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144A -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144A
KR20240029144A KR1020220107253A KR20220107253A KR20240029144A KR 20240029144 A KR20240029144 A KR 20240029144A KR 1020220107253 A KR1020220107253 A KR 1020220107253A KR 20220107253 A KR20220107253 A KR 20220107253A KR 20240029144 A KR20240029144 A KR 2024002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unit
portafilter
contain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홍
김인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0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144A/ko
Publication of KR2024002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템핑 선택 정보 및 추출 선택 정보에 관한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가 원두 배출부, 분쇄부, 템핑부 및 추출부를 제어하여 커피를 제조함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정확한 레시피대로 커피 제조가 가능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수용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가 구비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각 원두 수용기별로 수용된 원두를 특정 비율로 배출하는 원두 배출부; 배출되는 원두를 전달받아 분쇄하고, 포터 필터 용기로 배출하는 분쇄부; 분쇄된 원두를 포터 필터 용기 내에 목적하는 밀도로 정리하는 템핑부;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소정의 온도와 양을 가지는 물을 투입하고, 소정 압력을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수신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두 배출부, 상기 분쇄부, 상기 템핑부 및 상기 추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Coffee making system using user's recipe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템핑 선택 정보 및 추출 선택 정보에 관한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가 원두 배출부, 분쇄부, 템핑부 및 추출부를 제어하여 커피를 제조함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정확한 레시피대로 커피 제조가 가능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기호 식품으로써, 널리 소비되고 있으며 이를 가공한 음료도 전 세계적으로 발달되어 있고, 최근에는 커피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커피 전문점 시장도 활발히 확대되고 있다.
커피 생두(green bean)는 비린내로 인하여 그대로 마시기에는 부적합하므로, 주로 커피는 커피 원두를 로스팅한 것을 분쇄하여 뜨거운 물에 침지하여 우려내거나, 고압의 물을 통과시켜 추출하여 음용하고 있다.
이때 커피 원두는 다양한 원산지별로 그 맛과 향이 다르며, 이러한 다양한 원산지별 종류의 원두를 단독으로 추출하거나 여러 원두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하여 음용하기도 한다.
아울러 분쇄된 원두 가루를 어떤 방법으로 어느 정도로 밀도로 템핑을 수행하느냐와, 추출하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와 물의 공급량 및 물 공급 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커피 제조 과정의 다양한 환경 조건들은 커피 주문자가 일일히 특정하여 주문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커피 제공자측에서 자신들만의 레시피로 제공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주문자는 커피 제공자별로 커피 맛이 달라 본인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등록 제10-2022-002015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어부가 수신한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원두 배출부, 분쇄부, 템핑부 및 추출부를 제어하여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레시피 주문 정보에 일치하는 커피 제조가 가능해지는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수용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가 구비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각 원두 수용기별로 수용된 원두를 특정 비율로 배출하는 원두 배출부; 배출되는 원두를 전달받아 분쇄하여 포터 필터 용기로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포터 필터 용기 내에 분쇄된 원두의 밀도를 조절하는 템핑부;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소정의 온도와 양을 가지는 물을 투입하고, 소정 압력을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수신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두 배출부, 상기 분쇄부, 상기 템핑부 및 상기 추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터 필터 용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분쇄부, 상기 템핑부 및 상기 추출부로 상기 포터 필터 용기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원두 배출부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 및 상기 복수의 원두 수용기에 각각 결합되어 원두 배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배출 이송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배출 이송기를 각각 제어하여 배출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템핑부는, 포터 필터 용기 내로 침칠봉의 니들이 삽입되어 일정 궤도로 이동함에 따라 원두가 정리되는 침칠봉부와, 포터 필터 용기 내로 레벨링툴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원두가 정리되는 레벨링툴부 및 포터 필터 용기 내로 탬퍼가 일정 부분 삽입되어 원두가 정리되는 템퍼부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침칠봉부, 레벨링툴부 및 템퍼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템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템핑부는, 회전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및 승강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제 1 방향, 제 2 방향 및 제 3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3개소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칠봉부, 상기 레벨링툴부 및 상기 템퍼부는 일측이 각각 3개소의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침칠봉부, 레벨링툴부 및 템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포터 필터 용기로 일정 부분 삽입되어 템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는, 상기 템퍼부가 포터 필터 용기에 원두를 가압하는 압력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템퍼부가 포터 필터 용기에 가압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추출부는, 포터 필터 용기에 투입되는 물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수단과, 상기 소정의 온도로 조절된 물을 소정의 양으로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량 조절수단 및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수용된 원두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온도 조절수단의 물의 온도, 상기 공급량 조절수단의 물 공급량 및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는, 시간에 따른 물의 온도 변화 정보, 시간에 따른 물 공급량 변화 정보 및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추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추출 