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702A -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702A
KR20240028702A KR1020220106767A KR20220106767A KR20240028702A KR 20240028702 A KR20240028702 A KR 20240028702A KR 1020220106767 A KR1020220106767 A KR 1020220106767A KR 20220106767 A KR20220106767 A KR 20220106767A KR 20240028702 A KR20240028702 A KR 2024002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icense plate
reflective
control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태
허재동
Original Assignee
진우에이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에이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우에이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702A/ko
Publication of KR2024002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19Electrical interface; Use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번호판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시 그 촬영에 따른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문자 인식율을 높이기 위한 밝기를 가지도록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자동 조정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차량 번호판의 영상 취득에 따른 문자 인식율을 높이면서 버스 전용차로 위반 단속장비, 레이더 스마트 교통 단속장비, 그리고 불법 주정차 위반 단속장비 같은 단속용이나 요금 정산을 목적으로 하는 주차 관제용 장비나 톨게이트 차량영상촬영장치 또는 주차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 위한 주차 유도 장비 등에서 별도의 시스템 구축없이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을 모두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Automatic adjustment method for Illumination Luminance of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은 번호판 영상을 취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이 문자 인식율을 높이기 위한 선명한 밝기를 가지도록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자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번호 자동 인식 시스템은 카메라와 제어장치, 조명장치, 컴퓨터, 문자 인식 알고리즘 등으로 구성되어, 빠르고 정확하게 번호판내 문자(예; 숫자와 글자)를 인식하는 기술로, 이는 버스 전용차로 위반 단속장비, 레이더 스마트 교통 단속장비, 그리고 불법 주정차 위반 단속장비 같은 단속용이나 요금 정산을 목적으로 하는 주차 관제용 장비나 톨게이트 차량영상 촬영장치 또는 주차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 위한 주차 유도 장비 등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허용되는 차량 번호판은 페인트식 비반사 번호판으로, 이러한 비반사 번호판에는 반사 페인트 또는 반사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고, 이는 차량번호 자동 인식을 방해하여 차량 인식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현행 페인트식 비반사용 번호판과 더불어 선진국 등에 보편화되어 있는 반사용 번호판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반사 번호판은 차량 번호 자동인식을 방해하는 반사 페인트 혹은 반사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번호판에 재귀반사식(역반사식) 필름을 부착하는 것이다.
즉, 반사 번호판은 뺑소니 사고, 야간 추돌사고 등의 예방을 위해 번호판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 필름을 부착한 것으로,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개국 가운데 미국 등 24개 나라가 도입하는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으며, 일반 페이트식 비반사용 번호판보다 글자 판독성과 물체 시인성이 최고 186배까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고, 특히 교통사고는 최근 뉴질랜드에서 발표된 보고서 등에 따르면 반사 번호판을 사용하는 경우 야간 추돌 사고가 약 3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에 반사 번호판을 적용하더라도, 현재 국내에 설치되는 차량 번호 자동 인식시스템의 경우에는 반사 번호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그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페인트식 비반사 번호판에 대한 자동 인식 기술은 조명장치의 온 또는 오프 제어를 통해 카메라가 번호판을 인식하는 기술로, 이는 야간이나 주간이더라도 흐린 날씨로 인해 영상 취득을 위한 기준 조건보다 어두우면 조명장치를 온 제어하고, 주간과 같이 영상 취득을 위한 기준 조건보다 밝으면 조명장치를 오프 제어하는 것이다.
반면, 재귀반사식(역반사식) 필름이 부착되는 반사 번호판의 영상 취득을 위해 상기와 같이 기준 조건을 기준으로 조명장치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경우, 번호판 인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반사 번호판과 비반사 번호판을 차량에 각각 적용하는 경우, 반사 번호판과 비반사 번호판에 대한 선명한 영상 취득을 위해서는, 반사 번호판용과 비반사 번호판용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따로 구축할 수 밖에 없었다.
