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000A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000A
KR20240026000A KR1020220104311A KR20220104311A KR20240026000A KR 20240026000 A KR20240026000 A KR 20240026000A KR 1020220104311 A KR1020220104311 A KR 1020220104311A KR 20220104311 A KR20220104311 A KR 20220104311A KR 20240026000 A KR20240026000 A KR 2024002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external device
electronic device
outpu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란
김용덕
이봉석
하남수
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000A/ko
Priority to PCT/KR2023/006760 priority patent/WO2024039004A1/ko
Publication of KR2024002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전자 장치는 다양한 외부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 장치는 셋탑 박스나 홈 씨어터, 게임기,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이 다양한 외부 기기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03)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외부 기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도 3의 상태 정보 획득부 및 상태 정보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획득한 매핑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표현은 " a", " b", " c", "a 및 b", "a 및 c", "b 및 c", "a, b 및 c 모두", 혹은 그 변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소비자, 평가자,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외부 기기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데스크톱,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 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톱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스마트 와치(smart watch), 홈 네트워크 시스템, 보안 시스템, 의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 등과 같이 다양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자막, 기타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콘텐츠 프로바이더들(contents providers)이 제공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VOD 서비스를 통한 각종 영화나 드라마 등의 비디오, 음악 등의 오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는 소비자에게 비디오를 포함한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지상파 방송국이나 케이블 방송국, 위성 방송국, 또는 OTT 서비스 제공자, IPTV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는 다양한 외부 기기(12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20)는 PC, 셋탑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휴대폰, 게임기, 홈 씨어터, 오디오 플레이어, USB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소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기기(120)는 HDMI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 외에도 여러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범용 리모컨(Multi Brand Remote control)일 수 있다. 범용 리모컨은 브랜드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소스 장치들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범용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 외에도 외부 기기(120)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범용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뿐 아니라 기타 다양한 종류의 소스 장치들, 예컨대, PC, 셋탑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휴대폰, 게임기, 홈 씨어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나 기타 다른 전자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서 전자 장치(100)나 기타 다른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제어 기능까지 수행 가능한 제어 장치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사용자는 더 큰 음량으로 콘텐츠를 이용하고 싶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1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볼륨을 증가시키라는 명령을 수신하면, 그에 상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볼륨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의 볼륨이 증가하더라도 사용자는 음량 변화가 없거나 미미하다고 느낄 수 있다.
이에,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볼륨이 임계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볼륨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전자 장치(100)의 볼륨 값이 아닌, 외부 기기(120)의 볼륨 값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볼륨 값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 기기(12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의 볼륨이 임계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볼륨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의 볼륨을 획득할 수 있다.
LKFS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120)의 볼륨을 예측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예컨대, 초 단위로 몇 초 동안 LKFS를 수집하고, 이를 평균한 값을 외부 기기(120)의 볼륨으로 예측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과거의 LKFS 정보를 평균하여 구한 값은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과거 시점에 획득된 LKFS 정보는 현재 시점보다는 지연된 과거 시점의 음량을 나타내므로, 외부 기기(120)의 현재의 실제 음량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LKFS 값이 초 단위로 급격히 변하는 경우, 급변하는 LKFS 정보를 평균한 값은 급변하는 외부 기기(120)의 실제 음량과는 다를 수 있다.
