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771A -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 Google Patents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771A
KR20240026771A KR1020220105053A KR20220105053A KR20240026771A KR 20240026771 A KR20240026771 A KR 20240026771A KR 1020220105053 A KR1020220105053 A KR 1020220105053A KR 20220105053 A KR20220105053 A KR 20220105053A KR 20240026771 A KR20240026771 A KR 2024002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ase member
pawl
release
rele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궁준
백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to KR102022010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771A/en
Priority to PCT/KR2023/009277 priority patent/WO2024043499A1/en
Publication of KR2024002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77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로드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된 어퍼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의 하면에 장착된 로어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와 로어바디 사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단부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장착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래치기어가 형성된 폴작동홀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멤버와, 상기 폴작동홀을 통해 상기 로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기어의 복수의 기어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멤버가 최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폴을 릴리스 위치로 회전시키는 릴리스플레이트와, 상기 어퍼바디와 상기 헤드레스트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어 항상 상기 베이스멤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슬림화에 유리하고, 주행 중 하방 충격에 의한 폴의 해제가 방지되며, 충돌 관성에 의해 폴이 해제되었을 때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보다 앞쪽에서 재고정됨으로써 탑승자의 목 부상을 완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a headrest of an automobile, comprising an upper body horizontally mounted on the top of a stay rod, a lower bod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a device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 base member is formed with a headrest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has a pawl operation hole formed on one side with a latch gear,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body through the pawl operation hole. a pawl tha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one of a plurality of gear teeth of the latch gear, a releas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rotating the pawl to the release position when the base member moves to the forefront, and the upper It includes a return spring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body and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and always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base member rearward.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slimming the headrest, preventing release of the pole due to downward impact while driving, and when the pole is released due to collision inertia, the headrest is re-fixed further forward rather than moving to the rearmost position, thus reducing the occupant's neck. Injuries can be alleviated.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car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간편하게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a headrest in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a headrest in a vehicle that allows a passenger to easily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 manually.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는 안전 장치이다. 탑승자는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으며, 차량 주행 중 충돌 및 추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헤드레스트가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경추 손상이 방지된다.The headrest of a car seat is a safety device that supports the occupant's head. Passengers can rest their heads against the headrest while sitting in the seat, and when a collision or rear-end accident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headrest stably supports the head, preventing cervical spine damage.

한편,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아래 특허문헌 1에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 조절 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headrest is capable of adjusting its position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ccording to the occupant's physical condition, and an example of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back posi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상기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헤드레스트가 가이드파이프와 가이드로드를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헤드레스트 내부의 하우징에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래치플레이트가 구비되고,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에 상기 래치플레이트에 걸려지는 폴이 설치되어 있다. 폴은 래치플레이트의 전방 이동은 허용하고 후방 이동은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to allow the headrest to move linear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using a guide pipe and a guide rod, and a latch plate with a plurality of gear teeth is provided on a housing inside the headrest, , a pole that hangs on the latch plate is installed on a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stay rod of the headrest. The pawls allow forward movement of the latch plate and restrict backward movement.

따라서 폴이 래치플레이트의 어느 기어이에 걸려지는지에 따라 하우징의 전후 위치 즉,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front-to-back position of the housing, that is, the front-to-back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which gear of the latch plate the pole is hung o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하우징이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헤드레스트가 하우징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하우징이 헤드레스트의 내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이는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다른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헤드레스트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를 슬림하게 제작하는데 방해가 되었다.However,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is made of a box structure, and the headres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entire housing, so that the housing occupies a lot of space inside the headrest. This not only made it difficult to install other devices inside the headrest, but also hindered the production of a slimmer headrest by ultimate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headrest.

또한, 상기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래치플레이트가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폴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 하방으로 큰 충격이 발생할 경우 래치플레이트와 폴의 치합 상태가 해제될 위험성이 있고, 이와 같이 폴에 의한 래치플레이트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헤드레스트가 최후방 위치(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탑승자가 조정해 놓은 헤드레스트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탑승자의 머리를 최적의 위치에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adrest front/back position adjusting device had a latch plate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pole could rot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refore, if a large impact occurs downwar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there is a risk that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latch plate and the pawl may be released, and when the latch plate fixation by the pawl is released, the headrest returns to the rearmost position (initial position). As a result, the headrest position adjusted by the occupant changes, and the occupant's head is no longer supported in the optimal position.

또한, 상기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충돌 사고 발생시 주행 관성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폴이 릴리스 상태로 전환될 수 있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가 최후방 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충돌시 관성에 의해 전진 이동하여 대쉬보드와 충돌한 후 후방으로 튕겨지는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앞쪽에서 지지해줄 수 없으므로 탑승자의 상해 정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eadrest front/back position adjusting device,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the headrest moves to the front due to driving inertia and the pole can be switched to a released state. Therefore, the headrest is returned to the rearmost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occupant's head, which moves forward due to inertia during a collision and is thrown backward after colliding with the dashboard, cannot be supported from the front, which increases the degree of injury to the occupant. there was.

