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980A -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980A
KR20240027980A KR1020220105894A KR20220105894A KR20240027980A KR 20240027980 A KR20240027980 A KR 20240027980A KR 1020220105894 A KR1020220105894 A KR 1020220105894A KR 20220105894 A KR20220105894 A KR 20220105894A KR 20240027980 A KR20240027980 A KR 2024002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meter
power genera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6479B1 (ko
Inventor
권오환
Original Assignee
에스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알(주) filed Critical 에스알(주)
Priority to KR102022010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479B1/ko
Publication of KR2024002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53Rotary generators driven by intermittent fo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using fluid stre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와 연결되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면 유체량을 측정하고 유체량 측정에 따른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수도미터부; 파이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자 및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 수도미터부의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부통과공이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표시부통과공의 하부에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안치판과, 발전부가 안치되되 제1안치판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안치판과,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파이프통과공과, 제1파이프통과공과 일직선상으로 이격되어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5파이프통과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수도미터부와 제1파이프통과공을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수도미터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발전부와 수도미터부를 연결하고 수도미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발전부로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일단부가 발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파이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제5파이프통과공에 연결되는 제5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수도미터부에서 측정된 유체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수도 사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 및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제어부와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SELF-GENERATED WATER METERING DEVICE}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원격검침의 수행이 가능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구비된 하우징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되고, 입수구로부터 출수구를 통해 흐르는 용수의 흐름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 임펠러의 회전축과 연동하는 숫자판에 표시되는 숫자를 이용해 사용된 용수의 양을 적산한다.
종래에는 검침원이 직접 수도 계량기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하여 수도 계량기의 숫자판에 표시된 적산값을 읽고, 이를 수기 또는 단말기로 입력하여 적산값을 서버에 전송하는 방문 검침 방식으로 수도의 검침이 이루어져 왔다.
전술한 방문 검침 방식은 검침원의 인건비 증가, 검침 누락, 오기, 오측, 계량기 조작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탑재하여 원격에서 자동으로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수도 검침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검침 장치는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단점이 있었고, 수도 데이터 검침 시간 및 검침 데이터 전송 시간에만 작동하는 원격 검침 단말기 등 수도 검침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수도 검침 장치 역시 여전히 전력을 소모함에 따라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308540 B1 KR 10-1552998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을 공급할 필요없이 수도 사용량을 원격에서 검침할 수 있도록 파이프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를 구비하여,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수도 사용량의 원격 검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와 연결되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면 유체량을 측정하고 유체량 측정에 따른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수도미터부; 파이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자 및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 수도미터부의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부통과공이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표시부통과공의 하부에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안치판과, 발전부가 안치되되 제1안치판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안치판과,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파이프통과공과, 제1파이프통과공과 일직선상으로 이격되어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5파이프통과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수도미터부와 제1파이프통과공을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수도미터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발전부와 수도미터부를 연결하고 수도미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발전부로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일단부가 발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파이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제5파이프통과공에 연결되는 제5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수도미터부에서 측정된 유체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수도 사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 및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제어부와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제1안치판 및 제2안치판은 메인판과, 메인판의 중심부 아래 일측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되 기설정된 직경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보조판과, 메인판의 중심부 위 타측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되 기설정된 직경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보조판을 포함한다.