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720A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720A
KR20240028720A KR1020220106825A KR20220106825A KR20240028720A KR 20240028720 A KR20240028720 A KR 20240028720A KR 1020220106825 A KR1020220106825 A KR 1020220106825A KR 20220106825 A KR20220106825 A KR 20220106825A KR 20240028720 A KR20240028720 A KR 2024002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lid
sediment
food wast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영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엠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엠제이티 filed Critical (주) 에스엠제이티
Priority to KR102022010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720A/ko
Publication of KR2024002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25Biological purification using sources of oxygen other than air, oxygen or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공급받아 교반하고, 교반에 의해 생성되는 고액혼합물을 저장하는 교반 유닛, 교반 유닛으로부터 고액혼합물을 공급받아 고형물 및 1차 여과수로 분리시키는 고액분리 유닛, 고액분리 유닛으로부터 1차 여과수를 공급받아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시키고, 2차 여과수를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정화 유닛, 고액분리 유닛 및 정화 유닛으로부터 고형물 및 침전물을 공급받아 분해시키는 소멸 유닛 및 교반 유닛, 고액분리 유닛, 정화 유닛 및 소멸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FOOD WASTE DISPOSAL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인간 생활에 수반하여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폐기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혁신적인 개선책이 다방면으로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아파트나 빌라 단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과 같은 별도의 용기를 두어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하고,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 업체에서 일괄 수거하여 처리하는데, 수거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이 유출되어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고형물과 수분이 다량으로 혼합되어 있어 처리가 쉽지 않고, 대부분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부패로 인한 유해 가스의 발생 위험도 있다.
따라서 다세대가 밀집되어 있는 아파트나 빌라 단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 어려움이 매우 많기 때문에 근래에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단지 내에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단지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77019호(1998.11.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물 및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은 소멸 처리하고 수분은 정화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공급받아 교반하고, 교반에 의해 생성되는 고액혼합물을 저장하는 교반 유닛, 교반 유닛으로부터 고액혼합물을 공급받아 고형물 및 1차 여과수로 분리시키는 고액분리 유닛, 고액분리 유닛으로부터 1차 여과수를 공급받아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시키고, 2차 여과수를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정화 유닛, 고액분리 유닛 및 정화 유닛으로부터 고형물 및 침전물을 공급받아 분해시키는 소멸 유닛 및 교반 유닛, 고액분리 유닛, 정화 유닛 및 소멸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정화 유닛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1차 여과수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고액분리 유닛과 연결되고 타측이 소멸 유닛과 연결되는 정화조 및 1차 여과수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화조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 유닛은 정화조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1 격벽 및 복수의 제1 격벽과 번갈아 배치되도록 정화조의 내측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 유닛은 침전물이 유로 상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화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유로를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제1 유도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 유닛은 침전물이 소멸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정화조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 배출구 및 2차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정화조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2차 여과수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 유닛은 침전물이 침전물 배출구 측으로 집적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제2 유도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정화 유닛으로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하여 1차 여과수를 분해 및 정화시키는 미생물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정화 유닛으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보충수를 투입하여 1차 여과수를 산화 및 살균시키는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 유닛은 교반 유닛 내부에 저장되는 고액혼합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수위 센서로부터 고액혼합물의 수위 정보를 제공받아 고액혼합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고액혼합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소멸 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탈취 처리하는 탈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형물 및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은 소멸 처리하고 수분은 정화 처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공급받아 교반하고, 교반에 의해 생성되는 고액혼합물을 저장하는 교반 유닛(110), 교반 유닛(110)으로부터 고액혼합물을 공급받아 고형물 및 1차 여과수로 분리시키는 고액분리 유닛(120), 고액분리 유닛(120)으로부터 1차 여과수를 공급받아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시키고, 2차 여과수를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정화 유닛(130), 고액분리 유닛(120) 및 정화 유닛(130)으로부터 고형물 및 침전물을 공급받아 분해시키는 소멸 유닛(150) 및 교반 유닛(110), 고액분리 유닛(120), 정화 유닛(130) 및 소멸 유닛(150)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60)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은 고형물 및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은 소멸 처리하고 수분은 정화 처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교반 유닛(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음폐수관 등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공급받아 교반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폐수관 등의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배관은 관리자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 유닛(110)은 교반에 의해 생성되는 고액혼합물을 내부에 저장하는 교반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유닛(110)은 3rpm 내지 4rpm의 저속으로 회전하며 고액혼합물을 생성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교반 유닛(110)은 고액혼합물을 저장하는 교반통 및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교반하여 고액혼합물을 생성하는 