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034A -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034A
KR20240028034A KR1020220106042A KR20220106042A KR20240028034A KR 20240028034 A KR20240028034 A KR 20240028034A KR 1020220106042 A KR1020220106042 A KR 1020220106042A KR 20220106042 A KR20220106042 A KR 20220106042A KR 20240028034 A KR20240028034 A KR 2024002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information
item
target item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034A/ko
Priority to PCT/KR2022/012807 priority patent/WO2024043373A1/ko
Publication of KR2024002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5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constrained by time limit or expiration d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아이템의 정보와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를 확인하여, 쿠폰의 활성화 시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고, 쿠폰의 비활성화 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COUP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상에서 고객에게 쿠폰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템을 검색하고, 특정하여 곧바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전자상거래 업체가 경쟁하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쿠폰으로, 쿠폰은 초기 사용자의 유입을 유도하고 더 많은 아이템을 구매하도록 동기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기능하고 있다.
그런데, 쿠폰의 종류가 늘어남에 따라 쿠폰의 적용 조건과 적용 시 효과가 매우 다양해져, 상황에 맞는 쿠폰을 사용자가 제때 선택하여 아이템 구매 시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아졌고, 결과적으로 쿠폰의 유효 기간이 지나 소실되는 비효율이 발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아이템 구매 상황에 맞춰 쿠폰의 적용 조건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다른 아이템을 조금만 더 구매하거나 해당 아이템을 몇 개 더 구매하면 쿠폰을 적용 받을 수 있음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쿠폰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 안에서 자연스레 쿠폰의 사용 가능 기간이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안내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하여, KR101656055B1 건이나 KR102102956B1 건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쿠폰의 소실을 방지하고 적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또한, 쿠폰의 혜택을 받기 위한 아이템 추가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 상기 쿠폰 정보는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 활성화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고,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벤더(vendor) 식별자 또는 벤더 아이템 식별자와 매칭되는 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는, 상기 대상 아이템의 단위 가격에 대한 정보 및 구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의 단위 가격에 구매 수량을 곱하여 산출된 총 구매 금액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총 구매 금액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쿠폰에 대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각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한 가격 할인 폭이 보다 큰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쿠폰에 대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각 쿠폰의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잔여 기간의 만료가 상대적으로 임박한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잔여 기간이 설정된 임계 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가 일 단위로 표시되고, 상기 잔여 기간이 설정된 임계 기간 미만인 경우, 상기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가 시/분/초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 선택 가능한 상기 제1 페이지 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박스 내에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가격이 표시되는 위젯 영역 내에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를 조회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상기 제1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젯 영역 내에 상기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 및 상기 쿠폰 리스트 내 각 쿠폰의 다운로드를 위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계정의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사용자 계정이 다운로드한 쿠폰 리스트 및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내 아이템 각각에 대응하는 쿠폰 상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제2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페이지의 특정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추천 아이템 리스트, 상기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 리스트 및 상기 추천 아이템 중 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제2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특정 아이템의 벤더가 판매 중인 다른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가 추천 아이템 리스트로 표시되되, 상기 추천 아이템 리스트는, 상기 특정 아이템의 벤더에 의해 각 아이템이 판매 등록된 순서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에 대응하는 쿠폰 카드 오브젝트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조응하여 상기 제2 윈도우 상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쿠폰 카드 오브젝트는, 상기 쿠폰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쿠폰의 활성화 조건의 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윈도우를 통해, 상기 추천 아이템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윈도우를 닫는 단계; 및 상기 제2 페이지에서 상기 특정 아이템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아이템의 조합을 선택 표시하고, 상기 선택 표시된 조합에 상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 표시된 조합에 상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상기 선택 표시된 조합을 구성하는 아이템 각각에 분산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라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 상기 쿠폰 정보는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 활성화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확인하고,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고,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대상 아이템의 정보와 함께 한 페이지에 쿠폰의 잔여 기간을 표시함으로써, 대상 아이템을 구매하려는 사용자로 하여금 쿠폰의 잔여 기간을 인식시켜 쿠폰의 소실을 방지하고 적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쿠폰의 적용을 위해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을 추천하고, 선택된 아이템들의 