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제1안치판의 제1보조판 및 제2안치판의 제1보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제1안치판의 제2보조판 및 제2안치판의 제2보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수도미터부는 제1파이프통과공과 제1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는 제1유입공과, 제1유입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제1유입공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된 미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고, 발전부는 제1유출공과 안내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제1유출공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입공과, 제2유입공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5파이프를 통해 제5파이프통과공과 연결되고 제2유입공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파이프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제1파이프통과공과 제1유입공을 연결하는 것이고, 제5파이프는 수직부가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제2유출공과, 제5파이프통과공과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어 수직부와 연결되며, 제5파이프통과공과 연결되는 타단부가 제1파이프로부터 일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며, 안내파이프는 일단이 제1유출공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안치판과 발전부 사이에 구비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되 제1안치판의 메인판의 타측 외부와 제2보조판 하측 외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제2파이프와, 제1안치판과 평행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제1안치판과 발전부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이 제2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3파이프와, 일단이 제3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유입공과 연결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 제4파이프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내면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전선통과공이 형성된 분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분리판이 형성된 면에 접촉되어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면에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문을 구비하는 서브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의 분리판이 돌출형성된 면과, 하우징과 접촉하는 서브하우징의 면에는 전선이 통과하는 제2전선통과공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이고, 전선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발전부와 전원부에 연결되고, 제2전선통과공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전부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수도미터부, 제어부 및 통신부에 공급하여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량의 측정과 측정된 유체량에 기초한 수도 사용량 산출 및 산출된 사용량의 송출이 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유체 사용량의 계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 내부에 제1안치판과 제2안치판이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되고, 제1안치판과 제2안치판 각각에 수도미터부와 발전부가 안치됨에 따라, 수도미터부와 발전부가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안치판과 제2안치판이 메인판, 제1보조판 및 제2보조판으로 구성되되, 제1보조판이 메인판의 중심부 아래 일측에 구비되고, 제2보조판이 메인판의 중심부 위 타측에 구비됨에 따라, 메인판의 일측 외부와 제1보조판의 위측 외부 사이, 메인판의 타측 외부와 제2보조판의 아래측 외부 사이에 각각 공간이 형성되어 형성된 공간을 통해 파이프가 하우징 내부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어 파이프통과공과 수도미터부 및 발전부가 하우징 내에서 원활하게 파이프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의 하우징, 안치판, 지지부재 및 마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의 안치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의 수도미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의 발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는 파이프(100), 하우징(200), 안치판(300), 지지부재(400), 수도미터부(500), 발전부(600), 통합모듈(700) 및 전선(800)을 포함한다.
파이프(100)는 내부에 유체가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파이프(100)는 하우징(200) 외부의 상수도관과 연결되어 상수도관에 흐르는 물이 내부를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파이프(100)는 하우징(2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을 통과하여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을 지나 하우징(200)의 타면에 형성된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과함으로써 하우징(200)을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파이프(100)는 제1파이프(100a), 안내파이프 및 제5파이프(100e)를 포함할 수 있고, 안내파이프는 제2파이프(100b), 제3파이프(100c) 및 제4파이프(100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안치판(300), 지지부재(400), 발전부(600) 및 통합모듈(7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안치판(300), 지지부재(400), 발전부(600) 및 통합모듈(700)는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00)에는 파이프(100)가 통과되는 한 쌍의 파이프통과공(210a, 210b)이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200)은 한 쌍의 파이프통과공(210a, 210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파이프통과공은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는 입수구를 통해 내부에 상수도관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고, 입수구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출수구를 통해 내부에 유입된 물이 다시 상수도관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적용처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은 하우징(200)의 일면과 타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파이프(100)와, 하우징(200)의 타면에 형성된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출되는 파이프(10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일측과 타측에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 형성된 제5파이프통과공(210b)은 일측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일직선상으로 이격된 타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는 제1파이프통과공(210a)을 통과하는 파이프(100)를 통해 유입되어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과하는 파이프(100)를 통해 유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과하는 파이프(100)를 통해 유입되어 제1파이프통과공(210a)을 통과하는 파이프(10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수도미터부(500)의 표시부(5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부통과공(220)이 상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안치판(300)과 지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치판(300)은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수도미터부(500)와 발전부(600) 중 어느 하나가 안치되는 것일 수 있다.
안치판(300)은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일 수 있고, 각각의 안치판(300)에는 수도미터부(500)와 발전부(600) 중 어느 하나가 안치될 수 있다.