이에,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식별하기 위해, LKFS 정보를 누적하여 이용하는 대신,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으로부터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는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음량을 조절하고, 또한 조절된 외부 기기 음량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에서 식별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화면에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식별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종류나 모델에 따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서로 다른 제1 외부 기기와 제2 외부 기기의 볼륨이 모두 10으로 설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제1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은, 전자 장치(100)에 제2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음량 조절 명령을 받으면,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이 임계 값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기준 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외부 기기(120)와 HDMI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HDMI를 통해 외부 기기(12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콘텐츠 외에 LKFS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의 관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기준 값을 가질 때, 그에 대응하는, 기준이 되는 외부 기기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 기준이 되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임계 출력 음량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 장치가 임계 출력 음량을 가질 때 그에 대응하는 기준이 되는 외부 기기 음량을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임계 출력 음량은 전자 장치(100) 제조사에 의해 미리 결정된 디폴트 값을 갖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임계 출력 음량은 -40 LKFS일 수 있다. 또는, 임계 출력 음량은 표준 음량인 -24 LKFS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그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그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120)의 종류나 모델에 따라 외부 기기 음량이 동일한 값을 갖더라도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가 변경될 때 마다 새로 연결된 외부 기기(120)에 대한 매핑 그래프를 새로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그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그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음량인,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파악하고,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식별하기 위해,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2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원격 제어 장치(110)와는 다른 제어 장치로부터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20)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상응하여 음량을 조절하고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기 위해,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캡쳐된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식별하고, 외부 기기 음량 정보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 영상에서 음량을 획득하도록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캡쳐된 화면으로부터 획득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제어할지, 또는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제어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음량을 조절할 대상 기기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음량을 조절할 대상 기기를 선택 받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음량을 조절할 대상 기기를 선택 받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된 것에 상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음량을 조절할 외부 기기(120)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음량 조절 대상 기기로 외부 기기(120)를 선택 받은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 기기(12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경우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인 경우,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외부 기기(120)의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인 경우,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를 통해 외부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보다 큰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이 임계 값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그에 상응하는 외부 기기 음량인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함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11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의 볼륨을 제어할 진입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11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뿐 아니라 외부 기기(120)의 음량 또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의 전자 장치(100a)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a)는 통신 인터페이스(105),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03) 및 메모리(103)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03)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프로세서(101)가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3)는 전자 장치(100a)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a)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네트워크 및/또는 기 정의된 동작 규칙이나 AI 모델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 저장된 뉴럴 네트워크는 입력 영상 및 입력 영상에 포함된 음량 정보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학습한 뉴럴 네트워크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 저장된 뉴럴 네트워크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외부 기기 음량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외부 기기 음량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기반으로 생성된 매핑 그래프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가 업데이트된 경우, 메모리(103)에는 업데이트된 매핑 그래프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 코드 정보는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에 포함된 복수 키 및 각 키가 선택될 때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는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메모리(103)에는 복수의 외부 기기들 각각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코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기기들 각각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코드 정보는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메모리(103)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를 생산한 제조사는 메모리(103)에 복수의 외부 기기들 각각에 대한 제어 코드 정보를 미리 저장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a)를 주변 기기나 외부 기기(120), 원격 제어 장치(110), 서버, 이동 단말기 등과 연결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전자 장치(100a)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 모듈, 블루투스 모듈,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RFID,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 또는 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원거리 통신 규격에 따라서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3G, 4G, 및/또는 5G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외부 기기(120), 외부 서버, 외부 전자 장치 등과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외부 기기(120)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유선 연결된 외부 기기(1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기기(12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USB 포트(USB port) 등을 통하여 외부 기기(1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기기(12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신호는 콘텐츠 및 LKFS 음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적외선(infrared), 와이파이, 또는 BLE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원격 제어 장치(110) 외에,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스니핑(sniffing)하여 획득할 수 있다. 스니핑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패킷 정보를 해킹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는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는 외부 기기(120) 및 기타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범용 리모컨 일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원격 제어 장치(110) 외에,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프로세서(10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5)는 프로세서(101)가 음량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생성한,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1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3)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a)가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통신 인터페이스(105)가 스니핑하여 획득한,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패킷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타겟인 외부 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01)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가 전송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가 제공하는 콘텐츠의 화면을 분석하여 외부 기기(120)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 등을 콘텐츠에서 식별함으로써 외부 기기(120)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되는지, 또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인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코드 셋이 음량 조절에 대응하는 지, 또는 뮤트 키에 대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되는지, 또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80LKFS인 경우,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라고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외부 기기 음량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a)에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정보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숫자나 그래프 등으로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입력 영상에서 음량을 획득하도록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임계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제1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및 제2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을 이용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전자 장치(100a)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가 변경되거나, 및/또는 외부 기기 음량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이벤트로 식별하고, 매핑 그래프를 새로 생성하거나 또는 기 생성된 매핑 그래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로부터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고 이를 전자 장치(100a)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된 것에 상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120)를 선택 받는 경우,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제어 코드에 기반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가 생성한 제어 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105)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 기기(120)로 전송하여 외부 기기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a)로부터 수신한,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 기기(12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는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보다 큰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a)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이다.