조합에 따라 쿠폰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템 추가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5는 단계 S240을 각 실시 예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페이지 상의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윈도우가 제공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에 따라 제2 페이지가 제공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페이지 상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윈도우가 제공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제2 윈도우에서의 입력에 따라 제2 페이지에 효과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10d는 쿠폰의 비활성화 시의 제1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a 내지 11d는 쿠폰의 활성화 시의 제1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12c는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에 따른 제2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제2 인터페이스의 선택 입력에 따른 제2 윈도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벤더가 판매 등록한 아이템이 표시되는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달리 구체적 동작에 있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메시지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메모리(103) 및 프로세서(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는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5)는 도 2 내지 도 14를 통하여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도 2 내지 도 14를 통하여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05)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03)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05)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및 메모리(103)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대상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 쿠폰 정보는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 활성화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확인하고,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쿠폰의 활성화 시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고, 쿠폰의 비활성화 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또는 아이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로 기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의 반영구적, 영구적 저장을 위한 스토리지, 페이지나 윈도우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server)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 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출력 내지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client)로 기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 예에서 페이지, 윈도우 등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동작은 서버에서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14를 통해 쿠폰 정보가 제공되는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9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2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대상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한다.
단계 S230에서, 전자 장치(100)는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쿠폰 정보는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 활성화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는 쿠폰이 아이템에 적용됨으로써 아이템의 구매 가격, 구매 수량, 구매에 따른 사은품 등을 변경 또는 부가하는 효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잇고,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는 쿠폰을 아이템에 적용할 수 있는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활성화 조건'은 쿠폰이 아이템을 잠재적인 적용 대상으로 하는 것만이 아니라, 실제로 그 아이템에 적용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채소 카테고리에 속한 아이템에 대해 사용 가능한 쿠폰의 경우, 적용 대상은 '채소 카테고리에 속한 아이템'이다. 하지만 해당 쿠폰이 채소 카테고리에 속한 아이템을 2만원 이상 구매 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해당 쿠폰의 활성화 조건은 '채소 카테고리에 속한 아이템을 2만원 이상 구매하는 것'이 될 것이다. 즉 본 개시에서 '활성화'는 쿠폰이 아이템에 실제로 적용된 상태를, '비활성화'는 쿠폰이 잠재적으로는 아이템에 적용될 수는 있으나, 현재 활성화 조건을 달성하지 못하여 아이템에 실제로 적용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를 확인함에 있어서,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벤더(vendor) 식별자 또는 벤더 아이템 식별자와 매칭되는 쿠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벤더 식별자'는 벤더(판매자)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의미하며, '벤더 아이템 식별자'는 벤더가 판매 등록한 아이템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단계 S240에서, 전자 장치(100)는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쿠폰을 활성화하고,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쿠폰을 비활성화한다. 실시 예 전반에서 서버는 결정된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단계 S240을 각 실시 예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대상 아이템의 구매 금액에 따라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고, 도 4 및 5는 복수 개의 쿠폰 중 대상 아이템에 대해 활성화될 쿠폰을 결정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단계 S220에서 대상 아이템의 정보로서 1)대상 아이템의 단위 가격에 대한 정보 및 2)구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대상 아이템의 단위 가격에 구매 수량을 곱하여 산출된 총 구매 금액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 판단하고(단계 S310), 산출된 총 구매 금액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쿠폰을 활성화하며(단계 S320),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쿠폰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단계 S330).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쿠폰 각각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단계 S410), 둘 이상의 쿠폰에 대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각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대상 아이템에 대한 가격 할인 폭이 보다 큰 쿠폰을 활성화할 수 있다(단계 S42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쿠폰 각각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단계 S510), 둘 이상의 쿠폰에 대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각 쿠폰의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잔여 기간의 만료가 상대적으로 임박한 쿠폰을 활성화할 수 있다(단계 S52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50에서, 전자 장치(100)는 쿠폰의 활성화 시 1)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2)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한다.