안치판(300)이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구비됨에 따라, 수도미터부(500)와 발전부(600)도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안치판(300)은 수도미터부(500)의 미터하우징(5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안치판(300a)과, 발전부(600)가 안치되되 제1안치판(300a)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안치판(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안치판(300a)에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고, 제1안치판(300a)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제2안치판(300b)에 발전부(600)가 안치됨에 따라, 수도미터부(500)와 발전부(600)도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안치판(300)은 메인판(310), 제1보조판(320) 및 제2보조판(3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안치판(300a)과 제2안치판(300b)도 각각 메인판(310), 제1보조판(320) 및 제2보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치판(300a)의 메인판(310)에는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될 수 있고, 제2안치판(300b)의 메인판(310)에는 발전부(600)가 안치될 수 있다.
제1보조판(320)은 메인판(310)의 중심부 아래 일측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되 지지부재(400)의 외경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직경을 갖는 관통공(340)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제2보조판(330)은 메인판(310)의 중심부 위 타측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되 지지부재(400)의 외경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직경을 갖는 관통공(340)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제1보조판(320)은 메인판(3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메인판(310)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제2보조판(330)은 메인판(3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메인판(310)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보조판(320)과 제2보조판(330)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보조판(320)과 제2보조판(33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형성되면 안치판(300)은 일측 상단부와 타측 하단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구조를 가져 오목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공간으로 파이프(100)가 통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파이프(100)는 하우징(200)의 수용공간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출공(512)과 결합된 파이프(100)가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과 결합될 때 수도미터부(500)가 발전부(600)의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파이프(100)가 굴곡지게 형성되게 되는데, 이 때, 파이프(100)의 굴곡지게 형성된 부분이 안치판(300)의 구조에 따라 형성된 오목한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출공(512)과 결합된 파이프(100)가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치판(300)은 하우징(200)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재(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안치판(300a)과 제2안치판(300b)도 지지부재(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안치판(300)이 추락하지 않도록 안치판(300)에 결합되어 안치판(300)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제1안치판(300a)의 제1보조판(320) 및 제2안치판(300b)의 제1보조판(320)을 고정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700a)와, 제1안치판(300a)의 제2보조판(330) 및 제2안치판(300b)의 제2보조판(330)을 고정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7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700a)와 제2지지부재(700b)는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마찰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지지부재(400a)와 제2지지부재(400b)는 각각 제1마찰부재(410a)와 제2마찰부재(4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찰부재(410a)는 제1지지부재(400a)의 외주면과 관통공(340)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재(400a)와 관통공(340)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안치판(300a)과 제2안치판(300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마찰부재(410b)는 제2지지부재(400b)의 외주면과 관통공(340)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2지지부재(400b)와 관통공(340)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안치판(300a)과 제2안치판(300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도미터부(50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100)와 연결되어 파이프(100)를 통과하는 유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도미터부(500)는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수도미터부(500)는 하우징(2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을 통과한 파이프(100)와 연결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수도미터부(500)는 미터하우징(510), 측정부(520) 및 표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미터하우징(510)은 파이프(100)와 연결되어 내부에 파이프(100)를 통과하는 유체가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수도미터부(500)가 하우징(200)의 상부에 구비됨에 따라, 수도미터부(500)의 미터하우징(510)도 하우징(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은 수도미터부(500)의 미터하우징(510)이 구비되는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은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터하우징(510)은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마주보는 제1유입공(511)과, 제1유입공(511)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파이프(100)와 결합되는 제1유출공(512)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유입공(511)과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은 파이프(1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는 제1파이프(100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파이프(100a)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제1유입공(511)을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유입공(511)과 결합된 제1파이프(100a)를 통과하는 유체가 미터하우징(510) 내부를 통과하여 제1유출공(512)과 결합된 파이프(100)를 통해 미터하우징(510)의 외부로 빠져나감으로써 유체는 미터하우징(51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측정부(520)는 미터하우징(510) 내부에 구비되어 미터하우징(51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측정부(520)는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입공(511)과 결합된 파이프(100)인 제1파이프(100a)를 통과하는 유체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측정부(52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수도사용량 계량 방식을 이용하여 미터하우징(51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회전축과, 회전축과 결합되어 미터하우징(51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져 임펠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유체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사항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표시부(530)는 미터하우징(5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측정부(520)의 유체량 측정에 따른 유체량 측정값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부(530)는 측정부(520)의 유체량 측정에 따른 유체량 측정값을 표시하는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530)에 표시되는 유체량 측정값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부(530)는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고,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상부면에는 표시부(530)가 통과하기 위한 표시부통과공(220)이 형성될 수 있다.