모드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가압 수단의 최대 압력이 가해지기 전 최대 압력의 1/2 보다 낮은 압력으로 원두에 물을 투입하여 적셔 주는 프리인퓨전 모드와, 커피를 소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여 에스프레소의 기준 추출 용량에 대해 1/2 용량인 15g 내지 20g의 커피를 20초 이내로 추출하는 리스트레토 모드 및 에스프레소의 기준 추출 용량에 대해 2배 내지 3배 용량인 60g 내지 120g의 커피를 50초 이상으로 추출하는 룽고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의 내벽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온도 센서로부터 추출 시 온도 정보를 수신 받아 추출 편차를 산출하되,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추출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추출 편차 이상인 경우, 상기 침칠봉부, 레벨링툴부 및 템퍼부 중 직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경고 지령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조된 커피의 만족도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받은 상기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레시피 주문 정보들의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은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원두의 템핑 선택 정보 및 원두의 추출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원두의 템핑 선택 정보는, 원두가 수용된 포터 필터 용기 내로 침칠봉의 니들을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침칠봉 선택 정보와, 상기 포터 필터 용기 내로 레벨링툴을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레벨링툴 선택 정보 및 상기 포터 필터 용기 내로 탬퍼를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탬퍼 선택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조된 커피의 만족도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받은 상기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레시피 주문 정보들의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에 따라 커피를 제조하여 주문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동일한 커피 맛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조된 커피 만족도 정보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고, 자신의 섬세한 취향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두 배출부, 분쇄부, 템핑부 및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원두 배출부 및 분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템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출 편차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두 배출부, 분쇄부, 템핑부 및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원두 배출부와 분쇄부, 템핑부 및 추출부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1000)은 크게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수용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110)가 구비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각 원두 수용기별로 수용된 원두를 특정 비율로 배출하는 원두 배출부(100)와, 배출되는 원두를 전달받아 분쇄하여 포터 필터 용기(600)로 배출하는 분쇄부(200)와, 포터 필터 용기(600) 내에 분쇄된 원두의 밀도를 조절하는 템핑부(300)와,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에 소정의 온도와 양을 가지는 물을 투입하고, 소정 압력을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400) 및 수신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두 배출부(100), 상기 분쇄부(200), 상기 템핑부(300) 및 상기 추출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1000)은 제어부(500)로 사용자로부터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레시피 주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템핑 선택 정보 및 추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원두 배출부(100), 상기 분쇄부(200), 상기 템핑부(300) 및 상기 추출부(400)를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 주문 정보대로 정확한 커피 맛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원두 배출부(100)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수용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110)가 구비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각 원두 수용기별로 수용된 원두를 특정 비율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원두 배출부(100)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110) 및 상기 복수의 원두 수용기(110)에 각각 결합되어 원두 배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배출 이송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두 수용기(110)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에 따라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측에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호퍼 형태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원두 수용기(110)의 하부측에는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1)의 내측에는 배출구(111)를 통해 원두가 배출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배출 이송기(120)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 이송기(1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송 스크류(121)와, 상기 이송 스크류(121)를 회전시켜 원두 배출량을 조절하는 스크류 모터(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종류로 구성되는 원두가 각각 수용되는 원두 수용기(110)에 이들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기 위해 각 스크류 모터(122)를 제어부(500)가 제어하여 혼합하는 원두들의 비율과 전체 원두량이 결정되게 되고, 상기 제어부(500)는 이를 수행할 때 사용자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류 모터(12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원두 수용기(110) 및 배출 이송기(1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와 같이 구성되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수용하고, 이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원두 수용기(110)의 배출구(111)로부터 배출되는 원두는 분쇄부(200)로 전달되어 분쇄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쇄부(200)는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분쇄하우징(210)과, 상기 분쇄하우징(210)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분쇄날(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원두 수용기(110)의 배출구(111) 각각은 분쇄하우징(210)과 각각 결합되어 배출구(111)가 분쇄하우징(210)의 내측 수용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
이에 따라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원두는 분쇄하우징(210) 하부측으로 낙하하여 분쇄날(220)에 의해 분쇄된다.