실시 예에서, 도 3의 프로세서(101a)는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101)의 일 예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1a)는 상태 정보 획득부(310) 및 상태 정보 분석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 및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모듈 형태로 프로세서(101a)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듈이라 함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제어하는 데 영향을 주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조절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집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에서 볼륨 조절 키가 선택되거나 뮤트 키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및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외부 기기(120)가 식별되면 메모리(103)로부터 식별된 외부 기기(120)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 정보는 원격 제어 장치(110)와는 다른 제어 장치, 예컨대,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키 및 각 키가 선택될 때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사용자가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에 포함된 복수 키 중 외부 기기(120)의 음량 조절과 관련된 키를 선택하면 이를 상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사용자가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키 중 볼륨 업(UP)이나 볼륨 다운(DOWN)과 같은 볼륨 조절 키를 선택하거나 또는 뮤트(mute) 키를 선택한 경우, 이를 상태 정보로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에서 볼륨 조절 키가 선택되거나 뮤트 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분석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을 상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입력된 신호로부터 LKFS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상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획득하고,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을 상태 정보로 획득하고, 이를 상태 정보 분석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가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가 출력될 때 외부 기기(120)나 전자 장치(100)의 음량이 기준 값 이하가 되도록, 또는 뮤트 상태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 메뉴 화면이나 설정 화면, 검색 화면 등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콘텐츠가 아닌 메뉴나 설정, 검색 등에 관심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출력되는 오디오 음량이 현재 음량보다 더 작아지거나 또는 뮤트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메뉴나 검색 화면 등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 업 키를 선택한 경우, 이는 잘못 입력된 버튼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사용자가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볼륨 업 키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볼륨 업 키를 무시하여, 볼륨이 현재 상태보다 더 커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 장치(100)에서 메뉴 화면이나 설정 화면, 검색 화면 등과 같이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메뉴나 설정, 검색 화면 등은 메뉴나 설정, 검색 창 외의 다른 영역에서는 화면 간 픽셀 값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복수 화면들에 포함된 픽셀의 RGB 값의 변화 정도를 기반으로 현재 전자 장치(100)가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상태 정보로 획득하고,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분석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상태 정보 획득부(3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조절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상태 정보로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의 음량을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의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인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 및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원격 제어 장치(110) 외의 제어 장치, 예컨대,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에서 뮤트 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80 LKFS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화면에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가 아니고,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이고, 현재 화면에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을 높이라는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의 음량을 올리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가 아니고,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이나, 현재 화면에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을 무시하고, 외부 기기 음량을 조절하지 않거나, 또는 외부 기기 음량을 현재 음량보다 더 낮추거나 또는 외부 기기(120)를 뮤트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이고, 현재 화면에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을 높이라는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120)를 뮤트 상태에서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외부 기기(120)가 뮤트 상태이고, 현재 화면에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을 무시하고,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뮤트 상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기준 볼륨 이하의 낮은 소리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보다 크고, 현재 화면에 음량 제어가 불필요한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음량을 올리라는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01a)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제어하는 데 영향을 주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조절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도 3의 상태 정보 획득부 및 상태 정보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 및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량, 즉,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외부 기기(120)와 HDMI 등의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는 HDMI를 통해 외부 기기(12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외부 기기(120)로부터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로부터의 콘텐츠는 오디오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자막 등의 서브타이틀, 기타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에 외부 기기(120)가 연결된 경우,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는 LKF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LKFS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는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음량 값의 표준 단위를 의미한다. LKFS 단위는 사람이 소리를 듣는 행위에 대한 특성들을 수치화 하여 나타내는 단위로, 실제 사람이 어느 정도로 크게 느끼는가를 표현하는 단위계이다. LKFS 단위에서 1dB의 레벨 증감은 1 LKFS의 음량 값의 증감과 동일하다. LKFS는 음량값 표준으로, 예컨대, 방송프로그램의 표준 음량은 평균 음량을 사람이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음량인 -24LKFS로 규정되어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는 외부 기기(120)부터 수신되는 LKFS 정보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으로 획득하고,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상태 정보 분석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실제 볼륨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식별하기 위해,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될 때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의 실제 볼륨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2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원격 제어 장치(110)와는 다른 제어 장치로부터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음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조절된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나타내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은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조절된 음량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를 통해 출력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외부 기기(120)의 음량과 관련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된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의 음량과 관련된 제어 코드는 볼륨 업이나 볼륨 다운, 뮤트 상태 변환 등에 대한 제어 코드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캡쳐된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정보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나타내는 