교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교반 유닛(110)은 교반통에 저장되는 고액혼합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액혼합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 시 수위 센서가 감지하여 제어 유닛(160)으로 교반통 내부 고액혼합물이 기설정된 범위 초과 상태임을 제어 유닛(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160)은 교반 유닛(110)의 타측으로 고액혼합물을 배출하도록 제어하여 교반통 내부의 고액혼합물의 수위를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교반 유닛(110)은 교반 유닛(110) 내부에 저장되는 고액혼합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160)은 수위 센서로부터 고액혼합물의 수위 정보를 제공받아 고액혼합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고액혼합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교반 유닛(110)의 타측에는 고액혼합물을 교반 유닛(110)으로부터 고액분리 유닛(120)으로 이송하는 고액혼합물 이송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액혼합물 이송관에는 고액혼합물을 교반 유닛(110)으로부터 고액분리 유닛(120)으로 공급하는 제1 고액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액혼합물이 교반 유닛(110)으로부터 고액분리 유닛(120)으로 이송되는 고액혼합물 이송관에는 제1 고액펌프가 작동불능일 시 대체 가능한 비상용 고액펌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고액분리 유닛(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유닛(110)으로부터 고액혼합물을 공급받아 고형물 및 1차 여과수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고액분리 유닛(120)의 일측으로 고액혼합물이 고액펌프에 의해 공급되고 내부에서 원심작용, 중력작용 및 압착작용등으로 인해 고액혼합물을 고형물과 1차 여과수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고액분리 유닛(120)은 내부에서 분리시킨 고형물을 소멸 유닛(15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액분리 유닛(120)은 내부에서 분리시킨 1차 여과수를 1차 여과수 이송관을 통해 정화 유닛(1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정화 유닛(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여과수 이송관을 통해 고액분리 유닛(120)으로부터 1차 여과수를 공급받아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시키고, 2차 여과수를 하수도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화 유닛(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1차 여과수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고액분리 유닛(1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소멸 유닛(150)과 연결되는 정화조(132) 및 1차 여과수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화조(13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 유닛(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은 정화 유닛(130)으로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하여 1차 여과수를 분해 및 정화시키는 미생물 공급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미생물 공급 유닛(170)은 정화조(1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은 정화 유닛(130)으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보충수를 투입하여 1차 여과수를 산화 및 살균시키는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180)은 정화조(1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미생물 공급 유닛(170) 및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180)은 동시에 정화조(132)의 일측과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격벽 유닛(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조(132)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1 격벽(136) 및 복수의 제1 격벽(136)과 번갈아 배치되도록 정화조(132)의 내측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격벽(13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격벽 유닛(134)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1차 여과수가 유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여과수가 정화조(132)에 보다 오래 머물게 되어 1차 여과수와 미생물 공급 유닛(170)으로부터 공급된 미생물 및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180)으로부터 공급된 나노-마이크로 버블이 보다 오래 상호작용하여 1차 여과수가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되는 분리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정화 유닛(130)은 침전물이 유로 상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화조(13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유로를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제1 유도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 유닛(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물이 소멸 유닛(150)으로 이송되도록 정화조(132)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 배출구(144) 및 2차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정화조(132)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2차 여과수 배출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전물 배출구(144)는 침전물 이송관과 연결되어 소멸 유닛(150)으로 침전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침전물 이송관에는 침전물을 소멸 유닛(150)으로 이송시키는 제2 고액펌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정화 유닛(130)은 침전물이 침전물 배출구(144) 측으로 집적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제2 유도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도로(142) 또는 정화조(132)에는 침전물의 축적량을 감지하는 축적량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침전물의 축적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 시 축적량 센서가 감지하여 제어 유닛(160)으로 정화조(132) 내부 침전물이 기설정된 범위 초과 상태임을 제어 유닛(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160)은 침전물 배출구(144)로 침전물을 배출하도록 제어하여 정화조(132) 내부의 침전물의 축적량을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유도로(142) 또는 정화조(132)에는 정화조(132) 내부에 침전되는 침전물의 축적량을 측정하는 축적량 센서가 형성되고, 제어 유닛(160)은 축적량 센서로부터 침전물의 축적 수준을 제공받아 침전물의 축적량이 기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침전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로(142) 상부에는 1차 여과수로부터 분리되는 2차 여과수를 배출하는 2차 여과수 배출구(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여과수 배출구(146)는 2차 여과수 이송관을 통해 하수관과 연결되어 2차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도로(142)는 제1 유도로(140)를 뒤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도로(142)는 제1 유도로(140)로부터 1차 여과수를 제공받아 형성된 경사를 통해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로(140)는 제1 여과수가 유입되는 정화조(13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유도로(140)는 격벽 유닛(134)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정화조(132)의 내측 일면과 타면 사이에서 제1 여과수가 이동하는 동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되어 유로 상에 침전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전물이 제1 유도로(140)와 연결되는 제2 유도로(142)로 전달되어 침전물 배출구(144)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유도로(142)는 제1 유도로(140)의 단부로부터 침전물 배출구(144)를 향해 침전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유도로(140)로부터 제2 유도로(142)로 이어지는 정화 유닛(130)의 구조를 통해 정화조(132)에 침전되는 침전물이 정화조(132) 내에 누적되지 않고 침전물 배출구(144)로 배출시킬 수 있다.
