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323A -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323A
KR20240029323A KR1020220107626A KR20220107626A KR20240029323A KR 20240029323 A KR20240029323 A KR 20240029323A KR 1020220107626 A KR1020220107626 A KR 1020220107626A KR 20220107626 A KR20220107626 A KR 20220107626A KR 20240029323 A KR20240029323 A KR 20240029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beverage
fabric
friendly wooden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주)태양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태양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22010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323A/ko
Publication of KR2024002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95Making drinking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64Stabilizing the shape of the final product, e.g. by mechanical interlock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목재 베니아와 종이를 합지하여 제작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면서 두께를 줄이는 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음료빨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의하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피딩롤러유닛(111)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공급하는 피딩기(110)와; 피딩기(110)를 통해 공급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130 내지 160℃로 가열하는 히팅기(120)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하부-롤(131)과, 하부-롤(131)의 상부에서 상하로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한 상부-롤(132)을 구비하여, 히팅기(120)를 통해 가열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하부-롤(131)과 상부-롤(132) 사이를 지나면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표면이 고르게 되면서 0.15~0.18mm의 두께(T2)로 균일하게 압연 처리되는 압연기(130)와; 압연기(130)를 지나 후가공 처리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롤러유닛(141)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되감는 리와인딩기(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Post-processing equipment of eco-friendly wood fabric for straw}
본 발명은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재 베니아와 종이를 합지하여 제작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표면을 균일하면서 두께를 줄이는 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음료빨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빨대는 컵이나 캔 또는 물병 등에 담긴 아이스커피ㆍ음료ㆍ물 등을 마시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음료용 빨대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튜브 형태이며, 빨대 상부를 입속에 넣은 상태에서 빨게 되면 흡입력이 발생되어 음료가 흡입된다. 보통 플라스틱 음료 빨대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회수 재생하여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져 최근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플라스틱 음료빨대의 대안으로 종이를 이용한 음료빨대가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 음료빨대는 종이원단을 원통 모양으로 말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종이에 '아교' 또는 '포리졸'이라고 하는 수용성 본드를 이용한다. 그러나 종이 음료빨대의 주재료가 '종이'이기 때문에 이것을 음료에 담그면 짧은시간에도 부풀어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으며, 종이에 부착된 수용성 본드(아교 또는 포리졸 등)가 녹아 내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료 등의 섭취에 사용되는 음료빨대용 원단을 친환경 소재인 목재를 주재료로 제조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하고 사용 중에 쉽게 부풀지 않는『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및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음료용 빨대』를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20-0149777, 2020년 11월 11일 출원)하여 등록(특허등록 제10-2259702호, 2021년 05월 27일 등록)받은 바가 있다.
특허등록 제10-2259702호에서 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목재를 얇게 슬라이스처럼 썰어서 만들어진 베니아-외피와, 상면과 하면이 10 ~ 35미크론의 두께로 합성수지 코팅 처리된 펄프지로 이루어진 종이-내피를 열을 가하면서 합지하여 2플라이 레이어원단을 제작하는 레이어공정과; 상기 레이어공정에서 만들어진 상기 레이어원단들의 끝단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맞대어 이어붙이되, 상기 베니아-외피들과 상기 종이-내피들은 각각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맞대고, 상기 종이-내피들이 맞대어진 부위에는 상,하면이 합성수지 코팅 처리된 이음종이를 덧대어 열가압하여, 상기 레이어원단들을 길이방향으로 이어붙이면서 롤 형태로 감는 레이어원단 이음공정과; 상기 레이어원단 이음공정 이후에 롤 형태로 감겨진 상기 레이어원단을 일정한 너비를 갖도록 절단하여 빨대용 원단으로 제작하는 컷팅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허등록 제10-2259702호에서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음료용 빨대는 위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친환경 원단을 회전-봉을 이용하여 가장자리가 나선 형태로 오버랩되게 열가압하면서 감아 속이 빈 중공파이프로 만들고, 상기 중공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등록 제10-2259702호의 방법으로 제조된 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에서는 칼날을 이용하여 목재를 얇게 슬라이스처럼 썰어서 만들어진 베니아-외피가 슬라이스 기계장치의 칼날 공차, 목재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그 두께와 표면이 균일(일정)하지 않으며, 합성수지 코팅 처리된 종이-내피를 합지하는 과정에서도 공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을 통해 음료용 빨대를 제작하는 경우 음료용 빨대의 표면 역시 균일하지 않아 제품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2259702호(2021년 05월 27일 등록) 특허권자(출원인) : (주)태양아이엔티 발명자 : 이우현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베니아와 종이를 합지하여 