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사통 수문과 관련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에 국한되었던 기존의 수문 개폐방식에서 벗어나, 수문의 개방 범위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배수량의 조절이 정밀하여지고, 나아가 수문 차폐 시 밀폐력이 적극 강화되어 누수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농업용수와 생활용수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물을 가두어 놓는 토목 시설을 저수지라 하고, 저수지에는 가두어 놓은 물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목적과 저수량 증가 시 수위 조절을 위한 목적으로 수문 개폐장치가 별도 설치된다.
기존의 수문 개폐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입설되는 지주대 사이에 판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물막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물막이를 지주대로부터 분리하여 저수된 물을 배수되게 하였다.
이러한 수문은 저수된 물 중 상층부의 물에 대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층부에는 지속적으로 침전물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침전물은 부패하여 수질 악화에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코자 준설 작업이 수시로 요구되고 있으며, 준설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적 부담과 준설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저수지의 이용에 제약이 발생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대 기존의 수문과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432호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문비의 일측에 패킹을 구비하여 문틀과 문비 사이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비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한 장치이다.
상기 수문과 관련된 기술 중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7685호 "경사식 자동 수문의 개폐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상호 대향하는 지지벽의 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지지벽 사이에 위치하는 수문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함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수문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되, 수문의 개폐동작을 강제적으로 실시하는 실린더 방식의 수문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수량에 의한 수문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고, 유사 시에 강제적으로 수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수문과 관련된 기술 중 또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19514호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상호 대향하는 지지벽의 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지지벽 사이에 위치하는 수문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수문의 개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을 구비하되, 가이드롤러는 상부와 하부 가이드롤러로 구분 구성되고, 가이드레일은 수문 개방 시 상,하부 가이드롤러가 위치하는 수평부;와, 수문의 폐쇄 시 상,하부 가이드롤러가 위치하는 수직부;로 구분되며, 수평부와 수직부가 만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수문의 상단에는 수압판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수압에 의해 수압판의 회전 시 수문을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수문상승수단으로서 수문의 상측에 설치되며 수압판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축봉과, 회전축봉의 양단에 설치되는 캠과, 지지벽의 측면에 설치되어 캠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담수량에 의해 자동으로 수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는 수문을 보다 효율적,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수문 자동 개폐방식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물론 수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노동력을 축소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저수지의 하층부는 지속적으로 침전물이 쌓이게 되고, 이는 곧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저수지의 물을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와 관계없이 원하는 층의 물이 배수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원하는 층의 물을 자유롭게 배수할 수 있는 수문 개폐장치가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432호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7685호 "경사식 자동 수문의 개폐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19514호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 등 저수지의 수위 범위와 관계없이 원하는 층의 물을 자유롭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한 사통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시 배수량을 지극히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통 수문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성과 메카니즘으로 구성하여 생산비와 시공비를 적극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유지와 관리 및 보수가 극히 용이한 사통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배수되는 관체의 차폐력과 밀폐력을 적극 강화하여 누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더불어 누수에 의한 장치의 부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사통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통 수문은 배수관(1) 입구를 차단하는 게이트(10)와, 게이트를 승·하강시켜 배수관을 개폐하는 권양기(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관은 측 부로 내통 연장되는 연결엘보(2) 및 연결엘보와 연속 직결되는 복수의 취수관(100)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취수관(100)은 물을 배수하는 분기관(3)과, 분기관 측부에 설치되며 수동식 레버조작으로 분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보조게이트(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게이트(200)는 분기관(3)의 상단을 차폐하는 커버체(210);와, 취수관(100) 측부에 설치되며 커버체의 측 방향 이동을 도모하여 분기관의 개폐를 유도하는 개폐유닛(2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220)은 취수관 측부에서 분기관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21);과, 하우징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TM스크류(222);와, TM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레버(223);와, TM스크류와 결합하며 레버 조작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고, 단부는 커버체와 결합하여 커버체를 측 방향 이동시키는 로드(2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수관(100)은 분기관(3)의 