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895A - 안과 수술용 캐뉼러 - Google Patents

안과 수술용 캐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895A
KR20240026895A KR1020237039527A KR20237039527A KR20240026895A KR 20240026895 A KR20240026895 A KR 20240026895A KR 1020237039527 A KR1020237039527 A KR 1020237039527A KR 20237039527 A KR20237039527 A KR 20237039527A KR 20240026895 A KR20240026895 A KR 2024002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segment
distal
fillet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시시 시나
로버트 제프리 헝
Original Assignee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2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8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3Cannulas with different outer diameters of th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sthe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은 일반적으로 안과 수술, 더 구체적으로, 안과 수술 동안 또는 후에 안내압(IOP)을 제어하고 안구 탐포네이드를 투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1 내경(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가진 근위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허브, 샤프트, 및 허브와 샤프트 사이의 캐뉼러 전이부를 포함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허브 또는 캐뉼러 전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원위 단부를 가진 원위 세그먼트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과 수술용 캐뉼러
도입부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번호 63/223,645(발명의 명칭: "CANNULAS FOR OPHTHALMIC PROCEDURES", 출원일: 2021년 7월 20일, 발명자: Ashish Sinha 및 Robert Jeffrey Heng)의 우선권의 이득을 주장하고, 이는 본 명세서에 완전히 그리고 전적으로 제시된 것처럼 전문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안과 수술 동안 또는 후에 안내압(intraocular pressure: IOP)을 제어하고/하거나 안구 탐포네이드(tamponade)를 투여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안과 캐뉼러, 예컨대, 주입 캐뉼러 및 주사 캐뉼러,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당뇨병성 망막병증 및 당뇨병성 유리체 출혈, 황반원공, 망막박리, 망막앞막,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망막염 및 다른 것과 같은 눈 뒤쪽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후안부 수술 절차가 수행된다.
눈의 뒤쪽에 영향을 주는 특정한 문제는 유리체 절제술, 또는 유리체의 수술적 제거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유리체는 눈의 형태와 형상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눈의 중심을 채우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겔형 물질이다. 예를 들어, 유리체 절제술은 눈에서 혈액 및 잔해물을 제거하거나, 흉터 조직을 제거하거나, 또는 망막 견인을 완화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수술 동안, 홍채 바로 뒤, 망막 앞에 위치한 눈의 유리체에서 3개의 별개의 절개를 수행한다. 절개는 광파이프, 주입 포트 및/또는 유리체 절단 디바이스와 같은 기구를 눈에 통과시키는 데 사용된다. 밸브 부착 캐뉼러(valved cannula)는 각각의 절개 부위 내에 위치되어 캐뉼러를 통해 눈으로 기구가 접근하게 하는 동시에, 자가-밀봉 밸브를 제공하여 캐뉼러를 통해 눈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유체 및 압력 연통을 수동적으로 제어한다.
후안부 수술 동안 유리액이 흡입됨에 따라 안내압(IOP)이 감소되고 환자의 눈이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IOP를 유지하고 안구 변형 또는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액체 또는 기체(예를 들어, 균형 잡힌 염 용액(balanced salt solution: BSS))와 같은 유체를 눈에 주입하기 위해 주입 캐뉼러가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IOP를 유지하는 것이 공막 강성을 유지하여 수술 동안 눈의 움직임과 기구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IOP가 장기간 상승하면 눈 구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IOP를 신중하게 조절해야 한다. IOP가 너무 높아지면,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눈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데 또 다른 주입 캐뉼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주사 캐뉼러는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될 수 있고 망막 박리를 통한 유체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안구 탐포네이드과 같은 점성 유체를 안구 공간에 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탐포네이드는 유리체 절제술 동안 제거된 유리체를 대체할 수 있고 기체 또는 용액(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일 수 있다. 수술 후, 탐포네이드가 일정 기간 동안 환자의 눈에 남아 있을 수 있고, 그 후에는 이를 추출할 수 있다.
종래의 유체 캐뉼러(예를 들어, 주입 캐뉼러, 주사 캐뉼러 등)는 다양한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종래의 유체 캐뉼러는 일반적으로 크기에 따라 다르며, 각각의 유체 캐뉼러는 유체 캐뉼러가 결합될 밸브 부착 캐뉼러의 특정 게이지에 맞춰진 치수를 갖는다. 밸브 부착 캐뉼러는 몇몇의 상이한 게이지(예를 들어, 23 게이지, 25 게이지, 27 게이지)로 이용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예를 들어, 안과 의사)는 수술 절차를 위해 원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 게이지에 특별히 맞는 크기의 유체 캐뉼러를 사용해야 한다. 상이한 크기의 밸브 부착 캐뉼러를 사용하면 절차가 불편해진다. 게다가, 종래의 유체 캐뉼러 디자인은 통과하는 유체의 상대적으로 높은 유체 마찰을 생성한다. 높은 유체 마찰은 전체 유체 흐름을 제한하고 주어진 유체 흐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한다. 더 높은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은 더 큰 펌프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장비에 부가적인 마모 및 마멸을 유발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고압에서의 전통적인 배관 세트 및 점성 유체 전달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파열 실패 및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더 낮은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은 안구 조직에 대한 손상 위험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IOP를 제어하고 유체를 투여하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고, 위에서 설명된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개선된 유체 캐뉼러가 특히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안과 수술, 예컨대, 유리체 절제술을 포함하는 후안부 외과 수술 동안 안내압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양상은 눈에 대한 유체의 주사/추출을 위해 유용한, 주사 캐뉼러 및 주사 캐뉼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상은 눈에 대한 유체의 주입/배기를 위해 유용한, 주입 캐뉼러 및 주입 캐뉼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양상은 외과 수술용 캐뉼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캐뉼러 디바이스는 제1 내경(inner diameter: 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및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허브, 샤프트, 및 허브와 샤프트 사이의 캐뉼러 전이부를 포함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허브 또는 캐뉼러 전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를 갖는다.
특정한 양상은 외과 수술용 캐뉼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캐뉼러 디바이스는 제1 내경(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중간 세그먼트; 제1 원위 단부 및 제2 근위 단부를 통해 근위 세그먼트와 중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1 전이부로서, 제1 필렛(fillet) 및 제2 필렛을 포함하는 제1 전이부; 제2 ID보다 더 작은 제3 ID,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 및 제2 원위 단부 및 제3 근위 단부를 통해 중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2 전이부로서, 제3 필렛 및 제4 필렛을 포함하는 제2 전이부를 갖는다.
다음의 설명 및 관련된 도면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징을 상세히 제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특정한 양상을 도시하고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의 제한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면은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점성 유체 제어(viscous fluid control: VFC) 캐뉼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주사 캐뉼러 조립체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된 도 1a 및 도 1b의 VFC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c 및 도 2d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VFC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e 및 도 2f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 및 도 1b에 대한 대안적인 VFC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된 대안적인 VFC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c 및 도 3d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 3a의 대안적인 VFC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된 예시적인 주입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c 및 도 4d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도 4a의 예시적인 주입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는 가능한 경우에, 도면에 공통인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하나의 실시형태의 요소 및 특징부가 추가의 설명 없이 다른 실시형태에 유익하게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사항은 개시된 주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통해 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구현예가 예시적이고 모든 가능한 구현예를 총망라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분명해야 한다. 따라서, 설명된 예에 대한 참조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된 디바이스, 기구, 방법에 대한 임의의 대안 및 추가의 변경, 및 본 개시내용의 원리의 임의의 추가의 적용은 개시내용과 관련되는 당업자에게 보통 발생할 바와 같이 전적으로 고려된다. 특히, 하나의 구현예에 대해 설명된 특징부, 컴포넌트 및/또는 단계가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현예에 대해 설명된 특징부, 컴포넌트 및/또는 단계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적으로 고려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의 원위 단부, 세그먼트, 또는 부분이 이의 사용 동안 환자의 신체와 더 가까운 단부,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한다. 반면에, 컴포넌트의 근위 단부, 세그먼트, 또는 부분은 환자의 신체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는 단부,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나타낸다. 컴포넌트의 중간 세그먼트 또는 부분은 원위 세그먼트 또는 부분과 근위 단부 또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약"은 공칭값으로부터 +/-10%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값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안내압(IOP)을 제어하고/하거나 유체, 예컨대, 안구 탐포네이드를 안구 공간에 투여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주사 캐뉼러 및 주사 캐뉼러의 사용 방법을 개시하고,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눈에 대한 유체의 주사 및/또는 추출을 위해 유용하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상은 주입 캐뉼러 및 주입 캐뉼러의 사용 방법을 개시하고,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눈에 대한 유체의 주입 및/또는 배기를 위해 유용하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법 및 설계는 다른 유형의 유체 캐뉼러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체 캐뉼러가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되더라도, 특정한 양상이 밸브 부착 캐뉼러 대신에 밸브가 없는 캐뉼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유리체망막 수술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이 또한 다른 유형의 캐뉼러 또는 사용에 적용 가능하고 오로지 안과 수술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또한 유의한다.