미터하우징(510)이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됨에 따라, 표시부(530)가 하우징(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표시부통과공(220)은 표시부(530)의 외주와 대응되는 내주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부(530)는 표시부통과공(220)에 끼움결합되어 표시부(530)의 외주면과 표시부통과공(220)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하우징(200) 내부로 수분을 포함하는 외부물질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부(530)의 외주면과 표시부통과공(220)의 내주면 사이로 수분을 포함하는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부(530)의 외주면과 표시부통과공(2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1실링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230)는 표시부(530)의 외주면과 표시부통과공(22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형성된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우징(200)의 수용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실링부재(230)는 표시부(530)의 외주면과 표시부통과공(220)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발전부(600)는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발전부(600)는 파이프(100)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자 및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발전부(600)는 제2안치판(300b)에 안치되어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수도미터부(500)와 제1안치판(300a)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발전부(600)는 제1안치판(300a)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안치판(300a)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고, 발전부(600)와 제1안치판(300a)이 이격됨에 따라 발전부(600)와 제1안치판(300a)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발전부(600)는 회전자와,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고,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출공(512)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입공(610)과, 제2유입공(61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유입공(610)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출공(62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발전부(6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자는 발전부(6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일 수 있고, 발전부(6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는 발전부(60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발전부(6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자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발전부(6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이 구비됨에 따라,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자가 회전하면 전기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고, 회전자와 고정자를 이용한 전기에너지 생산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사항이므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은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출공(512)과 파이프(100)를 통해 연결어 제1유출공(512)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발전부(600)와 수도미터부(500)는 파이프(100)에 포함되어 수도미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발전부로 안내하는 안내파이프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는 안내파이프에 포함된 제2파이프(100b), 제3파이프(100c) 및 제4파이프(100d)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파이프(100b)는 일단이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출공(512)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안치판(300a)과 발전부(600) 사이에 구비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되, 제1안치판(300a)의 메인판(310a)의 타측 외부와 제2보조판(330a) 하측 외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제3파이프(100c)는 제1안치판(300a)과 평행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제1안치판(300a)과 발전부(600)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이 제2파이프(100b)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제4파이프(100d)는 일단이 제3파이프(100c)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과 연결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출공(512)를 빠져나온 유체는 제2파이프(100b), 제3파이프(100c) 및 제4파이프(100d) 순으로 통과하여 제2유입공(610)을 통해 발전부(6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유입공(610)을 통해 발전부(60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제2유출공(6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면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전부(600) 내부에 회전자가 회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제2유출공(620)은 하우징(200)의 타면에 형성된 제5파이프통과공(210b)과 파이프(100)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수도미터부(500)의 제1유출공(512)과 연결된 파이프(100)가 제2유입공(610)에 연결되어 수도미터부(500)의 제1유출공(512)과 연결된 파이프(100)를 통과하는 유체가 발전부(6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발전부(60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2유출공(620)를 통해 발전부(6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발전부(600)의 제2유출공(620)은 수도미터부(500)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타측에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5파이프통과공(210b)과 파이프(1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는, 제5파이프(100e)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5파이프(100e)는 수직부가 지지부재(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제2유출공(620)과, 제5파이프통과공(210b)과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어 수직부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제5파이프(100e)의 타단부는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연결되는 제1파이프(100a)로부터 일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유출공(620)을 통해 발전부(600) 외부로 빠져나가는 유체는 제5파이프(100e)를 통과함으로써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일직선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과하여 하우징(2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부(600) 외부로 빠져나가는 유체는 제2유출공(620)에 연결된 파이프(100) 내부로 흘러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해 하우징(2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하우징(200) 내부에 복수 개의 발전부(600)가 구비되는 경우 발전부(600)의 제2유출공(620)는 이웃한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과 파이프(1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2,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는 하나의 발전부(60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200)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발전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발전부(600)가 하우징(200) 내부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발전부(600)는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직렬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200)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발전부(600)가 각각 안치되기 위한 안치판(300)이 구비될 수 있다.