숫자나, 최대 음량 중 현재의 외부 기기(120)의 음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등의 이미지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막대 바(bar)나 원형 형태의 도형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캡쳐된 화면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정보에 해당하는 클래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동작될 수 있는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캡쳐된 화면에 포함된, 음량을 나타내는 숫자나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래스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물체를 구성하는 연결된 픽셀들을 찾고, 픽셀들이 구성하는 윤곽선 간의 관계를 구하고, 서로 다른 물체를 서로 다른 색상 등으로 구별하며, 음량을 나타내는 숫자나 그래프가 포함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음량을 나타내는 숫자나 그래프가 포함된 영역은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둘러싼, 원이나 타원, 사각형 박스 등과 같은 형태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캡쳐된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을 크랍(crop)하여 분리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은 음량을 나타내는 숫자나 그래프가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분리된 영역에서 엣지(edge)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엣지를 검출한 후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텍스트 및/또는 그래프를 배경과 분리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에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해당 텍스트가 숫자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OCR은 인쇄물 또는 사진 상의 글자와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자동인식기술로, 문자나 숫자의 영상을 컴퓨터가 편집 가능한 문자코드 등의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숫자나 그래프로부터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상태 정보 분석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분석부(320)는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로부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하고,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동일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을 이용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이 획득될 때 마다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로부터 LKFS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 기기 음량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한 시점과 LKFS 정보를 획득한 시점이 다른 경우,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일정한 오차 시간 범위 내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이 획득되면, 이를 메모리(103)에 저장하고 있다가, 이후, 전자 장치 출력 음량 획득부(311)로부터 LKFS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외부 기기 음량을 메모리(103)에서 독출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함께 이용함으로써,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은 대체로 선형(linear)적인 특성을 갖는다. 즉,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높은 경우,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또한 커지고,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낮은 경우,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또한 작아지게 된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적어도 두 시점, 예컨대,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각각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을 리니어하게 연결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제1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의 좌표 값, 및 제2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의 좌표 값을 구하고, 두 좌표 값을 리니어하게 연결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매핑 그래프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 생성된 매핑 그래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제3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의 좌표 값을 기 생성되어 있는 매핑 그래프에 추가함으로써, 매핑 그래프가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외부 기기에 대한 매핑 그래프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외부 기기(120)의 종류나 모델에 따라, 동일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음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 또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 예에서, 매핑 그래프 획득부(321)는 외부 기기(120)에 맞게 매핑 그래프를 새로 생성하거나 또는 기 생성된 매핑 그래프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그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310)에 포함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입력 영상(510)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520)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룰 기반으로(rule based) 입력 영상(510)을 분석하여 입력 영상(510)에 포함된 외부 기기 음량(520)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 성능이나 운영 체제, CPU 처리 속도 등이, 많은 연산량을 빠른 시간 안에 수행하기 어려운 장치인 경우,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룰 기반으로 입력 영상(510)을 분석하여 입력 영상(510)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520)을 획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510)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520)을 획득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뉴럴 네트워크(500)는 2개 이상의 히든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딥 뉴럴 네트워크(DNN)일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 데이터를 받고, 입력된 데이터가 히든 레이어들을 통과하여 처리됨으로써, 처리된 데이터가 출력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뉴럴 네트워크(500)의 숨은 층(hidden layer)이 2개의 심도(depth)를 가지는 딥 뉴럴 네트워크(DNN)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는 뉴럴 네트워크(500)를 통한 연산을 수행하여 입력 영상(510)을 분석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학습 데이터를 통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뉴럴 네트워크(500)는 모델의 구현 방식이나 결과의 정확도, 결과의 신뢰도, 프로세서의 연산 처리 속도 및 용량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 계층(501), 숨은 계층(hidden layer)(502) 및 출력 계층(503)을 포함 하여,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 계층(501)과 제1 숨은 계층(HIDDEN LAYER1) 간에 형성되는 제1 계층(Layer 1)(504), 제1 숨은 계층(HIDDEN LAYER1)과 제2 숨은 계층(HIDDEN LAYER2) 간에 형성되는 제2 계층(Layer 2)(505), 및 제2 숨은 계층(HIDDEN LAYER2)과 출력 계층(OUTPUT LAYER)(503) 간에 형성되는 제3 계층(Layer 3)(50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계층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계층(501)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node)(5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입력 계층(501)이 복수개의 노드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리고, 복수개의 노드(530)로 입력 영상(510)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두 개의 계층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엣지(edge)들(예를 들어, 540)로 연결된다. 