제작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표면을 균일하게 하면서 두께를 줄이는 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음료빨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후가공하면서 종이층 표면을 엠보 처리함으로써, 친환경 목재원단을 빨대 형태로 감는 공정 이전에 풀림방지를 위해 종이층 표면에 도포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재를 슬라이스처럼 썰어서 만들어진 베니아-외피와 10~35미크론의 두께로 합성수지 코팅 처리된 펄프지로 이루어진 종이-내피를 합지하여 0.2~0.3mm두께의 레이어원단으로 제조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빨대 형태로 감기 이전에 두께와 표면을 균일하게 후가공하기 위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는;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피딩롤러유닛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공급하는 피딩기와; 상기 피딩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130 내지 160℃로 가열하는 히팅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하부롤과, 상기 하부롤의 상부에서 상하로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한 상부롤을 구비하여, 상기 히팅기를 통해 가열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이 상기 하부롤과 상부롤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표면이 고르게 되면서 0.15~0.18mm의 두께로 균일하게 압연 처리되는 압연기와; 상기 압연기를 지나 후가공 처리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롤러유닛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되감는 리와인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는; 상기 히팅기가 상기 피딩기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통 형상으로 만들어진 가열통체와, 상기 가열통체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열통체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져; 상기 가열통체 내부를 연속적으로 지나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간접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는; 상기 압연기측으로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종이-내피층이 상부를 향하도록 공급되며;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종이-내피층 표면을 엠보싱하기 위해 상기 압연기의 상부롤 표면이 엠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의하면; 0.2~0.3mm 두께의 2플라이 레이어원단으로 제조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이 히팅기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연화처리되며, 계속하여 압연기를 통해 표면이 고르게 되고 0.15~0.18mm 두께로 줄어들면서 균일하게 후가공됨으로써, 음료빨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가열된 상태의 친환경 목재원단을 압연 처리함에 따라 목재원단 자체의 탄성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전반적으로 보다 부드러워지며, 이로 인해 목재원단을 이용한 빨대 제조장치에서 나선형태로 용이하게 감겨 빨대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의하면;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이 가열통체 내부를 연속적으로 지나 간접 가열됨으로써, 목재원단의 열손상을 방지하며 후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의하면; 압연기측으로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종이-내피층이 상부를 향하도록 공급되고, 압연기의 상부롤 표면이 엠보처리되어 있어서, 압연기를 지난 음료빨대의 친환경 목재원단에서는 종이-내피층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다. 따라서 후가공 처리된 친환경 목재원단을 음료빨대 형태로 감는 공정 이전에 빨대 풀림방지를 위해 종이-내피 표면에 도포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원단 후가공장치를 통해 후가공 처리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은 목재를 얇게 슬라이스처럼 썰어서 만들어진 베니아-외피(11)와 10~35미크론의 두께로 합성수지 코팅(12a) 처리된 펄프지로 이루어진 종이-내피(12)를 열을 가하면서 합지하여 0.2~0.3mm 두께(T1)의 2플라이 레이어원단으로 제조된 것이다. 종이-내피(12)는 음료 빨대의 내부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친환경 소재인 베니아-외피(11)와 합지되어 이것이 찢어지거나 음료가 흡수되어 쉽게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종이-내피(12)는 상하면이 10 ~ 35미크론(㎛) 정도의 두께로 합성수지 코팅(12a) 처리된 단층 펄프지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 코팅(12a)층으로 인해 레이어공정에서 별도의 접착제가 요구되지 않으며, 목재원단을 나선 형태로 오버랩되게 가압하면서 감는 과정에서 오버랩되는 구간이 틈새없이 달라붙게 된다. 이러한 종이-내피(12)에 처리된 합성수지 코팅(12a)은 체내에 흡수될 수 없어 건강상 위해가 없는 고분자 물질의 친환경 합성수지 소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한데;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락틱 에시드(PLA;Polylactic Acid), 피이티(PET;poly ethylene terephthlate), 실리콘, 아크릴계 수지(acryl containing resin) 등에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 코팅(12a)은 단층 펄프지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며 음료 빨대의 성형에도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는 위와 같이 제조되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빨대 형태로 감기 이전에 표면을 균일하게 하면서 두께(T2,도 2참조)를 0.15~0.18mm 정도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특히, 후가공장치를 거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이 균일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 그 두께(T2)가 현저하게 줄어 탄성력이 떨어진다. 즉,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부드러워져 빨대 형태로 보다 원활하게 감길 수 있으며, 감긴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100)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긴장시키면서 공급하는 피딩기(110)와, 피딩기(110)를 통해 공급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130 내지 160℃로 가열하여 연화처리하는 히팅기(120), 히팅기(120)를 통해 가열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하부-롤(131)과 상부-롤(132) 사이를 지나면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표면이 고르게 되면서 0.15~0.18mm의 두께(T2)로 균일하게 압연 처리되는 압연기(130)와, 압연기(130)를 지나 후가공 처리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긴장시키면서 되감는 리와인딩기(140)를 갖추고 있다.