발전부(600)가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발전부(600)의 제2유출공(620)은 이웃한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과 파이프(1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발전부(600)가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경우 미터하우징(510)의 제1유입공(511)과 연결된 파이프(100)가 연결된 발전부(600)의 제2유출공(620)에 연결된 파이프(100)는 그 발전부(600)의 바로 하부에 위치한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발전부(600)의 제2유출공(620)을 통해 발전부(600)의 외부로 빠져나간 유체는 이웃한 발전부(600)의 제2유입공(610)을 통해 다시 발전부(6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발전부(600)의 제2유출공(620)과 연결된 파이프(100)는 연결가능한 제2유입공(610)이 존재하지 않으면 수도미터부(500)의 제1유입공(511)과 연결된 파이프(100)가 통과하는 제1파이프통과공(210a)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5파이프통과공(210b)을 통과할 수 있다.
발전부(600)는 수도미터부(500)의 측정부(520) 및 표시부(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부(520)와 표시부(5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통합모듈(700)은 수도미터부(500)에서 측정된 유체량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도 사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외부로 송출하며, 발전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부(60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모듈(700)은 제어부(710), 통신부(720), 전원부(730) 및 모듈하우징(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수도미터부(500)에서 측정된 유체량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수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수도미터부(500)로부터 유체량 측정값을 수도미터부(500)로부터 송출받을 수 있고, 수도미터부(500)는 유체량 측정값을 제어부(710)로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10)에 유체량 측정값을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수도미터부(500)에 구비되는 경우, 발전부(600)와 전원부(730)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수도 검침 방식은 수도 계량기를 이용하여 소정 기간동안 수도 사용량을 연속적으로 계측하고, 전술한 기간 종료일자에서의 수도 사용량 검침값에서 시작일자에서의 수도 사용량 검침값을 감하여 소정 기간동안 실제 사용한 수도 사용량을 계측하는 것으로 알려진바 이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710)는 기설정된 기간마다 수도미터부(500)에서 측정된 유체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수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기설정된 기간의 종료일자에서의 수도미터부(500)에서 측정된 유체량 측정값과, 전술한 기간의 시작일자에서의 수도미터부(500)에서 측정된 유체량 측정값에 따른 결과값의 차이를 수도 사용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제어부(710)에서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수도미터부(500)로부터 제어부(710)로 송출된 유체량 측정값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외부단말기(20)를 의미할 수 있고, 외부단말기(20)는 통신부(720)와 통신연결되어 통신부(720)로부터 제어부(710)에서 산출된 수도 사용량과 수도미터부(500)의 유체량 측정에 따른 결과값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외부단말기(20)는 스마트폰, PDA, PC, 태블릿PC 및 노트북 등 통신부(720)와 통신연결 가능하여 제어부(710)에서 산출된 유체의 사용량을 수신가능한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단말기(20)는 통신부(720)로부터 수신된 수도 사용량과, 유체량 측정에 따른 결과값량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구비하여 수도 사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전원부(730)는 발전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부(60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수도미터부(500)와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730)는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전원부(730)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와 용량성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들의 구동을 위한 회로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배터리와 용량성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성능저하 또는 손상이 발생하면 교체될 수 있도록 모듈하우징(740)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전원부(730)는 발전부(600),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이를 위해 전원부(730)는 발전부(600),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와 전선(80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도미터부(500)는 도 1 내지 2와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부(600)와 전선(800)으로 연결되어 발전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부(730)와 전선(800)으로 연결되어 전원부(7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듈하우징(740)은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부(710)와 통신부(720) 및 전원부(730)를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모듈하우징(740)은 발전부(600)와 연결되는 전선(800)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통과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발전부(600)와 연결되는 전선(800)이 꼬임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모듈하우징(740)은 수도미터부(500)와 발전부(600)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0)의 하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발전부(600)가 수도미터부(500) 및 전원부(730)와 하우징(200) 내부에서 전선(800)으로 연결됨에 따라,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는 전선(800)이 존재하게 되고, 이 때,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은 유체가 통과하는 파이프(100) 등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 배선 및 회로 등의 전기적 요소의 고장 요인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전선(800)을 외부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분리판(240)이 구비될 수 있다.
