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873A -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873A
KR20240029873A KR1020220108202A KR20220108202A KR20240029873A KR 20240029873 A KR20240029873 A KR 20240029873A KR 1020220108202 A KR1020220108202 A KR 1020220108202A KR 20220108202 A KR20220108202 A KR 20220108202A KR 20240029873 A KR20240029873 A KR 20240029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inding
safety net
belt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정
오지훈
박우람
Original Assignee
(주)이지스세이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스세이프티 filed Critical (주)이지스세이프티
Priority to KR102022010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873A/ko
Publication of KR2024002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권취수단의 벨트권취부 상,하부에 조임면을 형성시켜 수동공구를 이용한 안전망의 조임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는 창틀 시공시 벽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벨트권취수단 및 고정브라켓과, 상기 벨트권취수단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창틀 시공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망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에 있어서, 'ㄷ' 자 형상을 가지며,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안전망을 권취함과 아울러 몸체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권취편과, 상기 권취편의 상부에 형성된 핀공과, 상기 권취편의 상,하부에 구비되며 원주방향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조임면이 포함된 벨트권취부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상,하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래치기어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핀공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래치기어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몸체에서 벨트권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래치기어의 역방향으로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SAFETY NET FIXING APPARATUS WITH WINDING SYSTEM}
본 발명은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안전망 고정장치 중, 벨트권취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망의 권취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된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는 'ㄷ' 자 형상을 가지며, 벽체의 내측면에 간격조절가능하게 장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상,하부 래치기어와, 상기 몸체와 상,하부 래치기어에 설치되는 벨트권취부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래치기어의 역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권취부에 벨트가 감겨지도록 상기 벨트권취부와 상,하부 래치기어의 회전시키는 회동유도부로 이루어진 벨트권취수단;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벨트권취수단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일측면에 벨트고정구멍 및 상기 벨트고정구멍에 연통되게 연통공과, 타측면에 간격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일측은 고정브라켓의 벨트고정구멍에 고정되며, 타측은 벨트권취수단에 감겨져 고정되는 벨트가 구비된 안전망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길이조절공과 상기 벨트권취수단의 장공에 체결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벨트권취부는 2개가 한조로 권취편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유도부는 벨트권취부의 권취편 사이에 끼워지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머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권취부의 권취편과 회동유도부의 체결부재를 고정하는 상측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톱퍼는 상부 래치기어에 걸려지는 걸림편과, 상기 상부 래치기어의 잠금을 해지는 잠금해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스톱퍼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스톱퍼와 스프링을 고정하는 리벳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는 고정수단을 상기 고정브라켓의 길이조절공과 벨트권취수단의 장공에 끼우고 벽체의 구멍에 체결고정한다. 이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벨트고정구멍에 벨트를 끼워서 고정시킨 후, 상기 벨트를 상기 벨트권취수단의 권취편 사이에 끼운 후, 상기 회동유도부의 머리부재에 스패너나 복스핸들 등의 수동공구를 끼워서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벨트가 상기 권취편에 감겨지면서 상기 벨트가 긴장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하부 래치기어의 기어부가 상기 스톱퍼의 걸림편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고, 상기 벨트가 긴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스톱퍼의 걸림편에 상기 상부 래치기어의 기어부가 걸려져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벨트권취부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유도부에 스패너나 복스핸들 등의 수동공구를 끼워서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회동유도부의 머리부재와 체결부재에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이러한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체결부재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벨트권취부의 양측 권취편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핀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자체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벨트권취수단 중, 스프링은 90도 이상으로 스톱퍼을 탄성지지하다 보니, 순간 안전망에 강한 외부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부 래칫기어를 고정하는 스톱퍼의 지지력이 약해져 상기 스톱퍼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 상부 래치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2264367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벨트권취수단의 벨트권취부 상,하부에 조임면을 형성시켜 수동공구를 이용한 안전망의 조임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는 창틀 시공시 벽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벨트권취수단 및 고정브라켓과, 상기 벨트권취수단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창틀 