즉, 비반사 번호판을 반사 번호판으로 100% 전환전까지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을 별도 설치할 수 밖에 없으며, 하나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만을 설치 운영하는 경우에는 차량 번호판에 대한 영상 취득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면서, 버스 전용차로 위반이나 속도 위반, 불법 주정차 위반 단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요금 정산을 목적으로 하는 주차 관제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차량에 설치되는 반사 번호판이나 비반사 번호판의 영상 취득이 하나의 차량 번호 인식시스템을 통해 모두 가능하게 하는 등록특허공보 제10-2060021호의 "이종 번호판 영상 취득 방법" 을 개시하였다.
즉, 본원출원인의 선등록특허는 고정된 제 1 밝기의 조명과 제 2 밝기의 조명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반사 번호판을 촬영하거나 또는 비반사 번호판을 촬영한 후 촬영된 반사 번호판 또는 비반사 번호판으로부터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문자 정보가 정상 또는 비정상적으로 인식되었는지를 분류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출원인의 선등록특허는 조명장치에 의한 조명 밝기가 제 1 밝기 또는 제 2 밝기로 고정되면서 조명 밝기를 변경할 수 없는 관계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의 밝기 또한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번호판 영상내 문자 정보를 인식시 그 인식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16794호(공고일 2008.03.26.) 등록특허공보 제10-1102572호(공고일 2012.01.04.) 등록특허공보 제10-1393391호(공고일 2014.05.12.) 등록특허공보 제10-1403876호(공고일 2014.06.09.) 등록특허공보 제10-1525151호(공고일 2015.06.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356호(공개일 2016.05.23.) 등록특허공보 제10-1931804호(공고일 2018.12.21.) 등록특허공보 제10-1935010호(공고일 2019.01.04.) 등록특허공보 제10-2060021호(공고일 2019.12.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번호판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시 그 촬영에 따른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문자 인식율을 높이기 위한 밝기를 가지도록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자동 조정함으로써, 차량 번호판의 영상 취득에 따른 문자 인식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은, (a)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어부는 조도센서로부터 주변 조도 측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어두우면 조명장치를 온 제어하고, 기준 조도보다 밝으면 상기 조명장치를 오프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온 제어되는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면서 촬영구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기준밝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 재조정을 통해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d)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e)단계의 반복 수행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재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차량 번호판은 비반사 번호판이고, 상기 (d)단계의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설정되는 제 1 기준밝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차량 번호판은 반사 번호판이고, 상기 (d)단계에 기재된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반사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설정되는 제 2 기준밝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비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 1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는 상기 번호판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밝기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밝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 2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는 상기 반사 번호판의 반사율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밝기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밝기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번호판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시 그 촬영에 따른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문자 인식율을 높이기 위한 밝기를 가지도록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자동 조정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차량 번호판의 영상 취득에 따른 문자 인식율을 높이면서 버스 전용차로 위반 단속장비, 레이더 스마트 교통 단속장비, 그리고 불법 주정차 위반 단속장비 같은 단속용이나 요금 정산을 목적으로 하는 주차 관제용 장비나 톨게이트 차량영상촬영장치 또는 주차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 위한 주차 유도 장비 등에서 별도의 시스템 구축없이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을 모두 효율적으로 인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을 보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은, 조도센서(100), 조명장치(200), 카메라(300),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가지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도센서(100)는 주변 조도를 감지한 후 그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조명장치(200)는 상기 제어부(400)에 의한 광량 제어를 통해 조명 밝기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카메라(300)를 통해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을 촬영시 필요로 하는 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300)는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도센서(10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조도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200)의 광량 제어는 물론 상기 카메라(3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특히 상기 제어부(400)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상기 카메라(300)를 통해 촬영되는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의 영상이 입력시 번호판 영상내 문자(예; 숫자와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비반사 번호판에 대응되는 제 1 기준밝기와, 반사 번호판에 대응되는 제 2 기준밝기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기준밝기와 상기 제 2 기준밝기는 각각 상기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내 또는 반사 번호판 영상내의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설정되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조명밝기 자동 조정방법은, 차량의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 영상을 취득시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취득된 상기 번호판 영상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a)단계로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어부(400)는 조도센서(100)로부터 측정되는 주변 조도 측정 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다.
