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521A -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521A
KR20160076521A KR1020167013005A KR20167013005A KR20160076521A KR 20160076521 A KR20160076521 A KR 20160076521A KR 1020167013005 A KR1020167013005 A KR 1020167013005A KR 20167013005 A KR20167013005 A KR 20167013005A KR 20160076521 A KR20160076521 A KR 2016007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water
coffee
volume
ach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체스코 다니엘 요피스
Original Assignee
산레모 커피 머신즈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레모 커피 머신즈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산레모 커피 머신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6007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s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 A47J31/3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classical type of espresso apparatus, e.g. to put on a stove, i.e. in which the water is heated in a lower, sealed boiling vessel, raised by the steam pressure through a rising pipe and an extraction chamber and subsequently is collected in a beverage container on top of the water boiling vessel
    • A47J31/3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steam pressure classical type of espresso apparatus, e.g. to put on a stove, i.e. in which the water is heated in a lower, sealed boiling vessel, raised by the steam pressure through a rising pipe and an extraction chamber and subsequently is collected in a beverage container on top of the water boiling vessel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제어를 가지는 예열 보일러(preheating boiler), 유압 펌프(hydraulic pump), 물의 추가 가열 및 온도 제어를 위한 시스템들이 제공된 디스펜싱 어셈블리(dispensing assembly), 및 상기 예열 보일러 내 전달된 열 파워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에 의해 전달된 열 파워 모두를 제어하기 위한 수동 또는 전자 수단(manual or electronic means), 또한 필터 배스킷 홀더(filter basket holder)에 있는 분쇄된 커피 및 컵에 있는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머신들에서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 상기 전달된 열 파워를 조정하기 위하여 연관된 온도의 판독과 함께 예열을 달성하기 위해, 예열 보일러 내 및 디스펜싱 어셈블리 내 물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 상기 유압 펌프에서의 압력 없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또는 미리 설정된 체적의 물에 대해 프리인퓨전(preinfusion)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온도에서 예열된 물을 디스펜싱 하는 제1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커피 분말은 단지 젖어 있는, 상기 제1 디스펜싱 단계; - 커피 분말의 인퓨전(infusion)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 분쇄된 커피 및 상기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의 함수로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압력에서 및 체적 측정계에 의해 디스펜싱 된 물의 체적을 관리하는 논리 유닛의 이용에 의해, 선택되고 미리 설정된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체적 단위 물의 양이 디스펜싱되는, 상기 제2 디스펜싱 단계; 및 - 포스트인퓨전(postinfusion)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유압 펌프(2)가 무게 단위로 상기 프로그래밍 된 투여량의 디스펜싱 된 산물에 이르기에 필요한 시간 동안 다시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3 디스펜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MAKING AND DISPENSING COFFEE-BASED BEVERAGES}
본 발명은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머신들은, 특히, 바(bars), 레스토랑(restaurants), 호텔(hotels) 및 케이터링(catering)과 같은 전문 분야에서 현재 알려져 있다.
그들은 실질적으로 커피 빈(coffee beans)을 위한 그라인더(grinder), 보일러(boiler), 펌프(pump), 뜨거운 물을 디스펜싱 하기 위한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하고, 이것과 분쇄된 커피(ground coffee)가 놓이고(placed) 눌려지는(pressed) 아래쪽에 있는 필터(filter)를 연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 커피가 분쇄되면,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필터 배스킷 홀더(filter basket holder)에서 눌린 다음, 뜨거운 물을 디스펜싱 하는 펌프(pump)가 활성화되어, 인퓨전(infusion)을 얻는다.
결과로서 얻어진 커피는, 예를 들어, 이용된 분쇄된 커피의 양, 분쇄의 정도, 이용된 압력의 크기, 물이 디스펜싱된 시간의 함수로서 그것의 관능 특성들(organoleptic characteristics)이 변할 수 있다.