양측에 결합하여 수직 입설되며, 상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분기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101)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210)는 스토퍼(101)와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 상에 상향 돌출된 도그(211)를 포함하며, 상기 도그(211)는 스토퍼(101)의 걸림여부에 따라 커버체(210)의 위치선정 및 커버체와 분기관(3)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취수를 목적으로 설치한 취수관을 통해 공기가 진입하여 배수관으로 공급됨에 따라 배수과정에서 배수관에 발생하는 물의 병목현상이 완화되어 배수능력이 적극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수관마다 설치된 분기관을 통해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와 관계없이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수위별로 자유롭게 배수할 수 있으므로, 하층부에 침전물이 쌓여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유닛을 통해 분기관을 보다 정밀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저수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수관에 설치된 스토퍼와 커버체에 설치된 도그의 상호 작용으로 커버체를 분기관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저수 물의 누수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통 수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취수관 및 취수관에 설치된 개폐유닛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개폐유닛의 구동 형태를 순차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취수관과 개폐유닛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토퍼와 도그의 구조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다양한 상황에서도 로드와 커버체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함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저수지의 취수 및 배수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사통 수문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에 국한되었던 기존의 수문 개폐방식에서 벗어나, 수문의 개방 범위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배수량의 조절이 정밀하여지고, 나아가 수문 차폐 시 밀폐력이 적극 강화되어 누수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통 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취수관 및 취수관에 설치된 개폐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개폐유닛의 구동 형태를 순차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취수관과 개폐유닛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토퍼와 도그의 구조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다양한 상황에서도 로드와 커버체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사통 수문은 배수관(1);과, 배수관 입구에 배치되어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게이트(10);와, 게이트에 슬라이드 동작을 부여하는 권양기(2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배수관(1)의 측 부에 내통 연장되는 별도의 연결엘보(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엘보에 연속 직결되는 복수의 취수관(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1)은 저수지의 벽체에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는 관체로써, 저수지에 저수된 물을 배수하는 메인관체로 사용된다. 상기 배수관(1)은 입구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게이트(10) 즉, 수문이 설치되고, 게이트의 승강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배수관(1)의 입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물의 출수가 결정된다.
상기 게이트(10)는 배수관(1)의 출수구를 모두 차폐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판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권양기(20)를 통해 승강 또는 하강 동작이 이루어져 배수관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권양기(20)는 게이트(10)로부터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게이트와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에 대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게이트(10)와 구동축(21) 및 권양기(20)는 저수지의 일 측 벽체에 동일한 수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그러나 저수지의 벽체가 온전한 평면이 아닌 굴곡이 있을 것을 감안하여 게이트와 구동축 간 결합 구조에 힌지 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 힌지 결합방식은 구동축(21)이 저수지의 벽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와 배수관(1)의 출수구를 차폐한 게이트(10)의 위치가 서로 완벽한 수평선상이 아니더라도 원활한 직선이동을 가능케 한다.
상기 구동축(21)은 저수지의 벽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2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2)은 구동축(21) 상에서 등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며, 구동축을 지지한 상태로 벽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2)은 볼팅에 의해 벽체에 밀착 구속되는 지지편(22a)과, 지지편의 정면에서 구동축(21)을 사이에 두고 외향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편(22b)과, 가이드편 사이공간에 가로 설치되며 구동축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 및 가압하는 2개 1조의 롤러(22c)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편(22b)은 길이 방향으로 슬롯(Slot)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해당 슬롯에 롤러(22c)가 결합되어 슬롯이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롤러의 위치가 가변되며, 롤러의 위치 선정에 따라 저수지의 벽체로부터 구동축(21)의 이격 거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취수관(100)은 저수지의 벽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며, 게이트(10)와 구동축(21) 및 권양기(20)와는 평행을 이루게된다. 상기 취수관(100)은 저수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층부의 물을 출수하는 제1취수관(100a)과, 저수지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중층부의 물을 출수하는 제2취수관(100b) 및 하층부의 물을 출수하는 제3취수관(100c)으로 구분 구성되며, 각각의 취수관이 연속적으로 직결되어 하나의 관체를 이룬다. 예컨대, 상기 취수관(100)은 저수지의 시설 높이에 따라 제4취수관이나 제5취수관 등 수위별로 더욱 세분화하여 추가 직결될 수도 있다.
상기 취수관(100)은 연결엘보(2)에 의해 배수관(1)과 연결되고, 서로 내통되어 서로의 물을 공유하여 출수한다.
상기 취수관(100)은 물을 출수할 수 있도록 직각으로 연장된 분기관(3)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출수구의 개방 내지 폐쇄를 위한 보조게이트(2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게이트(200)는 분기관(3)의 측 부에 설치되며, 수동식 레버조작에 기인하여 분기관의 출수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킨다.