즉, 주간 또는 야간이나 눈,비로 인해 시야가 어두운 주간의 조도를 상기 조도센서(100)에 의해 측정한 후 그 측정 정보를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의 (b)단계로서, 상기 제어부(400)는 측정되는 주변 조도가 미리 설정하여둔 기준 조도보다 어두운 야간이나 주간이더라도 날씨가 흐려 조도가 어둡거나 또는 차량의 건물내 진입으로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어두운 경우 조명장치(200)를 온 제어하고, 주변 조도가 미리 설정하여둔 기준 조도보다 밝은 주간인 경우에는 조명장치(200)를 오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이 도로에 설치되거나 또는 건물내 주차장 진입로에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주변 조도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그 설치 장소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는 측정되는 주변 조도 정보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200)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c)단계로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명장치(200)를 온 제어하여둔 상태에서 차량이 단속되거나 또는 요금 정산을 위한 차량 관제가 필요로 하는 시점에서, 온 제어되는 상기 조명장치(200)의 조명 밝기를 제공받으면서 카메라(300)를 제어하여 촬영구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을 촬영하는 것이다.
다음의 (d)단계로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기준밝기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밝기는 상기 제어부(400)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설정되는 제 1 기준밝기,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반사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설정되는 제 2 기준밝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e)단계로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의 영상 밝기가 설정된 상기 제 1 기준밝기 또는 제 2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상기 조명장치(200)의 조명 밝기 재조정을 통해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비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 1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는 상기 비반사 번호판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밝기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밝기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명장치(200)의 조명 밝기를 광량 제어를 통해 높이거나 낮추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카메라(300)는 비반사 번호판을 재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400)에 재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는 다시 상기 비반사 번호판의 영상 밝기가 설정된 상기 제 1 기준밝기인지를 비교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 2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는 상기 반사 번호판의 반사율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밝기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밝기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명장치(200)의 조명 밝기를 광량 제어를 통해 높이거나 낮추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카메라(300)는 반사 번호판을 재촬영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400)에 재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는 다시 상기 반사 번호판의 영상 밝기가 설정된 상기 제 2 기준밝기인지를 비교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f)단계로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의 영상 밝기가 설정된 상기 제 1 기준밝기 또는 제 2 기준밝기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e)단계의 반복 수행으로부터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재촬영되는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의 영상 밝기가 설정된 상기 제 1 기준밝기 또는 제 2 기준밝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반사 번호판 또는 상기 반사 번호판의 영상내 문자 인식을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단속된 차량 또는 요금 정산을 위한 차량 관제시, 차량에는 비반사 번호판 또는 반사 번호판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비반사 번호판 또는 상기 반사 번호판의 영상 밝기를 설정된 제 1 기준밝기 또는 설정된 제 2 기준밝기에 도달할 때까지 광량 제어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200)의 조명 밝기를 조정하면서, 상기 비반사 번호판 또는 상기 반사 번호판 영상내의 문자(예; 숫자와 글자)에 대한 인식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버스 전용차로 위반 단속장비, 레이더 스마트 교통 단속장비, 그리고 불법 주정차 위반 단속장비 같은 단속용이나 요금 정산을 목적으로 하는 주차 관제용 장비나 톨게이트 차량영상촬영장치 또는 주차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 위한 주차 유도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하나의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에서, 비반사 번호판이 설치되는 차량이 법규를 위반하여 통과하거나 또는 반사 번호판이 설치되는 차량이 법규를 위반하여 통과하더라도, 법규를 위반한 차량 단속이 모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조도센서
200; 조명장치
300; 카메라
400; 제어부

Claims (5)

  1. (a)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어부는 조도센서로부터 주변 조도 측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어두우면 조명장치를 온 제어하고, 기준 조도보다 밝으면 상기 조명장치를 오프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온 제어되는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면서 촬영구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기준밝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 밝기 재조정을 통해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d)단계로부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e)단계의 반복 수행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재촬영되는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차량 번호판은 비반사 번호판이고,
    상기 (d)단계의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설정되는 제 1 기준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차량 번호판은 반사 번호판이고,
