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23A -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23A
KR20240026623A KR1020220104684A KR20220104684A KR20240026623A KR 20240026623 A KR20240026623 A KR 20240026623A KR 1020220104684 A KR1020220104684 A KR 1020220104684A KR 20220104684 A KR20220104684 A KR 20220104684A KR 20240026623 A KR20240026623 A KR 20240026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clothing
production line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510B1 (ko
Inventor
한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글로벌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글로벌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글로벌디에스
Priority to KR102022010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1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046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2510B1/ko
Publication of KR2024002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라인; 상기 생산 라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의류를 제조하는 봉재 장치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생산 테이블; 상기 생산 테이블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해당 생산 테이블에서 수행되는 작업 내역을 입력받는 정보 수집 단말; 및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각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모니터하여 의류 생산과정을 관리하는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본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a) 상기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각 생산 라인별 생산 테이블의 작업 현황을 수집 하는 단계; (b) 수집된 상기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주된 '신규 수주'에 맞추어 상기 각 생산 라인에 대해 신규 스케쥴을 생성 하거나 각 생산 라인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 스케쥴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apparel produc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Process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생산 현장에서 실내 위치정보 인식 및 데이터 전송 기술을 이용한 의류 스타일별 생산공정 및 생산라인과 생산성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생산 주문과 이를 위한 자재 수/발주 관리, 생산관리, 물류관리, 재정관리 등의 의류 생산 및 물류 관련 통합관리 서비스 플랫폼과 데이터 및 기술 연동을 통해 그 생산성과 관리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제조산업 중 디지털 전환이 가장 더딘 분야가 의류 생산 공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의류 생산공정은 그 작업의 특성상 시간적/생산량적/품질관리적 측면에서 많은 누수와 비효율이 발생하고, 기회비용의 상실 위험이 가장 큰 분야라 할 수 있는데, 의류 원/부자재 재단, 봉제, 워싱, 패킹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의류 생산 기업(이하 ‘공장’)은 다수의 벤더(중개사업자), 바이어(의류 생산 주문/의뢰자)로부터 다수의 의류 종류와 스타일(형태)에 대한 생산을 의뢰받아, 생산할 의류의 종류와 스타일이 바뀔 때 마다 거기에 맞춰 의류 생산공정과 생산라인 등의 생산 설비를 조정하여 생산업무를 실행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며, 노동 집약적 업무의 특성상 개별 작업자나 여러 단계의 생산공정에 대해 세세한 생산성 관리가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의류 생산 현장에서는 여전히 수작업에 의한 생산관리와, 잦은 생산/검수공정 및 생산라인 등의 변경 상황으로 인해 데이터에 의한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불가능하며, 시간적 금전적 누수 상황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7157호, 공고일자 2018년11월09일 "의류생산공장 스마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5275호, 공고일자 2019년07월03일 "의류 생산 공장의 생산 및 가동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생산 현장에서 실내 위치정보 인식 및 데이터 전송 기술을 이용한 의류 스타일별 생산공정 및 생산라인과 생산성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생산 주문과 이를 위한 자재 수/발주 관리, 생산관리, 물류관리, 재정관리 등의 의류 생산 및 물류 관련 통합관리 서비스 플랫폼과 데이터 및 기술 연동을 통해 그 생산성과 관리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은, 의류를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라인; 상기 생산 라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의류를 제조하는 봉재 장치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생산 테이블; 상기 생산 테이블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해당 생산 테이블에서 수행되는 작업 내역을 입력받는 정보 수집 단말; 및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각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모니터하여 의류 생산과정을 관리하는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생산 라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화면에 출력하는 현황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 단말은, 배치된 생산 테이블이 생산 라인에서 위치하는 실내 위치 정보, 고유 식별자 정보(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생산현황 신호를 상기 생산 라인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계기에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수집 단말은, 상기 봉재 장치의 가동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상기 봉재 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로부터 생산 시작 신호, 생산 종료 신호 및 취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중계기로 송출하는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생산 시작 신호 입력시 활성화되어, 상기 봉재 장치에서 수행되는 봉재 작업의 종류, 봉재 수행 시간, 봉재 거리 및 봉재에 수행되는 