종래의 유체 캐뉼러는 밸브 부착 캐뉼러가 실제로 지지할 수 있는 것보다 작은 레벨로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내경(ID)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유체 캐뉼러의 가장 작은 ID는 유체가 흐르게 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대응하는 가장 작은 ID보다 더 작다. 유체 캐뉼러의 가장 작은 ID는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R)이 유체의 점도(η) 및 유체가 흐르는 통로의 길이(L)에 정비례하기 때문에 유체 흐름을 제한하고, 유체 통로는 일정한 ID를 가진 유체 캐뉼러의 부분이다. 게다가,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은 유체 통로의 반경의 네제곱수(r4)에 반비례하고, 반경은 유체 통로의 ID의 절반이다. 따라서,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은 또한 유체 통로의 ID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종래의 유체 캐뉼러가 대응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가장 작은 ID보다 더 작은 ID를 가진 세그먼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의 유체 캐뉼러의 이 세그먼트는 밸브 부착 캐뉼러가 실제로 지지할 수 있는 것보다 작은 레벨로 유체 흐름을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실시형태는 다음의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는 유체 캐뉼러를 제공하고, 이의 각각은 이득을 제공한다. 유체 캐뉼러는 호환성 밸브 부착 캐뉼러의 가장 작은 ID보다 더 큰 ID를 가진 원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저항이 유체 통로의 ID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더 큰 ID는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유체 캐뉼러는 종래의 유체 캐뉼러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진 원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의 더 짧은 길이는 저항이 유체 통로의 길이에 비례하기 때문에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유체 캐뉼러는 근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 사이에서 전이하는 중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중간 세그먼트는 이것이 호환성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에서 길이의 부분에 더 큰 직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유체 캐뉼러는 적어도 2개의 필렛(예를 들어, 라운드, 커브, 컷아웃, 반경, 스플라인 또는 유사한 곡률) 및/또는 챔퍼(chamfer)(예를 들어, 베벨) 사이에서 전이부를 가질 수 있다. 전이는 세그먼트 사이에 평활한 전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전에 설명된 특징부는 주어진 유체 흐름 속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낮추거나,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말하자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 속도를 주어진 소스 압력으로 증가시키는, 유체 캐뉼러를 통한 전체 흐름 저항 및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a는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주사 캐뉼러 조립체(100)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주사 캐뉼러 조립체(100)는 일반적으로 점성 유체 제어(VFC) 캐뉼러(102) 및 어댑터(104)를 포함한다. VFC 캐뉼러(102)는 예를 들어, 밸브 부착 캐뉼러(도 2c 및 도 2d에 도시됨)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밸브 부착 캐뉼러를 통해 환자의 눈의 안구 공간 내/외로 유체를 주사하거나 또는 추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댑터(104)는 주사를 위한 유체를 포함할 수 있는, 주사기와 같은 수용 디바이스에 VFC 캐뉼러(102)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조정한다. 사용자, 예컨대, 외과의는 주사기로부터 캐뉼러 조립체(100) 및 밸브 부착 캐뉼러를 통해 환자의 눈으로 유체를 주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주사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눈으로부터 유체를 추출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수용 디바이스는 유체 라인의 배관일 수 있고 VFC 캐뉼러(102) 반대편의 근위 단부에서 수술용 콘솔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수술용 콘솔은 유체 라인 및/또는 VFC 캐뉼러(102)를 통한 설정된 압력 및/또는 흐름 속도로 유체의 주사 또는 추출을 제어하거나 또는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는 VFC 캐뉼러(102)를 가진 주사 캐뉼러 조립체(100)의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1b는 VFC 캐뉼러(102)의 내부 프로파일 및 내부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VFC 캐뉼러(102)는 어댑터(104)에 연결되고, 이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금속성 물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 또는 탄소강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상부에 형성된 보호 코팅, 예컨대, 니켈 도금을 포함하여, 부식 및/또는 미생물 성장에 저항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어댑터(104)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단단한 폴리머,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다.
VFC 캐뉼러(102) 및 어댑터(104)는 유사한 또는 상이한 제작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딥 드로잉 공정 또는 기계가공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어댑터(104)는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어댑터(104)는 인서트 몰딩 또는 사출 오버몰딩 공정을 통해 VFC 캐뉼러(102)의 주위에 제작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 및 어댑터(104)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3차원(3D) 인쇄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VFC 캐뉼러(102) 및 어댑터(104)가 별도로 제작되는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 및 어댑터(104)는 기계적으로, 예컨대, 슬롯 및 탭을 통해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 또는 써멀 본딩(thermal bonding)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된 VFC 캐뉼러(102)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특히, 도 2a 및 도 2b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되는 VFC 캐뉼러(102)의 외부 프로파일 및 외부 특징부를 도시한다. VFC 캐뉼러(102)는 밸브 부착 캐뉼러를 통해 환자의 눈의 안구 공간의 내로 또는 외로 유체를 주사, 배기 또는 추출하기 위해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VFC 캐뉼러(102)는 근위 세그먼트(202) 및 원위 세그먼트(204)를 포함한다. 근위 세그먼트(202)는 제1 근위 단부(203A) 및 제1 원위 단부(203B)를 포함한다. 원위 세그먼트(204)는 제2 근위 단부(205A) 및 제2 원위 단부(205B)를 포함한다. 제1 전이부(206)는 제1 원위 단부(203B) 및 제2 근위 단부(205A)를 통해 근위 세그먼트(202)와 원위 세그먼트(204)를 연결시킨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2 전이부(208)는 제1 근위 단부(203A)에서 근위 세그먼트(202)와 상단 림(210)을 연결시킨다. 제2 전이부(208) 및/또는 상단 림(210)은 어댑터(예를 들어, 도 1b의 어댑터(104))에 몰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상단 림을 갖지 않고, 근위 세그먼트(202)는 이의 최근위 부분이다.