    상기 (d)단계에 기재된 설정된 상기 기준밝기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반사 번호판 영상내 문자 인식율을 높이도록 설정되는 제 2 기준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비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 1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상기 비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는 상기 번호판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밝기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 2 기준밝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시, 반사 번호판 영상의 밝기는 상기 반사 번호판의 반사율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밝기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는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KR1020220106767A 2022-08-25 2022-08-2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KR20240028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67A KR20240028702A (ko) 2022-08-25 2022-08-2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67A KR20240028702A (ko) 2022-08-25 2022-08-2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702A true KR20240028702A (ko) 2024-03-05

Family

ID=9029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67A KR20240028702A (ko) 2022-08-25 2022-08-25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8702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794B1 (ko) 2003-12-26 2008-03-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컬러 영상 처리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KR101102572B1 (ko) 2009-01-15 2012-01-04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차량 번호판 인식방법
KR101393391B1 (ko) 2012-12-28 2014-05-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
KR101403876B1 (ko) 2012-03-19 2014-06-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과 그 장치
KR101525151B1 (ko) 2014-04-04 2015-06-10 주식회사 태건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7356A (ko) 2016-03-10 2016-05-23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과 시스템
KR101931804B1 (ko) 2018-03-26 2018-12-21 장경익 차량 번호판의 인식률 증대 장치 및 방법
KR101935010B1 (ko) 2018-10-22 2019-01-04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영상 기반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060021B1 (ko) 2019-05-21 2019-12-30 진우산전 주식회사 이종 번호판 영상 취득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794B1 (ko) 2003-12-26 2008-03-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컬러 영상 처리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KR101102572B1 (ko) 2009-01-15 2012-01-04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차량 번호판 인식방법
KR101403876B1 (ko) 2012-03-19 2014-06-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과 그 장치
KR101393391B1 (ko) 2012-12-28 2014-05-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의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
KR101525151B1 (ko) 2014-04-04 2015-06-10 주식회사 태건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7356A (ko) 2016-03-10 2016-05-23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과 시스템
KR101931804B1 (ko) 2018-03-26 2018-12-21 장경익 차량 번호판의 인식률 증대 장치 및 방법
KR101935010B1 (ko) 2018-10-22 2019-01-04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영상 기반 차량 번호판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060021B1 (ko) 2019-05-21 2019-12-30 진우산전 주식회사 이종 번호판 영상 취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11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occupancy detection using smart illumination
US64113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incident detection
US5343237A (en) System for detecting and warning an illegally parked vehicle
EP0677828A2 (en) Automatic debiting system suitable for free lane traveling
US11639174B2 (en) Automated speed control system
CN109671278B (zh) 一种基于多目标雷达的卡口精准定位抓拍方法及装置
AU201520108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barrier
KR100910905B1 (ko)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0021B1 (ko) 이종 번호판 영상 취득 방법
CN112562361A (zh) 用于智慧城市的交通信号灯控制方法及系统
KR102659132B1 (ko) 조명 밝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KR100692241B1 (ko) 차량의 무인과속 감시방법 및 무인과속 감시시스템
US20210114611A1 (en) System for performing effective identification of vehicle line pressing and giving early prompt
KR20240028702A (ko)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의 조명 밝기 자동 조정방법
CN111161539B (zh) 专用车道通行控制系统及方法
KR100402645B1 (ko) 영상처리에 의한 교통법규위반 단속 장치와 제어 방법
KR102063415B1 (ko) 영상화질 개선 방법과 입출차 정보를 활용한 차량번호인식 방법을 통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895011B1 (ko) 도로 라인 인식을 통한 교통 법규 위반 단속 시스템
KR100943108B1 (ko) 차량단속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16223847A (ja) 自車位置判定装置及び自車位置判定方法
CN114038076A (zh) 防止etc误读方法、装置、车载obu及可读存储介质
KR102241702B1 (ko) 열화상 cctv와 디지털맵을 활용하는 주정차단속 관리시스템과 운용방법
KR102465124B1 (ko) 노상 주차장에 이용되는 주차요금 정산 시스템
KR200406413Y1 (ko) 차량 무인 과속감시시스템
AU785266B2 (en) Traffic violation detec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