종래의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Conventional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9388호(2020.05.1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09388 (announced on May 12, 2020)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들의 형상 및 설치 구조 변경을 통해 헤드레스트 슬림화가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n automobile that can slim the headrest by changing the shape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omponent par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중 하방향 충격에 의해 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설정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which prevents the fixed state of the pole from being released due to a downward impact while driving,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set position of the headres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돌 사고 발생시 관성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하여도 폴의 완전 해제가 방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안전 성능이 향상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which improves the safety performance of the headrest by preventing complete release of the pole even if the headrest moves to the front position due to inertia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id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스테이로드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된 어퍼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의 하면에 장착된 로어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와 로어바디 사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단부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장착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래치기어가 형성된 폴작동홀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멤버와; 상기 폴작동홀을 통해 상기 로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기어의 복수의 기어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멤버가 최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폴을 릴리스 위치로 회전시키는 릴리스플레이트와; 상기 어퍼바디와 상기 헤드레스트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어 항상 상기 베이스멤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한다.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a head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horizontally mounted on the top of a stay rod; a lower bod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 base member that is movably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has a headrest mounting portion on which a headrest is mounted at the front end, and has a pawl operating hole formed on one side with a latch gear formed therethrough; a pawl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body through the pawl operating hole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one of a plurality of gear teeth of the latch gear; a releas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rotating the pawl to a release position when the base member moves to the forefront; It includes a return spring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and always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base member rearward.

상기 로어바디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어퍼바디의 하면에 볼트 체결되고, 상기 어퍼바디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스테이로드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 장착부에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단 수평부가 얹혀져 용접된다.Flanges formed at the top of both walls of the lower body are bol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stay rod mounting portions concave downwar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body, and the stay rod mounting portion has an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stay rod. It is placed and welded.

상기 로어바디의 양측벽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직선형 리테이너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스틸볼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베이스멤버의 양측면에 상기 스틸볼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Bearings are installed on both walls of the lower body, and the bearings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teel b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traight retainer, and guide grooves into which some of the steel balls are inserted and sea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

상기 릴리스플레이트는 제2마운트핀을 매개로 베이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 일측에는 작동 대기 위치에서 래치기어의 최후방 기어이 후방에 위치하다가 상기 폴이 최후방 기어이에 치합될 때 폴에 의해 밀려져 릴리스플레이트를 작동 대기 위치에서 릴리스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의 다른 일측에는 릴리스플레이트가 작동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폴작동홀의 외측 영역에 있다가 릴리스플레이트가 릴리스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폴작동홀의 내측 영역으로 돌출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다.The release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via a second mounting pin, an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 pawl is located behind the rearmost gear of the latch gear i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the pawl is engaged with the rearmost gear. A first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hat is pushed by the pawl to rotate the release plate from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n outer area of the pawl operation hole is formed when the release plate is i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When the release plate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a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hat protrudes into the inner area of the pawl operation hole.

상기 폴의 일측면에 상기 제2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멤버가 최후방 기어이에 치합된 위치에서 최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돌기에 걸려서 폴이 릴리스 위치로 회동된다.A lock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e, and when the base member moves from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rearmost gear tooth to the front,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pole rotates to the release position. do.

상기 폴이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베이스멤버가 최후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폴은 상기 폴작동홀의 내측면에 가이드되어 상기 래치기어의 최전방 기어홈에 삽입된다.When the base member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when the pawl is in the release position, the pawl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wl operation hole and inserted into the frontmost gear groove of the latch gear.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의 또 다른 일측부에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스토퍼홈의 내측에 베이스멤버에 고정된 스토퍼핀이 구비되며, 스토퍼핀이 상기 스토퍼홈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작동 대기 위치와 릴리스 위치가 정확히 제한된다.A stopper groove is formed on an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nd a stopper pin fixed to the base memb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topper groove, and the stopper pin abuts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stopper groove.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release position of the release plate are precisely limited.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의 또 다른 일측부에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3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어퍼바디의 하면에 조작돌기가 형성되며, 릴리스플레이트가 릴리스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멤버가 최전방에서 최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3걸림돌기가 상기 조작돌기에 걸려져서 릴리스플레이트가 작동 대기 위치로 회동된다.A thir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nd a manipul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in response to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With the release plate in the release position, the base member i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When moving from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perating protrusion and the release plate is rotated to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상기 폴과 로어바디 사이에 제1위치전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폴이 치합 위치와 릴리스 위치로 위치 전환되는 것을 보조하고 전환된 위치를 유지한다.A first position chang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pawl and the lower body to assist the pawl in changing its position between the engagement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maintain the changed position.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와 베이스멤버 사이에 제2위치전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릴리스플레이트가 작동 대기 위치와 릴리스 위치로 위치 전환되는 것을 보조하고 전환된 위치를 유지한다.A second position chang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release plate and the base member to assist the release plate in changing its position betwee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maintain the changed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구성 부품들의 형상 및 설치 구조 변경으로 구성 부품들이 헤드레스트의 내부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 슬림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slimming the headrest by changing the shape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omponent parts so that the components do not occupy a large amoun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drest.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폴이 수평 상태로 설치 및 작동되어 주행 중 하방향 충격에 의해 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설정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fixed state of the pole is not released due to a downward impact while driving,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set position of the headrest.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충돌 사고 발생시 임의의 설정 위치(최후방 고정단 제외)에 있던 헤드레스트가 관성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하여도 이때 폴이 완전 릴리스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헤드레스트가 최후방 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되고, 이에 헤드레스트가 보다 앞쪽에서 전방 이동 후 후방으로 튕겨져 오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해줄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경추 부상 정도를 완화해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le to remain in a fully released state even if the headrest at any set position (excluding the rearmost fixed end) moves to the front due to inertia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By preventing switching, the headrest does not return to the rearmost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headrest can support the occupant's head that bounces backwards after moving from the front, thereby alleviating the severity of the occupant's cervical spine injury.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어퍼바디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어퍼바디의 저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에 위치한 상태로서 폴이 래치기어의 최전방 위치(0단 위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헤드레스트가 전진하여 폴이 래치기어의 최후방 위치(3단 위치)에 결합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상태에서 폴이 래치기어의 최후방 위치(3단 위치)에 완전 결합되고, 릴리스플레이트가 릴리스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상태에서 헤드레스트가 더 전진하여 폴이 릴리스플레이트에 의해 릴리스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ed state of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eadrest position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devic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n Figure 2 has been remove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n Figure 3 has been remov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upper body.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rest is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and the pawl is coupled to the frontmost position (position 0) of the latch gear.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headrest is advanced and the pawl is coupled to the rearmost position (3rd position) of the latch gear.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awl is fully engaged in the rearmost position (third position) of the latch gear and the release plate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in the state of Figure 7.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rest is further advanced and the pole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the release plate in the state of Figure 8.