2009년 10월 23일에 출원된 이탈리아 특허 제1396581호 및 제1396582호가 알려져 있다; 그들은 모두 커피 기반 음료들을 생성하고 디스펜싱 하기 위해 커피 머신에서 디스펜싱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청구하고 있다; 특허 제1396581호는 커피 분말을 함유하도록 구성된 필터 유닛(filter unit)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공칭 디스펜싱 압력 값(nominal dispensing pressure value)에 대응하는 흐름 속도(flow-rate)를 가지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 펌프에 유체 접속(fluid connection)을 가지는 유압 회로(hydraulic circuit) 및 디스펜싱 어셈블리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압 펌프는 전자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상기 제공 단계;
상기 유압 회로를 따라 구성된 압력 센서(pressure sensor)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물 디스펜싱 압력 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디스펜싱 압력 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칭 압력 값과 다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디스펜싱 압력 값의 함수로서 상기 펌프에 의해 디스펜싱 된 물의 흐름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탈리아 특허 제1396582호는 커피 분말을 함유하도록 구성된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에 유체 접속을 가지고, 및 조정 가능한 흐름 속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에 가변할 수 있는 양들의 물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밸브(valve)를 포함하는 유압 회로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조정 가능한 흐름 속도 밸브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칭 디스펜싱 압력 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방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조정 가능한 흐름 속도 밸브는 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물의 흐름 속도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작동 가능한, 상기 방출 단계;
상기 유압 회로를 따라 구성된 압력 센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물 디스펜싱 압력 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디스펜싱 압력 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칭 압력 값과 다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압력 값의 함수로서 상기 조정 가능한 흐름 속도 밸브에 의해 방출된 물의 흐름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알려진 솔루션들(solutions)은 특별히 디스펜싱 압력의 제어 및 조정에 기초한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은 압력의 연속적인 제어와 수정 및 비싼 구성 부품들의 사용을 수반하는 구조적인 복잡성을 필요로 하고, 이 모든 것이 머신의 전체적인 비용 증가를 가져온다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운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압력에 대한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선택을 받기 때문에 상기 컵 내의 결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특허 출원 제WO2012146641호가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위한 무게 측정 디바이스(weighing device)를 청구한다. 이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어셈블리 아래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트레이 영역(tray region)에 위치될 수 있는 무게 측정 플랫폼(weighing platform), 상기 무게 측정 플랫폼에 접속된 컨트롤러(controller), 시작/정지 버튼(start/stop button), 타이머 유닛(timer unit) 및 디스플레이(display)를 포함하고, 이 모든 것들은 제어 유닛(control unit)에 접속되어 있어, 사용하는 동안, 디스펜싱의 무게 및 그것을 디스펜싱 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각각 상기 무게 측정 플랫폼 및 타이머 유닛에 의해 측정되고, 그 결과들이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진다.
이러한 솔루션 또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최적 인퓨전(optimum infusion)을 얻기 위해 분쇄된 커피의 무게를 측정하고 물 디스펜싱 시간을 결정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생각되고, 더욱이 운용자는 임의의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난 표시들에 기초하여 물의 디스펜싱을 중단할 때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직도 상기 컵 내의 결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표는, 상기 인용된 배경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하고, 및 그래서 최적 인퓨전을 얻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인퓨전이 운용자에 의해 얻기가 간단하고 쉬울 뿐만 아니라 시간에 걸쳐 반복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커피 기반 음료를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상기 기술된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에 걸쳐 일정한 관능 특성들을 가지는 인퓨전을 디스펜싱 