시공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망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에 있어서, 'ㄷ' 자 형상을 가지며,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안전망을 권취함과 아울러 몸체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권취편과, 상기 권취편의 상부에 형성된 핀공과, 상기 권취편의 상,하부에 구비되며 원주방향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조임면이 포함된 벨트권취부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상,하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래치기어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핀공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래치기어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몸체에서 벨트권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래치기어의 역방향으로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는 벨트권취수단의 벨트권취부 상,하부에 조임면을 형성시켜 수동공구를 이용한 안전망의 조임작업을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여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스프링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상부래치기어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 고정장치의 벨트권취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 고정장치의 벨트권취수단을 보인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 고정장치의 벨트권취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 고정장치의 고정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 고정장치의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권취수단의 벨트권취부 실시예 및 다른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는 벽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벨트(110)를 권취하는 벨트권취수단(10) 및 상기 벨트권취수단(10)에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11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20)과, 상기 벨트권취수단(10)과 고정브라켓(120)에 설치되는 안전망(130)과,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20)과 벨트권취수단(1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벨트권취수단(10)은 벽체(100)의 내측면에 간격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상,하부래치기어(30,31)와, 상기 몸체(20)와 상,하부래치기어(30,31)에 설치되는 벨트권취부(40)와, 상기 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래치기어(30)의 역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와, 상기 벨트권취부(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권취부(40)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래치기어(30,31)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몸체(20)에서 벨트권취부(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0)에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부에 관통된 체결공(21)과, 상기 체결공(2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공(22)과, 상기 결합공(22)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된 걸림공(23)과, 상기 벽체(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래치기어(30,31)는 외측면을 따라 기어부(32)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체결공(21)과 동일한 삽입공(33)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권취부(40)는 안전망(130)을 권취함과 아울러 몸체(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는 권취편(41)과, 상기 권취편(41)의 상부에 형성된 핀공(42)과, 상기 권취편(41)의 상,하부에 구비되며 원주방향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조임면(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편(41)은 2개가 한조로 권취편(41)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래치기어(30,31)의 삽입공(33)과 상기 몸체(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게 구비된다.
상기 조임면(4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을 따라 요철형상 및 사각형, 육각형, 다각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50)는 볼트(70)와 너트(71)에 의해 상기 몸체(20)에 설치되는 잠금부(51)와 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51)는 상부래치기어(30)의 기어부(32)에 맞물려지게 걸림편(52)이 형성되며, 이 걸림편(52)의 반대편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편(52)과 기어부(32)의 잠금을 해지하는 잠금해지편(5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의 결합공(22)에 대응되게 고정공(54)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공(54)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걸이공(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래칫기어의 기어부(32)에 상기 잠금부(51)의 걸림편(52)을 탄성지지되게 하는 스프링(6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60)은 볼트(70)에 끼워지게 끼움공(6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6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걸이편(6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공(61)은 나선방향으로 말려져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을 갖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0)의 일측 걸이편(62)은 걸이공(55)에 끼워져 고정되며, 타측 걸이편(62)은 몸체(20)의 걸림공(23)에 끼워져 대략 전체가 'V'자 형상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잠금부(51)의 걸림편(52)에 의해 상기 상부래치기어(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몸체(20)의 결합공(22)과 스톱퍼(50)의 고정공(54) 및 스프링(60)의 끼움공(61)에 끼워져 상기 몸체(20)에 상기 스톱퍼(50)와 스프링(60)을 고정하는 볼트(70)와 너트(7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20)의 체결공(21)측 상,하부에 상기 상,하부래치기어(30,31)를 배치시킨 후, 상기 벨트권취부(40)를 먼저 상기 상부래치기어(30)의 삽입공(33)과 상기 몸체(20)의 체결공(21) 및 상기 하부래치기어(31)의 삽입공(33)에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상기 하부래치기어(31)의 바깥면에서 상기 하측 고정핀(80)을 상기 벨트권취부(40)의 하부 핀공(42)에 끼워서 양단부를 절곡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잠금부(51)의 걸림편(52)이 상기 상부래치기어(30)의 기어부(32)에 맞물려진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벽체(100)의 