본 발명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탑승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shown in exaggerated expressions for differentiation and clarity from the prior art and for convenience in understanding the technology.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rider or operator, so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be. Meanwhile, the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nfiguration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nfigur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figuratio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연결",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연결',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접속' 또는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 "직접 접속"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nfiguration, this does not only mean “directly connected,”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but also means “that.” This means that there may be cases of ‘connection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connection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or ‘combin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nfigur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nfiguration exists in between.

또한, "전", "후", "상", "하", "좌", "우", "일 단", "타 단", "양 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dditionally, when directional terms such as “front”, “back”, “top”, “bottom”, “left”, “right”, “one end”, “other end”, “both ends”, etc. are used, this refers to the disclosed drawings. They are used illustratively in relation to the orient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whe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hese are terms for distinguishing each configur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regarding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parts in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어퍼바디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어퍼바디의 저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ed state of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and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n Figure 2 is removed. It is a drawing,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n FIG. 3 is removed,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upper bod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어퍼바디(10), 로어바디(20), 베이스멤버(30), 폴(40), 릴리스플레이트(50), 베어링(60), 리턴스프링(70)을 포함한다.1 to 5,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10), a lower body (20), a base member (30), a pole (40), and a release plate (50). ), bearing 60, and return spring 70.

상기 어퍼바디(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서 로어바디(20)와 함께 베이스멤버(30)의 전후 이동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어퍼바디(10)는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전체를 스테이로드(1)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어퍼바디(10)의 양측 단부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스테이로드 장착부(11)가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장착부(11)에는 스테이로드(1)의 상단 수평부가 얹혀진 상태로 용접된다. 따라서 스테이로드(1)가 시트백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었을 때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가 시트백의 상단 상부에 위치된다.The upper body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shape and forms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passage of the base member 30 together with the lower body 20. In addition, the upper body (10) serves to secure the entire 'headrest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device' to the stay rod (1). For this purpose, stay rod mounting portions 11 that are concave downward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upper body 10.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stay rod (1) is welded to the stay rod mounting portion (11). Therefore, when the stay rod (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formed at the top of the seatback, the 'headrest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devic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eatback.

또한 어퍼바디(10)의 후단부 중앙 부분에는 리턴스프링(70)의 일측 단부를 걸어주기 위한 제1걸이부(12)가 형성된다.Additionally, a first hook 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body 10 to hang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70.

또한 어퍼바디(10)의 저면 일측 부분에는 상기 릴리스플레이트(50)를 릴리스 위치에서 작동 대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조작돌기(13)가 돌출 형성된다(도 5 참조).In addition, an operating protrusion 13 that rotates the release plate 50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0 (see FIG. 5).

상기 로어바디(20)는 바닥판에 양측 벽이 형성된 구조의 부품으로서 양측 벽의 상단에 수평의 플랜지(21)가 형성되고, 양측 플랜지(21)가 상기 어퍼바디(10)의 하면에 볼트(B)와 너트(N)로 장착된다. 어퍼바디(10)와 로어바디(20)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멤버(30)가 삽입되고 전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가 형성된다.The lower body 20 is a structural part in which two walls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horizontal flanges 21 are formed at the top of both walls, and both flanges 21 are bol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 It is mounted with B) and nut (N). The base member 3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and a movement passage through which the base member 30 can move back and forth is formed.

상기 로어바디(20)의 바닥판 상면 일측에는 제1마운트핀(81)을 매개로 폴(40)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A pole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body 20 in a rotatable state via a first mounting pin 81.

또한 로어바디(20)의 양측 벽면 내측에는 직선형 베어링(60)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멤버(30)의 전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linear bearings 60 are provided on the inside walls of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to enable smoo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base member 30.

상기 베이스멤버(30)는 어퍼바디(10)와 로어바디(20) 사이의 이동 통로로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는 직사각 판재 형상의 부품이며, 베이스멤버(30)에는 상기 폴(40)을 수용하여 폴(40)의 작동 공간을 제공하는 폴작동홀(32)이 형성된다.The base member 30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moving passage between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and moves back and forth, and the base member 30 accommodates the pole 40 to form a pole. A pole operating hole (32) is formed that provides an operating space for (40).

상기 폴작동홀(32)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폴(40)에 대하여 베이스멤버(30)의 전후 이동 범위를 폴작동홀(32)의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후 이동 위치를 제한한다. 또한 폴작동홀(32)은 폴(40)이 최전방 기어홈(0단 위치)으로 복귀할 때 폴(4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pole operation hole 32 limit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range of the base member 30 with respect to the pole 40, whose position is fixed, to within the range of the pole operation hole 32, thereby limi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position of the headrest. Additionally, the pawl operating hole 32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pawl 40 when it returns to the front gear groove (0th stage position).