분리판(240)은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우징(2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분리판(240)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부를 통과하여 전선(800)이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으로 다시 진입할 수 있도록 분리판(240)에는 전선(800)이 통과하기 위한 제1전선통과공(25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전선통과공(250)은 분리판(240)에 복수 개가 형성되되,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존재하는 전선(800)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도록 수도미터부(500),발전부(600) 및 통합모듈(700) 각각이 구비되는 위치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선(800)은 일단이 발전부(600),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수도미터부(500)와 전원부(7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선(800)은 분리판(240)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전선(80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발전부(600)와 수도미터부(500)에 연결될 수 있고, 발전부(600)는 수도미터부(500)의 측정부(520)와 표시부(5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발전부(600)와 수도미터부(500)가 전선(800)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일단이 발전부(600)와 연결된 전선(800)은 발전부(600)가 구비되는 위치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전선통과공(250)을 통과하여 분리판(240)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지나 수도미터부(500)가 구비되는 위치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전선통과공(250)을 통과하여 타단이 수도미터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발전부(600)와 전원부(730)가 전선(800)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일단이 발전부(600)와 연결된 전선(800)은 발전부(600)가 구비되는 위치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전선통과공(250)을 통과하여 분리판(240)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지나 통합모듈(540)이 구비되는 위치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전선통과공(250)을 통과하여 타단이 통합모듈(540)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7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선(80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분리판(240)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공간에 위치됨에 따라, 전선(800)은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외부물질로부터 분리판(240)에 의해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80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존재하지 않아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이 상대적으로 번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의 파이프(100), 하우징(200), 안치판(300), 지지부재(400), 수도미터부(500), 발전부(600), 통합모듈(700) 및 전선(800)을 포함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도면부호를 일치시켜 표시하고,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는 서브하우징(900)과 제2실링부재(1000)를 포함할 수 있고, 통합모듈(700)이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이 아닌 서브하우징(900)에 수용될 수 있다.
서브하우징(900)은 통합모듈(700)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이 하우징(200)의 분리판(240)이 형성된 면에 접촉되어 하우징(200)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서브하우징(900)에 통합모듈(700)이 구비되면 모듈하우징(740)이 서브하우징(900)에 수용됨에 따라, 제어부(710), 통신부(720) 및 전원부(730)는 서브하우징(9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서브하우징(900)의 후면 넓이는 하우징(200)의 분리판(240)이 형성된 면의 넓이와 대응될 수 있다.