단계 S260에서, 전자 장치(100)는 쿠폰의 비활성화 시 1)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2)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쿠폰의 잔여 기간에 따라 제1 페이지에 쿠폰의 잔여 기간을 표시하는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쿠폰의 잔여 기간이 설정된 임계 기간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쿠폰의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일 단위로 제1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 쿠폰의 잔여 기간이 설정된 임계 기간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쿠폰의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시/분/초 단위로 제1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제1 페이지 상에서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을 표시하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쿠폰의 활성화 시, 전자 장치(100)는 대상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 선택 가능한 제1 페이지 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박스 내에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 쿠폰의 활성화 시, 전자 장치(100)는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가격이 표시되는 위젯 영역 내에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쿠폰의 비활성화 시, 전자 장치(100)는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를 조회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를 제1 페이지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쿠폰의 비활성화 시, 제1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젯 영역 내에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의 도 6은 제1 페이지 상의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윈도우를 출력하는 실시 예에 관한 흐름도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를 조회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페이지 상에 표시된 제1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단계 S610), 수신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1)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 및 2)쿠폰 리스트 내 각 쿠폰의 다운로드를 위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62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대상 아이템과 관련된 제1 페이지에 더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구매 후보 아이템과 관련된 제2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구매 후보 아이템'이라 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100)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의 구매 의사가 있는 후보 아이템으로서 등록된 아이템을 지칭한다. 예컨대, 전자상거래 서비스 상의 카트(장바구니)에 담긴 아이템이 그 예시일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제2 페이지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한 흐름도로, 도 7은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에 따라 제2 페이지가 제공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고, 도 8은 제2 페이지 상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윈도우가 제공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며, 도 9는 제2 윈도우에서의 입력에 따라 제2 페이지에 효과가 적용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계정의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S710), 수신한 조회 요청에 대응하여 1)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2)사용자 계정이 다운로드한 쿠폰 리스트 및 3)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내 아이템 각각에 대응하는 쿠폰 상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제2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720).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2 페이지의 특정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단계 S810), 1)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추천 아이템 리스트, 2)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 리스트 및 3)추천 아이템 중 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제2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820).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윈도우 상에 특정 아이템의 벤더가 판매 중인 다른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를 추천 아이템 리스트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해당 벤더에 의해 각 아이템이 판매 등록된 순서에 따라 추천 아이템 리스트를 정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에 대응하는 쿠폰 카드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조응하여 제2 윈도우 상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쿠폰 카드 오브젝트는 쿠폰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쿠폰의 활성화 조건의 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바 인터페이스(bar interface)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윈도우를 통해, 1)추천 아이템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2)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3)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단계 S910), 제2 윈도우를 닫고(단계 S920), 제2 페이지에서 특정 아이템 및 선택된 추천 아이템의 조합을 선택 표시하고, 선택 표시된 조합에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단계 S930). 이때,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것이기는 하나, 대상 아이템과 선택된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 선택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쿠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면 S930에서 그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하고, 사용자로부터 쿠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S930에서 초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단계 S930을 수행함에 있어서, 선택 표시된 조합을 구성하는 아이템 각각에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분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흐름도 도 2 내지 도 9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제1 페이지 및 제2 페이지를 비롯한 몇몇 페이지를 예시도를 통해 설명한다. 다만, 각 예시도에 포함된 시각적 요소 중 설명을 통해 언급되지 않는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이고, 개시되는 실시 예들이 의미하는 바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다.