상기 폴작동홀(32)의 일측 면(릴리스플레이트(50)가 설치되는 쪽의 면)에는 복수의 기어이로 이루어진 래치기어(33)가 형성된다.A latch gear 33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 tee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wl operating hole 32 (the side on which the release plate 50 is installed).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기어(33)는 총 3개의 기어이를 포함하고, 폴(40)이 걸려지는 기어홈이 총 4개 형성된다(기어이들 후방에 형성되는 홈 3개와 최전방 기어의 전방에 형성되는 홈 1개). 따라서 폴(40)이 걸려지는 위치가 4개이므로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0단, 1단, 2단, 3단의 총 4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atch gear 33 includes a total of three gear teeth, and a total of four gear grooves into which the pawl 40 is hung are formed (three grooves formed behind the gear teeth and in front of the frontmost gear). 1 groove). Therefore, since there are four positions where the pole 40 is hu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fixed at a total of four points: 0th stage, 1st stage, 2nd stage, and 3rd stage.

상기 0단 위치는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으로 밀려진 위치이고, 상기 3단 위치는 헤드레스트를 고정해 둘 수 있는 최전방의 위치이다.The 0th stage position is the position where the headrest is pushed to the rearmost position, and the 3rd stage position is the most forward position where the headrest can be fixed.

헤드레스트가 가장 후방으로 밀려진 상태가 기준 위치로서 이때 폴(40)은 가장 앞쪽의 기어홈(0단 위치)에 삽입된다. 그 상태에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폴(40)이 0단 기어홈으로부터 후방으로 차례대로 1단 기어홈, 2단 기어홈, 3단 기어홈으로 이동하여 해당 기어이에 걸려짐으로써 선택된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고정할 수 있다.The reference position is when the headrest is pushed to the rearmost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pawl 40 is inserted into the frontmost gear groove (position 0). In that state, when the rider pulls the headrest forward, the pawl (40) moves backwards from the 0th gear groove to the 1st gear groove, 2nd gear groove, and 3rd gear groove in order, and is caught in the corresponding gear groove. The headrest can be fixed in position.

상기 폴(40)은 상기 래치기어(3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치합(해당 기어이 바로 후방의 기어홈에 폴(40)이 삽입되어 리턴스프링(7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해당 기어이를 지지하는 상태를 의미함)되어 헤드레스트를 선택된 위치에 고정해주는 부품이다. 폴(40)은 제1마운트핀(81)으로 로어바디(20)의 바닥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멤버(30)의 전후 이동시 베이스멤버(30)와 함께 이동하면서 래치기어(33)로부터 분리되거나 다시 걸려질 수 있다.The pawl 40 is selectively engaged with any one of the latch gears 33 (the pawl 40 is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immediately behind the gear tooth to support the gear tooth against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70). It is a part that fixes the headrest in the selected position. The pole 4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body 20 using the first mounting pin 81. Therefore, when the base member 30 moves back and forth, it moves together with the base member 3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latch gear 33 or caught again.

또한 상기 폴(40)은 제1위치전환스프링(91)(도 7 참조)을 매개로 로어바디(20)의 바닥판에 연결되어 래치기어(33)에 치합되는 걸림(치합) 위치와 래치기어(33)로부터 분리되어 릴리스 상태를 유지하는 릴리스 위치로 전환 작동될 수 있다. '위치전환스프링'은 원호 형상의 스프링으로서 고정부품과 가동부품을 연결하여 고정부품에 대한 가동부품의 위치를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호 전환 및 전환된 위치를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le 4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body 20 via the first position change spring 91 (see FIG. 7) and has an engaging (meshing) position where it is engaged with the latch gear 33 and the latch gear. It can be separated from (33) and switched to the release position to maintain the release state. The 'position change spring' is an arc-shaped spring that connects a fixed part and a movable part and is used to switch the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relative to the fixed part between two positions and maintain the switched position.

상기 릴리스플레이트(50)는 제2마운트핀(82)으로 베이스멤버(3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릴리스플레이트(50)의 상기 래치기어(33)쪽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폴(40)이 걸려지는 제1걸림돌기(51)가 형성된다(도 6 참조). 폴(40)은 베이스멤버(30)의 폴작동홀(32) 주변 부분의 두께와 릴리스플레이트(50)의 두께를 합한 두께로 형성되어 래치기어(33)와 릴리스플레이트(50)의 제1걸림돌기(51)에 함께 걸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elease plate 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30 using a second mounting pin 82. A first locking protrusion 51 on which the pawl 40 is hu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50 toward the latch gear 33 (see FIG. 6). The pole 40 is formed with a thickness that is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around the pole operating hole 32 of the base member 30 and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plate 50, and acts as the first obstacle between the latch gear 33 and the release plate 50.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hung together with the flag (51).