밸브 부착 캐뉼러(220)는 일반적으로 오버캡(222), 허브(226), 및 중공형 관 또는 샤프트(228)를 포함한다. 허브(226) 및 샤프트(228)는 캐뉼러 전이부(230)에 의해 연결된다. 허브(226)의 내경(ID)(예를 들어, 도 2b의 ID(227))은 샤프트(228)의 ID(예를 들어, 도 2b의 ID(229))보다 더 크다. 밸브 부착 캐뉼러(220)는 허브(226) 및/또는 캐뉼러 전이부(230)의 부분일 수 있는 만입부(232)를 더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FC 캐뉼러(102)의 원위 세그먼트(204)의 제2 원위 단부(205B)는 VFC 캐뉼러(10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될 때 허브(226)의 내부에 배치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를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시키기 위해, VFC 캐뉼러(10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될 때 VFC 캐뉼러(102)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예를 들어, 원위 세그먼트(204)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고, 내부 특징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만입부(232) 및/또는 내벽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만입부(232)는 VFC 캐뉼러(102)와 밸브 부착 캐뉼러(220) 간에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여 수술 동안 VFC 캐뉼러(102)를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치수설정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만입부(232)와 VFC 캐뉼러(102) 간의 저항은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부터 VFC 캐뉼러(102)를 철수할 때 눈으로부터 밸브 부착 캐뉼러(220)를 당기는데 필요한 저항보다 작다. 예를 들어, 밸브 부착 캐뉼러(220)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가 눈에 있는 동안 VFC 캐뉼러(10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부터 당겨질 때 눈으로부터 당겨지지 않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와 밸브 부착 캐뉼러(220) 간의 저항은 눈으로부터 밸브 부착 캐뉼러(220)를 제거하는 일 없이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부터 VFC 캐뉼러(102)가 분리될 수 없게 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저항은 VFC 캐뉼러(102) 및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다른 영역 또는 섹션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위 세그먼트(204)의 외부는 허브(226) 및/또는 캐뉼러 전이부(230)의 내부면과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도 2b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VFC 캐뉼러(10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될 때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허브(226)는 VFC 캐뉼러(102)의 원위 세그먼트(204)를 방사상으로 둘러싸고 이에 결합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될 때, 원위 세그먼트(204)가 허브(226)의 내부에만((즉, 방사상으로 내향에) 배치되거나 또는 허브(226) 및 캐뉼러 전이부(230)의 내부에만 배치되고, 원위 세그먼트(204)가 샤프트(228)로 연장되지 않는다. 원위 세그먼트(204)가 샤프트(228)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원위 세그먼트(204)의 치수가 샤프트(228)의 치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원위 세그먼트(204)의 가장 작은 ID(예를 들어, 도 2d의 제2 ID(24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샤프트(228)의 ID(229)보다 더 크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밸브 부착 캐뉼러(220)는 23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25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27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등일 수 있다. 밸브 부착 캐뉼러(220)가 VFC 캐뉼러가 실제로 지지할 수 있는 것보다 작은 레벨로 유체 흐름을 제한하기 때문에 샤프트(228)의 ID(229)에 비해 VFC 캐뉼러(102)의 원위 세그먼트(204)의 비교적 더 큰 ID(예를 들어, 도 2d의 제2 ID(242))는 VFC 캐뉼러(102)를 통한 전체 흐름 저항 및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원위 세그먼트(204)가 이의 샤프트(예를 들어, 샤프트(228))의 상이한 ID(예를 들어, ID(229))에 맞도록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단축된 원위 세그먼트(204)는 상이한 게이지의 밸브 부착 캐뉼러를 가진 VFC 캐뉼러(102)를 위한 보편적 끼워맞춤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VFC 캐뉼러는 23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25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27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등에 범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VFC 캐뉼러(102)의 다양성은 외과 수술을 위해 필요한 상이한 부품의 수를 유익하게 감소시킨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또한 유체를 환자의 눈에 주사할 때 압력 방출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될 때 갭(224)이 원위 세그먼트(204)와 허브(226)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대해 완전히 밀봉되지 않기 때문에 원위 세그먼트(204)와 밸브 부착 캐뉼러(220) 사이의 갭(224)은 주사된 유체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부터 오버캡(222)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역류는 눈의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보다 더 높을 때 발생할 수 있고 유체가 눈에 주사될 때 의사가 저항을 더 잘 느끼게 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원위 세그먼트(204)의 외부는 허브(226) 및/또는 캐뉼러 전이부(230)의 내부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또는 정합되어 갭이 이들 사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원위 세그먼트(204)는 만입부(232)와 정합하고, 밀접하게 끼워맞춰지고/지거나 맞도록 구성되는 만입부 또는 다른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원위 세그먼트(204)의 비교적 큰 ID 및 짧은 길이로 인해, 더 낮은 소스 압력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VFC 캐뉼러(102)와 함께 주어진 흐름 속도를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소스 압력은 흐름 저항의 감소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흐름 속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사 캐뉼러 실시형태와 함께 주어진 소스 압력으로 증가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흐름 속도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30% 이상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80 psi 소스 압력에서, 흐름 속도의 증가는 종래의 25 게이지 주사 캐뉼러 설계에 비해 약 15 내지 30% 이상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예컨대, 30 psi 소스 압력에서, 흐름 속도의 증가는 종래의 25 게이지 주사 캐뉼러 설계에 비해 약 5 내지 20% 이상이다.
도 2c 및 도 2d는 VFC 캐뉼러(102)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특히, 도 2c 및 도 2d는 VFC 캐뉼러(102)의 외부 프로파일 및 외부 특징부를 나타내고, 도 2d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인치로 제공된 몇몇의 예시적인 치수를 포함한다. 라벨링된 치수가 단지 예시적이고, 상이한 비를 포함하여, 특징부에 대한 다른 치수가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세그먼트(202)가 제1 ID(240)를 갖고 원위 세그먼트(204)가 제2 ID(242)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원위 세그먼트(204)는 예를 들어, 약 0.020 내지 약 0.030 인치, 예컨대, 약 0.020 인치 내지 약 0.028 인치, 예컨대, 약 0.023 인치의 제2 ID(242)의 내부 치수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원위 세그먼트(204)의 내부 치수는, 원위 세그먼트(204)의 외부가 밸브 부착 캐뉼러 허브(예를 들어, 도 2b의 허브(226)) 및/또는 캐뉼러 전이부(예를 들어, 도 2b의 캐뉼러 전이부(230))의 내부에 맞춰질 때, 또는 원위 세그먼트(204)가 만입부를 가질 때와 같이, 0.030 인치보다 더 크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약 0.050 인치 내지 약 0.120 인치, 예컨대, 약 0.0507 인치의 내부 샤프트 길이(244)(예를 들어, 원위 세그먼트(204) 및 필렛(206B)을 포함함)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약 0.150 내지 약 0.250 인치, 예컨대, 약 0.156 내지 약 0.203 인치, 예컨대, 약 0.156 인치의 총 길이(246)를 갖는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를 위한 총 길이(246)에 대한 내부 샤프트 길이(244)의 비는 약 0.2 내지 약 0.4, 예컨대, 약 (0.0507 인치/0.156 인치 = 0.325)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102)는 약 0.110 인치 내지 약 0.140 인치, 예컨대, 약 0.126 인치의 직경일 수 있는, 총 폭(247)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세그먼트(202 및 204) 및 전이부(206 및 208)는 VFC 캐뉼러(102)의 중심을 통해 배치된 공통 중심축(212)을 공유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근위 세그먼트(202)는 중심축(212)을 따라 제1 길이(234)를 측정하고 원위 세그먼트(204)는 중심축(212)을 따라 제2 길이(235)를 측정한다. 제2 길이(235)는 제1 길이(234)보다 더 크거나,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세그먼트(202 및 204) 및 전이부(206 및 208)에 대해 설명되지만, VFC 캐뉼러(102)가 단일의 일체형 몸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세그먼트(202 및 204) 및 전이부(206 및 208)가 일체형 몸체의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특징부가 특정한 치수 또는 치수 범위에 대해 설명되지만, 다른 치수 및/또는 ID가 또한 고려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이부(206)는 제1 필렛(206A) 및 제2 필렛(206B)을 포함하고, 제2 전이부(208)는 제3 필렛(208A)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필렛(206A)은 오목하고 제2 필렛(206B)은 볼록하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3 필렛(208A)이 오목한 반면에,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제3 필렛(208A)은 볼록하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렛(206A, 206B 및 208A)은 전이부(206 및 208)의 내벽에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필렛은 전이부(206 및 208)의 내벽 및/또는 외벽에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세그먼트(202 및 204)의 내벽 및/또는 외벽은 중심축(212)과 평행하거나 또는 중심축에 대해 테이퍼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그먼트(202 및 204)와 제1 및 제2 전이부(206 및 208)의 벽 두께는 일정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벽 두께는 특징부(예를 들어, 제1 전이부(206), 원위 세그먼트(204))마다 가변적일 수 있거나 또는 달라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이부(206)는 필렛(예를 들어, 필렛(206A 및 206B)) 대신에 제1 챔퍼 또는 베벨(예를 들어, 도 4d의 제1 챔퍼(406C)와 유사함)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2 원위 단부(205B)는 볼록할 수 있는 제4 필렛(238), 및/또는 제2 챔퍼를 포함한다.