각각의 노드들은 대응되는 가중치값을 가지고 있어서,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된 신호와 가중치 값을 연산, 예를 들어, 곱하기 연산한 값에 근거하여, 출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에 근거하여 학습되어, 입력 영상(510)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520)을 추론하는 모델로서 구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뉴럴 네트워크(500)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방법으로 소정의 데이터셋(dataset)을 학습하여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일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학습한 데이터셋과 같거나 유사한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을 검출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뉴럴 네트워크(500)는 복수의 학습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입력 데이터를 분석 및 분류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음량 정보를 추출하도록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뉴럴 네트워크(500)는 영상에서 음량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다양한 영상 및 각 영상에 포함된 음량 정보의 종류나 위치, 크기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이용하여 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데이터로 이용되는 영상은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뉴럴 네트워크(500)는 영상에서 음량 정보가 포함된 영역을 정답 셋으로 이용하여 훈련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음량 정보가 포함된 영역의 위치, 크기를 추론/예측하고, 예측한 결과가 정답 셋과 같아지도록 반복하여 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뉴럴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학습 데이터에 근거하여 출력 계층(503)에서 입력 계층(501) 방향으로 학습(training)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출력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지도록 가중치 값들을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수정된 가중치 값들을 가지는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 데이터인 입력 영상(510)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외부 기기 음량(520)을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학습이 끝난 뉴럴 네트워크(500)는 메모리(103) 또는 외부 기기 음량 획득부(313)에 장착되어, 입력 영상(510)으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520)을 획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500)는 입력 영상(510)이 입력되면, 그로부터 입력 영상(510)에 포함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600)를 통해,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예컨대,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 등을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하는 버튼을 선택한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의 음량과 관련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것에 상응하여 음량을 조절하고 동시에 조절된 음량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을 생성하고, 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절된 음량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은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6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외부 기기(120)의 음량과 관련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된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을 캡쳐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가 외부 기기(120)로 전송되는 것과 무관하게, 소정 시간, 예컨대 0.5초마다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60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고 이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은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은 외부 기기 음량을 숫자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은 외부 기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음량 중 현재의 외부 기기(120)의 설정 음량을 퍼센트나 그래프 등의 이미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은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의 좌측 상단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은 숫자 11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외부 기기 음량이 볼륨 11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은 원으로 표시되는 최대 음량 중 현재의 외부 기기 음량에 대응하는 영역이 진한 색으로 표시된 원형 그래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의 출력 위치나 크기, 색상, 밝기, 투명도,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에 포함된 숫자나 그래프의 위치, 숫자나 그래프의 종류나 폰트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화면(610)에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을 검출하고, 외부 기기 음량 정보 영역(620)에 포함된, 외부 기기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획득한 매핑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매핑 그래프(700)의 x 축은 외부 기기 음량(VOLUME)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LKFS로 나타낸다. 도 7에서 LKFS는 절대값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LKF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된 LKFS 정보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으로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현재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될 때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캡쳐하고, 이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식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일정한 주기 별로, 또는 랜덤한 간격으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또는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을 수신하면, 그에 상응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또는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외부 기기(120)가 음량을 조절하면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때 마다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동일 시점에 외부 기기 음량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이 획득될 때 마다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음량 획득 시점이 간헐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한 후, 이를 메모리(103)에 저장시켰다가, 이후, 전자 장치 출력 음량, 즉, LKFS 정보를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하면, 메모리(103)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을 독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은 대체로 선형(linear)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최소한, 두 시점에 각각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을 기반으로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의 좌표 값(x1, y1)과, 제2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의 좌표 값(x2, y2)을 연결하여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 시점에 각각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의 좌표 값을 획득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임계 출력 음량은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음량을 제어할 대상 기기를 구분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되는 출력 음량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임계 출력 음량은 전자 장치(100) 제조사에 의해 미리 결정된 디폴트 값을 갖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서 임계 출력 음량이 -24 LKFS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 음량인 -24LKFS일 때, 그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음량인 29를 외부 기기 임계 음량으로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하고,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경우,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위 예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10)를 이용하여 음량을 올리라는 명령을 전송하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외부 기기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현재 외부 기기 음량이, 예컨대 28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현재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인 29보다 작다고 판단하고,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28에서 29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인 29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원격 제어 장치(110)를 통한 볼륨 업 명령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상응하여 획득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외부 기기 음량이 30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10)를 이용하여 음량을 높이라는 명령을 전송하면, 전자 장치(100)는 현재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인 29보다 크다고 판단하고, 원격 제어 장치(110)를 통한 볼륨 업 명령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가 아닌 전자 장치(100)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외부 기기가 변경되면, 변경된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매핑 그래프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임계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변경된 외부 기기의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변경 전 외부 기기의 외부 기기 임계 음량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임계 출력 음량이 -24 LKFS라고 할 때, 변경된 외부 기기의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27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볼륨을 높이라는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변경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변경된 외부 기의 음량이 28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인 27보다 크다고 판단하고, 외부 기기가 아닌, 전자 장치(100)의 볼륨을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별로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임계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들이 서로 다른 음량 특성을 갖더라도, 전자 장치(100)는 일정한 값을 갖는 임계 출력 음량을 기준으로 이용하여, 임계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기준으로 음량을 제어할 대상 기기를 식별함으로써, 일관된 시점에 외부 기기에 대한 음량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의 전자 장치(100b)는 도 2의 전자 장치(100a)의 일 예일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b)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b)에 포함된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는 도 2의 전자 장치(100a)에 포함된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동일 도면 부호를 이용하였다. 