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429A -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 Google Patents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429A
KR20240027429A KR1020220105630A KR20220105630A KR20240027429A KR 20240027429 A KR20240027429 A KR 20240027429A KR 1020220105630 A KR1020220105630 A KR 1020220105630A KR 20220105630 A KR20220105630 A KR 20220105630A KR 20240027429 A KR20240027429 A KR 2024002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mounting member
installing
hazard
hazar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429A/ko
Publication of KR2024002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전선류의 전력케이블에 설치되는 방호관에 대해 위험 표지판을 간접활선 작업방식으로 변경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위험 표지판에 대한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를 개시한다.
전술한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는 배전선로를 덮는 건축용 방호관에 설치되는 위험 표지판, 상기 위험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 행거부, 및 상기 수평 행거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외주면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수직 행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행거부는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마운팅부재와 제2마운팅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마운팅부재는 상기 수평 행거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마운팅부재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Hanger for installing warning post}
본 발명은 건축용 방호관에 대해 위험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전선류의 전력케이블에 설치되는 방호관에 대해 위험 표지판을 간접활선 작업방식으로 변경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위험 표지판에 대한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전선류 전력케이블이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주변에서 건물의 신축이 진행되거나, 다른 작업이 병행되는 경우에는 배전선로의 외부에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건축용 방호관이 별도로 설치되어 배전선로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때, 건축용 방호관에는 감전사고의 위험을 외부로 알리기 위해 경고문구가 표시된 위험 표지판이 추가로 설치된다.
종래, 위험 표지판은 건축용 방호관의 외부에 대해 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매달리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설작업을 통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건축용 방호관에 대한 위험 표지판의 설치작업은 작업자에 의한 직접활선 방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은 직접활선 방식의 위험 표지판에 대한 설치작업은 간접활선 방식으로 변경되어 감전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7637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압전선류의 전력케이블에 설치되는 방호관에 대해 위험 표지판을 간접활선 작업방식으로 변경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위험 표지판에 대한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전선로를 덮는 건축용 방호관에 설치되는 위험 표지판, 상기 위험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 행거부, 및 상기 수평 행거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외주면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수직 행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행거부는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마운팅부재와 제2마운팅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마운팅부재는 상기 수평 행거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마운팅부재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마운팅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수평 행거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일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곡부에는 상기 제2마운팅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조립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힌지 조립부는 소재를 관통하는 슬롯 형상의 천공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마운팅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마운팅부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1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2마운팅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타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절곡부에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힌지 조립부의 내부를 향해 삽입 가능하게 절곡된 굴곡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2마운팅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2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는 고압전선류의 전력케이블에 위험 표지판을 매달기 위해 방호관에 설치되는 행거의 조립 구조를 간략화시켜 행거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공정을 간접활선 작업방식으로 변경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행거의 조립과 분해에 각각 필요로 하는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에서 제1마운팅부재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에서 제2마운팅부재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10)는 고압전선류의 전력케이블과 같은 배전선로에 위험 표지판(20)을 매달기 위해 방호관(30)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행거의 조립 구조를 간략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 표지판(20)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 행거부(40), 및 상기 수평 행거부(40)의 중앙부위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건축용 방호관(30)의 외주면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수직 행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 행거부(40)와 상기 수직 행거부(50)는 대략 "T"자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평 행거부(40)는 봉형상의 강성 구조물로서, 양단부에 상기 위험 표지판(20)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돌출단부(41)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 행거부(50)는 평판형태의 강성 구조물로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30)의 외주면을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각각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마운팅부재(150)와 제2마운팅부재(25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는 상기 수평 행거부(40)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수평 행거부(40)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건축용 방호관(30)의 일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151)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151)에는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조립부(152)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 조립부(152)는 소재를 관통하는 슬롯 형상의 천공부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1관통구멍(15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에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타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251)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251)에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결합부(252)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 결합부(252)는 상기 힌지 조립부(152)의 내부를 향해 삽입 가능하게 절곡된 굴곡부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2관통구멍(25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고압전선류 전력케이블에 설치되는 건축용 방호관(30)에 대해 위험 표지판(20)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행거(10)를 구성하는 수평 행거부(40)에 대해 수직 행거부(50)를 조립함에 있어 간접활선 작업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절연스틱과 같은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의 힌지 조립부(152)에 대해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의 힌지 결합부(252)를 먼저 힌지 결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의 제1절곡부(151)와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의 제2절곡부(251)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상기 건축용 방호관(30)의 외주면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방호관(30)에 대한 상기 행거(10)의 1차 고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상기 제1마운팅부재(150)의 제1관통구멍(153)과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의 제2관통구멍(253)을 일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마운팅부재(250)를 선회한 다음, 별도의 조작스틱을 사용하여 상기 제1관통구멍(153)과 상기 제2관통구멍(253)을 통한 볼트의 나사 체결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행거(10)에 대한 2차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행거(10)를 이용하여 건축용 방호관(30)에 대한 위험 표지판(20)의 설치작업을 간접활선 작업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면, 감전사고의 발생을 배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행거 20-위험 표지판
30-건축용 방호관
40-수평 행거부 50-수직 행거부
150-제1마운팅부재 151-제1절곡부
152-힌지 조립부 153-제1관통구멍
250-제2마운팅부재 251-제2절곡부
252-힌지 결합부 253-제2관통구멍

