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923A -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923A
KR20240027923A KR1020220105547A KR20220105547A KR20240027923A KR 20240027923 A KR20240027923 A KR 20240027923A KR 1020220105547 A KR1020220105547 A KR 1020220105547A KR 20220105547 A KR20220105547 A KR 20220105547A KR 20240027923 A KR20240027923 A KR 2024002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ne
storage tank
storage tanks
b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운
나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923A/ko
Publication of KR2024002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3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저장탱크 내지 제4 저장탱크로 마련된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공급라인, 스프레이 라인, 베이퍼 라인 및 비상라인을 갖춘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저장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기화기; 상기 기화된 액화가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복수의 저장탱크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를 워밍업시키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GAS TRIAL OPERATION SYSTEM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NG(Liquefied Natural Gas)와 같은 액화가스 운반선이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추진선(이하 '선박'이라 함)은 건조 후 해상(Offshore)에서 시운전을 수행하여 저장탱크, 펌프 및 각종 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이에 대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박의 시운전을 수행하기 앞서서, 액화가스 로딩 및 가스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선박은 액화가스 저장시설과 연결된 육상 터미널을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있다. 예컨대, 선박에 마련된 복수의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로 연료로 사용될 액화가스를 설정량에 맞게 로딩한다. 이때, 액화가스를 저장탱크에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탱크에 불활성기체(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이너팅(Inerting) 단계, 저장탱크 내부에 가열된 액화가스를 공급하여 불활성기체를 치환하는 개싱업(Gassing up) 단계, 저장탱크의 내부 온도를 일정 이하로 낮추는 냉각 단계(Cool down, '쿨다운'이라고도 함), 저장탱크에 액화가스를 로딩하는 로딩(loading) 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액화가스가 저장된 선박은 해상에서 시운전을 수행하여 저장탱크, 펌프 및 각종 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즉, 액화가스를 공급받은 해당 저장탱크 내부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통해 액화가스를 공급받지 못한 다른 복수의 저장탱크를 개싱업 및 쿨다운시키고, 펌프 테스트 및 각종 설비의 정상작동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검사가 완료된 선박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저장탱크 내부가 소정 온도가 되도록 워밍업(Warming up)하는 단계, 불활성기체를 공급하는 이너팅 단계, 불활성기체를 공기로 치환(aeration)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그러나, 복수의 저장탱크를 쿨다운시키고, 펌프 테스트를 수행함은 물론,복수의 저장탱크를 동시에 워밍업 함으로써 많은 양의 증발가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생된 증발가스가 발전기나 엔진, 가스 연소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하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압력이 높아져 저장탱크의 변형 및 폭발 등의 위험이 잠재된다. 따라서,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으나, 환경오염에 악영향을 미치고,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증발가스 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탱크를 쿨다운 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다른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증발가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해진 일정으로 펌프 테스트를 수행함은 물론, 선박의 정상작동 테스트기간 동안 복수의 저장탱크를 순차적으로 워밍업시켜 짧은 시간에 증발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저장탱크 내지 제4 저장탱크로 마련된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공급라인, 스프레이 라인, 베이퍼 라인 및 비상라인을 갖춘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저장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기화기; 상기 기화된 액화가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복수의 저장탱크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를 워밍업시키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쿨링시키는 쿨링부와, 상기 쿨링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돌려보내어 상기 제1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링부는 상기 스프레이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스프레이 분기라인과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스프레이 라인과 상기 기화기를 연결하는 제1 순환라인; 상기 제1 순환라인 및 상기 베이퍼 라인과 연결되어 가열된 증발가스를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 전달하는 제2 순환라인;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증발가스 또는 가열된 증발가스 일부를 수요처에 전달하는 제3 순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순환라인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히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제 기화된 액화가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재액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액화기로부터 액화된 증발가스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리턴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액화기는 순환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저장탱크 내지 제4 저장탱크로 마련된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공급라인, 스프레이 라인, 베이퍼 라인 및 비상라인을 갖춘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강제 기화시킨 액화가스와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순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가열된 증발가스는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로 공급되어 상기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를 선택적으로 워밍업시키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를 워밍업 시 순차적으로 하나씩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의 워밍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저장탱크로 가열된 증발가스를 공급하여 워밍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워밍업 전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를 언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쿨링시키는 쿨링부와, 상기 쿨링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돌려보내에 상기 제1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저장탱크를 워밍업 시 상기 쿨링부를 통해 상기 제1 저장탱크로 쿨링된 액화가스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쿨링부는 상기 스프레이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스프레이 분기라인과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강제 기화된 액화가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재액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액화기를 통해 액화된 증발가스는 리턴라인을 통해 제1 저장탱크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스프레이 라인과 연결되어 제1 저장탱크의 액화가스 중 일부를 기화기로 전달하는 제1 순환라인; 상기 기화기 및 상기 베이퍼 라인과 연결되어 가열된 증발가스를 상기 공급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 순환라인;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증발가스 또는 가열된 증발가스 일부를 수요처에 전달하는 제3 