실의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방법은, 개시된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각 생산 라인별 생산 테이블의 작업 현황을 수집 하는 단계; (b) 수집된 상기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주된 '신규 수주'에 맞추어 상기 각 생산 라인에 대해 신규 스케쥴을 생성 하거나 각 생산 라인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 스케쥴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a-0) 상기 각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실내 위치 정보 및 고유 식별자 정보(UUID)를 기초로 도식화 하여, 상기 생산 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가상 생산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a-1)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종합하여 실시간으로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각 생산 라인의 '수주 가능량' 및 '신규 수주의 예상 일정'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a-0)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생산 라인의 정보; 상기 (a-1) 단계에서 도출된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 및 상기 (a-2)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수주 가능량' 및 상기 '신규 수주의 예상 일정'을 상기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 단계는, 의류 생산의 '신규 수주'가 발생한 경우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생산 라인을 재조합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최적화된 신규 스케쥴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첫째, 의류 스타일별 생산테이블, 생산/검수공정과 생산라인 등의 변경, 조정, 적용, 가동 등에 소요되는 시간적 기회비용, 노동력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둘째, 의류 생산 현장에서의 생산현황을 O2O 데이터 변환 관리를 통해 생산라인 및 공정 내 작업량 병목현상, 고장/유휴 장비 및 노동력의 포착이 어려운 점 등의 생산효율과 생산성의 비효율과 누수 요소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의류 생산 수/발주 시스템 플랫폼(‘의류사업 서비스 플랫폼’의 일부 기능), 실제 생산 데이터 등과의 연동을 통해 의류 생산공정과 생산라인 별 생산효율을 극대화 함으로써, 의류 생산 관리에 있어 데이터에 의한 생산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에에 따른 정보 수집 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에에 따른 정보 수집 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100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1000)은 의류 생산 주문과 이를 위한 자재 수/발주 관리, 생산관리, 물류관리, 재정관리 등의 의류 생산 및 물류 관련 통합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서, 의류를 생산하는 생산 라인(L1, L2, L3), 의류를 제조하는 봉재 장치(즉, 재봉틀)가 배치되는 생산 테이블(T1, T2, T3), 생산 테이블(T1, T2, T3)에서 수행되는 작업 내역을 입력받는 정보 수집 단말(IC1, IC2, IC3),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 현황 모니터(M) 및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생산 라인에서는 하나의 의류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의류 주문에 따라서 복수의 생산 라인이 동일한 의류를 생산할 수도 있고, 각 생산 라인 별로 다른 종류의 의류가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생산 라인의 작업 진척도, 수발주 상황등을 종합하여 유휴 생산 라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생산 라인을 관리하기 위해 개시된 것이다.
의류 생산 공장에 복수의 생산 라인(L1, L2, L3)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생산 라인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생산 라인의 배치 및 각 생산 라인에 배치되는 생산 테이블의 배치 수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생산 테이블(T1 ~T5)은 생산 라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의류를 제조하는 봉재 장치(S1, ~ S5)가 각각 배치된다. 즉, 봉재 장치(재봉틀)가 구비된 테이블이 생산 테이블이다. 도 1에서 생산 라인(L1)은 5개의 생산 테이블(T1, T2, ~ T5)로 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생산하고자 하는 의류의 제조 단계에 따라 생산 테이블의 수를 조절하여 생산 라인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 단계의 과정으로 의류가 제조 되는 경우 7개의 생산 테이블을 사용하여 생산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정보 수집 단말(IC)은 각각의 생산 테이블(T)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해당 생산 테이블에서 수행 되는 작업 내역을 입력 받는다.
정보 수집 단말(IC)은 배치된 생산 테이블(T)이 생산 라인에서 위치하는 실내 위치 정보, 고유 식별자 정보(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생산현황 신호를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
고유 식별자 정보(UUID)는 다수의 정보 수집 단말(IC)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인식 번호에 해당하는 것이다. 작업자의 ID 카드 등을 삽입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실내 위치 정보는 작업자나 생산 라인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수동을 입력할 수 있다.
생산 테이블(T)은 생산 하고자 하는 의류의 종류 및 생산 스케쥴, 생산 라인 조정 등의 이유로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위치 변경의 용이함 등의 이유로 정보 수집 단말(IC)은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무선 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 생산 라인에 인접항여 배치된 중계기(J)가 다수의 정보 수집 단말(IC-1, IC-2, ..)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2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집 단말(IC)의 블록도이다. 정보 수집 단말(IC)은 센서 모듈(11), 입력 모듈(12), 통신 모듈(130) 및 디스플레이 모듈(14)을 포함한다. 정보 수집 단말(IC)은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아두이노와 같은 마이크로 콘틀롤러보드로 구현할 수 도 잇다. 간략한 실시형태의 경우 센서 모듈(11) 및 디스플레이 모듈(14)은 생략될 수도 있다.
센서 모듈(11)은 봉재 장치(S)의 가동(즉, 동작 내역)을 측정한다. 센서 모듈(11)은 봉재 장치(S)에서 수행되는 바느질의 종류, 바늘의 왕복 회수, 바느질이 수행되는 시간, 실의 소모량 등을 측정한다.