도 2 내지 4와 같이 상기 보조게이트(200)는 분기관(3)의 상단 즉, 출수구를 차폐하는 커버체(210);와, 취수관(100) 측 부에 설치되며 커버체의 측 방향 이동을 도모하여 분기관의 개폐를 유도하는 개폐유닛(220);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커버체(210)는 분기관(3)의 출수구를 완벽하게 차폐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원판 형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기관(3)의 출수구에는 패킹이 설치되어 커버체와의 밀착력 향상 및 물의 누수 방지에 기여한다.
상기 개폐유닛(220)은 취수관 측 부에서 분기관(3)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21);과, 하우징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TM스크류(222);와, TM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레버(223);와, TM스크류와 결합하며 레버 조작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고, 단부는 커버체와 결합하여 커버체를 측 방향 이동시키는 로드(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개폐유닛(220)의 단면과 같이 상기 하우징(221) 내부에는 TM스크류(222)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TM스크류의 후단에는 레버(223)가 결합하며, TM스크류의 선단에는 로드(224)가 결합된다.
상기 로드(224)는 TM스크류(222)에 결합하는 TM너트(224a);와,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TM너트의 정면에서 수평 방향 연장 돌출되는 이음관체(224b);와, 커버체(210)와 이음관체를 연결하는 이음볼트(224c);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로드(224)는 레버(223)의 조작으로 TM스크류(222)가 회전하면서 TM너트(224a)의 수평 움직임을 유도하고, TM너트의 조임이 이루어질 경우 TM너트와 이음관체(224b)가 하우징(221)의 내부로 개입되면서 분기관(3)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TM너트(224a)의 풀림이 이루어질 경우 TM너트와 이음관체(224b)가 하우징(22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분기관(3)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특히, 도 4와 같이 상기 로드(224)는 레버(223)의 조작으로 TM스크류(222)와 TM너트(224a) 사이에 조임이 이루어져 이음관체(224b)가 하우징(221)의 내부로 진입 시 TM스크류가 이음관체의 내부 빈 공간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5 내지 7과 같이 상기 취수관(100)은 분기관(3)의 양측에 결합하여 수직 입설되며, 상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분기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101)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210)는 스토퍼(101)와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상에 상향 돌출된 도그(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101)는 분기관(3)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 설치되는 입설대(101a);와, 입설대의 단부에서 분기관의 출수구를 향하도록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는 걸림대(101b);로 구성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대(101b)는 분기관(3)의 출수구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이격된 공간으로 커버체(210)와 도그(211)가 위치한다.
상기 도그(211)는 커버체(210)의 상면에서 좌우로 각 1개소씩 배치되어 우측에 위치한 걸림대(101b)와 좌측에 위치한 걸림대에 각 걸림에 의한 구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그(211)는 상면이 커버체(210) 기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상승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도면과 같이 커버체 상면과 걸림대(101b) 사이의 이격공간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더불어 경사면을 활용한 걸림대의 가압을 유도함으로써 분기관(3)과 커버체 간 밀착력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커버체(210)는 로드(224)로부터 하향 결합된 이음볼트(224c)에 의해 일체화 결합된다. 상기 이음볼트(224c)는 로드(224) 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홀(224e)에 수직 개입되며, 기본적으로 관통홀에는 내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이음볼트의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 및 높낮이가 조절된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상기 관통홀(224e)은 이음볼트(224c)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통홀 내경에는 나사산이 배제된다. 이러한 조건에서의 이음볼트(224c)는 관통홀(224e)과의 직경 차이만큼 위치 변경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부터 이음볼트는 로드(224)나 커버체(210)의 배치 상태에 맞춰 사선으로 진입하여 커버체와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통 수문은 취수를 목적으로 설치한 취수관(100)을 통해 공기가 진입하여 배수관으로 공급됨에 따라 배수과정에서 배수관에 발생하는 물의 병목현상을 완화하여 배수능력이 향상되며, 또한 취수관마다 설치된 분기관을 통해 상층부, 중층부, 하층부와 관계없이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수위별로 자유롭게 배수할 수 있으므로, 하층부에 침전물이 쌓여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유닛(220)을 통해 분기관을 보다 정밀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저수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나아가 취수관에 설치된 스토퍼와 커버체에 설치된 도그의 상호 작용으로 커버체를 분기관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저수 물의 누수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배수관 2. 연결엘보
3. 분기관 10. 게이트
20. 권양기 21. 구동축
22. 지지브라켓 100. 취수관
101. 스토퍼 200. 보조게이트
210. 커버체 211. 도그
220. 개폐유닛 221. 하우징
222. TM스크류 223. 레버
224. 로드

Claims (4)