순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를 워밍업 전 개싱업, 쿨다운, 로딩 및 펌프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의 저장탱크를 쿨다운 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다른 저장탱크의 개싱업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를 워밍업 전 상기 제3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3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과 상기 제2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과 상기 제4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 전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3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4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 전 상기 제3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2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4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4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은 저장탱크를 쿨다운 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다른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증발가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은 정해진 일정으로 펌프 테스트를 수행함은 물론, 선박의 정상작동 테스트기간 동안 복수의 저장탱크를 순차적으로 워밍업시켜 짧은 시간에 증발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3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3 저장탱크의 쿨다운 및 제2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3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2 저장탱크의 쿨다운 및 제4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3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2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4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4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4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1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복수의 저장탱크를 워밍업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2 저장탱크를 워밍업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저장탱크의 워밍업 시 재액화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저장탱크의 워밍업 시 쿨링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1 저장탱크을 워밍업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1)은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되는 공급라인(100), 공급라인(100)으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되는 스프레이 라인(200),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되어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베이퍼 라인(300) 및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되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 이상 발생 시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비상라인(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는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은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강제 기화시켜 기화된 액화가스 및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전달하는 순환라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은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기화기(511, 512)와,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히터(521) 및 압축기(5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은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쿨링시키는 쿨링부(800)와, 쿨링부(800)에 의해 쿨링된 액화가스를 제1 저장탱크(10)로 돌려보내어 제1 저장탱크(10) 내부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회수라인(8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은 강제 기화된 액화가스 및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재액화기(700)와, 재액화기(700)로부터 액화된 증발가스를 제1 저장탱크(10)로 공급하는 리턴라인(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는 예컨대 멤브레인(Membrane)형 또는 가압식 탱크일 수 있으며, 극저온 유체로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탱크(10)는 개싱업, 쿨다운 및 액화가스가 로딩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는 이너팅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어 내부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를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 구분지어 제1 저장탱크(10)와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 간의 관계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다른 저장탱크 간의 관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저장탱크(10)는 외부설비(터미널)로부터 공급라인(100)을 통해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내부에 액화가스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탱크(10)에 선적되는 액화가스는 연료로 사용될 설정량에 맞게 로딩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탱크(10)는 일정 온도까지 냉각되는 쿨다운 작업이 수행된 상태로서 액화가스 로딩 시 증발가스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공급라인(100)은 외부설비 및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공급라인은 외부설비를 통해 액화가스를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로딩라인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1)은 공급라인(100)을 통해 제1 저장탱크(10)로 액화가스를 공급함은 물론,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 내의 질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공급라인(100)은 벤트 마스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급라인(100)에는 펌프(P1)가 마련되어 후술할 스프레이 라인(200)과 함께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중 어느 하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다른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프레이 라인(200)은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스프레이 라인(200)은 공급라인(100)과 연결되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레이 라인(200)은 스프레이 라인(200)으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부로 연장되는 제1 냉각라인(210)과, 제1 냉각라인(210)으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부로 액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장치(230)가 마련된 제2 냉각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라인(210)은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측 하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라인(210)에는 펌프(P2)가 마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라인(100)과 함께 액화가스를 다른 저장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라인(200)은 순환라인(50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스프레이 라인(200)에는 스프레이 라인(200)으로부터 분기된 스프레이 분기라인(820)이 마련된다. 스프레이 분기라인(820)은 후술할 쿨링부(800)와 연결되어 쿨링부(800)로 액화가스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레인 분기라인(820)과 쿨링부(800)의 연결에 따른 액화가스 운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퍼 라인(300)은 외부설비 및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퍼 라인(300)은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순환 및 배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퍼 라인(300)은 제1 저장탱크(10)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로 전달하도록 순환라인(500)과 연결될 수 있다.
