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961A -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961A
KR20240025961A KR1020220104222A KR20220104222A KR20240025961A KR 20240025961 A KR20240025961 A KR 20240025961A KR 1020220104222 A KR1020220104222 A KR 1020220104222A KR 20220104222 A KR20220104222 A KR 20220104222A KR 20240025961 A KR20240025961 A KR 2024002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chock
wheel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강춘석
이우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10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961A/ko
Publication of KR2024002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는 고임목, 고임목과 결합되어 고임목을 차량의 바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고임목과 결합하는 제1 고정부재, 고정부재가 차량 바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직접 차량 바퀴에 접하는 덮개부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고임목을 차량 바퀴에 고정하여 고임목의 이탈을 막고, 고임목의 불안정한 설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wheel fastening type wheel support apparatus using a fixing member}
본 발명은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아웃트리거 설치시에도 고임목이 차량에 체결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임목이라 함은 차량 주정차시 언덕과 같은 경사로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특히 차량이 무겁고 적재물의 중량도 많은 트럭류의 작업차량과 같은 경우는 주정차 중에 반드시 바퀴의 앞, 뒤에 고임목을 고여 주어야 차량이 차체와 적재물의 중량에 의해 앞 또는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주정차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통상적인 고임목은 차량바퀴 앞에 위치하여 차량과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데, 아웃트리거를 이용한 작업차량의 경우에는 바퀴가 지면에서 뜨기 때문데 설치된 고임목이 이탈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경사로 차량 전면 정차작업시 앞바퀴는 경사로 벽쪽으로 바퀴를 조향하는데 아웃트리거 작업후 고임목이 틀어질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역할을 하는 고임목의 이탈을 방지하고, 고임목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고임목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작업차량이 아웃트리거 작업시에도 고임목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는, 고임목과 고임목을 차량의 바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제1 고정부재는 고임목과 결합되어 있고, 고임목의 반대편에서 바퀴에 고정부재를 고정시켜 주는 덮개부는 제2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의 돌출된 부분인 제1 결합부와 제2 고정부재의 중공부분인 제2 결합부는 서로 슬라이딩 결합을 하여 일체의 고정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외측면에 반사판을 부착하여 고임목 설치 여부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임목과 차량의 바퀴가 맞닿는 고임목 안쪽면에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찬가지로, 덮개부가 차량 바퀴와 접촉하는 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제1 손잡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도 제2 손잡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에 의하면, 고임목을 바퀴에 체결하여 아웃트리거 작업시 고임목을 고정시켜 고임목이 이탈하는 것을 막고, 고임목이 틀어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의 제1 고정부재와 고임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의 제2 고정부재와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에 부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에 부착되어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의 제1 고정부재와 고임목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의 제2 고정부재와 덮개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에 부착되기 직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에 부착되어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는 고임목(200), 고임목을 차량의 바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임목을 차량의 바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00)는 고임목(200)과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110)와 고임목(200)과 함께 바퀴(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덮개부(125)와 연결되는 제2 고정부재(120)를 포함하고,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최대한 단순화하고 경량화하며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10)는 몸통의 중심부인 제1 고정부재 바디(111), 제2 고정부재(120)와 연결 역할은 하는 제1 결합부(112), 제1 고정부재 바디(111)와 고임목(200)을 연결하는 고임목 연결부(113) 및 제1 고정부재(110)을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손잡이(114)로 구성된다.
제2 고정부재(120)는 몸통의 중심부인 제2 고정부재 바디(121), 제1 고정부재(110)내 제1 결합부(112)가 삽입되어 제1 고정부재와 직접 만나는 제2 결합부(122), 제2 고정부재 바디(121)와 덮개부(125)를 연결하는 덮개 연결부(123), 제2 고정부재(110)을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손잡이(124) 및 덮개부(125)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5)는 제2 고정부재의 말단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덮개 연결부(123)가 제2 고정부재 바디(121)와 덮개부(125)를 연결해 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5)는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10)에 장착되어 고정될 때, 고임목(200)의 반대쪽 위치에서 차량의 바퀴(10)에 부착되어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고임목 연결부(113)와 덮개 연결부(123)는 바퀴(10)와 직접 맞닿는 고임목(200)과 덮개부(125)로부터 각각 제1 고정부재 바디(111)와 제2 고정부재 바디(121)를 바퀴(10)로부터 이격시켜 바퀴(10)와 부적절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 바디(111)는 일단이 돌출되어 있는 제1 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제2 고정부재 바디(121)는 중공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결합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고정부재 바디(111)의 외측면에는 제1 손잡이(114)이 구비되고, 제2 고정부재 바디(121)의 외측면에는 제2 손잡이(124)가 구비된다.
돌출되어 있는 제1 결합부(112)는 중공의 형상인 제2 결합부(122)에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를 슬라이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부재(10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114)와 제2 손잡이(124)를 이용하여,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00)의 길이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12)가 제2 결합부(122)에 삽입이나 추출되는 경우 공기배출을 원할하게 하여 삽입, 추출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공기빼기 홀(126)을 둘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빼기 홀(126)은 제2 고정부재 바디(121)의 저면에 위치한다.
이 때,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22)가 연결되는 부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가 길이방향으로 멀어 진 후 복귀시키는 데 탄성력을 부여하여, 용이하게 길이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 바디(111)와 제2 고정부재 바디(121)의 외측면에 반사판을 부착하여,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바퀴(10)에 장착되어 설치되었을 때, 작업자들이 설치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 바디(111)와 제2 고정부재 바디(121)의 외측면에 LED전구를 내장하여 야간작업시 설치여부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의 바퀴와 맞닿는 고임목(200)의 일측면을 고임목 안쪽면(210)이라 지칭한다. 또한, 고임목(200)이 설치되어 지면과 맞닿는 고임목(200)의 일측면을 고임목 제1 저면(211), 이와 반대면을 고임목 제2 저면(212)이라 지칭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왼쪽바퀴에 장착되는 모습이고, 이 때 고임목 제1 저면(211)이 지면에 닿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가 차량의 오른쪽 바퀴에 장착되면 이 때에는 고임목 제2 저면(212)이 지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고임목 제1 저면(211)과 고임목 제2 저면(212)은 바퀴의 방향에 따라 지면에 접촉여부가 달라지게 된다.
고임목 제1 저면(211)과 고임목 제2 저면(212)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지면과 접촉시 마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임목 안쪽면(210)은 돌기를 형성하여 바퀴와 밀착이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5)도 차량의 바퀴(10)와 접촉하는 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바퀴와 밀착이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임목(200)은 고임목 연결부(113)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고임목(200)이 손상되었을 경우 교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5)는 덮개 연결부(123)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덮개부(125)가 손상되거나 차량의 바퀴(10)의 크기에 따라서 곡률이 맞는 덮개부(125)를 선택하여 교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바퀴
100: 고정부재
110: 제1 고정부재
111: 제1 고정부재 바디
112: 제1 결합부
113: 고임목 연결부
114: 제1 손잡이
120: 제2 고정부재
121: 제2 고정부재 바디
122: 제2 결합부
123: 덮개 연결부
124: 제2 손잡이
125: 덮개부
126: 공기빼기 홀
200: 고임목
210: 고임목 안쪽면
211: 고임목 제1 저면
212: 고임목 제2 저면