도 10a 내지 10d는 쿠폰의 비활성화 시의 제1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 내지 10d에 도시된 제1 페이지 상에는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드럼용 액상세제'(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된다. 특히,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된 위젯 영역(1010)에는 '드럼용 액상세제'를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를 조회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1011)도 추가로 표시된다. 주목할 점은, 도 10a 내지 10d는 각각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위치나 그 표시 방식을 달리한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1012)을 제1 인터페이스(1011)의 상단에 표시하되, 잔여 기간이 1일(24시간) 이상인 경우, 잔여 기간을 일 단위로 표시하고(도 10a)("7일 후 쿠폰 사용기간이 종료됩니다!"), 잔여 기간이 1일 미만인 경우, 잔여 기간을 시/분/초 단위로 표시하였다(도 10b)("22:26:12 후 쿠폰 사용기간이 종료됩니다!").
도 10c 및 10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1013)을 제1 인터페이스(1011)의 측면에 표시하였다. 도 10a, 10b와 마찬가지로, 잔여 기간이 1일 이상인 경우 잔여 기간을 일 단위로 표시하고(도 10c)("7일 남음"), 잔여 기간이 1일 미만인 경우 잔여 기간을 시/분/초 단위로 표시하였다(도 10d)("03:45:12 남음").
이로써, 전자 장치(100)는 잔여 기간이 임박한 쿠폰의 경우에는 줄어드는 잔여 기간을 구체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비활성화 상태의 쿠폰에 대해 활성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유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내지 11d는 쿠폰의 활성화 시의 제1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 내지 11d에 도시된 제1 페이지 상에는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드럼용 액상세제'(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된다. 특히,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가격이 표시되는 위젯 영역에는 쿠폰에 의해 할인된 금액이 표시되는 영역(1110)이 표시되고, 대상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구매하기' 버튼)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메시지 박스(1120)가 표시된다. 주목할 점은, 도 11a 내지 11d는 각각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위치나 그 표시 방식을 달리한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1111)을 쿠폰에 의해 할인된 금액이 표시되는 영역(1110)의 내부에 표시하되, 잔여 기간이 1일(24시간) 이상인 경우, 잔여 기간을 일 단위로 표시하고(도 11a)("7일 남음"), 잔여 기간이 1일 미만인 경우, 잔여 기간을 시/분/초 단위로 표시하였다(도 11b)("03:45:12 남음").
도 11c 및 11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1121)을 메시지 박스(1120)의 내부에 표시하였다. 도 11a, 11b와 마찬가지로, 잔여 기간이 1일 이상인 경우 잔여 기간을 일 단위로 표시하고(도 11c)("7일 남음"), 잔여 기간이 1일 미만인 경우 잔여 기간을 시/분/초 단위로 표시하였다(도 11d)("22:35:12 남음").
이로써, 전자 장치(100)는 잔여 기간이 임박한 쿠폰의 경우에는 줄어드는 잔여 기간을 구체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활성화 상태의 쿠폰이 적용된 대상 아이템을 신속히 구매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내지 12c는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에 따른 제2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페이지를 '장바구니 페이지'로 예시하였다.