서브하우징(900)의 후면이 하우징(200)의 분리판(240)이 형성된 면에 접촉되어 하우징(200)과 결합되면 일단이 발전부(600)에 연결된 전선(800)이 분리판(240)의 내면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곧바로 서브하우징(9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900)의 상면에는 서브하우징(90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문(91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는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가 많은데, 개폐문(910)이 서브하우징(900)의 상면에 구비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가 지하에 매설되더라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폐문(910)을 개폐하여 보다 편리하게 제어부(710), 통신부(720), 전원부(730) 및 모듈하우징(740)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발전부(600)와 수도미터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서브하우징(900)에 구비되는 전원부(730)가 전선(80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브하우징(900)의 후면과, 하우징(200)의 분리판(240)이 형성된 면에는 전선(800)이 통과하기 위한 제2전선통과공(9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단이 발전부(600)와 연결되는 전선(800)이 전원부(730)와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전선통과공(920)은 발전부(600)가 구비되는 위치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전선통과공(250)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1000)는 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접촉하는 영역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우징(200)의 수용공간과 서브하우징(9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포함하는 외부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실링부재(1000)는 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접촉하는 면의 외주에 구비되어 하우징(200)의 차단부재가 형성된 면과, 하우징(200)의 차단부재가 형성된 면과 접촉하는 서브하우징(900)의 면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2전선통과공(920)과, 서브하우징(900)에 형성된 제2전선통과공(920)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1000)는 하우징(200)의 제2전선통과공(920)의 내주에 대응되는 부분과 서브하우징(900)의 제2전선통과공(920)이 형성된 내주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1000)는 하우징(200)의 제2전선통과공(920)의 내주에 대응되는 부분과 서브하우징(900)의 제2전선통과공(920)의 내주에 대응되는 부분이 밀착되도록 하여 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접촉되는 면 사이를 통해 하우징(200)의 수용공간과 서브하우징(9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포함한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제2실링부재(1000)는 제1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접촉하는 면의 외주에 구비되어 제1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접촉하는 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실링부재(1000)는 제1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접촉하는 면의 내주에 구비되어 제1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밀착되도록 하여 제1하우징(200)의 수용공간과 서브하우징(9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포함한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실링부재(1000)는 제1하우징(200)과 서브하우징(900)이 밀착되도록 하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외부단말기,
100: 파이프,
100a: 제1파이프, 100b: 제2파이프, 100c: 제3파이프,
100d: 제4파이프, 100e: 제5파이프,
200: 하우징,
210a: 제1파이프통과공, 210b: 제5파이프통과공,
220: 표시부통과공, 230: 제1실링부재,
240: 분리판, 250: 제1전선통과공,
300: 안치판
300a: 제1안치판, 300b: 제2안치판
310: 메인판,
320: 제1보조판,
330: 제2보조판,
340: 관통공,
400: 지지부재,
400a: 제1지지부재, 400b: 제2지지부재
410: 마찰부재,
410a: 제1마찰부재, 410b: 제2마찰부재,
500: 수도미터부,
510: 미터하우징,
511: 제1유입공, 512: 제1유출공,
520: 측정부, 530: 표시부,
600: 발전부,
610: 제2유입공, 620: 제2유출공,
700: 통합모듈,
710: 제어부, 720: 통신부, 730: 전원부, 740: 모듈하우징,
800: 전선,
900: 서브하우징,
910: 개폐문, 920: 제2전선통과공,
1000: 제2실링부재.