필렛(206A 및 206B)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필렛은 중심축(212)에 대한 필렛의 중심점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위치각(예를 들어, 위치각(253))을 가질 수 있다. 위치각은 중심축(212)과 필렛의 중심점의 접선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253)은 1도 내지 85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253)은 1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253)은 20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253)은 약 26도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필렛은 전이부(예를 들어, 제1 전이부(206))의 내부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필렛은 전이부의 외부면 상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연속적인 흐름 경로가 VFC 캐뉼러(102)의 제1 근위 단부(203A)와 제2 원위 단부(205B)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이부(206 및 208)의 곡률은 유체 마찰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체가 VFC 캐뉼러(102)를 통해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어서, 유체 성능을 유익하게 개선시킨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세그먼트(202 및 204) 및 전이부(206 및 208)의 내벽이 이음매 없이 연결되어 평활한 내부 프로파일을 형성하여 세그먼트(202 및 204)와 전이부(206 및 208) 사이에 연결이 안 된 전이부, 중단부 또는 불균형 만입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2e 및 도 2f는 VFC 캐뉼러(200)로서 도시된, 또 다른 VFC 캐뉼러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특히, 도 2e 및 도 2f는 VFC 캐뉼러(200)의 외부 프로파일 및 외부 특징부를 나타낸다. VFC 캐뉼러(200)는 VFC 캐뉼러(102)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적절한 경우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그러나, VFC 캐뉼러(102)와 달리, VFC 캐뉼러(200)의 제1 전이부(206)는 필렛(206A 및 206B)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 또는 베벨(206C)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예를 들어, 도 2f의 제1 전이각(252))은, 중심축(212)과 동일 선상에 있을 수 없는 세그먼트(202 또는 204) 중 하나의 축과, 제1 챔퍼(206C) 사이에서 측정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은 제1 챔퍼(206C)와 중심축(212) 사이에서 측정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이 약 120도이지만,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약 90도 내지 약 165도 이하일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은 90도 초과이다.
제1 전이부(206)의 형태학은 VFC 캐뉼러(200)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이부(206)는 근위 세그먼트(202)와 원위 세그먼트(204) 사이에서 ID의 점진적인 감소를 갖는 깔때기 형상의 특징부를 VFC 캐뉼러(200)에 형성하는 제1 챔퍼(206C)를 포함한다. 챔퍼는 유체에 대한 단면의 점진적이고 선형으로 감소되는 감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VFC 캐뉼러의 전이부와 비교할 때 과도한 압력 손실의 방지를 용이하게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된 대안적인 VFC 캐뉼러(300)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특히, 도 3a 및 도 3b는 VFC 캐뉼러(300) 및 밸브 부착 캐뉼러(120)의 외부 프로파일 및 외부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VFC 캐뉼러(300)는 근위 세그먼트(302), 중간 세그먼트(314), 및 원위 세그먼트(304)를 포함한다. 근위 세그먼트(302)가 제1 근위 단부(303A) 및 제1 원위 단부(303B)를 포함하고; 중간 세그먼트(314)가 제2 근위 단부(315A) 및 제2 원위 단부(315B)를 포함하고; 원위 세그먼트(304)가 제3 근위 단부(305A) 및 제3 원위 단부(305B)를 포함한다. 제1 전이부(306)는 제1 원위 단부(303B) 및 제2 근위 단부(315A)에서 근위 세그먼트(302)와 중간 세그먼트(314)를 연결시킨다. 제2 전이부(307)는 제2 원위 단부(315B) 및 제3 근위 단부(305A)에서 중간 세그먼트(314)와 원위 세그먼트(304)를 연결시킨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3 전이부(308)는 제1 근위 단부(303A)에서 근위 세그먼트(302)와 상단 림(310)을 연결시킨다. 제3 전이부(308) 및/또는 상단 림(310)은 어댑터(예를 들어, 도 1b의 어댑터(104))에 몰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300)는 상단 림을 포함하지 않는다.
VFC 캐뉼러(102)와 유사하게, VFC 캐뉼러(300)는 밸브 부착 캐뉼러를 통해 환자의 눈의 안구 공간으로 유체를 주사하고, 배기하거나 또는 추출하기 위해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300)가 내부에 삽입될 때 VFC 캐뉼러(300)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예를 들어, 중간 세그먼트(314)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고/리거나 원위 세그먼트(304)의 적어도 일부가 샤프트(228)의 내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려서, 원위 세그먼트(304)와 샤프트(228) 사이에 "관 내 관" 구성을 발생시킨다. 관 내 관 구성은 VFC 캐뉼러(300)를 사용할 때 안정된 유체 흐름 및 작동 압력을 발생시킨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300)의 원위 세그먼트(304)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특정한 게이지 크기에 밀접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크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원위 세그먼트(304)는 23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25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27 게이지 밸브 부착 캐뉼러 등의 샤프트(228) 내에 밀접하게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 외경을 갖는다.
상이한 주사 캐뉼러는 균일한 직경의 2개의 원통, 즉, 넓은 근위 원통 및 좁은 원위 원통으로 형성된 일체형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좁은 원위 원통은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샤프트(228)의 ID보다 더 작은 ID를 갖는다. 원통이 2개의 필렛으로 이루어진 전이부에 의해 연결되어 넓은 근위 원통과 좁은 원위 원통 사이에서 전이할 때 흐름 경로가 ID의 급격한 감소를 겪는다. ID의 갑작스러운 감소는 이를 통한 흐름 저항을 증가시킨다. 전이부는 상이한 주사 캐뉼러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될 때 밸브 부착 캐뉼러의 오버캡(222)에 배치된다. 결합될 때, 좁은 원위 원통은 오버캡(222)으로부터, 허브(226)를 통해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샤프트(228)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이한 주사 캐뉼러는, 이것이 오버캡(222)으로부터 샤프트(228)로 연장되는 길이의 가장 작은 ID를 통한 유체 흐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체 흐름에 대한 제한 인자이다.
대조적으로, VFC 캐뉼러(300)는 3개의 상이한 ID를 가진 적어도 3개의 세그먼트(302, 314, 및 304)로 세분화된다. 따라서, 상이한 세그먼트(예를 들어, 314 및 304)는 VFC 캐뉼러(300)가 이에 결합될 때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상이한 부분(예를 들어, 허브(226) 또는 샤프트(228))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세그먼트(314)가 허브(22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228) 내의 원위 세그먼트(304)에 대해 증가된 ID를 가질 수 있고, 가장 작은 ID를 가진 원위 세그먼트(304)가 샤프트(228)를 통해 감소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허브(226) 내의 증가된 ID에 더하여, 가장 작은 ID를 가진 원위 세그먼트(304)의 감소된 길이는 VFC 캐뉼러(300)의 유체 흐름 저항을 유익하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소스 압력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VFC 캐뉼러 실시형태와 함께 주어진 흐름 속도를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소스 압력이 흐름 저항의 감소에 비례하여 감소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 연장되는 VFC 캐뉼러(300)의 길이의 일부가 원위 세그먼트(304)보다 더 큰 ID를 가진, 중간 세그먼트(314)에 의해 차지되기 때문에 원위 세그먼트(304)는 더 짧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 연장되는 VFC 캐뉼러(300)의 길이는 종래의 유체 캐뉼러 설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더 짧은 원위 세그먼트(304)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캐뉼러 설계와 비교할 때 VFC 캐뉼러(300)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짧은 원위 세그먼트(304)는 눈으로 60 psi(제공인치당 파운드힘)로 1000 cSt(센티스토크) 실리콘 오일이 유동할 때 약 8 내지 28%과 같은, 종래의 유체 캐뉼러 설계에 비해 흐름 속도를 약 5 내지 3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흐름 속도는 일반적으로 VFC 캐뉼러(300)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입력 압력 및 점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단면을 좁히는 것이 압력 손실을 증가시켜서, 감소된 흐름 속도를 초래하기 때문에, 흐름 속도는 세그먼트의 ID에 의해 또한 영향을 받는다. 원위 세그먼트(304)를 단축시키는 것은 유체가 가장 작은 ID(예를 들어, 제3 ID)를 통해 흐르는 거리를 감소시키고, 더 길고 더 넓은 단면을 유체에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압력 손실을 방지한다.