피딩기(110)는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피딩롤러유닛(111)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히팅기(120)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히팅기(120)는 피딩기(11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130 내지 160℃로 가열하여 연화 처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딩기(11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통 형상으로 만들어진 금속재질의 가열통체(121)와, 가열통체(121)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가열통체(121)를 가열하는 히터(12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은 가열통체(121) 내부를 연속적으로 지나면서 간접 가열되어 연화 처리된다. 이때,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가열온도는 130 ~ 160℃로 설정함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고열에 의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합성수지 코팅(12a)층으로 합지된 베니아-외피(11)와 종이-내피(12)를 부드럽게 연화처리하기 위함이다.
압연기(130)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저속 회전하는 하부-롤(131)과, 하부-롤(131)의 상부에서 상하로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한 상부-롤(132)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롤(1320은 핸들(133)을 정역방향으로 조작하여 하부-롤(131)과의 간격(사이틈)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0.2~0.3mm 두께(T1)의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0.15~0.18mm 두께(T2)로 줄일 수 있도록 조정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히팅기(120)를 통해 연화(가열) 처리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은 하부-롤(131)과 상부-롤(132) 사이를 지나면서 표면이 고르게 되고, 아울러 그 두께(T2)가 줄어들면서 균일하게 압연 처리된다.
이와 같이, 연화(가열) 처리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은 압연기(130)를 지나 압연 처리되는 과정에서 그 두께(T2)가 줄어들면서 탄성 복원력 역시 현저하게 떨어져 보다 부드럽게 연화된다. 보다 상술하면; 목재를 슬라이스처리하여 만들어진 베니아-외피(11)는 대략 50%의 셀롤로우스, 23%의 헤미셀롤로우스, 20%의 리그닌, 7%의 다른 추출물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열 처리한 후 압연하는 과정을 통해 목재로부터 수지, 기타 화학물질 및 습기(수산기)가 제거된다.
이러한 연화/압연과정을 통해 베니아-외피(11)의 수분 흡수율을 감소시키며, 부후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고, 굽힘과 팽윤의 위험성을 최소화게 된다. 또한, 셀롤로우스가 결정화되며, 이러한 것은 내구력 향상에 큰 도움을 준다. 아울러, 헤미셀롤로우스 또한 변형되어 오일과 카로복시산의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빨대의 내구성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압연기(130)측으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종이-내피(12)층이 상부를 향하도록 공급되며, 압연기(130) 상부-롤(132)의 표면 전역에는 엠보(132a)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압연기(130)를 지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종이-내피(12) 표면은 엠보싱(12b) 처리되는데(도 2 참조), 이로 인해 후가공 처리된 친환경 목재원단(10)을 음료빨대 형태로 감는 공정 이전에 빨대 풀림방지를 위해 종이-내피(12) 표면에 도포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리와인딩기(140)는 압연기(130)를 지나 후가공 처리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롤러유닛(141)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되감는 것으로, 이것은 음료빨대 제조장치에 부착된 친환경 목재원단 피딩기에 그대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0.2~0.3mm 두께(T1)의 레이어원단으로 제조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가열되어 연화처리되며, 계속하여 압연기(130)를 통해 표면이 고르게 되고 0.15~0.18mm 두께(T2)로 균일하게 줄어드는 후가공 처리됨으로써, 음료빨대의 제조공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열된 상태의 친환경 목재원단(10)을 압연 처리함에 따라 베니아-외피(11)와 종이-내피(12)와의 층분리 현상이 방지되고 목재원단 자체의 탄성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보다 부드러워지며, 이것으로 인해 나선형태로 용이하게 감겨 빨대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가열통체(121) 내부를 연속적으로 지나 간접 가열됨으로써, 목재원단(10)의 열손상을 방지하며 후가공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연기(130)를 지난 음료빨대의 친환경 목재원단(10)에서는 종이-내피(12)층 표면이 엠보싱(12b) 처리되는데, 이로 인해 후가공 처리된 친환경 목재원단(10)을 음료빨대 형태로 감는 공정 이전에 빨대의 풀림방지를 위해 종이-내피 표면에 도포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10..친환경 목재원단 11..베니아-외피
12..종이-내피 12a..합성수지 코팅
12b..엠보싱 100..후가공장치
110..피딩기 111..피딩롤러유닛
120..히팅기 121..가열통체
122..히터 130..압연기
131..하부-롤 132..상부-롤
132a..엠보 133..핸들
140..리와인딩기 141..롤러유닛

Claims (3)

  1. 목재를 슬라이스처럼 썰어서 만들어진 베니아-외피(11)와 10~35미크론의 두께로 합성수지 코팅(12a) 처리된 펄프지로 이루어진 종이-내피(12)를 합지하여 0.2~0.3mm두께(T1)의 레이어원단으로 제조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빨대 형태로 감기 이전에 두께와 표면을 균일하게 후가공하기 위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100)는;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피딩롤러유닛(111)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공급하는 피딩기(110)와;