비상라인(400)은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와 선박의 외부와 연결되며,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부의 증발가스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벤트 마스터(900)와 연결되어 벤트 마스터(9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내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비상라인(400)을 통해 가열된 증발가스를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비상라인(400)은 베이퍼 라인(300)과 연결되는 연결라인(4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열된 증발가스는 비상라인(400) 및 연결라인(410)을 통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전달되거나,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라인(500)은 제1 저장탱크(100)의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적어도 일부를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로 전달하거나, 수요처(610, 620) 예컨대 엔진(610), 가스 연소장치(620), 발전기나 보일러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순환라인(500)은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의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중 선택된 저장탱크로 전달하거나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순환라인(500)은 스프레이 라인(200) 및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511, 512)와 연결되는 제1 순환라인(510)과, 상기 제1 순환라인(510)과 베이퍼 라인(300) 및 비상라인(400)과 연결되어 기화된 액화가스 및 가열된 증발가스를 공급라인(100)으로 전달하는 제2 순환라인(520) 및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되어 증발가스 또는 가열된 증발가스 일부를 수요처(610, 620)에 전달하는 제3 순환라인(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순환라인(5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됨에 따라 기화된 액화가스를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하여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순환라인(510)에 마련된 기화기(511, 512)는 제2 순환유로(520)의 일단과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1 기화기(511)와, 제2 순환유로(520)의 타단과 연결되게 마련되는 제2 기화기(512)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기화기(511)는 베이퍼 라인(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제3 순환유로(530)로 보내거나 압축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제2 순환유로(520)의 입구단측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기화기(512)는 제2 순환유로(520)를 통해 가열된 증발가스를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보내기 위한 배출단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화기(511) 및 제2 기화기(512)는 가스의 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기화기(511)와 제2 기화기(512)를 통해 기화된 액화가스의 운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순환라인(520)은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일부는 수요처(610, 620)로 보내지도록 하거나, 다른 일부는 가열하여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제2 순환라인(520)에는 히터(521)가 마련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히터(521)의 후단측에는 증발가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저압 압축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순환라인(520)은 선박의 가스 시운전 과정에 따라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하거나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 중 선택된 저장탱크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제2 순환라인(520)은 제1 및 제3 순환라인(510, 530)과 연결됨은 물론, 스프레이 라인(200), 베이퍼 라인(300) 및 비상라인(400)과 연결된다.
제3 순환라인(530)은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되어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수요처(610, 620)로 전달하게 된다. 제3 순환라인(530)에는 압축기(531)가 마련되어 제3 순환라인(530)으로 공급된 증발가스를 압축할 수 있다. 이 압축기(531)는 고압 압축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되는 제3 순환라인(530)의 입구단측에는 재액화기(700)가 마련고, 각 수요처(610, 620)와 연결되는 배출단측은 분기되어 가열된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된다.
재액화기(700)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 및 기화기(511)를 통해 기화된 액화가스를 전달받아 재액화할 수 있다. 즉, 재액화기(700)는 제2 순환라인(520)으로부터 전달된 증발가스 및 기화된 액화가스를 전달받아 적어도 일부를 재액화할 수 있다. 이 재액화기(700)는 리턴라인(710)을 통해 재액화된 증발가스를 제1 저장탱크(10)로 공급할 수 있다. 재액화기(700)는 선박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압축, 냉각, 팽창 등의 공지된 과정을 수행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쿨링부(800)는 예컨대 냉매와 제1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받은 액화가스 간 열교환을 수행하여 해당 액화가스를 쿨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쿨링부(800)는 중온 저압의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고압의 냉매로 변환시키고, 압축된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중온 고압의 상태로 변환시키고, 냉매의 온도를 낮추고,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으로 변환시키고, 팽창된 냉매와 제1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된 액화가스 간 열교환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쿨링부(800)는 스프레이 라인(200)으로부터 분기된 형태로 마련되는 스프레이 분기라인(820)을 통해 제1 저장탱크(10)와 연결될 수 있다. 스프레이 분기라인(820)은 제1 저장탱크(10) 내부의 펌프(P2)에 의해 펌핑된 액화가스를 쿨링부(800)로 공급한다. 또한 쿨링부(800)는 회수라인(810)을 통해 제1 저장탱크(810) 내부로 쿨링된 액화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회수라인(810)은 스프레이 라인(200)의 제2 냉각라인(220)과 연결되어 분사장치(230)를 통해 액화가스를 제1 저장탱크(10) 내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저장탱크(10)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제1 저장탱크(10) 내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해당 작업은 해상에서 시운전 과정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과 도 2를 기초로 상술한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1)을 이용한 가스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은 건조 후 해상으로 이동하여 시운전을 수행하면서 저장탱크, 펌프 및 각종 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 제1 저장탱크(10)에 연료로 사용할 액화가스를 일정량 로딩하게 된다.