입력 모듈(12)은 봉재 장치(S)를 조작하는 작업자로부터 생산 시작 신호, 생산 종료 신호 및 취소 신호등과 같은 작업 내역 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 모듈(12)은 키보드 또는 버튼과 같은 물리적인 입력 수단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4)과 통합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실시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L1 생산 라인의 2번 생산 테이블(T2)에서는 상의에서 소매를 붙이는 작업이 수행된다고 가정하면, 작업자는 생산 시작 신호를 입력하는 키(또는 전용 버튼)를 누르고 소매를 붙이는 작업이 수행한 후 완료 시점에서 생산 종료 신호를 입력하는 키(또는 전용 버튼)를 눌러 해당 생산 테이블에서 수행되는 작업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 방식에 따라서는 센서 모듈(11)에서 봉재 장치(S)에서 수행되는 바느질의 종류, 바늘의 왕복 회수, 바느질이 수행되는 시간, 실의 소모량 등을 측정하고 인식하여 생산 시작 신호 및 생산 종료 신호의 입력이 자동으로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은 센서 모듈(11) 및 입력 모듈(120)에서 입력된 신호를 중계기(J)로 송출한다. 무선 모듈(13)은 유선 모듈로 대체 실시 가능하다.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각각의 정보 수집 단말(IC-1, ... ~ IC-5)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각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모니터하여 의류 생산과정을 관리한다.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생산 라인(L1, .. ~ L3)이 위치한 의류 제조 공장에 위치하는 것으로서(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격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각각의 정보 수집 단말(IC-1, ... ~ IC-5)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종합하여, 각 생산 라인의 생산 현황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획인 할 수 있게 한다.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각 의류의 종류별, 전체 생산 현황 또는 개별 결과 데이터를 적재/추출/가공하여 출력하거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대시보드, 리포트, 통계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생산 라인(L1, .. ~ L3)을 각각의 생산 테이블 별로 세부 모니터링 하므로, 작업 병목 현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개선점을 도출 할 수 있게 한다.
현황 모니터(M)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작업 병목 현상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생산 라인(L1, .. ~ L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정보 수집 단말(IC-1, ... ~ IC-5)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종합하여 출력한다. 현장 관리자는 현황 모니터(M)를 확인하여 문제 발생시 조속히 조치할 수 있다.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는 '의류사업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다. 도시에는 하나의 의류 제조 공장의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가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각기 다른 의류 제조 공장의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가 '의류사업 서비스 플랫폼'에 회원 가입방식이나 업무 협약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API를 연동하여 생산 효율성 관리가 가능하다.
고객은 고객 단말(300)을 통해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의류를 주문(발주)할 수 있다.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는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로부터 해당 의류 공장의 작업 현황을 수신받아 이를 개시하므로, 고객은 해당 공장의 생산 라인의 현황을 참조하여 의류 발주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10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생산 라인(L1, L2, L3), 생산 테이블(T1, T2, T3), 정보 수집 단말(IC1, IC2, IC3),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 현황 모니터(M) 및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에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 실시에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방법은 작업 현황 수집 단계(S100),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비스 서버에 개시하는 단계(S200) 및 신규 수주에 맞추어 스케쥴을 조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S100 단계에서,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각 정보 수집 단말(IC-1, .. IC-5)로 부터 각 생산 라인별 생산 테이블(T-1, ,,, T-5)의 작업 현황을 수집한다.
이때, S100 단계는 각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실내 위치 정보 및 고유 식별자 정보(UUID)를 기초로 도식화 하여, 생산 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가상 생산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S110), 각각의 정보 수집 단말(IC-1, .. IC-5)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종합하여 실시간으로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S120), 및 각 생산 라인별(L1, L2, L3)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각 생산 라인의 '수주 가능량' 및 '신규 수주의 예상 일정'을 도출하는 단계(S120)을 포함한다.