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일단 특정 파라미터가 이용자에 의해 결정되면 컵 내의 결과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후에 더 명백하게 될 이들 목표와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온도 제어를 가지는 예열 보일러(preheating boiler), 유압 펌프(hydraulic pump), 물의 추가 가열 및 온도 제어를 위한 시스템들이 제공된 디스펜싱 어셈블리(dispensing assembly), 및 상기 예열 보일러 내 전달된 열 파워(thermal power)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에 의해 전달된 열 파워 모두를 제어하기 위한 수동 또는 전자 수단(manual or electronic means), 또한 필터 배스킷 홀더(filter basket holder)에 있는 분쇄된 커피 및 컵에 있는 디스펜싱 된 산물(dispensed product)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머신들(machines)에서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 상기 전달된 열 파워를 조정하기 위하여 연관된 온도의 판독과 함께 예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예열 보일러 내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 내 물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water);
- 상기 유압 펌프에서의 압력 없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또는 미리 설정된 체적의 물에 대해 프리인퓨전(pre-infusion)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온도에서 예열된 물을 디스펜싱 하는 제1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커피 분말은 단지 젖어 있는, 상기 제1 디스펜싱 단계(first dispensing step);
- 커피 분말의 인퓨전(infusion)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 분쇄된 커피 및 상기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의 함수로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압력에서 및 체적 측정계(volumetric meter)에 의해 디스펜싱 된 물의 체적을 관리하는 논리 유닛의 이용에 의해, 선택되고 미리 설정된 브루잉 비(brew ratio)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체적 단위 물의 양이 디스펜싱 되는, 상기 제2 디스펜싱 단계(second dispensing step); 및
- 포스트인퓨전(post-infusion)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유압 펌프가 무게 단위로 상기 프로그래밍 된 투여량의 디스펜싱 된 산물에 이르기에 필요한 시간 동안 다시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3 디스펜싱 단계(third dispensing step)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수반되는 도면들에서 제한이 없는 예들에 의해 도시된, 특정한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사용된 구성 부품들의 도해이다.
도 2는 압력 차트(pressure chart)이다.
뒤따르는 모범적인 실시 예들에서, 특정 예들에 관련하여 주어진 개개의 특성들은 다른 모범적인 실시 예들에 존재하는 다른 특성들과 실제로 교환될 수 있다.
더욱이, 특허화 과정 중 이미 알려진 것으로 밝혀진 어떤 것은 청구되지 않고 권리포기의 주제(subject of a disclaimer)가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고 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온도 제어를 가지는 예열 보일러(1), 유압 펌프(2), 디스펜싱 어셈블리(3)를 포함하는 머신들에서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이 기술되고, 여기에서 디스펜싱 어셈블리(3)에는 센서와 같이 온도 제어를 위한 수단(4), 분쇄된 커피가 눌리는 필터(6)가 제공된 필터 배스킷 홀더(filter basket holder)(5), 저항 히터(resistance heater)(7), 및 전기 밸브(electric valve)(8)가 제공된다.
상기 유압 펌프(2)는 상기 모든 물 디스펜싱 단계들 동안 일정한 압력의 디스펜싱을 보장하고, 상기 디스펜싱은 어떤 설정된 시간에 한 컵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디스펜싱 하는데 요구되는 양에 따라 프로그램할 수 있다(예를 들어 14bar까지).
유리하게, 예열 보일러(1)는 수도관(water mains)(9)에 의해 공급되고, 그 사이에 두 개의 커피/스팀 워터 회로들(coffee/steam water circuits)에 수도관 물을 분배하도록 의도된 블록(block)(11)과 필터(10)가 위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보일러(1)는 체적 측정계(13)를 사이에 두고 디스펜싱 어셈블리(3)에 상호 접속되고, 한편, 유압 펌프(2)는 보일러(1)를 디스펜싱 어셈블리(3)에 직접 접속하는 덕트(duct)(14)에 의해 바이패스(bypass)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 보일러(1) 내 디스펜싱 된 열 파워(thermal power)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에 의해 디스펜싱 된 열 파워 모두, 및 밸런스(16)와 같이, 필터 배스킷 홀더(5)에 있는 분쇄된 커피의 무게 및 컵(15)에 있는 디스펜싱 된 산물(product)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동 또는 전자 수단이 있다.
또, 유압 펌프(2), 체적 측정계(13), 블록(11) 및 전기 밸브(8)에 접속된 중앙 논리 유닛(centralized logic unit)(17)이 있다.
상기 방법은 처음에, 상기 전달된 열 파워를 조정하기 위해, 센서(4)에 의해, 상기 연관된 온도의 판독으로 물의 예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예열 보일러(1) 내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 내 물의 온도에 있어서의 상승을 준비하고 제공한다; 이것은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있는 분쇄된 커피의 아로마들(aroma)을 향상시키도록 허용한다.