즉, 제1 저장탱크(10)는 이너팅 작업, 개싱업 작업 및 쿨다운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어 액화가스가 로딩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에 대해서는 이너팅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어 내부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3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저장탱크(10) 내부의 액화가스를 제2 기화기(512)로 기화시켜 제3 저장탱크(30)에 공급하는 제3 저장탱크(30) 개싱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스프레이 라인(200)의 제1 냉각라인(210)에 마련된 펌프(P2)를 통해 펌핑된 액화가스는 제1 순환라인(510)을 통해 제2 기화기(512)로 전달된다. 이에 기화된 액화가스는 제2 순환라인(520) 및 베이퍼 라인(530)을 통해 제3 저장탱크(30)로 공급됨에 따라 제3 저장탱크(30)에 존재하는 불활성기체(질소가스)가 배출된다. 이때, 질소가스는 공급라인(100)을 통해 벤트 마스터(900)로 보내어지게 된다.
제3 저장탱크(30)의 개싱업 작업이 완료되면, 제3 저장탱크(30)의 쿨다운 및 제2 저장탱크(20)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한다(S20).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3 저장탱크의 쿨다운 및 제2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스프레이 라인(200)을 통해 제3 저장탱크(30)로 전달한다. 이때, 액화가스는 제3 저장탱크(30)와 연결된 스프레이 라인(200)의 제2 냉각라인(220)을 통해 분사장치(230)로 전달되어 제3 저장탱크(30) 내부로 분사되어 쿨다운 작업이 실시된다.
이와 함께 제1 저장탱크(10) 및 제3 저장탱크(3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배출되어 제2 순환라인(520)으로 전달된다. 이에, 가열된 증발가스는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된 비상라인(400) 및 비상라인(400)과 베이퍼 라인(30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410)을 통해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된다. 즉, 증발가스는 히터(521)에 의해 가열된 후 제2 저장탱크(20)로 공급됨에 따라 제2 저장탱크(20)에 존재하는 존재하는 질소가스가 배출된다. 이때, 질소가스는 공급라인(100)을 통해 벤트 마스터(900)로 보내어져 처리 된다.
또한, 제1 및 제3 저장탱크(10, 3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 중 일부는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하여 각 수요처(610, 620)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증발가스를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 시 가열된 증발가스는 비상라인(400) 및 연결라인(410)을 통해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된 증발가스를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된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제2 저장탱크(20)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제3 저장탱크(30)의 쿨다운 및 제2 저장탱크(20)의 개싱업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3 저장탱크(30)로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액화가스는 제1 저장탱크(10)의 공급라인(100)과 연결된 펌프(P1)를 통해 공급라인(100) 및 스프레이 라인(200)을 통해 제3 저장탱크(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탱크(10) 및 제3 저장탱크(3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 및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되거나,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해 압축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된다.
이어서, 제3 저장탱크(30)에 액화가스가 이송되면, 제2 저장탱크(20)의 쿨다운 및 제4 저장탱크(40)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한다(S30).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2 저장탱크의 쿨다운 및 제4 저장탱크의 개싱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스프레이 라인(200)을 통해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한다. 이때, 액화가스는 제2 저장탱크(20)와 연결된 스프레이 라인(200)의 제2 냉각라인(220)을 통해 분사장치(230)로 전달되어 제2 저장탱크(20) 내부로 분사되어 쿨다운 작업이 실시된다.