즉,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각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실내 위치 정보 및 고유 식별자 정보(UUID)를 기초로 도식화 하여, 생산 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가상 생산 라인을 생성한다. 생성된 가상 생산 라인은 신규 수주 발생시 최적의 생산 효율을 가지는 생산 라인 형성을 위해 재조합 되는 방식으로 시뮬레이션 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은 관리자가 생산 테이블을 임의로 재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머신 러닝 방식에 의한 최적 경로 생성 방식과 같은 인공지능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S200 단계에서,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100)는 수집된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S200 단계는 S110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생산 라인의 정보, S120 단계에서 도출된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 및 S120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수주 가능량' 및 상기 '신규 수주의 예상 일정'을 상기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수주된 '신규 수주'에 맞추어 상기 각 생산 라인에 대해 신규 스케쥴을 생성 하거나 각 생산 라인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 스케쥴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의류 생산의 '신규 수주'가 발생한 경우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생산 라인을 재조합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최적화된 신규 스케쥴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생산 라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L, L-1, L-2, L-3 : 생산 라인
T, T-1, T-2, T-3 : 생산 테이블
S, S-1, S-2, S-3 : 봉재 장치
IC, IC-1, IC-2, IC-3 : 정보 수집 단말
100 :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
M : 현황 모니터
J : 중계기
200 :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
300 : 고객 단말

Claims (10)

  1. 의류를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라인;
    상기 생산 라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의류를 제조하는 봉재 장치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생산 테이블;
    상기 생산 테이블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해당 생산 테이블에서 수행되는 작업 내역을 입력받는 정보 수집 단말; 및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에 기초하여, 각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모니터하여 의류 생산과정을 관리하는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산 라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화면에 출력하는 현황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말은,
    배치된 생산 테이블이 생산 라인에서 위치하는 실내 위치 정보, 고유 식별자 정보(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생산현황 신호를 상기 생산 라인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계기에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생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말은,
    상기 봉재 장치의 가동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
    상기 봉재 장치를 조작하는 작업자로부터 생산 시작 신호, 생산 종료 신호 및 취소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중계기로 송출하는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생산 시작 신호 입력시 활성화되어, 상기 봉재 장치에서 수행되는 봉재 작업의 종류, 봉재 수행 시간, 봉재 거리 및 봉재에 수행되는 실의 소모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가운데 어느 한 항에 개시된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각 생산 라인별 생산 테이블의 작업 현황을 수집 하는 단계;
    (b) 수집된 상기 생산 라인의 작업 현황을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주된 '신규 수주'에 맞추어 상기 각 생산 라인에 대해 신규 스케쥴을 생성 하거나 각 생산 라인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 스케쥴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0) 상기 각 정보 수집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실내 위치 정보 및 고유 식별자 정보(UUID)를 기초로 도식화 하여, 상기 생산 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가상 생산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a-1) 각각의 상기 정보 수집 단말에서 입력받은 작업 내역을 항목별로 종합하여 실시간으로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각 생산 라인의 '수주 가능량' 및 '신규 수주의 예상 일정'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0) 단계에서 생성된 가상 생산 라인의 정보;
    상기 (a-1) 단계에서 도출된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 및
    상기 (a-2)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수주 가능량' 및 상기 '신규 수주의 예상 일정'을 상기 '온라인 의류 수발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의류 생산의 '신규 수주'가 발생한 경우 각 생산 라인별 의류 생산 현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생산 라인을 재조합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최적화된 신규 스케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생산 관리 방법.
KR1020220104684A 2022-08-22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84A KR102662510B1 (ko) 2022-08-22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84A KR102662510B1 (ko) 2022-08-22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23A true KR20240026623A (ko) 2024-02-29
KR102662510B1 KR102662510B1 (ko) 2024-05-07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57B1 (ko) 2018-07-03 2018-1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생산공장 스마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995275B1 (ko) 2019-01-29 2019-07-03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 생산 공장의 생산 및 가동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57B1 (ko) 2018-07-03 2018-11-09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생산공장 스마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995275B1 (ko) 2019-01-29 2019-07-03 호전실업 주식회사 의류 생산 공장의 생산 및 가동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8021B (zh) 一种平台化智能制造mes系统
CN106934507B (zh) 一种针对油田石化领域的巡检系统和方法
CN101515174B (zh) 一种数控加工车间信息交互系统
KR20190064859A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봉제품 제조용 스마트 계수기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봉제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N107909300A (zh) 智能工厂管理平台和方法
CN104699036A (zh) 现场设备管理装置、设备信息显示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017539A (zh) 利用射频识别装置改进生产的系统和方法
CN103782312A (zh) 基于网络的生产管理系统和方法
CN107656508B (zh) 一种缝纫机工位信息采集与传输系统
CN103164754A (zh) 用于服装行业的生产管理和控制过程的方法及mes系统架构
CN101639912A (zh) 基于射频识别的生产监测系统
CN104122871B (zh) 一种半导体测试数据实时监控方法
CN109300001A (zh) 服装裁剪工艺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591808B (zh) 基于Excel表单的DCS硬件组态系统和方法
CN104395843A (zh) 自动操作系统及操作自动化方法
KR102662510B1 (ko)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416151B (zh) 一种基于模型的卫星测控信息流智能化设计系统及故障信息快速定位方法
CN107704257A (zh) 一种分布式服务器集中管理的方法及装置
KR20240026623A (ko) 실내 위치정보 기반 의류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67099A (zh) 管片生产管理装置及其管理方法
CN103177074B (zh) 定制制造执行系统屏幕的图形用户界面
CN111199352A (zh) 一种服装智能制造生产管理系统
Udayangani et al. Industry 4.0 elements and analytics for garment assembly production lines
CN103809973B (zh) 图控界面设计系统及其图控界面设计操作方法
WO2005078542A1 (ja) 製造システム管理支援装置および製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