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388A -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388A
KR20240027388A KR1020220105541A KR20220105541A KR20240027388A KR 20240027388 A KR20240027388 A KR 20240027388A KR 1020220105541 A KR1020220105541 A KR 1020220105541A KR 20220105541 A KR20220105541 A KR 20220105541A KR 20240027388 A KR20240027388 A KR 20240027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schedule management
unit
display unit
managem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로랩
Priority to KR102022010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388A/ko
Publication of KR2024002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관리 서버; 상기 일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일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일정 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일정의 진행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개별 일정의 정보를 보여주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상기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 중 하나에 포함시켜서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의 일정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다른 일정 그룹 모듈로 이동시키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SCHEDULE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일정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는 일정 캘린더나 다이어리 앱이 설치되어서,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여 미리 일정이나 기념일 등을 등록할 수 있고, 해당 날짜 및 시간에 알람기능까지 제공하여 등록한 일정이나 기념일을 미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등록한 일정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일정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일정 관리 프로그램은 일정을 진행 상태에 따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일정 관리가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26891호 (2020.06.25)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일정들을 진행 상태에 따라 관리하여 일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관리 서버; 상기 일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일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일정 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일정의 진행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개별 일정의 정보를 보여주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상기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 중 하나에 포함시켜서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의 일정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다른 일정 그룹 모듈로 이동시키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일정의 진행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개별 일정의 정보를 보여주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상기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 중 하나에 포함시켜서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의 일정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다른 일정 그룹 모듈로 이동시키므로, 복수의 일정들을 진행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출력 화면에서 준비 그룹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 출력 화면에서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의 확대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는 일정 관리 서버(20)와,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와,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 각각이 일정 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40)를 포함한다.
일정 관리 서버(20)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일정 관리 서버(20)는 일정 관리 데이터 베이스(30) 및 사용자 단말기(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정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40)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4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는 일정 관리 서버(2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정 관리 서버(2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된다.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정 관리 서버(20)에 의해 변경된다.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는 일정 관리 서버(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세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는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 각각이 일정 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40)는 일정 관리 서버(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40)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노트북 컴퓨터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기(40)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사용자에게 일정 관리를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와, 일정 관리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메모리 장치는 DRAM 또는 SRAM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와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서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프로세서에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한다.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개별 일정의 정보를 보여주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을 기준으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은 진행 단계에 따라서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서 디스플레이 된다.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은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들이 진행 단계별로 분류되어서 형성된 것이다.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은 모두 4개로서, 4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 중 하나는 준비 그룹 모듈(110)이고, 다른 하나는 진행 그룹 모듈(120)이며, 또 다른 하나는 완료 그룹 모듈(130)이고, 나머지 하나는 기간 초과 그룹 모듈(140)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이 가로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세로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배치되거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복합된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 140) 각각은 화면에서 독립된 하나의 영역을 차지한다.
준비 그룹 모듈(110)에는 진행 대기 상태인 일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이 표시된다. 준비 그룹 모듈(110)에 포함된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은 상태 변경에 따라 다른 일정 그룹 모듈들(120, 130, 140)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개별 일정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준비 그룹 모듈(110)은 사용자에게 진행하고자 하는 일정의 등록을 신청하기 위한 일정 등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우측 하단의 '티켓 추가하기'). 사용자는 일정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진행하고자 하는 일정의 정보를 입력하고, 이는 일정 관리 서버(120)로 전송되어서 일정 등록이 선청되며 등록 신청된 개별 일정에 대한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이 생성되어서 준비 그룹 모듈(110)에 추가되어 표시된다.
진행 그룹 모듈(120)에는 진행 중인 일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이 표시된다. 진행 그룹 모듈(120)에 포함된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은 상태 변경에 따라 다른 일정 그룹 모듈들(110, 130, 140)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개별 일정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진행 그룹 모듈(120)에 포함된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을 통해서는 일정 수행에 투자된 시간이 자동으로 누적되어서 계산될 수 있다.
완료 그룹 모듈(130)에는 완료된 일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이 표시된다. 완료 그룹 모듈(130)에 포함된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은 상태 변경에 따라 다른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40)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개별 일정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기간 초과 그룹 모듈(140)에는 일정 마감일이 지난 일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이 표시된다. 기간 초과 그룹 모듈(140)에 포함된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은 상태 변경에 따라 다른 일정 그룹 모듈들(110, 120, 130)로 이동하여 사용자는 개별 일정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많은 정보를 보여주도록 확대되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위 일정 표시 유닛(150)에 표시되는 정보는 일정의 제목(151), 상세한 설명(152), 시작일과 마감일(153), 소속(154), 일정에 투자된 시간(155)을 포함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일정 관리 서버
30: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
40: 사용자 단말기
110: 준비 그룹 모듈
120: 진행 그룹 모듈
130: 완료 그룹 모듈
140: 기간 초과 그룹 모듈
150: 단위 일정 표시 유닛

Claims (4)

  1. 일정 관리 서버;
    상기 일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일정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일정 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일정의 진행 상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개별 일정의 정보를 보여주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상기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 중 하나에 포함시켜서 출력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의 일정 상태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을 다른 일정 그룹 모듈로 이동시키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은 진행 대기 상태인 일정에 대응하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이 표시되는 준비 그룹 모듈과, 진행 중인 일정에 대응하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이 표시되는 진행 그룹 모듈과, 완료된 일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일정 표시 유닛이 표시되는 완료 그룹 모듈을 구비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일정 그룹 모듈들은 일정 마감일이 지난 일정에 대응하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이 표시되는 기간 초과 그룹 모듈을 더 구비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행 그룹 모듈에 표시되는 단위 일정 표시 유닛에서는 일정 수행에 투자된 시간이 자동으로 누적되어서 계산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05541A 2022-08-23 2022-08-23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27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541A KR20240027388A (ko) 2022-08-23 2022-08-23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541A KR20240027388A (ko) 2022-08-23 2022-08-23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388A true KR20240027388A (ko) 2024-03-04

Family

ID=9029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541A KR20240027388A (ko) 2022-08-23 2022-08-23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3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91B1 (ko) 2018-11-30 2020-06-25 이재만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91B1 (ko) 2018-11-30 2020-06-25 이재만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5816B2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user time zone update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US113077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ablature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US20190050812A1 (en) Project management and activity tracking methods and systems
CN109313739B (zh) 用于提供工作流程的可视化的系统和方法
CN101356522B (zh) 终端用户对工作流进行动态重新定位的计算机实现的系统
US11610670B1 (e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generating work assignments
US10019559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ggregating data to provide a display in a user interface
US201400684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ccess to Enterprise Work Area Information
US11961051B1 (en) Integrated system for producing procedural data change sets communicated to client devices
US20200402648A1 (en) Generating high confidence refills for unified workforce management
JPWO2014054232A1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US20180018613A1 (en) Providing software for customizing on-site services
JP6094594B2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KR20240027388A (ko)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8301B1 (ko) 일정 정보의 재활용 방법
CN110427260A (zh) 主机作业调度方法、装置及系统
JP7320236B1 (ja) 在宅医療・介護スケジュール提供システム、在宅医療・介護スケジュール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6684B1 (ja) 予定調整システム、予定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91522B1 (ko) 웹 사이트의 일정 게시물 제공을 이용한 일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316196A1 (en) Integrated system for producing procedural data change sets communicated to client devices
JP2022145546A (ja) 訪問計画作成支援装置、訪問計画作成支援方法、訪問計画作成支援端末、訪問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6679850A (zh) 自动打卡结果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70137966A (ko) 회의실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9082772A (ja)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156152A (zh) 设计辅助系统和设计辅助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