또한 릴리스플레이트(50)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51)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2걸림돌기(52)가 형성된다(도 6 참조). 제2걸림돌기(52)는 폴(40)이 제1걸림돌기(51)를 밀어 릴리스플레이트(50)를 제2마운트핀(8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폴작동홀(32) 내측 영역으로 돌출되며, 그 위치에서 폴(40)을 릴리스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릴리스플레이트(50)의 제2걸림돌기(52)에 대응하여 폴(40)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턱(41)이 형성된다(도 6 참조).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에 의해 최전방으로 당겨질 때 상기 제2걸림돌기(52)가 상기 걸림턱(41)을 밀어줌으로써 폴(40)이 걸림(치합) 위치에서 릴리스 위치로 회동된다.Additionally, a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is formed on the release plate 5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rearward from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see FIG. 6).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is the pole operating hole 32 when the pole 40 pushe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to rotate the release plate 50 counterclockwise around the second mounting pin 82. ) It protrudes into the inner area, and the pole 40 can be switched to the release state at that position. A locking protrusion 4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40 in response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of the release plate 50 (see FIG. 6). When the headrest is pulled to the forefront by the occupan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pushes the locking protrusion 41, thereby rotating the pawl 40 from the locking (engag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또한 릴리스플레이트(50)에는 제3걸림돌기(53)가 형성된다(도 6 참조). 제3걸림돌기(53)는 제1걸림돌기(51)와 제2걸림돌기(52)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3걸림돌기(53)는 어퍼바디(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조작돌기(13)에 걸려져 작동되는 것으로 헤드레스트가 최전방 위치에서 기준 위치로 복귀할 때 제3걸림돌기(53)가 조작돌기(13)에 걸려져 릴리스플레이트(5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릴리스플레이트(50)가 릴리스 위치에서 작동 대기 위치로 전환된다. 즉, 릴리스플레이트(50)의 제2걸림돌기(52)가 폴작동홀(32) 내부 영역에서 외부 영역으로 복귀된다.Additionally, a third locking protrusion 53 is formed on the release plate 50 (see FIG. 6).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5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are formed.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53 is operated by being caught by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3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 When the headrest returns from the frontmost position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53 is operated. As the release plate 50 is caught by the protrusion 13 and rotated clockwise, the release plate 50 is switched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That is,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of the release plate 50 returns from the inner area of the pole operation hole 32 to the outer area.

또한 릴리스플레이트(50)의 외주면 일측에는 스토퍼홈(54)이 형성되고, 스토퍼홈(54) 내부에 스토퍼핀(83)이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핀(83)은 베이스멤버(3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릴리스플레이트(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토퍼핀(83)이 스토퍼홈(54)의 회동 방향 양측 벽면에 걸려짐으로써 릴리스플레이트(50)의 회전량이 제한된다.Additionally, a stopper groove 5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50, and a stopper pin 83 is installed inside the stopper groove 54. The stopper pin 83 is fixed to the base member 30. Therefore, the stopper pin 83 is caught on both wall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opper groove 54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elease plate 50, thereby limi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release plate 50.

또한 릴리스플레이트(50)는 제2위치전환스프링(92)(도 6 참조)을 매개로 베이스멤버(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걸림돌기(52)가 폴작동홀(32) 외측에 위치하는 작동 대기 위치와 폴작동홀(32) 내측에 위치하는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 및 위치 유지가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release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30 via the second position change spring 92 (see FIG. 6). Therefore,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can switch and maintain its position betwee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located outside the pole operation hole 32 and the release position located inside the pole operation hole 32.

상기 베어링(60)은 로어바디(20)의 양측 벽면 내측에 설치된다. 베어링(60)은 직선형 리테이너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스틸볼(61)이 구비된 것으로 스틸볼(61)이 베이스멤버(30)의 양측면에 구름 접촉됨으로써 베이스멤버(30)가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멤버(30)의 양측 단부면에는 스틸볼(61)이 부분적으로 삽입 안착되는 직선 형상의 가이드홈(34)이 형성될 수 있다.The bearings 60 are installed inside the walls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0. The bearing 60 is a straight retain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teel balls 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eel balls 61 are in rolling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30, so that the base member 30 moves smoothly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You can move. Straight guide grooves 34 into which the steel ball 61 is partially inserted and seated may be formed on both end surfaces of the base member 30.

상기 리턴스프링(70)은 헤드레스트를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품이다. 리턴스프링(70)은 어퍼바디(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은 어퍼바디(10)에 형성된 제1걸이부(12)에 걸려지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 장착부(31)에 형성된 제2걸이부(35)에 걸려진다. 따라서 리턴스프링(70)은 베이스멤버(30)가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늘어나므로 항상 베이스멤버(30)를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력을 발생시킨다.The return spring 70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headrest to the reference position. The return spring 7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10, and as described above, one end is hung on the first hook 12 formed on the upper body 10,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headrest mounting part 31. It is hung on the formed second hook (35). Therefore, the return spring 70 increases as the base member 30 moves forward, thereby always generating a return force that moves the base member 30 to the reference position.

상기 제2걸이부(35)는 헤드레스트 장착부(31)에 형성된 가로 막대 형상 부분으로서 제2걸이부(35)의 상하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리턴스프링(70) 단부의 고리를 제2걸이부(35)에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second hook 35 is a horizontal bar-shaped portion formed on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31,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hook 35, so that the ring at the end of the return spring 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ok. It is designed to be hung at (35).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front/back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헤드레스트가 기준 위치(= 최후방으로 밀려진 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헤드레스트 장착부(31)가 로어바디(20)에 최대로 접근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폴(40)은 래치기어(33)의 가장 앞쪽에 있는 기어홈(0단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Figure 6 shows the headrest in a reference position (= a position pushed to the rearmost position) and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31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ower body 20. In this state, the pawl 40 is inserted into the frontmost gear groove (0th position) of the latch gear 33.

이 때 릴리스플레이트(50)는 작동 대기 상태로서, 제1걸림돌기(51)는 래치기어(33)의 세번째 기어이(최후방 기어이) 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제2걸림돌기(52)는 폴작동홀(32)의 외측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작동 대기 상태는 제2위치전환스프링(92)에 의해 유지되고, 이 때 스토퍼핀(83)이 스토퍼홈(83)의 하측면에 닿음으로써 작동 대기 위치는 항상 일정하다.At this time, the release plate 50 is in a standby state for operati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is located rearward than the third gear (rearmost gear) of the latch gear 33,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is in a pawl operation state. It is located in the outer area of the hole 32. This operation standby state is maintained by the second position change spring 92, and at this time, the stopper pin 83 touches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groove 83, so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is always constant.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기준 위치에서 탑승자(시트에 착석한 상태)는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가 헤드레스트 장착부(31)에 설치되므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를 당겨주면 베이스멤버(30)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한다.At the headrest reference position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can adjust the position by pulling the headrest forward. Since the headrest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31, when the occupant pulls the headrest, the entire base member 30 moves forward.