이러한 분쇄날(220)은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쇄 구동부(도면 미표시)의 구동을 통해 분쇄날(220)의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분쇄 구동부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분쇄날(220)의 동작은 물론 회전 속도 등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부(200)는 저면 측에 분쇄된 원두가 하부측으로 배출되도록 별도의 배출부(도면 미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하부측에는 포터 필터 용기(600)가 위치한다.
이러한 포터 필터 용기(600)는 분쇄부(200)에 의해 분쇄된 원두를 일시 저장하고, 이동 레일(700)을 따라 템핑부(300)로 이동한 후, 다시 추출부(400)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7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200)에서 템핑부(300)를 거쳐 추출부(400)로 이어지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혼합된 상태로 분쇄된 원두를 수용하는 포터 필터 용기(600)를 이송하도록 한다.
물론 도면에서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포터 필터 용기(6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포터 필터 용기(600)를 직선 이동시키는 용기 이송부(도면 미표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 이송부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공지 기술 사항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 표시를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 레일(700)은 상기 용기 이송부로부터 포터 필터 용기(600)가 직선 왕복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며 도 2에서와 같이 포터 필터 용기(600)의 돌출부(610)가 상기 이동 레일(700)의 결합홈로(710) 상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쇄부(200)로부터 배출부를 통해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로 전달된 원두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의 이동에 따라 템핑부(300)로 이동되고, 템핑부(300)에 의해 목적하는 밀도를 가지도록 정리된다.
이러한 템핑부(300)는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침칠봉(311)의 니들(311a)이 삽입되어 일정 궤도로 이동함에 따라 원두의 밀도를 조절하는 침칠봉부(310)와,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레벨링툴(321)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원두의 밀도를 조절하는 레벨링툴부(320) 및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탬퍼(331)가 일정 부분 삽입되어 원두의 밀도를 조절하는 템퍼부(330)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침칠봉부(310), 레벨링툴부(320) 및 템퍼부(330)가 모두 형성된 템핑부(300)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침칠봉부(310)와 템퍼부(330)가 형성되거나, 레벨링툴부(320)와 템퍼부(330)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템핑부(300)는 침칠봉부(310), 레벨링툴부(320) 및 템퍼부(3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및 승강하는 몸체(301)와, 상기 몸체(301)로부터 제 1 방향, 제 2 방향 및 제 3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3개소의 연장부(302)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침칠봉부(310), 상기 레벨링툴부(320) 및 상기 템퍼부(330)가 상기 3개소의 연장부(302) 각각에 결합되고, 제어부(500)는 수신받은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구동부(303) 및 승강 구동부(304)를 제어하여 상기 침칠봉부(310), 레벨링툴부(320) 및 템퍼부(3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로 일정 부분 삽입되어 템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상기 회전 구동부(303) 및 승강 구동부(304)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회전 구동부(303)는 회전 모터가 상기 템핑부(300)의 몸체(301) 외부면 상의 중심 일측에 연결되어 몸체(30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구동부(304)는 상기 템핑부(300)의 몸체(301) 외부면 상의 중심 타측에 연결되어 몸체(301)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 구동부(304)에 의해 템핑부(300)가 승하강 시 안정적인 승하강 동작을 위해 승강 레일(3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 구동부(303) 및 승강 구동부(304)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의 표시를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수신받은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구동부(303) 및 승강 구동부(304)를 제어하여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침칠봉부(310), 레벨링툴부(320) 및 템퍼부(330)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여 목적하는 밀도로 분쇄된 원두 가루를 정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는 2개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선택된 경우 침칠봉부(310), 레벨링툴부(320) 및 템퍼부(330) 중선택된 템핑부(300)로 순차적 템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가 템퍼부(330)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템퍼부(330)가 