Claims (7)

  1. 배전선로를 덮는 건축용 방호관에 설치되는 위험 표지판;
    상기 위험 표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 행거부; 및
    상기 수평 행거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외주면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수직 행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행거부는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마운팅부재와 제2마운팅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마운팅부재는 상기 수평 행거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마운팅부재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수평 행거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일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곡부에는 상기 제2마운팅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조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부는 소재를 관통하는 슬롯 형상의 천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마운팅부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1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마운팅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제1마운팅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타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절곡부에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힌지 조립부의 내부를 향해 삽입 가능하게 절곡된 굴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마운팅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마운팅부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2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KR1020220105630A 2022-08-23 2022-08-23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KR20240027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30A KR20240027429A (ko) 2022-08-23 2022-08-23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30A KR20240027429A (ko) 2022-08-23 2022-08-23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429A true KR20240027429A (ko) 2024-03-04

Family

ID=9029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30A KR20240027429A (ko) 2022-08-23 2022-08-23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4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70Y1 (ko) 1999-09-27 2000-03-1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위험표지판 설치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70Y1 (ko) 1999-09-27 2000-03-1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위험표지판 설치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198B1 (ko)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KR20240027429A (ko) 위험 표지판 설치용 행거
KR101399036B1 (ko) 완금 밴드
KR102355162B1 (ko) 압축 완철밴드
KR101600240B1 (ko) 공작물 방호용 y형 지지물
KR101766453B1 (ko) 측뇌용 피뢰침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KR20070009521A (ko) 베란다 난간 설치용 파이프 연결구
CN209167607U (zh) 一种适用于adss光缆的组合式余缆盘储装置
JP2015034454A (ja) 金属管支柱の補強構造
CN209819386U (zh) 一种路灯的安装结构
CN109322536A (zh) 一种便于拆卸的电力设备用围栏
KR102581073B1 (ko) 건축용 방호관의 위험표지판 연결 어댑터 구조체
KR101127466B1 (ko) 피뢰침이 구비된 피뢰도선 지지구
KR100857775B1 (ko)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폴크러셔 장치
KR100512317B1 (ko) 차폐각 확보를 위한 가공지선 지지대
JP3196083U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
CN211830059U (zh) 一种焊接钢管与电线盒连接件
KR20190125034A (ko)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CN114221276B (zh) 一种地埋高压电缆过桥保护装置
KR20240020848A (ko) 전주용 절연 방호장치
CN217489581U (zh) 一种装配式安全带固定装置
CN214124671U (zh) 一种电缆引上线保护套管
KR101238683B1 (ko) 밴드형 클램프와 탄력바 구조를 갖는 슬림형 가공중성지선 멀티캡
CN211666400U (zh) 一种新型电杆横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