  1. 배수관(1) 입구를 차단하는 게이트(10)와, 게이트를 승·하강시켜 배수관을 개폐하는 권양기(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관은 측 부로 내통 연장되는 연결엘보(2) 및 연결엘보와 연속 직결되는 복수의 취수관(100)을 포함하는 사통 수문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100)은 물을 배수하는 분기관(3)과, 분기관 측부에 설치되며 수동식 레버조작으로 분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보조게이트(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게이트(200)는,
    분기관(3)의 상단을 차폐하는 커버체(210);
    취수관(100) 측부에 설치되며 커버체의 측 방향 이동을 도모하여 분기관의 개폐를 유도하는 개폐유닛(220);
    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220)은,
    취수관 측부에서 분기관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21);
    하우징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TM스크류(222);
    TM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레버(223);
    TM스크류와 결합하며 레버 조작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고, 단부는 커버체와 결합하여 커버체를 측 방향 이동시키는 로드(224);
    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100)은 분기관(3)의 양측에 결합하여 수직 입설되며, 상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분기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101)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210)는 스토퍼(101)와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 상에 상향 돌출된 도그(211)를 포함하고,
    상기 도그(211)는 스토퍼(101)의 걸림여부에 따라 커버체의 위치선정 및 커버체와 분기관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KR1020220108272A 2022-08-29 2022-08-29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KR10267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72A KR102674733B1 (ko) 2022-08-29 2022-08-29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72A KR102674733B1 (ko) 2022-08-29 2022-08-29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913A true KR20240029913A (ko) 2024-03-07
KR102674733B1 KR102674733B1 (ko) 2024-06-13

Family

ID=9027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72A KR102674733B1 (ko) 2022-08-29 2022-08-29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7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85Y1 (ko) 2000-10-25 2001-03-15 백진현 경사식 자동 수문의 개폐장치
KR200219514Y1 (ko) 2000-11-02 2001-04-02 백진현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JP2003206523A (ja) * 2002-01-11 2003-07-25 Takashi Kubota 水門扉の水密構造
KR200460432Y1 (ko) 2011-12-26 2012-05-25 (주)청수산업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20170100128A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진원산업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20200076548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진원산업 저수지의 취수 및 배수용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85Y1 (ko) 2000-10-25 2001-03-15 백진현 경사식 자동 수문의 개폐장치
KR200219514Y1 (ko) 2000-11-02 2001-04-02 백진현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JP2003206523A (ja) * 2002-01-11 2003-07-25 Takashi Kubota 水門扉の水密構造
KR200460432Y1 (ko) 2011-12-26 2012-05-25 (주)청수산업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20170100128A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진원산업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20200076548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진원산업 저수지의 취수 및 배수용 수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733B1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31B1 (ko) 방류형 수문
CN207211195U (zh) 一种地下管廊内部排水装置
CN104790354A (zh) 上开式堰门
KR102674733B1 (ko) 슬라이드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KR101788194B1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CN111519735B (zh) 一种给排水工程管道铺设处理施工方法
KR101170324B1 (ko)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CN110725392A (zh) 助排截流井
CN112761179B (zh) 一种地下空间自动防汛墙
CN213805750U (zh) 一种一体化截流井
DE202022104957U1 (de) Leicht zu wartende Entwässerungs- und Druckreduzierungsvorrichtung für einen Untergeschossboden
CN210658360U (zh) 取土装置
CN211811525U (zh) 一种大型固定式垃圾压缩设备
KR100941871B1 (ko)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KR102671735B1 (ko) 유압모터펌프 수문을 포함하는 유압식 수문관리 시스템
KR102569317B1 (ko) 버클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CN219411186U (zh) 一种具有自动捞渣功能的排涝站
CN112392117B (zh) 一种一体化截流井
CN220908289U (zh) 一种建筑施工防水结构
CN215211435U (zh) 一种防返臭检查井
CN219471186U (zh) 一种改进型一体化泵站
CN219730581U (zh) 废水处理系统
KR200349381Y1 (ko) 수직인양식 자동수문
CN219440775U (zh) 一种巷道内矿井污水沉淀系统
CN220451052U (zh) 一种清理泥沙装置及雨水调蓄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