소멸 유닛(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액분리 유닛(120) 및 정화 유닛(130)으로부터 고형물 및 침전물을 공급받아 분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멸 유닛(150)은 소각 등의 열 작용을 통해 내부의 고형물 및 침전물을 분해 및 소멸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소멸 유닛(150)은 원심 및 압착 등의 물리 작용을 통해 내부의 고형물 및 침전물을 분해 및 소멸시킬 수 잇다.
또 다른 실시예로, 소멸 유닛(150)은 활성산소 및 라디칼 등의 화학 작용을 통해 내부의 고형물 및 침전물을 분해 및 소멸시킬 수 있다.
즉, 소멸 유닛(150)은 고액분리 유닛(1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형물 및 정화 유닛(130)으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을 열, 물리, 화학 및 미생물 중 어느 하나의 작용을 이용하여 분해 및 소멸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멸 유닛(150)은 소멸 유닛(150)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소멸 유닛(150)은 소멸 유닛(15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유닛(160)은 온도 센서로부터 소멸 유닛(150)의 내부 온도 정보를 제공받아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멸 유닛(150)은 내부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는 수분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은 소멸 유닛(150)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탈취 처리하는 탈취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취 유닛(190)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발생 가스를 탈취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탈취 유닛(190)은 탈취제를 이용하여 발생 가스를 탈취 처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탈취 유닛(190)은 광촉매를 이용하여 발생 가스를 탈취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은 악취를 발생하는 가스를 탈취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60)은 교반 유닛(110), 고액분리 유닛(120), 정화 유닛(130) 및 소멸 유닛(150)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10: 교반 유닛
120: 고액분리 유닛
130: 정화 유닛
132: 정화조
134: 격벽 유닛
136: 제1 격벽
138: 제2 격벽
140: 제1 유도로
142: 제2 유도로
144: 침전물 배출구
146: 2차 여과수 배출구
150: 소멸 유닛
160: 제어 유닛
170: 미생물 공급 유닛
180: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
190: 탈취 유닛

Claims (10)

  1. 분쇄된 음식물 및 주방오수를 공급받아 교반하고, 교반에 의해 생성되는 고액혼합물을 저장하는 교반 유닛;
    상기 교반 유닛으로부터 상기 고액혼합물을 공급받아 고형물 및 1차 여과수로 분리시키는 고액분리 유닛;
    상기 고액분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1차 여과수를 공급받아 침전물 및 2차 여과수로 분리시키고, 상기 2차 여과수를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정화 유닛;
    상기 고액분리 유닛 및 상기 정화 유닛으로부터 상기 고형물 및 상기 침전물을 공급받아 분해시키는 소멸 유닛; 및
    상기 교반 유닛, 상기 고액분리 유닛, 상기 정화 유닛 및 상기 소멸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상기 1차 여과수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고액분리 유닛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소멸 유닛과 연결되는 정화조; 및
    상기 1차 여과수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정화조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 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유닛은,
    상기 정화조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1 격벽; 및
    복수의 상기 제1 격벽과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정화조의 내측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침전물이 상기 유로 상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화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상기 유로를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제1 유도로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침전물이 상기 소멸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정화조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침전물 배출구; 및
    상기 2차 여과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정화조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2차 여과수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침전물이 상기 침전물 배출구 측으로 집적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제2 유도로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으로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하여 상기 1차 여과수를 분해 및 정화시키는 미생물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으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보충수를 투입하여 상기 1차 여과수를 산화 및 살균시키는 나노-마이크로 버블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유닛은 상기 교반 유닛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고액혼합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상기 고액혼합물의 수위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고액혼합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고액혼합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멸 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탈취 처리하는 탈취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20220106825A 2022-08-25 2022-08-25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240028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25A KR20240028720A (ko) 2022-08-25 2022-08-25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25A KR20240028720A (ko) 2022-08-25 2022-08-25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720A true KR20240028720A (ko) 2024-03-05

Family

ID=9029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25A KR20240028720A (ko) 2022-08-25 2022-08-25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7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019A (ko) 1997-04-16 1998-11-16 주종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019A (ko) 1997-04-16 1998-11-16 주종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3399A (en) Method and system for waste treatment
US4933076A (en) Multi-unit flush system having carbon adsorber column in calcium carbonate bed
US6383369B2 (en) Waste and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system
AP1113A (en) A system for purification of domestic household effluent.
US7018536B2 (en)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WO1994025402A9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JP2012529989A (ja) 懸濁システムを含む懸濁媒体膜生物学的反応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
WO1994025402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6043701A (ja) 懸濁液分離装置
US4044696A (en) Sewage disposal plant with evaporation/incineration means
JP2008246373A (ja) 厨芥処理システム
WO1996037440A1 (en) Waste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24002872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JP3858734B2 (ja) 水処理装置
RU236762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аморегулирующийся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3251317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JP2004202434A (ja) 曝気室を介在させた固液分離槽、及び汚水浄化槽
AU2003221763A1 (en)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605743B1 (ko) 소멸식 분뇨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형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18010607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13735B1 (ko)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GB2355712A (en) Sewage plant
KR960003926B1 (ko) 고효율의 호기성 분뇨 정화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