이와 함께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0, 20, 3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배출되어 제2 순환라인(520)으로 전달된다. 이에, 가열된 증발가스는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된 비상라인(400) 및 연결라인(410)을 통해 제4 저장탱크(40)로 전달된다. 즉, 증발가스는 히터(521)에 의해 가열된 후 제4 저장탱크(40)로 공급됨에 따라 제4 저장탱크(40)에 존재하는 존재하는 질소가스가 배출된다. 이때, 질소가스는 공급라인(100)을 통해 벤트 마스터(900)로 보내어지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0, 20, 3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 중 일부는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하여 각 수요처(610, 620)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증발가스를 제4 저장탱크(40)로 전달 시 가열된 증발가스는 비상라인(400) 및 연결라인(410)을 통해 제4 저장탱크(40)로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된 증발가스를 제2 순환라인(520)과 연결된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직접 제4 저장탱크(4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저장탱크(20)의 쿨다운 및 제4 저장탱크(40)의 개싱업 작업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2 저장탱크(20)로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액화가스는 제3 저장탱크(30)의 공급라인(100)과 연결된 펌프(P1)를 통해 공급라인(100) 및 스프레이 라인(200)을 통해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0, 20, 3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 및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되거나,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해 압축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된다.
이어서, 제2 저장탱크(20)에 액화가스가 이송되면, 제4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을 수행한다(S40).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4 저장탱크의 쿨다운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저장탱크(2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스프레이 라인(200)을 통해 제4 저장탱크(40)로 전달한다. 이때, 액화가스는 제4 저장탱크(40)와 연결된 스프레이 라인(200)의 제2 냉각라인(220)을 통해 분사장치(230)로 전달되어 제4 저장탱크(40) 내부로 분사된다.
이와 함께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을 통해 배출되어 제2 순환라인(520)으로 전달된다. 즉,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 및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되거나,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해 압축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된다.
제4 저장탱크(40)의 쿨다운 작업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저장탱크(2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4 저장탱크(40)로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액화가스는 제2 저장탱크(20)의 공급라인(100)과 연결된 펌프(P1)를 통해 공급라인(100) 및 스프레이이 라인(200)을 통해 제4 저장탱크(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 및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되거나,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해 압축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된다.
또한, 제4 저장탱크(40)에 액화가스가 이송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저장탱크(50)의 액화가스를 다시 제1 저장탱크(10)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액화가스는 제4 저장탱크(40)의 공급라인(100)과 연결된 펌프(P1)를 통해 공급라인(100) 및 스프레이 라인(200)을 통해 제1 저장탱크(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 및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되거나,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해 압축된 후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선박의 가스 시운전을 수행하면서 저장탱크, 펌프 및 각종 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제1 저장탱크(10)로 다시 액화가스가 이동되면, 복수의 저장탱크(10, 20, 30, 40)를 워밍업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즉, 선박의 유지보수를 진행하기 위해서 워밍업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복수의 저장탱크를 워밍업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2 저장탱크를 워밍업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저장탱크의 워밍업 시 재액화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저장탱크의 워밍업 시 쿨링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가스 시운전 방법에서 제1 저장탱크을 워밍업 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제1 기화기(511)를 통해 기화시킨 후 이를 제2 저장탱크(20)에 전달하여 제2 저장탱크의 워밍업을 수행한다(S51). 구체적으로, 스프레이 라인(200), 제1 순환라인(510)을 통해 액화가스를 제1 기화기(511)로 전달하여 기화시키고, 기화된 액화가스는 제2 순환라인(520)을 통해 가열된 후 제2 저장탱크(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 순환유로(520)를 통해 가열된 증발가스는 공급라인(100)을 통해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기화된 액화가스는 베이퍼 라인(300)을 통하여 제2 순환라인(520)으로 전달되는 증발가스와 함께 제3 순환유로(5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베이퍼 라인(300), 제2 순환유로(520)로 전달되어 가열된 후 제2 저장탱크(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 제3 순환유로(530)를 통해 각 수요처(610, 6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저장탱크(20)의 워밍업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3 저장탱크(30) 또는 제4 저장탱크(40)의 워밍업 작성을 수행한다(S52). 즉,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를 순서에 관계 없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워밍업 시킨다.