베이스멤버(3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폴(40)이 기어이의 경사면을 따라 밀려 올라감으로써 폴(40)과 래치기어(33)의 치합 상태가 해제되고, 임의의 선택 위치에서 헤드레스트에서 손을 떼면 제1위치전환스프링(91)에 의해 폴(40)이 래치기어(33)쪽으로 회동되고 리턴스프링(70)에 의해 베이스멤버(30)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폴(40)이 선택된 위치의 기어이 후면에 걸려짐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0단 → 1단 → 2단 → 3단 순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the base member 30 moves forward, the pawl 40 is pushed up along the slope of the gear tooth, thereby releasing the meshing state between the pawl 40 and the latch gear 33, and releasing the hand from the headrest at a randomly selected position. When released, the pole 40 is rotated toward the latch gear 33 by the first position change spring 91, and the base member 30 moves rearward by the return spring 70, so that the pole 40 moves to the selecte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is fixed by being hooked to the rear of the gear.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in the order 0 → 1st → 2nd → 3rd.

한편,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높은 단에서 낮은 단으로 조절하고자 할 때는 폴이 고단 위치에서 저단 위치로 직접 이동할 수는 없고, 반드시 최후방 고정단(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단) 이후 폴(40)의 릴리스 과정을 거쳐서 폴(40)을 0단 위치로 복귀시킨 후에 다시 헤드레스트를 당겨 원하는 단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rying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from a relatively high stage to a low stage, the pole cannot be moved directly from the high stage to the low stage, and the pole must be moved after the rearmost fixed stage (third stag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is is possible by returning the pole 40 to the 0 position through the release process of 40) and then pulling the headrest again to select the desired level.

도 7은 폴(40)이 3단 위치에 치합되기 시작하는 초기 시점을 도시한 것이다. 폴(40)의 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50)의 제1걸림돌기(51)에 걸려 있으나 아직 제1걸림돌기(51)를 밀어주기 전 상태로서 제2걸림돌기(52)가 여전히 폴작동홀(32) 외측 영역에 있다.Figure 7 shows the initial point in time when the pole 40 begins to engage in the third position. The end of the pole (40) is caught 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of the base plate (50), but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has not yet been pushed,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is still in the pole operating hole ( 32) It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상기 상태에서 리턴스프링(70)의 복귀력에 의해 베이스멤버(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폴(40)에 제1걸림돌기(51)가 걸려서 릴리스플레이트(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폴(40)이 래치기어(33)의 3단 기어홈에 안착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base member 30 moves rearward due to the return force of the return spring 7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51 is caught on the pole 40, so that the release plate 5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pole (40) is seated in the third gear groove of the latch gear (33).

이때 도 8과 같이, 릴리스플레이트(50)의 제2걸림돌기(52)는 폴작동홀(32)의 내부 영역으로 돌출되어 폴(40)의 걸림턱(41)과 마주보게 된다(릴리스플레이트(50)의 릴리스 위치). 릴리스플레이트(50)의 회동은 스토퍼핀(83)이 스토퍼홈(54)의 상측면에 닿을 때까지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태는 제2위치전환스프링(92)에 의해 유지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of the release plate 50 protrudes into the inner area of the pole operation hole 32 and faces the locking protrusion 41 of the pole 40 (release plate ( 50) release position). The release plate 50 rotates until the stopper pin 83 touches the upper side of the stopper groove 54,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by the second position change spring 92.

상기와 같은 3단 고정 위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고정 위치에서 도 9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최전방 위치로 당겨주면, 베이스멤버(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릴리스플레이트(50)의 제2걸림돌기(52)가 상기 걸림턱(41)을 밀어 줌으로써 폴(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폴(40)의 래치기어(33)와의 치합 상태가 해제되고, 폴(40)이 폴작동홀(32)의 반대쪽면에 접하는 릴리스 상태로 위치 전환된다. 폴(40)의 릴리스 위치는 제1위치전환스프링(91)에 의해 유지된다.When the headrest is pulled to the frontmost position as shown in FIG. 9 in any fixed position including the three-stage fix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se member 30 moves forward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of the release plate 50 ) pushes the locking step 41, thereby rotating the pole 40 clockwise. Accordingly,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awl 40 with the latch gear 33 is released, and the pawl 40 is switched to a released state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pawl operating hole 32. The release position of the pole 40 is maintained by the first position change spring 91.

상기와 같은 도 9의 상태에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에서 손을 떼면 리턴스프링(70)에 의해 베이스멤버(30)가 최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폴(40)이 폴작동홀(32)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폴작동홀(32)의 전방 내측면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기어(33)의 0단 위치에 삽입된다.In the state of FIG. 9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ssenger releases his/her hand from the headrest, the base member 30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70, and the pole 40 moves to the front of the pole operating hole 32. It moves to , and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gain by the round shape of the front inner surface of the pawl operating hole (32) and inserted into the 0th position of the latch gear (33).