도 12a 및 12b를 참조하면, 현재 '액상세제' 아이템과 '젤 세제' 아이템이 장바구니에 담겨 있고(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사용자 계정이 다운로드한 쿠폰 리스트 3개가 그 아래 표시되며('할인쿠폰'), 그 중 두 아이템의 조합 시 활성화될 수 있는 '2,000원' 쿠폰이 강조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액상세제' 아이템만이 구매 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고(1210) '젤 세제' 아이템이 구매 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1230), '2,000원' 쿠폰 좌측의 선택 버튼은 선택 불가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만일 '젤 세제' 아이템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매 대상으로서 선택 표시되면, '2,000원' 쿠폰 좌측의 선택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쿠폰 리스트 내 쿠폰의 선택 가부는 제2 페이지의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중 구매 대상으로 선택된 아이템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액상세제' 아이템의 영역 내에는 '액상세제' 아이템에 대응하는 쿠폰 상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1220)("행사상품 10,000원 추가하고 할인받기")가 표시되어 있으며, '젤 세제' 아이템의 영역 내에는 '젤 세제' 아이템에 대응하는 쿠폰 상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1240)("행사상품 추가하고 할인받기")가 표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액상세제' 아이템처럼 구매 대상으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제2 인터페이스(1220)에는 쿠폰의 활성화 조건이 되는 구매 기준 금액(임계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100)는 '젤 세제' 아이템처럼 구매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제2 인터페이스(1240)에는 쿠폰의 활성화 조건이 되는 구매 기준 금액(임계 값)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대상으로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제2 인터페이스(1240)의 경우에도 쿠폰의 활성화 조건이 되는 구매 기준 금액(임계 값)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제2 인터페이스(1220, 1240)를 통해 쿠폰 상세 정보의 조회가 가능한 제2 페이지로의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제2 인터페이스의 선택 입력에 따른 제2 윈도우를 나타내는 예시도로, 제2 윈도우에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구매 후보 아이템(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추천 아이템 리스트(1320),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 리스트(1310), 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제2 페이지의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1330)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쿠폰 리스트(1310)에는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이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어떠한 추천 아이템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적용 가능한 쿠폰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쿠폰 리스트(1310) 내 쿠폰은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따라 구성되며, 제2 윈도우 화면에 표시되는 쿠폰 카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예컨대, 슬라이드, 드래그 등)에 조응하여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쿠폰 카드 오브젝트에는 현재 표시되는 쿠폰의 활성화 조건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바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도 13a에서는 추천 아이템이 선택되지 않은 관계로 '2,000원' 쿠폰의 활성화 조건이 달성되지 않아 바(bar)의 일부만이 채워진 반면, 도 13b에서는 '리필 액상 세제'가 추천 아이템으로 선택된 관계로 '2,000원' 쿠폰의 활성화 조건이 달성되어 바가 전부 채워졌다).
한편, 추천 아이템의 수가 많을 경우, 제2 윈도우 상의 추천 아이템 리스트(1320)에는 추천 아이템의 일부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0)는 제2 윈도우 상에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라(예컨대, '자세히보기' 선택) 벤더가 판매 등록한 아이템(추천 아이템)이 표시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그 예시로서, 특정 아이템('액상세제')의 벤더인 A 회사가 판매 등록한 90개의 아이템('리필 액상 세제', '액상 세제' 등)이 표시되어 있다.
다시 도 13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리필 액상 세제'가 선택되어 '2,000원' 쿠폰에 의한 할인이 적용되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오브젝트(1330)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2d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윈도우를 닫고, 제2 페이지에서 특정 아이템('액상세제')과 선택된 추천 아이템('액상세제리필')의 조합을 선택 표시하고(1210, 1250), 선택 표시된 조합에 선택된 쿠폰('2,000'원 쿠폰)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쿠폰의 효과는 각 아이템('액상세제', '액상세제리필')에 1,000원씩 분산 적용되었다(1220, 1260).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메시지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의 쿠폰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 상기 쿠폰 정보는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 활성화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고,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응하는 벤더(vendor) 식별자 또는 벤더 아이템 식별자와 매칭되는 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는,
    상기 대상 아이템의 단위 가격에 대한 정보 및 구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의 단위 가격에 구매 수량을 곱하여 산출된 총 구매 금액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총 구매 금액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쿠폰에 대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각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에 대한 가격 할인 폭이 보다 큰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의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쿠폰에 대한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각 쿠폰의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잔여 기간의 만료가 상대적으로 임박한 쿠폰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잔여 기간이 설정된 임계 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가 일 단위로 표시되고,