한편, 제2 저장탱크의 워밍업 과정에서 기화된 액화가스 및 증발가스는 재액화기(700)에 의해 액화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순환유로(510)를 통해 기화된 액화가스와, 제2 순환유로(520)로 전달되는 증발가스는 적어도 일부가 재액화기(700)로 전달되어 재액화될 수 있다. 즉, 재액화기(700)에 의해 액화된 증발가스는 리턴라인(710)을 통하여 제1 저장탱크(10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재액화되는 과정은 제 12에서 설명되는 제2 저장탱크(20)의 워밍업 작업 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3 저장탱크(30) 및 제4 저장탱크(40)의 워밍업 시에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를 쿨링부(800)로 공급한 후, 쿨링된 액화가스를 회수라인(810)을 통해 제1 저장탱크(10)로 돌려보내어 제1 저장탱크(10)의 온도를 낮추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쿨링부(800)를 통한 작업은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의 워밍업 작업 중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재액화기(700)를 통해 재액화하는 과정과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저장탱크(20, 30, 40)의 워밍업 작업이 완료되면, 제1 저장탱크의 워밍업에 앞서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언로딩시킨 후(S53), 제1 저장탱크의 워밍업을 수행한다(S54).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저장탱크(10)에 잔존하는 증발가스를 통해 제1 저장탱크(10)를 워밍업할 수 있다. 즉, 베이퍼 라인(3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증발가스는 제2 순환라인(520)으로 전달되어 히터(521)에 의해 가열된 후 제1 저장탱크(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증발가스 중 일부는 제3 순환라인(530)을 통해 각 수요처(610, 6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 저장탱크(10, 20, 30, 40)를 워밍업 시 한 번에 수행하지 않고, 각각 순차적으로 워밍업을 수행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발생되는 증발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100 : 공급라인
200 : 스프레이 라인
300 : 베이퍼 라인
400 : 비상라인
500 : 순환라인
700 : 재액화기
800 : 쿨링부

Claims (7)

  1. 내부에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저장탱크 내지 제4 저장탱크로 마련된 복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액화가스 공급라인, 스프레이 라인, 베이퍼 라인 및 비상라인을 갖춘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저장탱크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기화기;
    상기 기화된 액화가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열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발가스를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복수의 저장탱크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를 워밍업시키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쿨링시키는 쿨링부와,
    상기 쿨링된 액화가스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돌려보내에 상기 제1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는 상기 스프레이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스프레이 분기라인과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공급받도록 마련되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스프레이 라인과 상기 기화기를 연결하는 제1 순환라인;
    상기 제1 순환라인 및 상기 베이퍼 라인과 연결되어 가열된 증발가스를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 전달하는 제2 순환라인;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증발가스 또는 가열된 증발가스 일부를 수요처에 전달하는 제3 순환라인;을 포함하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라인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열시키는 히터가 마련되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기화된 액화가스 및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시키는 재액화기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액화기로부터 액화된 증발가스를 상기 제1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리턴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액화기는 순환라인과 연결되는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KR1020220105547A 2022-08-23 2022-08-23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KR20240027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547A KR20240027923A (ko) 2022-08-23 2022-08-23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547A KR20240027923A (ko) 2022-08-23 2022-08-23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923A true KR20240027923A (ko) 2024-03-05

Family

ID=9029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547A KR20240027923A (ko) 2022-08-23 2022-08-23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3236A1 (en) Lng tank and operation of the same
KR101344772B1 (ko) Lng/lpg 겸용선의 재액화 시스템 및 연료 공급 방법
KR101110864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생산 저장설비
EP1956287A2 (en) LNG tank and method of treating boil-off gas
KR20160088183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70120862A (ko) 선박의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722372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732554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70031429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631877B1 (ko) 수상 부체식 설비
KR102632400B1 (ko) 선박용 가스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가스처리 방법
KR20240027923A (ko)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KR20140146802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61397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32551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96633B1 (ko) 액화가스 로딩 및 가스처리 시스템과 이의 작동방법
WO2008099977A1 (en) Lng cargo tank of lng carrier and method for treating boil-off gas using the same
KR20210090842A (ko) 에너지 절약형 연료가스 가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4785A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09570B1 (ko) Lng 저장탱크 워밍 업 방법
RU27863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лучения газа в газообразной форме из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20240031552A (ko) 선박의 가스 시운전 시스템
KR10258415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102605866B1 (ko) 액화가스 로딩 및 가스처리 시스템과 이의 작동방법
JP2019007511A (ja) 液化ガス管理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