또한 이때 릴리스플레이트(50)의 제3걸림돌기(53)가 어퍼바디(10)의 조작돌기(13)에 걸려짐으로써 릴리스플레이트(5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6과 같은 작동 대기 위치로 전환된다.Also, at this time,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53 of the release plate 50 is caught by the operating protrusion 13 of the upper body 10, so that the release plate 50 is rotated clockwise to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s shown in FIG. 6. conver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도 6 내지 도 9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occupant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IGS. 6 to 9.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를 적용하면,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 조절을 위한 부품들이 어퍼바디(10)와 로어바디(20) 및 베이스멤버(30)의 수평 부분에 모두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는 베이스멤버(30)의 수직 부분인 상기 헤드레스트 장착부(31)에 설치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전후 위치 조절을 위한 기구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두께를 슬림하게 제작하는데 매우 유리하다.When applying the headrest anteroposteri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s for adjusting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headrest are all installed in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upper body 10, the lower body 20, and the base member 30, and the headrest The rest is installed on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31, which is a vertical portion of the base member 30.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inside the headrest,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making the headrest sli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래치기어(33)가 베이스멤버(30)의 수평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폴(40)도 수평 판재인 로어바디(20)에 설치되어 수평면 상에서 회전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 매우 강한 하방향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 방향과 폴(40)의 작동 방향이 상이하므로 폴(40)이 래치기어(33)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므로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gear 33 is formed on the horizontal part of the base member 30, and the pole 40 is also installed on the lower body 20, which is a horizontal plate, so that it can be moved on the horizontal plane.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rotation. Therefore, even if a very strong downward impact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impact direction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ole 40 are different, so the pole 40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latch gear 33, so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selected by the occupant is very It can be maintained sta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주행 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관성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하여도 헤드레스트가 최후방 고정단(3단 위치)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폴(40)이 릴리스 상태로 완전히 전환되지 않는다. 0단, 1단, 2단 고정 상태에서는 릴리스플레이트(50)가 작동 대기 상태(릴리스 위치에 있지 않음)에 있어서 제2걸림돌기(52)가 폴작동홀(32) 내부 영역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멤버(30)가 충돌시 관성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하여도 폴(40)이 릴리스 상태로 전환될 수 없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collision accident occurs while driving and the headrest is moved to the frontmost position due to inertia,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headrest is at the rearmost fixed end (3rd position) Pole 40 does not fully transition to the released state. In the 0th, 1st, and 2nd stage fixed states, the release plate 50 is in a standby state (not in the release position), s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52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ner area of the pole operation hole 32. Therefore, even if the base member 30 moves to the forefront due to inertia during a collision, the pole 40 cannot be converted to the release state.

따라서, 헤드레스트가 0단, 1단, 2단 위치에 있는 경우, 헤드레스트가 최전방으로 이동했다가 최후방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3단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므로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했던 탑승자의 상체가 대시보드에 부딪힌 후 다시 후방으로 이동할 때,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앞쪽에서 신속하게 지지해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경추 부상 정도를 완화해 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eadrest is in the 0th, 1st, or 2nd position, the headrest does not move to the frontmost position and then to the rearmost position, but moves to the 3rd position and is fixed, so that the occupants who moved forward due to inertia are affected. When the upper body moves rearward after hitting the dashboard, the headrest can quickly support the occupant's head more forward, thereby alleviating the severity of the occupant's cervical spine injur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슬림화에 유리하고, 주행 중 하방향 충격 발생시 폴의 해제가 방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 유지 성능이 향상되며, 충돌 사고시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앞쪽에서 지지해줄 수 있으므로 상해 정도를 완화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slimming the headrest, prevents release of the pole when a downward impact occurs during driving, improves the position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headrest, and improves the position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headres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ident. The head can be supported more forward, which can lessen the severity of the injur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You must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n automobile, and can be used in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the headrest of automobile seats.

10 : 어퍼바디 11 : 스테이로드 장착부
12 : 제1걸이부 13 : 조작돌기
20 : 로어바디 21 : 플랜지
30 : 베이스멤버 31 : 헤드레스트 장착부
32 : 폴작동홀 33 : 래치기어
34 : 가이드홈 35 : 제2걸이부
40 : 폴 41 : 걸림턱
50 : 릴리스플레이트 51 : 제1걸림돌기
52 : 제2걸림돌기 53 : 제3걸림돌기
54 : 스토퍼홈 60 : 베어링
61 : 스틸볼 70 : 리턴스프링
81 : 제1마운트핀 82 : 제2마운트핀
83 : 스토퍼핀 91 : 제1위치전환스프링
92 : 제2위치전환스프링
10: Upper body 11: Stay rod mounting part
12: first hook 13: operating projection
20: Lower body 21: Flange
30: Base member 31: Headrest mounting portion
32: Pole operating hole 33: Latch gear
34: Guide groove 35: Second hook
40: Pole 41: Stopper
50: Release plate 51: First locking protrusion
52: 2nd locking protrusion 53: 3rd locking protrusion
54: stopper groove 60: bearing
61: steel ball 70: return spring
81: 1st mount pin 82: 2nd mount pin
83: Stopper pin 91: First position change spring
92: Second position change spring

Claims (10)