포터 필터 용기(600)에 원두를 가압하는 압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수신한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에 상기 압력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기초로 상기 승강 구동부(304)를 제어하여 템퍼부(330)가 목적하는 압력으로 포터 필터 용기(600)에 가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부(400)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에 소정의 온도와 양을 가지는 물을 투입하고, 소정 압력을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추출부(400)는 포터 필터 용기(600)에 투입되는 물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수단(410)과, 상기 소정의 온도로 조절된 물을 소정의 양으로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에 공급하는 공급량 조절수단(420) 및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에 수용된 원두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온도 조절수단(410)을 통해 물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공급량 조절수단(420)을 통해 물 공급량을 제어하며, 상기 가압수단(430)을 통해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 조절수단(4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출부(400)의 물 공급하우징(401)에 설치된 열선(402)일 수 있고, 상기 공급량 조절수단(420)은 물 공급하우징(40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량 조절 밸브(403)일 수 있으며, 가압수단(430)은 물 공급하우징(401)의 내벽면 상에서 승하강하는 가압 피스톤(404)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수단(410), 공급량 조절수단(420) 및 가압수단(4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각 열선(402), 유량 조절 밸브(403) 및 가압 피스톤(404)으로 구성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고, 물 공급량을 제어하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포터 필터 용기(60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추출량과 비례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수신받은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에서 이와 같은 물의 온도, 공급량 및 압력 정보를 기초로 추출하게 되고, 이러한 추출 선택 정보는 특정 값을 가지는 상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물의 온도 변화 정보, 시간에 따른 물 공급량 변화 정보 및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받은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원두 배출부(100), 분쇄부(200), 템핑부(300) 및 추출부(400)를 제어하여 커피 제조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레시피 주문 정보는 별도의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8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커피 제조 레시피에 대한 레시피 주문 정보를 텍스트 파일 형태 또는 QR 코드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커피 주문 시 별도의 관리 서버를 통해 제어부(500)로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달하거나 제어부(500)에 바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레시피 주문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템퍼부의 압력 정보를 포함한 템핑 선택 정보 및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선택 정보에는 커피 제조 레시피인 프리인퓨전, 리스트레토 및 룽고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복수의 추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추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추출 모드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에 가압 수단의 최대 압력이 가해지기 전 최대 압력의 1/2 보다 낮은 압력으로 원두에 물을 투입하여 적셔 주는 프리인퓨전 모드와, 커피를 소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여 에스프레소의 기준 추출 용량에 대해 1/2 용량인 15g 내지 20g의 커피를 20초 이내로 추출하는 리스트레토 모드 및 에스프레소의 기준 추출 용량에 대해 2배 내지 3배 용량인 60g 내지 120g의 커피를 50초 이상으로 추출하는 룽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추출 모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시피 주문 정보에 특정된 시간에 따른 물의 온도 변화 정보, 시간에 따른 물 공급량 변화 정보 및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 정보에 따라 추출하는 기본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800)에 제조된 커피의 만족도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만족도 정보를 취합하여 각 레시피 주문 정보별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만족도 순위 리스트는 만족도 정보가 수신되는 대로 계속하여 업데이트되고, 어느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출 편차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의 내벽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온도 센서로부터 추출 시 온도 정보를 수신 받아(S100) 추출 편차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200).