또한,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105)가 수행하는 동작은 도 8의 통신부(820) 및 입/출력부(840)가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b)는 프로세서(101) 및 메모리(103) 외에, 튜너부(810), 통신부(820), 감지부(830), 입/출력부(840), 비디오 처리부(850), 디스플레이(860), 오디오 처리부(870), 오디오 출력부(880) 및 사용자 입력부(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8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 등을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100b)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8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는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03)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82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b)를 주변 기기나 외부 장치, 서버, 이동 단말기 등과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82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20)는 전자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 모듈(821), 블루투스 모듈(822), 유선 이더넷(Ethernet)(8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822)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서 주변 기기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822)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이 될 수 있으며,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822)은 BLE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시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BLE 신호를 스캔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821)은 와이파이(Wi-Fi) 통신 규격에 따라서 주변 기기와 와이파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8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831), 카메라부(832), 광 수신부(833), 센싱부(8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8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이나 노이즈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1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부(832)는 센서(미도시) 및 렌즈(미도시)를 포함하고, 화면에 맺힌 이미지를 촬영하여 캡쳐하고 이를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832)는 외부 기기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860)에서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광 수신부(833)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833)는 리모컨이나 핸드폰 등과 같은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84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기기(120) 등으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적 이미지 신호나 정지 이미지 신호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신호나, 음악 신호 등) 및 부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84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84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842), PC 포트(PC port, 843), 및 USB 포트(USB port, 84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840)는 HDMI 포트(841), 컴포넌트 잭(842), PC 포트(843), 및 USB 포트(84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850)는, 디스플레이(860)에 의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0)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의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미디어 신호로, 비디오 신호, 이미지, 텍스트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860)는 외부 기기(120)로부터 수신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860)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또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8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8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88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810)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820) 또는 입/출력부(8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103)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880)는 스피커(881), 헤드폰(88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8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오디오 출력부(880)는 원격 제어 장치(110) 또는 프로세서(101)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90)는 전자 장치(100b)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9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원격 제어 장치(110)와 같이 리모컨이나 기타 이동 단말기가 전자 장치(100b)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89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부(890)는 사용자로부터 음량 조절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860)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선택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 것에 상응하여 사용자 입력부(890)는 사용자로부터 음량 조절을 할 대상 기기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획득하고,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경우,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20)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선택 받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TV이고,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가 셋탑 박스인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20)은 음량을 조절할 대상 기기로 셋탑 박스를 선택할지, 또는 TV를 선택할지를 묻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20)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일 부분 영역 상에 텍스트 창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20)의 크기, 출력 위치, 투명도, 형태, 메시지의 내용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20)이 출력된 것에 상응하여 음량을 조절할 대상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10)의 상하 버튼을 이용하여, 음량 조절 대상 기기로 셋탑 박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TV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로 셋탑 박스, 즉, 외부 기기(120)를 선택한 것에 상응하여,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외부 기기(120)에 음량 조절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30)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TV이고,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가 셋탑 박스인 경우,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30)은 셋탑 볼륨이 낮아 셋탑 볼륨을 조절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획득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경우, 도 9(b)에 도시된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서,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20)이 출력된 것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로 셋탑 박스를 선택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30)을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30)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상단 중앙에 텍스트 창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30)의 크기, 출력 위치, 투명도, 형태, 메시지의 내용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930)이 출력된 것에 상응하여 음량이 조절되는 대상 기기가 셋탑 박스, 즉, 외부 기기(120)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외부 기기 전용 원격 제어 장치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격 제어 장치(110)만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고려하여, 음량 조절이 필요한 기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기기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음량을 조절하려는 사용자 의도에 보다 부합되는 콘텐츠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단계 1010).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로부터 LKFS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전자 장치 출력 음량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단계 1020).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에서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1030). 전자 장치(100)는 동일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을 하나의 좌표 값으로 표시하고, 복수 시점에 획득된 복수 좌표 값들을 연결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 출력 음량과 외부 기기 음량을 새로 획득하면 기 생성된 매핑 그래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120)가 변경될 때 마다 새로운 매핑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음량을 획득할 수 있다(단계 1110).