그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에 또는 상기 유압 펌프(2)에서의 압력 없이 미리 설정된 체적의 물에 대해 프리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해 예열된 물의 제1 디스펜싱이 뒤따르고, 여기에서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있는 커피 분말은 단지 젖어(wet) 있다.
이 프리인퓨전은 커피의 브루잉(brewing)을 향상시키도록 허용한다.
디스펜싱 시, 상기 분쇄된 커피는 수초 동안 유압 펌프(2)의 압력 없이 예열된 물로 흡수된다.
이것은 상기 분쇄된 커피의 체적을 증가시키고 및 선호하는 경로들(preferential pathways)을 생성함이 없이 압력 하에서 이어지는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도록 허용한다.
그 다음,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있는 분쇄된 커피 분말을 인퓨전하기 위한 제2 디스펜싱 단계가 뒤따르고, 여기에 상기 분쇄된 커피 및 상기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의 함수로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압력에서 및 상기 체적 측정계(13)에 의해 디스펜싱 된 물의 체적을 관리하는 중앙 논리 유닛(17)의 이용에 의해, 선택되고 미리 설정된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체적 단위 물의 양이 디스펜싱 된다.
그러한 브루잉 비는 다음 표에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분쇄된 커피 무게
분말 grams
디스페싱 된 산물의 무게
액체 grams
40% 브루잉 비
뜨거울 물 체적 ㏄
50% 브루잉 비
뜨거울 물 체적 ㏄
60% 브루잉 비
뜨거울 물 체적 ㏄
14 28 63.3 50.6 42.2
15 30 67.9 54.3 45.3
16 32 72.5 58.0 48.3
17 34 77.1 61.7 51.4
18 36 81.8 65.4 54.5
19 38 86.4 69.1 57.6
20 40 91.0 72.8 60.7
21 42 95.6 76.5 63.8
제3 디스펜싱 단계가 포스트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해 뒤따르고, 여기에서 상기 유압 펌프(2)가 무게 단위로 상기 프로그래밍 된 투여량의 디스펜싱 된 산물에 이르기에 필요한 시간 동안 다시 비활성화된다.
상기 유압 펌프(2)에 의한 물 디스펜싱은, 예를 들어 70cc의 가상적인 투여량을 계산하여 보여진 다음의 차트:
Figure pct00001
에 따라 일정한 압력에서 항상 일어난다.
일단 상기 컵(15)에 있는 커피의 무게가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 있는 커피 분말의 무게에 대하여 측정되면, 상기 방법은 원하는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해 체적 단위로 계산된 물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에스프레소 커피의 디스펜싱 동안 아로마들의 추출과 모든 관능 특성들을 향상시키도록 허용한다.
수초 동안 유압 펌프(2)의 압력 없이 최적 온도까지 가열된 물을 이전에 흡수한 상기 분쇄된 커피는 그 다음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값의 압력 하에서 상기 뜨거운 물에 의해 부딪히게 된다: 이것은 커피에 존재하는 수용성 물질들의 추출을 증가시키고 및 그들을 높은 온도들에서 더 짧은 시간 동안 유지하게 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것은, 단백질의 경우에서처럼, 크림(cream)의 형성에 필수적인, 그들 구조의 결과적인 손실과 함께 그들의 변성(denaturation)을 가져온다.
상기 제2 디스펜싱 또는 인퓨전 단계에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 있는 커피 분말의 층을 통과한다; 선행 단계에서 추출된 오일들(oils)의 에멀전(emulsion)이 얻어지고, 이에 의해 상기 음료가 그 음료의 바디(body)와 산도(acidity)를 향상시키도록 그 음료를 구별 짓는 크림 모양(creamy appearance)을 띤다.
상기 제3 디스펜싱 단계에서, 유압 펌프는 분리되고, 추출은 프로그래밍 된 시간 또는 cc 단위 투여량 동안 계속된다; 이 단계에서 쓴 속성들(bitter notes)이 향상된다.