    상기 피딩기(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130 내지 160℃로 가열하는 히팅기(120)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하부-롤(131)과, 상기 하부-롤(131)의 상부에서 상하로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한 상부-롤(132)을 구비하여, 상기 히팅기(120)를 통해 가열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상기 하부-롤(131)과 상부-롤(132)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표면이 고르게 되면서 0.15~0.18mm의 두께(T2)로 균일하게 압연 처리되는 압연기(130)와;
    상기 압연기(130)를 지나 후가공 처리된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롤러유닛(141)을 통해 긴장시키면서 되감는 리와인딩기(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기(120)는;
    상기 피딩기(11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이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통 형상으로 만들어진 가열통체(121)와, 상기 가열통체(121)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열통체(121)를 가열하는 히터(122)로 이루어져; 상기 가열통체(121) 내부를 연속적으로 지나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을 간접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130)측으로는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종이-내피(12)층이 상부를 향하도록 공급되며;
    상기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10)의 종이-내피(12)층 표면을 엠보싱(12b)하기 위해 상기 압연기(130)의 상부-롤(132) 표면이 엠보(132a)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KR1020220107626A 2022-08-26 2022-08-26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KR20240029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626A KR20240029323A (ko) 2022-08-26 2022-08-26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626A KR20240029323A (ko) 2022-08-26 2022-08-26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323A true KR20240029323A (ko) 2024-03-05

Family

ID=9029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626A KR20240029323A (ko) 2022-08-26 2022-08-26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3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702B1 (ko) 2020-11-11 2021-06-02 (주)태양아이엔티 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및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음료용 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702B1 (ko) 2020-11-11 2021-06-02 (주)태양아이엔티 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및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음료용 빨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발명자 : 이우현
특허권자(출원인) : (주)태양아이엔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702B1 (ko) 목재를 이용한 음료빨대용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및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음료용 빨대
RU2526681C2 (ru) Ткань для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й машин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умажных салфеток и бумажных полотенец,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30105444A1 (en) Tampon for feminine hygiene or medical purpos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40068180A (ko) 가열 엠보싱 및 겹접착 방법
US20090133803A1 (en) Device and Means of Processing a Material by Means of an Ultrasonic Device
KR20180082372A (ko) 나무 스트로우 제조방법
US20020091051A1 (en) Paint roller with integrated core and natural co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same
EP1824668B1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tubes by helical winding of strips of web material
CN112297513A (zh) 吸管成形机及其制造方法
US3280709A (en) Container and manufacture thereof
JP4339247B2 (ja) 2枚のパッケージ材料ウェブを接着する装置
KR20240029323A (ko) 음료빨대용 친환경 목재원단의 후가공장치
US202000950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discrete material segments to running web material
KR101636122B1 (ko) 접합면 용융접착에 의한 이중포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15046162A1 (ja)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556103B1 (ko) 우드 스트로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U2021258025B2 (en) Bamboo straw machining method
TW202037483A (zh) 紙吸管成形機及其製造方法
KR102593700B1 (ko) 종이빨대 제조장치
KR102654558B1 (ko) 원목 빨대 제조 방법
WO2016051508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CN110744908A (zh) 三层复合材质纸吸管及其制造方法
US20230301449A1 (en) Tubular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ubular implement
CN212415410U (zh) 一种具有加强结构结合强度的纸吸管及其制造设备
US20220402718A1 (en) Tabbed roll of shee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