전자 장치(100)는 기 생성된 매핑 그래프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 음량인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 임계 음량과,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을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1120).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외부 기기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라고 판단하면, 외부 기기 음량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130).
원격 제어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외부 기기 음량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음량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12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120)의 음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100, 100a, 100b)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105);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03);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110)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의 음량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인,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의 음량, 및 제2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의 음량을 이용하여 상기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상기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변경되는 이벤트,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이 변경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8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하고,
    외부 기기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860)에서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입력 영상에서 음량을 획득하도록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8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8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를 선택 받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경우는 상기 외부 기기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보다 큰 것에 상응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은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이 임계 출력 음량일 때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의 음량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그래프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제1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의 음량, 및 제2 시점에 획득된 전자 장치 출력 음량 및 외부 기기의 음량을 이용하여 상기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마다 상기 매핑 그래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변경되는 이벤트,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이 변경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LKFS,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 출력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 기기에 대한 음량 조절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출력된,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에서 음량을 획득하도록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것에 상응하여, 음량 조절 대상 기기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에 상응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선택 받은 것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1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외부 기기의 음량이 상기 외부 기기 임계 음량 이하인 경우는 상기 외부 기기가 뮤트(mute) 상태인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뮤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0104311A 2022-08-19 2022-08-19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26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311A KR20240026000A (ko) 2022-08-19 2022-08-19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3/006760 WO2024039004A1 (ko) 2022-08-19 2023-05-18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311A KR20240026000A (ko) 2022-08-19 2022-08-19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000A true KR20240026000A (ko) 2024-02-27

Family

ID=8994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311A KR20240026000A (ko) 2022-08-19 2022-08-19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6000A (ko)
WO (1) WO20240390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2542A (ja) * 2013-06-18 2015-01-05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60095377A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43973A (ko) * 2019-06-17 2020-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4836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2108131A (ja) * 2021-01-12 2022-07-25 武 服部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音声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9004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663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1047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1468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ontent
US2016006389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thod
US9961394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190024249A (ko)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95259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map managing method thereof
CN111163343A (zh) 图形识别码的识别方法和显示设备
CN111556350B (zh) 一种智能终端及人机交互方法
US116273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5013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24002600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2500975A (ja) ディスプレイ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EP384888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894866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210155505A (ko) 이동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210343A1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394951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for searching for loca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by using bluetooth pairing
EP436582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4012150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32693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31933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4445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400175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게임 영상 화질 최적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