VFC 캐뉼러(102)와 유사하게, VFC 캐뉼러(300)는 또한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세그먼트(314)는, 만입부(232)와 정합하고 밀접하게 끼워맞춰지고/지거나 맞도록 구성된 만입부를 가질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는 VFC 캐뉼러(300)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특히, 도 3d는 VFC 캐뉼러(300)의 내부 프로파일 및 내부 특징부를 도시하고, 도 3d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인치로 제공된 몇몇의 예시적인 치수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세그먼트(302)가 제1 ID(340)를 갖고, 중간 세그먼트(314)가 제2 ID(348)를 갖고, 원위 세그먼트(304)가 제3 ID(342)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중간 세그먼트(314)는 약 0.020 내지 약 0.030 인치, 예컨대, 약 0.023 내지 약 0.028 인치, 예컨대, 약 0.023 인치의 내부 치수, 예를 들어, 제2 ID(348)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중간 세그먼트(314)의 내부 치수는, 중간 세그먼트(314)의 외부가 밸브 부착 캐뉼러 허브(예를 들어, 도 3b의 허브(226)) 및/또는 캐뉼러 전이부(예를 들어, 도 3b의 캐뉼러 전이부(230))의 내부에 맞춰질 때, 또는 원위 세그먼트(304)가 만입부를 가질 때와 같이, 0.030 인치보다 더 크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300)는 도 2d의 내부 샤프트 길이(244)보다 더 길 수 있는 내부 샤프트 길이(344)(예를 들어, 원위 세그먼트(304), 전이부(307), 중간 세그먼트(314), 및 필렛(306B))(예를 들어, 내부 샤프트 길이(344)는 약 0.07 인치 내지 약 0.126 인치, 예컨대, 0.098 인치일 수 있음), 및 약 0.150 내지 약 0.250 인치, 예컨대, 약 0.203 인치의 총 길이(346)를 갖는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에 대한 총 길이(346)에 대한 내부 샤프트 길이(344)의 비는 약 0.35 내지 약 0.55, 예컨대, 약 (0.098 인치/0.203 인치 = 0.483)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VFC 캐뉼러(300)는 약 0.110 인치 내지 약 0.140 인치, 예컨대, 약 0.126 인치의 직경일 수 있는, 총 폭(347)을 갖는다. VFC 캐뉼러(102)와 유사하게, 세그먼트(302, 304, 및 314) 및 전이부(306, 307, 및 308)는 단일의 일체형 몸체로 형성되는, VFC 캐뉼러(300)의 중심을 통해 배치된 공통 중심축(312)을 공유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근위 세그먼트(302)가 제1 길이(334)를 측정하고, 중간 세그먼트(314)가 제2 길이(335)를 측정하고, 원위 세그먼트(304)가 제3 길이(336)를 측정하고, 각각이 중심축(312)을 따라 측정된다. 제3 길이(336)는 제2 길이(335)보다 길거나, 짧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제3 길이(336)가 0이고, VFC 캐뉼러(300)는 상단 림(310)과 전이부(307)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총 길이(346)를 갖는다(예를 들어, VFC 캐뉼러(300)가 원위 세그먼트(304)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한 치수 또는 치수 범위를 가진 특징부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다른 치수 및/또는 ID가 또한 고려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이부(306)가 제1 필렛(306A) 및 제2 필렛(306B)을 포함하고, 제2 전이부(307)가 제3 필렛(307A) 및 제4 필렛(307B)을 포함하고, 제3 전이부(308)가 제5 필렛(308A)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필렛(306A)이 오목하고 제2 필렛(306B)이 볼록하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3 필렛(307A)이 오목하고 제4 필렛(307B)이 볼록하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5 필렛(308A)이 오목한 반면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5 필렛(308A)이 볼록하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3 원위 단부(305B)는 도 2d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제6 필렛 및/또는 제2 챔퍼(예를 들어, 도 2d의 제4 필렛(2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필렛 및/또는 제2 챔퍼는 제3 원위 단부(305B)의 외경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의 VFC 캐뉼러(102)의 삽입을 유익하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렛(306A, 306B, 307A, 307B 및 308A)은 전이부(306, 307, 및 308)의 내벽에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필렛은 전이부(306, 307, 및 308)의 내벽 및/또는 외벽에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세그먼트(302, 304, 및 314)의 벽은 도 2d에 이전에 설명된 VFC 캐뉼러(102)의 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필렛(306A 및 306B)은 중심축(312)에 대한 필렛의 중심점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위치각(예를 들어, 위치각(353))을 가질 수 있다. 위치각은 중심축(312)과 필렛의 중심점의 접선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353)은 1도 내지 85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353)은 1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353)은 20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각(353)은 약 26도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연속적인 흐름 경로가 VFC 캐뉼러(300)의 제1 근위 단부(303A)와 제3 원위 단부(305B) 사이에 형성되고, 전이부의 곡률이 유체 마찰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체가 VFC 캐뉼러(300)를 통해 원활하게 흐르게 하여, 유체 성능을 유익하게 개선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된 예시적인 주입 캐뉼러(400)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4a 및 도 4b는 주입 캐뉼러(400) 및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외부 프로파일 및 외부 특징부를 나타낸다. 주입 캐뉼러(400)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삽입되어 밸브 부착 캐뉼러를 통해 환자의 눈의 안구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또는 배기하도록 구성된다.
VFC 캐뉼러(300)와 유사하게, 주입 캐뉼러(400)는 근위 세그먼트(402), 중간 세그먼트(414), 및 원위 세그먼트(404)를 포함한다. 근위 세그먼트(402)가 제1 근위 단부(403A) 및 제1 원위 단부(403B)를 포함하고; 중간 세그먼트(414)가 제2 근위 단부(415A) 및 제2 원위 단부(415B)를 포함하고; 원위 세그먼트(404)가 제3 근위 단부(405A) 및 제3 원위 단부(405B)를 포함한다. 제1 전이부(406)는 제1 원위 단부(403B) 및 제2 근위 단부(415A)에서 근위 세그먼트(402)와 중간 세그먼트(414)를 연결시킨다. 제2 전이부(407)는 제2 원위 단부(415B) 및 제3 근위 단부(405A)에서 중간 세그먼트(414)와 원위 세그먼트(404)를 연결시킨다. 제3 전이부(408)는 제1 근위 단부(403A)에서 근위 세그먼트(402)와 주입 라인의 배관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VFC 캐뉼러(300)와 유사하게,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주입 캐뉼러(400)가 내부에 삽입될 때 주입 캐뉼러(400)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예를 들어, 중간 세그먼트(414)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고/리거나 원위 세그먼트(404)의 적어도 일부가 샤프트(228)의 내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려서, "관 내 관" 구성을 발생시키고, 주입 캐뉼러(400)의 원위 세그먼트(404)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특정한 게이지 크기와 밀접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주입 캐뉼러는 균일한 직경의 3개의 원통, 즉, 넓은 근위 원통, 중앙 중간 원통, 및 좁은 원위 원통으로 형성된 일체형 몸체를 갖는다. 중앙 중간 원통 및 넓은 근위 원통이 2개의 필렛으로 이루어진 전이부에 의해 연결되어 흐름 경로는 중앙 중간 원통과 좁은 원위 원통 사이에서 전이할 때 ID의 감소를 겪는다. ID의 갑작스러운 감소는 흐름 저항을 증가시킨다. 전이부는 상이한 주입 캐뉼러가 밸브 부착 캐뉼러(220)에 결합될 때 밸브 부착 캐뉼러의 오버캡(222)에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좁은 원위 원통은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샤프트(228)의 ID보다 더 작은 ID를 갖는다. 밸브 부착 캐뉼러에 결합될 때, 좁은 원위 원통은 밸브 부착 캐뉼러의 샤프트(228)로 연장된다. 따라서, 넓은 근위 세그먼트와 중앙 중간 세그먼트 사이의 전이부 및 상이한 주입 캐뉼러의 연장된 원위 세그먼트는, 이들이 오버캡(222)으로부터 샤프트(228)로 연장되는 길이에서 가장 작은 ID를 통한 유체 흐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유체 흐름에 대한 제한 인자이다.