내측면에 상기 벨트권취수단(10)에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대략 'ㄱ' 자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벨트(110)를 고정하는 벨트고정구멍(121)이 관통되며, 타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공(122)이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보강편(123)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편(123)은 벽체에 고정됨과 아울러 벨트(110)에 걸려져 벨트권취수단(10)의 동작에 의해 고정브라켓(120)의 변형이나 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전망(130)과 벨트(110)는 통상적인 구조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는 안전망(130)의 벨트(110) 위치에 따라 벽체(100) 내측면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먼저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길이조절공(122)과 벨트권취수단(10)의 장공(24)에 끼우고 벽체(100)의 구멍에 체결고정한다. 이어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벨트고정구멍(121)에 벨트(110)를 끼워서 고정시킨 후, 상기 벨트(110)를 상기 벨트권취부(40)의 권취편(41) 사이에 끼운 후, 상기 벨트권취부(40)의 조임면(43)에 스패너나 복스핸들 등의 수동공구를 끼워서 일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벨트(110)가 상기 권취편(41)에 감겨지면서 상기 벨트가 긴장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하부래치기어(30,31)의 기어부(32)가 상기 잠금부(51)의 걸림편(52)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고, 상기 벨트(110)가 긴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잠금부(51)의 걸림편(52)에 상기 상부래치기어(30)의 기어부(32)가 걸려져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벨트권취수단 120: 고정브라켓
130: 안전망

Claims (3)

  1. 창틀 시공시 벽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벨트권취수단 및 고정브라켓과, 상기 벨트권취수단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창틀 시공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망이 포함된 안전망 고정장치에 있어서,
    'ㄷ' 자 형상을 가지며,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안전망(130)의 벨트(110)을 권취함과 아울러 몸체(20)의 체결공(21)에 끼워지는 권취편(41)과, 상기 권취편(41)의 상부에 형성된 핀공(42)과, 상기 권취편(41)의 상,하부에 구비되며 원주방향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조임면(43)이 포함된 벨트권취부(40)와;
    상기 벨트권취부(40)의 상,하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20)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래치기어(30,31)와;
    상기 벨트권취부(40)의 핀공(42)에 끼워져 상기 상,하부래치기어(30,31)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몸체(20)에서 벨트권취부(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80)과;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부래치기어(30)의 역방향으로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면(43)은 외측면을 따라 요철형상 및 사각형, 육각형,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50)는 볼트(70)와 너트(71)에 의해 상기 몸체(20)에 설치되는 잠금부(51)와 스프링(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부(51)는 상부래치기어(30)에 걸려지는 걸림편(52)과, 상기 상부래치기어(30)의 잠금을 해지는 잠금해지편(53)과, 상기 걸림편(52)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걸이공(55)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60)은 볼트(70)와 너트(71) 사이에 말려져 상기 잠금부(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부는 몸체(20)의 걸림공(23)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잠금부(51)의 걸이공(55)에 삽입되어 전체가 'V' 자 형상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KR1020220108202A 2022-08-29 2022-08-29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KR20240029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02A KR20240029873A (ko) 2022-08-29 2022-08-29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02A KR20240029873A (ko) 2022-08-29 2022-08-29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873A true KR20240029873A (ko) 2024-03-07

Family

ID=9027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02A KR20240029873A (ko) 2022-08-29 2022-08-29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8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367B1 (ko) 2019-08-09 2021-06-14 이태진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367B1 (ko) 2019-08-09 2021-06-14 이태진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9112C (en) Energy absorber
US2578515A (en) Fastening bolt with swinging head
EP2526331B1 (en) Tie device for elongate articles
US20070107329A1 (en) Panel mounting system
EP3170955B1 (en) A locking and pivoting latch for a fence support post
EP2361121A2 (en) Safety devices
GB2420820A (en) Safety line traveller
US20060151760A1 (en) Tensioning system
WO2018185149A1 (de) Lochwandsystem und befestigungselement
US5466022A (en) Safety cable lock for knob-operated door
US4938154A (en) Security closure
KR20240029873A (ko) 개선된 벨트권취수단이 구비된 안전망 고정장치
AU2008100267B4 (en) A brace
US3782238A (en) Self-drilling toggle bolt assembly
KR102264367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GB2208171A (en) Security closure
EP2578775B1 (en) Supporting device for safety lines
JP2588122B2 (ja) 自動ドアのベース部とレール部取付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2039779B1 (ko) 접이식 선반
KR102431034B1 (ko) 수직형 추락방지망용 라쳇 버클
JP2562360Y2 (ja) レールキャップ
KR101744513B1 (ko) 회전 당김 구조의 잠금 고정 장치
US4629355A (en) Device for attaching a scaffolding bracket to a frame member, and fixing assembly for implementing same
EP1302620A2 (de) Federwelle
US2027831A (en) Device for preventing the sagging of garage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