원하는 브루잉 비를 얻기 위하여 계산된 체적 단위 물의 양의 제어와 관련하여, 이것은, 적당한 분쇄(correct grinding) 및 근사적으로 22kg과 같은 누름 레벨(pressing level)을 가져야 하는,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준비된 커피의 무게, 및 상기 디스펜싱된 산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 아래에 구성되고 중앙 논리 유닛(17)과 통신하는 밸러스(16)가 있다; 밸런스(16)에 의해 보내진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브루잉 비가 확립된다; 예를 들어, 분말화 된 커피 15g과 디스펜싱 된 에스프레소 커피 30g으로, 40%와 같은 브루잉 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체적은 상기 커피 위에 67.9cc의 뜨거운 물과 같고, 50%에서 그것은 54.3cc와 같고, 및 60%에서 그것은 45.3cc와 같다.
중앙 논리 유닛 또는 CPU(17)에 의해, 체적 측정계(13)의 제어로 디스펜싱 된 물의 체적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전에 보여진 것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이용되고, 이들 데이터는 또한 브루잉 비를 향상시키고 개인화하기 위해 이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 동안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도한 목표 및 목적들을 달성하고, 시간에 걸쳐 반복 가능하고 운용자의 편에서 얻기가 쉬우며, 또한 시간에 걸쳐 일정한 관능 특성들을 가지는 최적 인퓨전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이 얻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브루잉 비의 파라미터들이 설정되면, 상기 컵에 들어 있는 결과는 각각의 디스펜싱에 대하여 사실상 일정하다.
더욱이,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운용자의 앞에 위치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진 브루잉 비를 읽음으로써 직접 컵에 들어 있는 결과를 체크하는 것을 허용하고, 및 상기 소프트웨어에 디폴트(default)로서 이미 설정된 일련의 파라미터들에 의해 최상의 추출을 관리하고, 에스프레소 커피의 완전하고 일정한 추출들을 갖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또한, 중앙 논리 유닛 또는 CPU(17)와 통신하고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놓인 분쇄 커피의 동일한 양으로 서로 다른 산출 비율들(different yield percentages)을 관리하는 것을 허용하는, 디스펜싱 어셈블리(3) 아래에 구성된 밸러스 또는 로드 셀(load cell)(16)의 이용 덕분에 가능하다.
명백히, 본 발명의 상기 개개의 구성 부품들을 구성하는 치수들은 물론 이용된 재료들은 상기 특정 요구 조건들에 따라 더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유리하거나, 편리하거나 하는 등으로서 표시된 상기 특성들은 또한 누락되거나 또는 동등한 것들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청구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제TV2013A000173호에 있는 개시들(disclosures)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임의의 청구항에 언급된 기술 특징들 다음에 참조 부호들이 뒤따르지만, 그들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목적으로서만 포함된 것이고, 따라서 그러한 참조 부호들은 그러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식별된 각 요소들의 해석에 대한 임의의 제한하는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1: 예열 보일러 2: 유압 펌프
3: 디스펜싱 어셈블리 4: 센서
5: 배스킷 홀더 6, 10: 필터
7: 저항 히터 8: 전기 밸브
9: 수도관 10: 필터
11: 블록 13: 체적 측정계
14: 덕트 15: 컵
16: 밸런스

Claims (11)

  1. 온도 제어를 가지는 예열 보일러(1), 유압 펌프(2), 물의 추가 가열 및 온도 제어를 위한 시스템들이 제공된 디스펜싱 어셈블리(3), 및 상기 예열 보일러(1) 내 전달된 열 파워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에 의해 전달된 열 파워 모두를 제어하기 위한 수동 또는 전자 수단, 또한 필터 배스킷 홀더(5)에 있는 분쇄된 커피 및 컵(15)에 있는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머신들에서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 상기 전달된 열 파워를 조정하기 위하여 연관된 온도의 판독과 함께 예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예열 보일러(1) 내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 내 물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 상기 유압 펌프에서의 압력 없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또는 미리 설정된 체적의 물에 대해 프리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온도에서 예열 된 물을 디스펜싱하는 제1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커피 분말은 단지 젖어 있는, 상기 제1 디스펜싱 단계;