Claims (8)

  1.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유체가 통과하면 유체량을 측정하고 유체량 측정에 따른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수도미터부;
    상기 파이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에 대응되는 고정자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부;
    상기 수도미터부의 상기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부통과공이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통과공의 하부에 상기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안치판과, 상기 발전부가 안치되되 상기 제1안치판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안치판과, 상기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되는 제1파이프통과공과, 상기 제1파이프통과공과 일직선상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도미터부가 안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5파이프통과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도미터부와 상기 제1파이프통과공을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수도미터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발전부와 상기 수도미터부를 연결하고 상기 수도미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발전부로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일단부가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파이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5파이프통과공에 연결되는 제5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상기 수도미터부에서 측정된 유체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수도 사용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치판 및 상기 제2안치판은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중심부 아래 일측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되 기설정된 직경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보조판과, 상기 메인판의 중심부 위 타측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연장형성되되 기설정된 직경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보조판을 포함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안치판의 제1보조판 및 상기 제2안치판의 제1보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안치판의 제2보조판 및 상기 제2안치판의 제2보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미터부는
    상기 제1파이프통과공과 상기 제1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는 제1유입공과, 상기 제1유입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유입공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된 미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제1유출공과 상기 안내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유출공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입공과, 상기 제2유입공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5파이프를 통해 상기 제5파이프통과공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입공을 통과한 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통과공과 상기 제1유입공을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제5파이프는
    수직부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2유출공과, 상기 제5파이프통과공과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5파이프통과공과 연결되는 타단부가 상기 제1파이프로부터 일직선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안내파이프는
    일단이 상기 제1유출공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안치판과 상기 발전부 사이에 구비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안치판의 메인판의 타측 외부와 상기 제2보조판 하측 외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안치판과 평행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안치판과 상기 발전부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제2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3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제3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유입공과 연결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 제4파이프를 포함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내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전선통과공이 형성된 분리판;을 구비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전원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분리판이 형성된 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문을 구비하는 서브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분리판이 돌출형성된 면과,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는 상기 서브하우징의 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제2전선통과공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전선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발전부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선통과공을 통과하는 것
    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KR1020220105894A 2022-08-24 2022-08-24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KR10268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94A KR102686479B1 (ko) 2022-08-24 2022-08-24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94A KR102686479B1 (ko) 2022-08-24 2022-08-24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980A true KR20240027980A (ko) 2024-03-05
KR102686479B1 KR102686479B1 (ko) 2024-07-19

Family

ID=9029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894A KR102686479B1 (ko) 2022-08-24 2022-08-24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6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375A (ja) * 2002-01-15 2003-07-25 Kyushu Sekisui Kogyo Co Ltd 流量測定装置
JP2006098341A (ja) * 2004-09-30 2006-04-13 Tabuchi Corp 水道用メータボックスユニット
KR101552998B1 (ko) 2015-02-17 2015-09-16 평택시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KR102308540B1 (ko)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수도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375A (ja) * 2002-01-15 2003-07-25 Kyushu Sekisui Kogyo Co Ltd 流量測定装置
JP2006098341A (ja) * 2004-09-30 2006-04-13 Tabuchi Corp 水道用メータボックスユニット
KR101552998B1 (ko) 2015-02-17 2015-09-16 평택시 스마트 원격 무선검침시스템
KR102308540B1 (ko)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수도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6479B1 (ko) 202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615A (en) Fluid flow meter
KR101242131B1 (ko) 분리형 전자식 수도계량기
KR102686479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수도 검침 장치
KR102176781B1 (ko) 하이브리드 수도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시스템
KR200406483Y1 (ko) 다종 유량계측 표시장치
KR101140815B1 (ko) 보호케이스의 상부뚜껑을 이용한 분리형 전자식 수도계량기
KR20030073164A (ko) 자가발전형 전자식 유량계
NL8401191A (nl) Watermeterinrichting voor espresso koffiemachines.
KR100790802B1 (ko) 논 담수위 계측장치
JP6261442B2 (ja) 流量計
US3857282A (en) Portable tester for hydraulic power circuits
JP6824543B1 (ja) 水道メータ
WO2005043091A1 (en) Fluid consumption meter using a rotating impeller
GB2101219A (en) Rotary fluid-flow meter
KR20070082404A (ko) 기계식 수도미터 계량기용 비교유량측정 시스템
KR20180101811A (ko) 가스계량기용 누출 점검기
CN217083844U (zh) 超声波流量计
CN216433139U (zh) 计量仪表
KR200407688Y1 (ko) 좁은 직경의 관정에 장입된 양수관에서 유량측정이 가능한유량계 장치
EP4001526A1 (en) Level sensor unit for level measurements in a flushing tank
US20230204399A1 (en) Flow meter
KR20210147297A (ko) 하이브리드형 수도계량기
RU2152128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60110611A (ko) 다기능 가스 안전 계량기용 차단밸브 배선 연결 장치
KR102259929B1 (ko) 하이브리드 전자식 수도 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