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667A - 커팅 휠 - Google Patents

커팅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667A
KR20240025667A KR1020247002965A KR20247002965A KR20240025667A KR 20240025667 A KR20240025667 A KR 20240025667A KR 1020247002965 A KR1020247002965 A KR 1020247002965A KR 20247002965 A KR20247002965 A KR 20247002965A KR 20240025667 A KR20240025667 A KR 2024002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oth
cutting wheel
wheel
tooth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허브
세바스티안 소이에르
Original Assignee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21191256.3A external-priority patent/EP4134488B1/d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2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66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2Component parts
    • E02F3/24Digging wheels; Digging elements of wheels; Drives for wheels
    • E02F3/241Digging wheels; Digging elements of wheels; Drives for wheels digging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66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for rotating digg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형상의 허브를 갖는 다이어프램 벽 커터용 커팅 휠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는 치형 홀더가 배치되고, 상기 치형 홀더에는 커팅 치형이 토양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해제 가능하게 홀딩되고, 상기 커팅 치형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팅 요소를 구비하는 치형 헤드와 치형 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착 도구가 회전 방향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팅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형 홀더의 단부 면에 부착되고, 상기 단부 면이 상기 커팅 휠의 회전 방향으로 배향되고, 커팅 요소가 상기 커팅 치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커팅 휠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드럼 형상의 허브를 갖는 다이어프램 벽 커터(diaphragm wall cutter)의 커팅 휠에 관한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치형 홀더들(tooth holders)이 마련되고, 상기 치형 홀더에는 토양 물질 제거를 위해 커팅 치형(cutting teeth)이 탈착 가능하게 홀딩되고, 상기 커팅 치형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팅 요소를 갖는 치형 헤드(tooth head)와 치형 베이스(tooth base)를 구비한다.
일반적인 커팅 휠(cutting wheel)은 예를 들어 EP 2 685 007 A1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지된 커팅 휠은 여러 개의 주변 열(peripheral row)을 따라 환형의 세그먼트형 치형 홀더(annular segment-like tooth holders)를 가지며, 이들은 서로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드럼형 허브에 부착된다. 이 경우 각 곡선형 치형 홀더는 서로 다르게 위치하는 복수의 제거 치형(removal tooth)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별 제거 치형은 개별 제거 치형의 커팅 몸체로 현장에서 가능한 한 넓은 지면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치형 홀더에 대해 서로 다른 정도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토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EP 2 685 007 A1에 따른 커팅 휠에는 치형 홀더들을 구비하는 총 6개의 주변 열(peripheral rows)이 제공되며, 각 경우에 복수의 치형이 배열되어 있다. 점토(clay)나 양토(loam)와 같은 점착성 토양이 있는 토양층을 이러한 유형의 커팅 휠로 작업하면 점착성 토양 물질이 구부러진 치형 홀더에 달라붙어 치형 사이의 공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팅 휠이 전체적으로 막히게 되어 커팅 중 제거율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막힌 커팅 휠은 오히려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어 정확한 위치에 커팅 슬롯(cutting slot)을 생성하기 어렵게 한다.
커팅 프레임의 아래쪽에 있는 치형 홀더 사이의 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어링 플레이트(clearing plates)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플레이트는 틈에서 빗형 방식(comb-like manner)으로 결합되어 치형 홀더로부터 부착된 물질을 제거한다. 부착되는 토양 물질이 암석 물질과 혼합되면 치형 홀더와 스페이스 플레이트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EP 1 780 375 B1에는 커팅 휠의 홀더에 수용되기 위한 치형 베이스와 주 커팅 요소가 있는 치형 헤드를 포함하는 커팅 치형이 개시되어 있다. 핀 모양의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후커팅 요소(post-cutting elements)가 치형 베이스 영역에서 커팅 방향의 뒤쪽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이러한 커팅 에지에 의해 더 단단한 토양 지질도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토양층(지층)이 있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커팅(cutting)을 가능하게 하는 다이어프램 벽 커터(diaphragm wall cutter)의 커팅 휠(cutting wheel)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커팅 휠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 휠(cutting wheel)은 부착 도구(attachment tool)가 회전 방향으로 배향되고 커팅 치형(cutting tooth)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팅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치형 홀더의 단부 면(end face)에 부착되며, 상기 단부면은 커팅 휠의 회전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기존의 치형 홀더에 추가하여 치형 홀더의 단부 면(end face)에 회전 방향으로 배향된 부착 도구를 배치하는 것이다. 상류의 부착 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커팅 요소를 갖도록 설계되어, 빗형 클리어링 플레이트(comb-like clearing plates)를 통과할 때 클리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단단한 물질, 특히 부러지거나 산산조각날 수 있는 특히 막힌 암석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도구는 치형 홀더 및 클리어링 플레이트에 대한 손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특히 암석 물질, 예를 들어 자갈과 혼합된 점착성 토양 물질의 경우에서, 커팅 휠의 회전이 개선되고 더 쉬워질 수 있다. 제2 커팅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커팅 에지(cutting edge) 또는 커팅 팁(cutting ti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도구는 파쇄 도구, 조각 도구 및/또는 커팅 도구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부착 도구가 치형 홀더의 단부 면에 용접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부착 도구를 특히 간단하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도구의 용접은 원칙적으로 분리 가능한 고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용접 연결은 예를 들어 절단 그라인더 또는 용접 토치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부착 도구를 용접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쉽게 마모된 부착 도구를 교체하고, 새로운 부착 도구를 다시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전에 따르면, 치형 홀더의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리셉터클은 제2 커팅 요소와 함께 부착 도구를 수용하고 분리 가능하게 유지(홀딩)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리셉터클은 치형 또는 치즐 생크(chisel shank)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형 칼로트(sleeve-like calotte), 제2 커팅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수용 포켓 또는 U자형 홀더일 수 있다. 