    - 커피 분말의 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 분쇄된 커피 및 상기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의 함수로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압력에서 및 체적 측정계에 의해 디스펜싱 된 물의 체적을 관리하는 논리 유닛의 이용에 의해, 선택되고 미리 설정된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체적 단위 물의 양이 디스펜싱 되는, 상기 제2 디스펜싱 단계; 및
    - 포스트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디스펜싱 단계로서, 여기에서 상기 유압 펌프(2)가 무게 단위로 상기 프로그래밍 된 투여량의 디스펜싱 된 산물에 이르기에 필요한 시간 동안 다시 비활성화되는, 상기 제3 디스펜싱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펜싱 단계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개시된 표 1에 따라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해 계산되는 체적 단위 물의 양에 대하여 일어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달된 열 파워를 조정하기 위해 센서(4)에 의해 대응하는 온도의 판독으로 선택된 최적의 온도까지 물의 예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예열 보일러(1) 내 및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 내 물의 온도를 올리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또는 상기 유압 펌프(2)에서 압력 없이 미리 설정된 체적의 물에 대해 프리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열된 물의 제1 디스펜싱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있는 커피 분말은 단지 젖어 있어, 분쇄된 커피의 체적을 증가시키고 선호하는 경로들을 생성함이 없이 압력 하에서 뒤따르는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있는, 커피 분말의 인퓨전을 제2 디스펜싱 단계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분쇄된 커피 및 상기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의 함수로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압력에서 및 체적 측정계에 의해 디스펜싱 된 물의 체적을 관리하는 중앙 논리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선택된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체적 단위 물의 양이 디스펜싱 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포스트인퓨전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디스펜싱 단계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상기 유압 펌프(2)가 무게 단위로 상기 프로그래밍 된 투여량의 디스펜싱 된 산물에 이르기에 필요한 시간 동안 다시 비활성화되고, 상기 유압 펌프(2)에 의한 물의 디스펜싱은 바람직하게 70cc의 투여량을 계산함으로써 보여진 다음의 차트:
    Figure pct00002

    에 따라 일정한 압력에서 항상 일어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초 동안 상기 유압 펌프(2)의 압력 없이 선택된 최적 온도까지 가열된 물을 이전에 흡수한 상기 분쇄된 커피는, 그 다음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값의 압력 하에서 상기 뜨거운 물에 의해 부딪혀, 커피에 존재하는 수용성 물질들의 브루잉을 증가시키고 및 그들을 높은 온도들에서 더 짧은 시간 동안 유지하게 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펜싱 또는 인퓨전의 상기 제2 단계에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상기 필터 배스킷 홀더(5)에 들어 있는 커피 분말의 층을 통과하여, 선행 단계에서 추출된 오일들의 에멀전을 달성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펜싱 단계에서, 상기 유압 펌프(2)가 분리되고, 프로그램된 시간 또는 cc 단위 투여량 동안 브루잉이 계속되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어셈블리(3) 아래에 구성되고 상기 중앙 논리 유닛(17)에 접속된 밸런스(16)에 의해, 적절하게 분쇄되고 눌려진 커피의 무게 및 상기 디스펜싱 된 산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선택된 브루잉 비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상기 체적 단위 물의 양에 관하여 제어가 일어나고, 상기 밸런스(16)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의 판독은 상기 원하는 브루잉 비를 확립하고, 상기 중앙 논리 유닛 또는 CPU(17)는, 청구항 2에 보여진 것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체적 측정계(13)의 제어로 디스펜싱된 물의 체적의 관리를 허용하고, 상기 데이터는 또한 브루잉 비를 향상시키고 원하는 대로 하기 위해 이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 동안 변경될 수 있는,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g의 커피 분말과 디스펜싱 된 30g의 에스프레소 커피로, 40%와 같은 브루잉 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체적은 상기 커피 위에 67.9cc의 뜨거운 물과 같고, 50%에서 그것은 54.3cc와 같고, 60%에서 그것은 45.3cc와 같은, 상기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는 방법.