스테이로드의 상단에 수평으로 장착된 어퍼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의 하면에 장착된 로어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와 로어바디 사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전단부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장착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래치기어가 형성된 폴작동홀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멤버와;
상기 폴작동홀을 통해 상기 로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기어의 복수의 기어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폴과;
상기 베이스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멤버가 최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폴을 릴리스 위치로 회전시키는 릴리스플레이트와;
상기 어퍼바디와 상기 헤드레스트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어 항상 상기 베이스멤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An upper body mounted horizontally on the top of the stay rod;
a lower bod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 base member that is movably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has a headrest mounting portion on which a headrest is mounted at the front end, and has a pawl operating hole formed on one side with a latch gear formed therethrough;
a pawl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body through the pawl operating hole and selectively engaged with one of a plurality of gear teeth of the latch gear;
a releas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rotating the pawl to a release position when the base member moves to the forefront;
a retur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headrest mounting portion to always apply a restoring force to move the base member rearward;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back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car, including a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바디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어퍼바디의 하면에 볼트 체결되고, 상기 어퍼바디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스테이로드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 장착부에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단 수평부가 얹혀져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1,
Flanges formed at the top of both walls of the lower body are bol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stay rod mounting portions concave downwar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body, and the stay rod mounting portion has an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stay rod.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and wel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바디의 양측벽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직선형 리테이너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스틸볼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베이스멤버의 양측면에 상기 스틸볼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1,
Bearings are installed on both walls of the lower body, the bearings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teel b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traight retainer, and guide grooves into which some of the steel balls are inserted and sea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Features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headrest positions of a c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플레이트는 제2마운트핀을 매개로 베이스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 일측에는 작동 대기 위치에서 래치기어의 최후방 기어이 후방에 위치하다가 상기 폴이 최후방 기어이에 치합될 때 폴에 의해 밀려져 릴리스플레이트를 작동 대기 위치에서 릴리스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의 다른 일측에는 릴리스플레이트가 작동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폴작동홀의 외측 영역에 있다가 릴리스플레이트가 릴리스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폴작동홀의 내측 영역으로 돌출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1,
The release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via a second mounting pin, an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 pawl is located behind the rearmost gear of the latch gear i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the pawl is engaged with the rearmost gear. A first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hat is pushed by the pawl and rotates the release plate from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hat is located in the outer area of the pole operation hole when the release plate is i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region of the pole operation hole when the release plate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back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ca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의 일측면에 상기 제2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멤버가 최후방 기어이에 치합된 위치에서 최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제2걸림돌기에 걸려서 폴이 릴리스 위치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4,
A lock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e, and when the base member moves from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rearmost gear tooth to the front,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pole rotates to the release position.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back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폴이 릴리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베이스멤버가 최후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폴은 상기 폴작동홀의 내측면에 가이드되어 상기 래치기어의 최전방 기어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5,
When the base member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when the pawl is in the release position, the pawl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wl operating hole and inserted into the front gear groove of the latch gear. Headrest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의 또 다른 일측부에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스토퍼홈의 내측에 베이스멤버에 고정된 스토퍼핀이 구비되며, 스토퍼핀이 상기 스토퍼홈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작동 대기 위치와 릴리스 위치가 정확히 제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4,
A stopper groove is formed on an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nd a stopper pin fixed to the base memb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topper groove, and the stopper pin abuts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stopper groove.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of the release plate are accurately limi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의 외측면의 또 다른 일측부에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3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어퍼바디의 하면에 조작돌기가 형성되며, 릴리스플레이트가 릴리스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멤버가 최전방에서 최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3걸림돌기가 상기 조작돌기에 걸려져서 릴리스플레이트가 작동 대기 위치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4,
A thir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lease plate, and a manipul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in response to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With the release plate in the release position, the base member i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When moving from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third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perating protrusion so that the release plate is rotated to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과 로어바디 사이에 제1위치전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폴이 치합 위치와 릴리스 위치로 위치 전환되는 것을 보조하고 전환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1,
A devic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head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position chang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pawl and the lower body to assist the pawl in changing the position between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to maintain the changed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플레이트와 베이스멤버 사이에 제2위치전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릴리스플레이트가 작동 대기 위치와 릴리스 위치로 위치 전환되는 것을 보조하고 전환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In claim 1,
A second position chang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release plate and the base member to assist the release plate in changing its position between the operation standby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to maintain the changed position. regulating device.
KR1020220105053A 2022-08-22 2022-08-22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KR2024002677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053A KR20240026771A (en) 2022-08-22 2022-08-22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PCT/KR2023/009277 WO2024043499A1 (en) 2022-08-22 2023-06-30 Device for adjusting front-back position of automobile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053A KR20240026771A (en) 2022-08-22 2022-08-22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771A true KR20240026771A (en) 2024-02-29

Family

ID=9001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053A KR20240026771A (en) 2022-08-22 2022-08-22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771A (en)
WO (1) WO202404349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88B1 (en) 2018-11-19 2020-05-12 주식회사다스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74Y1 (en) * 2005-10-26 2006-01-23 주식회사 우보테크 Device for moving headrest back and forth
JP5513692B1 (en) * 2012-11-09 2014-06-04 備前発条株式会社 Headrest position adjustment device and headrest
US8950815B2 (en) * 2012-11-29 2015-02-10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Four-way adjustable headrest
KR20210048831A (en) * 2019-10-24 2021-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lim type headres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88B1 (en) 2018-11-19 2020-05-12 주식회사다스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499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229B1 (en) Vehicle seat
US7344195B2 (en) Dampener for a vehicle seat recliner
US20060163930A1 (en) Head restraint system
US8100472B2 (e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US9409503B2 (en)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JP2005529783A (en) Head / necklace integrated seat assembly
KR20150016555A (en) Vehicle seat
CN102126449A (en) Vehicle seat easy entry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EP3176029A1 (en) Four-way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CA2706460C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JP2010179753A (en) Vehicle seat
JP5356850B2 (en) Vehicle seat
JP2011025871A (en) Vehicle seat
KR20240026771A (en) Device for adjusting front and rear position of headrest of car
JP6562005B2 (en) Entry / exit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seats
JP5310368B2 (en) Buckle device for seat belt
KR101116704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vehicle
KR101837425B1 (en) headrest for vehicle
JP4024662B2 (en) Vehicle seat structure
JP5456354B2 (en) Vehicle seat
GB2552772A (en) Seat
KR101806123B1 (en) headrest for vehicle
KR101850730B1 (en) headrest for vehicle
JP3368526B2 (en) Slide rail device
KR20240032321A (en) Headrest tilting device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