대조적으로, 주입 캐뉼러(400)는 3개의 상이한 ID를 가진 적어도 3개의 세그먼트(402, 414, 및 404)로 세분화된다. 따라서, 상이한 세그먼트(예를 들어, 414 및 404)는 주입 캐뉼러(400)가 이에 결합될 때 밸브 부착 캐뉼러(220)의 상이한 부분(예를 들어, 허브(226) 또는 샤프트(228))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226) 내의 중간 세그먼트(414)는 샤프트(228) 내의 원위 세그먼트(404)에 비해 증가된 ID를 가질 수 있고, 가장 작은 ID를 가진 원위 세그먼트(404)는 샤프트(228)를 통해 감소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b에서, 원위 세그먼트(404)는 종래의 주입 캐뉼러의 연장된 원위 세그먼트가 유체 흐름에 대한 제한 인자이기 때문에 더 짧다. 더 짧은 원위 세그먼트(404)는 유체가 가장 작은 ID(예를 들어, 제3 ID)를 통해 흐르는 거리를 감소시키고 유체가 흐르는 샤프트(228)의 더 길고, 더 넓은 단면을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압력 손실을 방지한다. 따라서,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소스 압력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입 캐뉼러 실시형태와 함께 주어진 흐름 속도를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소스 압력은 흐름 저항의 감소에 비례하여 감소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 전이부(406)의 형태학은 주입 캐뉼러(400)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이부(406)는 근위 세그먼트(402)와 중간 세그먼트(414) 사이에서 ID의 점진적인 감소를 갖는 깔때기 형상의 특징부를 주입 캐뉼러(400)에 형성하는 챔퍼(예를 들어, 도 4d의 제1 챔퍼(406C))를 포함한다. 챔퍼는 유체에 대한 단면의 점진적이고 선형으로 감소되는 감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주입 캐뉼러의 전이부와 비교할 때 과도한 압력 손실의 방지를 용이하게 한다.
더 짧은 원위 세그먼트(304), 및 제1 전이부(406)에 대한 챔퍼의 추가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주입 또는 주사 캐뉼러 설계와 비교할 때 주입 캐뉼러(400)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키고 본 명세서의 압력 강하를 비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흐름 속도는 종래의 캐뉼러 설계와 비교할 때 약 5% 내지 약 30% 이상만큼 증가되고, 압력 강하는 비례적으로,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5% 이상만큼 감소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흐름 속도 및 압력 강하는 세그먼트의 ID, 뿐만 아니라 소스 압력 및 유체 점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주입 캐뉼러(400)는 밸브 부착 캐뉼러(420)의 내부 특징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간 세그먼트(414)는 만입부(232)와 정합하고 밀접하게 끼워맞춰지고/지거나 맞도록 구성되는 만입부를 가질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는 주입 캐뉼러(400)의 등축도 및 단면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특히, 도 4c는 주입 캐뉼러(400)의 내부 프로파일 및 내부 특징부를 도시하고, 도 4d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인치로 제공된 몇몇의 예시적인 치수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세그먼트(402)는 제1 ID(440)를 갖고, 중간 세그먼트(414)는 제2 ID(448)를 갖고, 원위 세그먼트(404)는 제3 ID(442)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중간 세그먼트(414)는 약 0.020 내지 약 0.030 인치, 예컨대, 약 0.023 내지 약 0.028 인치, 예컨대, 약 0.028 인치의 내부 치수, 예를 들어, 제2 ID(448)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중간 세그먼트(414)의 내부 치수는, 중간 세그먼트(414)의 외부가 밸브 부착 캐뉼러 허브(예를 들어, 도 3b의 허브(226)) 및/또는 캐뉼러 전이부(예를 들어, 도 3b의 캐뉼러 전이부(230))의 내부에 맞춰질 때, 또는 원위 세그먼트(404)가 만입부를 가질 때와 같이, 0.030 인치보다 더 크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주입 캐뉼러(400)는 약 0.050 내지 약 0.130 인치, 예컨대, 약 0.060 내지 약 0.111 인치, 예컨대, 약 0.065 인치의 중간 샤프트 길이(450)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주입 캐뉼러(400)는 약 0.320 내지 약 0.400 인치, 예컨대, 약 0.325 내지 약 0.385 인치, 예컨대, 약 0.338 인치의 총 길이(446)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주입 캐뉼러(400)는 약 0.080 인치 내지 약 0.110 인치, 예컨대, 약 0.092 인치의 직경일 수 있는 폭(447)을 갖는다. 도 3d에 이전에 설명된 VFC 캐뉼러(300)와 유사하게, 세그먼트(402, 404, 및 414)와 전이부(406, 407, 및 408)는 단일의 일체형 몸체로 형성되는 주입 캐뉼러(400)의 중심을 통해 배치되는 공통 중심축(412)을 공유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근위 세그먼트(402)가 제1 길이(434)를 측정하고, 중간 세그먼트(414)가 제2 길이(435)를 측정하고, 원위 세그먼트(404)가 제3 길이(436)를 측정하고, 각각이 중심축(412)을 따라 측정된다. 제3 길이(436)는 제2 길이(435)보다 길거나, 짧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3 길이(436)는 약 0.020 인치 내지 약 0.100 인치, 예컨대, 약 0.035 인치 내지 약 0.08 인치, 예컨대, 약 0.050 인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총 길이(446)에 대한 제3 길이(436)의 비는 약 0.05 내지 0.25, 예컨대, 약 0.050 인치/0.338 인치 = 0.148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총 길이(446)에 대한 중간 샤프트 길이(450)의 비는 약 0.08 내지 0.28, 예컨대, 약 0.065 인치/0.338 인치 = 0.192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중간 샤프트 길이(450)와 제3 길이(436)의 합계는 약 (0.05 인치 + 0.02 인치 = 0.07 인치) 내지 약 (0.130 인치 + 0.100 인치 = 0.230 인치), 예컨대, 약 (0.060 인치 + 0.035 인치 = 0.095 인치) 내지 약 (0.111 인치 + 0.08 인치 = 0.191), 예컨대, 약 (0.065 인치 + 0.050 인치 = 0.115 인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총 길이(446)에 대한 (중간 샤프트 길이(450)와 제3 길이(436)의 합계)의 비는 약 0.2 내지 0.4, 예컨대, 약 (0.115 인치/0.338 인치 = 0.340)일 수 있다. 특정한 치수 또는 치수 범위를 가진 특징부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다른 치수 및/또는 ID가 또한 고려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이부(406)가 제1 필렛(406A), 제1 챔퍼(406C), 및 제5 필렛(406B)을 포함하고; 제2 전이부(407)가 제2 필렛(407A) 및 제3 필렛(407B)을 포함하고; 제3 전이부(408)가 제4 필렛(408A)을 포함한다. 필렛(406A, 406B, 407A, 407B 및 408A) 및 챔퍼(406C)가 전이부(406, 407, 및 408)의 내벽 상에 형성되지만,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전이부(406, 407, 및 408)의 내벽 및/또는 외벽 상에 형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필렛(406A, 406B, 407A, 407B 및 408A)은 도 3d에 이전에 설명된 VFC 캐뉼러(300)의 필렛과 상당히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챔퍼(406C)는 제1 필렛(406A) 및/또는 제5 필렛(406B) 대신에 사용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이부(406)는 제5 필렛(406B) 대신에 제2 챔퍼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예를 들어, 도 4d의 제1 전이각(452))은 중심축(412)과 동일 선상에 있을 수 없는 세그먼트(402, 404, 또는 414) 중 하나의 축과 제1 챔퍼(406C) 사이에서 측정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은 제1 챔퍼(406C)와 중심축(412) 사이에서 측정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이 약 150도 내지 약 170도, 예컨대, 약 161도이지만,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약 90도 내지 약 165도 이하일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전이각(θ)은 90도 초과이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챔퍼 각(α)은 제2 챔퍼와 이전에 설명된 축 중 하나(예를 들어, 중심축(412)) 사이에서 측정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챔퍼 각(α)은 전이각(θ)보다 더 크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세그먼트(402, 404, 및 414)의 벽은 도 3d에 이전에 설명된 VFC 캐뉼러(300)의 벽과 상당히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1 전이부(406)는 도 4d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챔퍼 또는 베벨(예를 들어, 도 4d의 제1 챔퍼(406C))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3 원위 단부(405B)는 제6 필렛(예를 들어, 도 2d의 제4 필렛(238)) 및/또는 도 2d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제2 챔퍼 또는 베벨을 포함한다. 제6 필렛 및/또는 제2 챔퍼는 제3 원위 단부(305B)의 외경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밸브 부착 캐뉼러(220)로의 VFC 캐뉼러(102)의 삽입을 유익하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제2 전이부(407)는 제1 챔퍼(406C)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지만 필렛(407A 및 407B)에 관련되어 배치되는, 제3 챔퍼 또는 베벨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연속적인 흐름 경로가 주입 캐뉼러(400)의 제1 근위 단부(403A)와 제3 원위 단부(405B) 사이에 형성되고, 전이부의 곡률은 유체 마찰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체가 주입 캐뉼러(400)를 통해 원활하게 흐르게 하여, 유체 성능을 유익하게 개선시킨다.