Claims (10)

  1. 고임목;
    상기 고임목을 차량의 바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고임목과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차량의 바퀴 외면에 부착되는 덮개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 바디;
    상기 제1 고정부재 바디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고임목과 결합되는 고임목 연결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바디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를 포함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제2 고정부재 바디;
    상기 제2 고정부재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덮개 연결부;
    를 포함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외측면에 반사판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은 상기 차량의 바퀴와 맞닿으며 경사면을 형성하는 고임목 안쪽면;
    을 포함하며,
    상기 고임목 안쪽면은 돌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면에 돌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바디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KR1020220104222A 2022-08-19 2022-08-19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KR20240025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22A KR20240025961A (ko) 2022-08-19 2022-08-19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22A KR20240025961A (ko) 2022-08-19 2022-08-19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961A true KR20240025961A (ko) 2024-02-27

Family

ID=9005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222A KR20240025961A (ko) 2022-08-19 2022-08-19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9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208B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의 결합구조물
US5318087A (en) Snow chain device for a motor vehicle tire
KR20240025961A (ko) 고정부재를 이용한 바퀴체결형 고임목 장치
KR200414365Y1 (ko) 휴대용 차량 바퀴 받침대
US9624067B1 (en) Guide member for guiding longitudinal flexible members around a wheel
US20050110266A1 (en) Mud flap holder system
US6681657B2 (en) System for installing chains on vehicle tires
US20160280318A1 (en) Brake for bicycle
US2679405A (en) Combination pushing and towing device
US6263554B1 (en) System for installing chains on vehicle tires
KR20060007565A (ko) 차량의 클립 타입 스노우 체인
CN210082846U (zh) 拖挂车辆用拖挂装置
SE0200540L (sv) Ingrepps- och lyftanordning till dragfordon för flygplan samt kopplingsanordning för en sådan ingrepps- och lyftanordning
CN110758255A (zh) 侧踏杠及汽车
CN109398283A (zh) 车辆的后下部防护装置以及车辆
US2293650A (en) Tire chain tool
US20010027596A1 (en) System for installing chains on vehicle tires
US20040060778A1 (en) Brake device for cycles having spring supporting seat
US2433567A (en) Emergency tire chain for trucks
CN210941557U (zh) 侧踏杠及汽车
KR20070115391A (ko) 지게차 적재물 이탈 방지 장치
US20130334792A1 (en) Device for securing a hitch sleeve to a hitch
US5040302A (en) Hitch alignment means
KR200249499Y1 (ko) 구즈넥 트레일러용 록킹 핀
US6843442B2 (en) Simple windlass tool assemb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