KR1020167013005A 2013-10-18 2014-08-26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 KR201600765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V2013A000172 2013-10-18
IT000172A ITTV20130172A1 (it) 2013-10-18 2013-10-18 Metodo per produrre ed erogare bevande a base di caffe'.
PCT/EP2014/068102 WO2015055342A1 (en) 2013-10-18 2014-08-26 Method for making and dispensing coffee-based bever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521A true KR20160076521A (ko) 2016-06-30

Family

ID=4964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005A KR20160076521A (ko) 2013-10-18 2014-08-26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4290B2 (ko)
EP (1) EP3057476B1 (ko)
KR (1) KR20160076521A (ko)
AU (1) AU2014336573A1 (ko)
IT (1) ITTV20130172A1 (ko)
WO (1) WO2015055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3708040T (lt) * 2015-03-16 2022-10-25 La Marzocco S.R.L. Atkartojamų savybių gėrimo ruošimo aparatas
DE102015217999A1 (de) * 2015-09-18 2017-03-23 Franke Kaffeemaschin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bereiten eines Kaffeegetränks
IT201700058729A1 (it) * 2017-05-30 2018-11-30 Simonelli Group Spa Macchina da caffè con sistema di preinfusione.
CN108514332B (zh) * 2018-05-16 2020-09-01 佛山豪捷电器有限公司 咖啡处理方法、控制装置和咖啡机
EP3610763B1 (de) 2018-08-16 2021-04-07 CUP&CINO Kaffeesystem-Vertrieb GmbH & Co. KG Kaffee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heissgetränks
US20210169261A1 (en) * 2018-08-30 2021-06-10 Cma Macchine Per Caffe'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IT201900001623A1 (it) 2019-02-05 2020-08-05 La Marzocco Srl Macchina macina caffè con sistema di dosatura perfezionato e relativo metodo
IT202000001159A1 (it) 2020-01-22 2021-07-22 Gruppo Cimbali Spa Metodo per controllare il deflusso del quantitativo dell’acqua di formazione di una data dose di bevanda a base di caffè macinato durante la sua erogazione in tazza ed apparecchiatura per attuare il detto metodo
IT202100009692A1 (it) * 2021-04-16 2022-10-16 La San Marco S P A Macchina per caffè e procedimento di erogazione di detto caff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2110B (it) * 1982-05-04 1986-12-31 Illycaffe Spa Macchina automatica per fare caffe' espresso
RU2530848C2 (ru) 2008-12-30 2014-10-20 Нестек С.А. Способ заваривания чайных листье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капсуле
GB2469873B (en) * 2009-05-01 2011-09-07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RU2560251C2 (ru) * 2010-05-31 2015-08-20 Туттоэспрессо С.Р.Л.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различными вкусам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V20130172A1 (it) 2015-04-19
US20160249763A1 (en) 2016-09-01
AU2014336573A1 (en) 2016-06-02
EP3057476A1 (en) 2016-08-24
US9844290B2 (en) 2017-12-19
EP3057476B1 (en) 2020-01-08
WO2015055342A1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7475B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coffee-based beverages
KR20160076521A (ko) 커피 기반 음료들을 만들고 디스펜싱 하기 위한 방법
US10463192B2 (en) Automatic coffee maker
US7401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variable liquid temperatures
US8695482B2 (en) Brewer having a programmable temperature component
US20140053734A1 (en) Device for producing hot beverages
US20090120299A1 (en) Line Pressure Brewer
US20070151457A1 (en) On demand hot liquid dispenser
US11986122B2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uniformity of concentration of espresso coffee in an espresso coffee machine and associated espresso coffee machine
EP3364833B1 (en) Professional coffee machine
US10524608B2 (en) Beverage brewing process
AU2015101973A4 (en) Espresso machine
KR20210087443A (ko) 추출 압력을 조절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및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추출 압력을 조절하는 방법
JP2021504006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4011506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delivering coffee-based beverages
US20240099503A1 (en) A coffee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offe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