요약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안과 외과 수술 동안 개선된 유체 투여 및 유체 흐름을 위한 유체 캐뉼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가 안구 주입 유체 및 탐포네이드의 효율적인 투여를 제공하여, 개선된 안내압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설명된 캐뉼러 조립체는 캐뉼러의 가장 작은 내경(ID)이 대응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샤프트의 ID보다 더 큰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더 큰 캐뉼러 ID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주어진 소스 압력에서 흐름 속도를 증가시키는 개선된 유체 캐뉼러를 통해 전체 흐름 저항 및 압력 강하를 감소시킨다. 캐뉼러 조립체는 캐뉼러가 밸브 부착 캐뉼러 샤프트의 ID보다 더 큰 ID를 가진 중간 세그먼트, 밸브 부착 캐뉼러 샤프트로 감소된 거리만큼 연장되는 원위 세그먼트, 및 중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 사이의 평활한 전이부를 포함하는 실시형태를 더 포함한다. 캐뉼러 조립체는 캐뉼러가 캐뉼러의 근위 세그먼트와 중간 세그먼트 사이의 전이부에 챔퍼 또는 베벨을 포함하여 전이부가 깔때기 형상인 실시형태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캐뉼러는, 유체 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더 적은 작동 압력으로 주어진 흐름 속도를 달성하게 함으로써, 눈으로 그리고/또는 눈으로부터 유체의 주사, 추출, 주입 및 배기 동안 특히 유익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
실시형태 1: 외과 수술용 캐뉼러 디바이스로서, 제1 내경(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허브, 샤프트, 및 허브와 샤프트 사이의 캐뉼러 전이부를 포함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허브 또는 캐뉼러 전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 제2 원위 단부가 제4 필렛 또는 제2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 제4 필렛 또는 제2 챔퍼가 원위 세그먼트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4: 근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가 캐뉼러 디바이스의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5: 제1 원위 단부 및 제2 근위 단부를 통해 근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1 전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전이부는 제1 필렛 및 제2 필렛을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6: 제1 필렛은 오목하고 제2 필렛은 볼록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7: 제1 및/또는 제2 필렛은 제1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8: 제1 전이부는 제1 필렛과 제2 필렛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9: 제1 챔퍼는 제1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8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0: 제1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전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전이부는 제3 필렛을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1: 제3 필렛은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0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2: 제3 필렛은 제2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0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3: 제2 전이부는 주입 라인의 배관 또는 주사기를 위한 어댑터에 근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0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4: 근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는 캐뉼러 디바이스의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5: 제1 전이부 및/또는 제2 전이부는 캐뉼러 디바이스의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4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6: 제1 전이부는 제1 필렛과 제2 필렛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4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7: 제1 챔퍼는 제1 챔퍼와 공통 중심축 사이의 전이각을 포함하고, 전이각은 약 161도로 측정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6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8: 제1 전이부는 제1 필렛과 제2 필렛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19: 외과 수술용 캐뉼러 디바이스로서, 제1 내경(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중간 세그먼트; 제1 원위 단부 및 제2 근위 단부를 통해 근위 세그먼트와 중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1 전이부로서, 제1 필렛을 포함하는 제1 전이부; 제2 ID보다 더 작은 제3 ID,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 및 제2 원위 단부 및 제3 근위 단부를 통해 중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2 전이부로서, 제3 필렛 및 제4 필렛을 포함하는 제2 전이부를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0: 제1 필렛은 오목하고 제2 필렛은 볼록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1: 제1 전이부는 제2 챔퍼 또는 제2 필렛을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2: 제1 전이부는 제1 필렛과 제2 챔퍼 또는 제2 필렛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3: 근위 세그먼트와 원위 세그먼트는 캐뉼러 디바이스의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2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4: 제1 챔퍼는 제1 챔퍼와 디바이스의 중심축 사이의 전이각을 포함하고, 전이각은 약 90도 내지 약 165도로 측정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3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5: 약 0.050 내지 약 0.098 인치의 내부 샤프트 길이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6: 제1 필렛, 제2 필렛, 및/또는 제2 챔퍼는 제1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7: 제1 전이부는 제1 필렛과 제2 필렛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8: 제1 챔퍼는 제1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27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29: 제3 필렛은 오목하고 제4 필렛은 볼록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0: 제3 및/또는 제4 필렛은 제2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1: 제1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전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3 전이부는 제5 필렛을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2: 제5 필렛은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한,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3: 제5 필렛은 제3 전이부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4: 제3 전이부는 주입 라인의 배관 또는 주사기를 위한 어댑터에 근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5: 제3 원위 단부는 허브 및 샤프트를 가진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원위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면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6: 중간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허브의 내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7: 중간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는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의 만입부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5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8: 근위 세그먼트, 원위 세그먼트, 제1 전이부, 및/또는 제2 전이부는 캐뉼러 디바이스의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39: 근위 세그먼트, 원위 세그먼트, 제1 전이부, 제2 전이부, 및/또는 제3 전이부는 캐뉼러 디바이스의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31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40: 제3 원위 단부는 제6 필렛 또는 제2 챔퍼를 더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19의 캐뉼러 디바이스.
실시형태 41: 제6 필렛 또는 제2 챔퍼는 원위 세그먼트의 내벽 또는 외벽에 형성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 40의 캐뉼러 디바이스.