여기서 추출 편차는 추출 시 공급되는 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흘러가는지, 어느 측에 더 흐르거나 덜 흐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추출 편차를 복수개로 구성되는 온도 센서의 가장 낮은 온도 값과 가장 높은 온도 값 간의 차로 특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다른 일예로 전체 온도 센서의 온도 평균값 대비 가장 높은 온도 값 또는 가장 낮은 온도 값 간의 차로 특정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추출 시 포터 필터 용기(600)의 전체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산출된 추출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추출 편차 이상인지 판단하는데(S300), 만일 이상인 경우, 상기 침칠봉부(310), 레벨링툴부(320) 및 템퍼부(330) 중 직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경고 지령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S400).
즉, 템핑부에서 템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템핑부(300)를 점검하도록 경고 지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시스템(1000)은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8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800)로부터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9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800)로부터 수신받은 레시지 주문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이를 기초로 커피를 제조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레시피 주문 정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원두의 템핑 선택 정보 및 원두의 추출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원두의 템핑 선택 정보는, 원두가 수용된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침칠봉의 니들을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침칠봉 선택 정보와,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레벨링툴을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레벨링툴 선택 정보 및 상기 포터 필터 용기(600) 내로 탬퍼를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탬퍼 선택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9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800)로 제조된 커피의 만족도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받은 상기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레시피 주문 정보들의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8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원두 배출부
110 : 원두 수용기 111 : 배출구
120 : 배출 이송기 121 : 이송 스크류
122 : 스크류 모터
200 : 분쇄부
210 : 분쇄하우징 220 : 분쇄날
300 : 템핑부
301 : 몸체 302 : 연장부
303 : 회전 구동부 304 : 승강 구동부
310 : 침칠봉부 311 : 침칠봉
311a : 니들 320 : 레벨링툴부
330 : 템퍼부
400 : 추출부
401 : 물 공급하우징 402 : 열선
403 : 유량 조절 밸브 410 : 온도 조절수단
420 : 공급량 조절수단 430 : 가압수단
500 : 제어부
600 : 포터 필터 용기
610 : 돌출부
700 : 이동 레일
710 : 결합홈로
800 : 사용자 단말기
900 : 관리자 단말기
1000 : 커피 제조 시스템

Claims (15)

  1.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수용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가 구비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각 원두 수용기별로 수용된 원두를 특정 비율로 배출하는 원두 배출부;
    배출되는 원두를 전달받아 분쇄하여, 분쇄된 원두를 포터 필터 용기로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포터 필터 용기 내에 분쇄된 원두의 밀도를 조절하는 템핑부;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소정의 온도와 양을 가지는 물을 투입하고, 소정 압력을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수신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두 배출부, 상기 분쇄부, 상기 템핑부 및 상기 추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배출부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를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원두 수용기 및
    상기 복수의 원두 수용기에 각각 결합되어 원두 배출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배출 이송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출 이송기 각각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핑부는,
    포터 필터 용기로 침칠봉의 니들이 삽입되어 일정 궤도로 이동함에 따라 원두가 정리되는 침칠봉부와,
    포터 필터 용기로 레벨링툴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원두가 정리되는 레벨링툴부 및
    포터 필터 용기로 탬퍼가 일정 부분 삽입되어 원두가 정리되는 템퍼부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침칠봉부, 레벨링툴부 및 템퍼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템핑을 수행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템핑부는,
    회전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및 승강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제 1 방향, 제 2 방향 및 제 3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3개소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칠봉부, 상기 레벨링툴부 및 상기 템퍼부는 일측이 각각 3개소의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침칠봉부, 레벨링툴부 및 템퍼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포터 필터 용기로 일정 부분 삽입되어 템핑을 수행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템핑 선택 정보는,
    상기 템퍼부가 포터 필터 용기에 원두를 가압하는 압력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템퍼부가 포터 필터 용기에 가압을 수행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포터 필터 용기에 투입되는 물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수단과,
    상기 소정의 온도로 조절된 물을 소정의 양으로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공급하는 공급량 조절수단 및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수용된 원두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온도 조절수단의 물의 온도, 상기 공급량 조절수단의 물 공급량 및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을 제어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의 추출 선택 정보는,