    상기 잔여 기간이 설정된 임계 기간 미만인 경우, 상기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가 시/분/초 단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 선택 가능한 상기 제1 페이지 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박스 내에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가격이 표시되는 위젯 영역 내에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를 조회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상기 제1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위젯 영역 내에 상기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비활성화된 쿠폰 리스트 및 상기 쿠폰 리스트 내 각 쿠폰의 다운로드를 위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계정의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사용자 계정이 다운로드한 쿠폰 리스트 및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 내 아이템 각각에 대응하는 쿠폰 상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제2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페이지의 특정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아이템과 관련된 추천 아이템 리스트, 상기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 리스트 및 상기 추천 아이템 중 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제2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특정 아이템의 벤더가 판매 중인 다른 아이템 중 적어도 일부가 추천 아이템 리스트로 표시되되,
    상기 추천 아이템 리스트는,
    상기 특정 아이템의 벤더에 의해 각 아이템이 판매 등록된 순서에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윈도우는,
    상기 특정 아이템과 추천 아이템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거나 이미 적용된 쿠폰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쿠폰 각각에 대응하는 쿠폰 카드 오브젝트가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조응하여 상기 제2 윈도우 상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카드 오브젝트는,
    상기 쿠폰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쿠폰의 활성화 조건의 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윈도우를 통해, 상기 추천 아이템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아이템을 상기 구매 후보 아이템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윈도우를 닫는 단계; 및
    상기 제2 페이지에서 상기 특정 아이템 및 상기 선택된 추천 아이템의 조합을 선택 표시하고, 상기 선택 표시된 조합에 상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표시된 조합에 상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쿠폰의 효과를 상기 선택 표시된 조합을 구성하는 아이템 각각에 분산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정보 제공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
  20. 쿠폰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로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아이템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쿠폰 정보- 상기 쿠폰 정보는 쿠폰의 효과에 대한 정보, 활성화 조건에 대한 정보 및 잔여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를 확인하고,
    상기 대상 아이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활성화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쿠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쿠폰의 활성화 시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된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고, 상기 쿠폰의 비활성화 시 쿠폰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대상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비활성화된 쿠폰의 잔여 기간이 표시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106042A 2022-08-24 2022-08-24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28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042A KR20240028034A (ko) 2022-08-24 2022-08-24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2/012807 WO2024043373A1 (ko) 2022-08-24 2022-08-26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042A KR20240028034A (ko) 2022-08-24 2022-08-24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034A true KR20240028034A (ko) 2024-03-05

Family

ID=9001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042A KR20240028034A (ko) 2022-08-24 2022-08-24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8034A (ko)
WO (1) WO20240433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953A (ko) * 2007-09-13 2009-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쿠폰 관리 단말기 및 쿠폰 관리 방법
KR101813032B1 (ko) * 2011-04-11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쿠폰 관리 방법
KR20150093093A (ko) * 2014-02-05 2015-08-17 주식회사 케이티엠하우스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쿠폰 서비스 방법
KR102382621B1 (ko) * 2017-04-21 2022-04-05 십일번가 주식회사 혜택 기반 상품 추천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31709B1 (ko) * 2020-09-18 2021-03-25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0882B1 (ko) * 2021-12-10 2022-05-24 쿠팡 주식회사 페이지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373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4878B1 (ja) 在庫切れ通知システム、在庫切れ通知装置、在庫切れ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92449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6322680B2 (ja) 受信者選択型モバイル景品引換券の提供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20150356617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that includes user customized content
TW202336674A (zh) 電子設備及其物品推薦方法
JP2022127560A (ja) アイテムに関連した情報を共有する方法および電子装置
KR20220125664A (ko) 결제 수단의 혜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TWI811808B (zh) 電子設備及其資訊提供方法
KR20220143567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966009B1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US20180144394A1 (en) Purchase option enablement for online tutorials
TWI594200B (zh) 智慧型廣告傳單管理暨應用系統
KR10176640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10552893B2 (en) Electronic transaction terminal, electronic transa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240028034A (ko) 쿠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TW202326554A (zh) 用於管理物品銷售量之電子設備及資訊方法
KR201700336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432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60092971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erver, storage medium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KR20170100339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90178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182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4322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Argueta et al. Enhancing the restaurant dining experience with an NFC-enabled mobile user interface
JP6535521B2 (ja) 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