전술한 설명이 제공되어 임의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는 청구범위에 제시된 범위, 적용성 또는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경은 당업자에게 손쉽게 분명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는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의되는 요소의 기능 및 배열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예는 적절하다면 다양한 절차 또는 컴포넌트를 생략하거나, 치환하거나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가 추가되거나, 생략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 대해 설명된 특징부는 일부 다른 예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시된 임의의 수의 양상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다른 구조, 기능, 또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에 더하여 또는 그 이외의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범위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단어 "예시적인"은 "예, 경우 또는 실례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에 비해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항목의 나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어구는 단일의 수를 포함하는, 이 항목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일한 요소와의 임의의 조합(예를 들어,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다른 순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음의 청구범위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의 언어와 일치하는 완전한 범위에 따르는 것으로 의도된다. 청구범위 내에서, 단수인 요소의 참조는 달리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그리고 단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요소가 어구 "~를 위한 수단"을 사용하여 분명히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방법 청구범위의 경우에 요소가 어구 "~를 위한 단계"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요소도 35 U.S.C. §112(f)의 조항하에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또는 나중에 알려질 본 개시내용의 전반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의 요소에 대한 모든 구조 및 기능 등가물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분명히 원용되고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이러한 개시내용이 청구범위에 분명히 명시되었는지에 관계없이 대중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외과 수술용 캐뉼러 디바이스로서,
    제1 내경(inner diameter: 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허브, 샤프트 및 상기 허브와 상기 샤프트 사이의 캐뉼러 전이부를 포함하는 밸브 부착 캐뉼러(valved cannula)의 상기 허브 또는 상기 캐뉼러 전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
    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 세그먼트와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중심을 통해 배치된 공통 중심축을 갖고;
    상기 제1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근위 단부를 통해 상기 근위 세그먼트와 상기 원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1 전이부는 제1 오목한 필렛(convex fillet) 및 제2 볼록한 필렛을 포함하고;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총 길이에 대한 상기 원위 세그먼트의 길이의 비는 대략 0.2 내지 0.4의 범위이고;
    상기 제1 오목한 필렛의 중심점을 통한 접선과 상기 중심축 사이의 위치각은 대략 20도 내지 40도의 범위인, 캐뉼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총 길이에 대한 상기 원위 세그먼트의 길이의 비는 대략 0.325인, 캐뉼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각은 대략 26도인, 캐뉼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 ID보다 더 작은 제3 ID를 갖는, 캐뉼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면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캐뉼러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상기 밸브 부착 캐뉼러의 상기 허브 또는 상기 캐뉼러 전이부의 내부면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캐뉼러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위 단부에 연결된 제2 전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이부는 제3 필렛을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제4 필렛 또는 제2 챔퍼(chamfer)를 더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9. 외과 수술용 캐뉼러 디바이스로서,
    제1 내경(ID),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상기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중간 세그먼트;
    상기 제1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근위 단부를 통해 상기 근위 세그먼트와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고, 제1 오목한 필렛 및 제2 볼록한 필렛을 포함하는 제1 전이부;
    상기 제2 ID보다 더 작은 제3 ID,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원위 단부 및 상기 제3 근위 단부를 통해 상기 중간 세그먼트와 상기 원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고, 제3 필렛 및 제4 필렛을 포함하는 제2 전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 세그먼트, 상기 중간 세그먼트 및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중심을 통해 배치된 공통 중심축을 갖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 제2 전이부, 중간 세그먼트 및 제2 볼록한 필렛은 총 내부 샤프트 길이를 갖고;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총 길이에 대한 상기 총 내부 샤프트 길이의 비는 대략 0.35 내지 0.55의 범위이고;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1 오목한 필렛의 중심점을 통한 접선 사이의 위치각은 대략 20 내지 4도의 범위인, 캐뉼러 디바이스.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총 길이에 대한 상기 총 내부 샤프트 길이의 비는 대략 0.483인, 캐뉼러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위 단부는 허브 및 샤프트를 가진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밸브 부착 캐뉼러의 내부면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캐뉼러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위 단부에 연결된 제3 전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이부는 제5 필렛을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이부는 상기 제1 오목한 필렛과 상기 제2 챔퍼 또는 제2 볼록한 필렛 사이에 배치된 제1 챔퍼를 더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위 단부는 제6 필렛 또는 제2 챔퍼를 더 포함하는, 캐뉼러 디바이스.
  15. 외과 수술용 주입 캐뉼러 디바이스로서,
    제1 내경(ID), 제1 근위 단부, 및 테이퍼지는 제1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근위 세그먼트;
    상기 제1 ID보다 더 작은 제2 ID,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중간 세그먼트;
    상기 제1 원위 단부 및 상기 제2 근위 단부를 통해 상기 근위 세그먼트와 상기 중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1 전이부;
    상기 제2 ID보다 더 작은 제3 ID,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원위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원위 단부 및 상기 제3 근위 단부를 통해 상기 중간 세그먼트와 상기 원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제2 전이부로서, 제3 필렛 및 제4 필렛을 포함하는 제2 전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 세그먼트, 상기 중간 세그먼트, 및 상기 원위 세그먼트는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중심을 통해 배치된 공통 중심축을 갖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와 상기 중간 세그먼트는 제1 내부 샤프트 길이를 갖고;
    상기 원위 세그먼트, 중간 세그먼트, 및 근위 세그먼트는 총 내부 샤프트 길이를 갖고;
    상기 캐뉼러 디바이스의 총 내부 샤프트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내부 샤프트 길이의 비는 대략 0.2 내지 0.4의 범위인, 주입 캐뉼러 디바이스.
KR1020237039527A 2021-07-20 2022-06-08 안과 수술용 캐뉼러 KR20240026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23645P 2021-07-20 2021-07-20
US63/223,645 2021-07-20
PCT/IB2022/055343 WO2023002265A1 (en) 2021-07-20 2022-06-08 Cannulas for ophthalmic proced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895A true KR20240026895A (ko) 2024-02-29

Family

ID=8225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527A KR20240026895A (ko) 2021-07-20 2022-06-08 안과 수술용 캐뉼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22895A1 (ko)
EP (1) EP4373446A1 (ko)
KR (1) KR20240026895A (ko)
CN (1) CN117545451A (ko)
AU (1) AU2022313559A1 (ko)
BR (1) BR112023025179A2 (ko)
CA (1) CA3218246A1 (ko)
WO (1) WO20230022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129A (en) * 1983-04-08 1985-11-05 Coleman D Jackson Technique and apparatus for intraocular and microsurgery including lighter-irrigator hypodermic tube
US5407441A (en) * 1992-06-04 1995-04-18 Greenbaum; Scott Ophthalmologic cannula
US5437644A (en) * 1993-05-26 1995-08-01 Visio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cannula
US5478338A (en) * 1993-09-24 1995-12-26 Reynard; Michael Fiber optic sleeve for surgical instruments
DE19925324C1 (de) * 1999-06-02 2001-01-25 Winter & Ibe Olympus Trokarhülse mit Duckbillventil
US7390317B2 (en) * 2002-12-02 2008-06-24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Universal access seal
DE102005008235A1 (de) * 2005-02-22 2006-08-31 Reinhardt Thyzel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r Öffnung in einem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Auge
US20080177239A1 (en) * 2007-01-18 2008-07-24 Yong Li Trocar cannula system
US20090076463A1 (en) * 2007-09-17 2009-03-19 Jurg Attinger Trocar Cannula
US11235111B2 (en) * 2008-04-28 2022-02-01 Ethicon Llc Surgical access device
JP5990103B2 (ja) * 2009-12-23 2016-09-07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眼科用の弁付きトロカールカニューレ
CN111870324B (zh) * 2020-07-31 2022-04-1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双向置管腰硬联合穿刺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2265A1 (en) 2023-01-26
AU2022313559A1 (en) 2023-11-16
CA3218246A1 (en) 2023-01-26
EP4373446A1 (en) 2024-05-29
US20230022895A1 (en) 2023-01-26
CN117545451A (zh) 2024-02-09
BR112023025179A2 (pt)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5873B1 (en) No port phacoemulsification needle sleeve
EP3068352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tip vacuum control during aspiration
US20080177239A1 (en) Trocar cannula system
EP1779825A2 (en) Intraocular irrigation/aspiration device
US8545462B2 (en) Patch for irrigation/aspiration tip
US9795508B2 (en) Ocular infusion system
US20070027470A1 (en) Surgical instrument
US8251980B2 (en) Viscous fluid extraction
KR20240026895A (ko) 안과 수술용 캐뉼러
AU2017362778A1 (en) Trough seal
US20050148947A1 (en) Cannula locking device
US11877955B2 (en) Infusion cannula
US20150238707A1 (en) Dual lumen cannula
WO2002058607A2 (en) Infusion cannula
US7736329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a sleeve for use during eye surgery
Charles 25-Gauge, Sutureless, Trans-Conjunctival Vitrectomy
RU217645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й канюли для удаления силиконового масла
AU717553B2 (en) Intraocular irrigation/aspiration device
CA3218241A1 (en) Valved cannula assembly
WO2022101648A1 (en) Ophthalmological device and instrument
ITRC20070001A1 (it) Strumento di aspirazione ed infusione per la chirurgia del glauc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