    시간에 따른 물의 온도 변화 정보, 시간에 따른 물 공급량 변화 정보 및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추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추출 모드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에 가압 수단의 최대 압력이 가해지기 전 최대 압력의 1/2 보다 낮은 압력으로 원두에 물을 투입하여 적셔 주는 프리인퓨전 모드와,
    에스프레소의 기준 추출 용량에 대해 1/2 용량인 15g 내지 20g의 커피를 20초 이내로 추출하는 리스트레토 모드 및
    에스프레소의 기준 추출 용량에 대해 2배 내지 3배 용량인 60g 내지 120g의 커피를 50초 이상으로 추출하는 룽고 모드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 필터 용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분쇄부, 상기 템핑부 및 상기 추출부로 상기 포터 필터 용기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커피 제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터 필터 용기의 내벽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온도 센서로부터 추출 시 온도 정보를 수신 받아 추출 편차를 산출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추출 편차가 사전에 설정된 추출 편차 이상인 경우,
    상기 침칠봉부, 레벨링툴부 및 템퍼부 중 직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경고 지령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조된 커피의 만족도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받은 상기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레시피 주문 정보들의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제공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13.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는
    상기 레시피 주문 정보는,
    복수의 종류별 원두의 혼합 비율 선택 정보, 원두의 템핑 선택 정보 및 원두의 추출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커피 제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의 템핑 선택 정보는,
    원두가 수용된 포터 필터 용기 내로 침칠봉의 니들을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침칠봉 선택 정보와,
    상기 포터 필터 용기 내로 레벨링툴을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레벨링툴 선택 정보 및
    상기 포터 필터 용기 내로 탬퍼를 삽입하여 원두를 정리하는 탬퍼 선택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조된 커피의 만족도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받은 상기 만족도 정보를 기초로 레시피 주문 정보들의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만족도 순위 리스트를 제공하는,
    커피 제조 시스템.
KR1020220107253A 2022-08-26 2022-08-26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KR20240029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253A KR20240029144A (ko) 2022-08-26 2022-08-26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253A KR20240029144A (ko) 2022-08-26 2022-08-26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144A true KR20240029144A (ko) 2024-03-05

Family

ID=9029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253A KR20240029144A (ko) 2022-08-26 2022-08-26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91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58A (ko) 2020-08-11 2022-02-18 성빛찬 커피 원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58A (ko) 2020-08-11 2022-02-18 성빛찬 커피 원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1646B (zh) 咖啡冲泡装置及用冲泡装置泡制咖啡饮料的方法
EP2011422B1 (de) Kaffeemaschine
EP3057475B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coffee-based beverages
RU2531742C2 (ru) Способ и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 эспрессо
US20140053734A1 (en) Device for producing hot beverages
CN103932596B (zh) 咖啡机磨豆装置和咖啡机
EP3167775A1 (de)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system mit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verfahren zu dessen ansteuerung
US20070193452A1 (en) Apparatus for making coffee
AU2016324914A1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WO2017137568A1 (de) Getränkezubereitungssystem
CN101982144B (zh) 咖啡和茶定量给料系统
KR20160076521A (ko)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
CN116033854A (zh) 制备咖啡饮料的机器和方法
KR20240029144A (ko) 사용자의 레시피 주문 정보를 이용한 커피 제조 시스템
US20210177193A1 (en) Method by means of which caffeinated hot beverages, particularly coffee beverages, can be produced by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caffeinated hot beverage
KR102070509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070510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161569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20230142762A (ko) 자동 조절식 커피 머신 및 관련 커피 원두 용기
EP2135533B1 (de) Kaffeebrühverfahren sowie Kaffeemaschine
KR102441190B1 (ko) 커피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20287496A1 (en) Method for producing coffee,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17279548A (zh) 咖啡渗滤器及输送咖啡的方法
DE102014104907A1 (de) Kaffeevollautom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ffeinhaltigen Heißgetränkes
US20220304501A1 (en) Brew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ith adjustable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