삽입 위치 또는 수용 위치에서는 하나 이상의 잠금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볼트는 소위 클램핑 슬리브, 특히 슬롯을 포함하는 슬리브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제2 커팅 요소는 제1 커팅 요소의 대략 반경 방향 높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커팅 요소가 회전 방향으로 제1 커팅 요소 이전에 치형 홀더에 배열되고, 제1 커팅 요소의 반경 방향 아래에 또는 동일한 반경 방향 높이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는 특히 클리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붙어 있는 돌의 양호한 파손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치형 홀더가 특히 손상으로부터 방지되고 보호된다. 이러한 반경 방향 배열은 커팅 휠의 회전 축과 관련되며, 여기서 제2 커팅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더 외부에 있는 제1 커팅요소보다 커팅 휠의 회전 축으로부터 더 작은 반경 방향 거리에 있다. 회전 방향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커팅 휠의 기존 구동 회전 방향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커팅 요소는 제2 커팅 요소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갖는 제거 치형(removal tooth)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팅 에지는 선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 에지를 사용하면 치형 홀더 바로 앞에서 암석 물질을 의도적으로 절단하거나 부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제2 커팅 요소가 제2 커팅 요소 상에 커팅 팁(cutting tip)을 갖는 둥근 생크 치즐(round-shank chisel)로서 설계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커팅 팁은 실질적으로 점 모양으로(punctiform) 설계되며, 이는 특히 단단한 암석 재료를 부수고 분쇄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둥근 생크 치즐은 조각 도구의 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치형 홀더의 단부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바(attachment bar)를 갖는 부착 도구(attachment tool)로 구성된다. 이 경우, 부착 바는 바람직하게는 치형 홀더의 전체 전방 에지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부착 바는 제2 커팅 요소용 리셉터클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그 자체가 제2 커팅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팅 요소가 경질 재료, 특히 경화 커팅 강(hardened cutting steel), 소결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히 내마모성이 뛰어난 실시예가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팅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팅 요소는 이러한 종류의 경질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경질 재료는 기존의 건설용 강재나 기계 강(machine steel)으로 제작된 치형 홀더나 커팅 휠의 다른 부품보다 경도와 내마모성이 더 높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절단 요소는 전체적으로 경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그 부분, 특히 적어도 하나의 커팅 에지 또는 커팅 팁을 포함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커팅 요소의 베이스 또는 생크는 일반 비경화 강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변형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치형 홀더가 나란히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통 부착 도구(common attachment tool)가 적어도 두 개의 치형 홀더의 단부 면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특히 효율적으로 설계된 커팅 휠이 달성된다. 이 경우, 나란하게 배열된 두 개의 치형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작은 거리를 두고 이중 치형 홀더 또는 다중 치형 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치형 홀더는 전방 측에서 상응하게 두 배 또는 다중 폭을 갖는다. 전면이 넓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커팅 휠의 우수한 회전성은 상류 부착 도구(upstream attachment tool)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특히 바 형태로 설계될 때 부착 도구는 나란히 배치된 둘 이상의, 특히 판형 치형 홀더 사이의 조인트 갭(joint gap)을 덮을 수 있으며, 이런 종류는 특히 손상을 방지하고 보호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팅 휠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커팅 장치는 커팅 프레임의 아래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두 쌍의 커팅 휠을 포함한다. 이 경우, 커팅 휠의 각 쌍은 판형 베어링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고, 각 경우에 동축 회전축을 갖는 커팅 휠은 판형 베어링 플레이트의 각 측면에 배열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동 가능하다. 커팅 장치는 특히 지지대 또는 다이어프램 벽을 위해 지면에 커팅 슬릿을 형성하기 위한 다이어프램 벽 커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커팅 장치는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막대에 의해 운반 장치를 통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절단된 토양 물질은 커팅 슬릿 밖으로 운반될 수 있고/있거나 지지 현탁액 및/또는 경화 가능한 덩어리가 해당 운반 장치를 통해 커팅 슬롯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커팅 프레임의 아래쪽에 클리어링 플레이트들이 배열되는 점에 있으며, 이 플레이트들은 커팅 휠 상의 치형 홀더 영역으로 돌출하고 부착되는 토양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치형 홀더 사이의 간격을 클리어링하도록 설계되며, 커팅 휠이 회전할 때 클리어링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한 암석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킹 도구(breaking tool)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이 경우, 커팅(절단) 휠은 주변부에 배열된 복수의 치형 홀더를 포함하며, 이 홀더들은 회전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격된 도구 홀더 열(tool holder rows)에 배열될 수 있다. 클리어링 플레이트는 커팅 장치의 커팅 프레임의 아래쪽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치형 홀더 열 사이의 틈에 빗형(comb-like)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이 틈에 토양 물질이 없도록 유지된다. 암석 물질이 빗형 방식으로 배열된 클리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침전되거나 막히는 경우, 상기 침전된 암석 물질은 치형 홀더 상류에 배치된 부착 도구에 의해 파쇄되거나 부서져 효율적인 커팅 작업이 보장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 휠을 갖춘 다이어프램 벽 커터의 하부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커팅 휠을 갖춘 다이어프램 벽 커터의 하부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 휠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팅 휠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커팅 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팅 치형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 치형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팅 치형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팅 치형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경우 커팅 치형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커팅 치형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따른 절단 치형 홀더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4 내지 도 16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경우 커팅 치형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커팅 치형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19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8 내지 도 20에 따른 커팅 치형 홀더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 벽 커터(10)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단지 하나의 커팅 휠(30)을 갖는 다이어프램 벽 커터(14)의 하부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이어프램 벽 커터(10)에는 총 4개의 커팅 휠(30)이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2 개가 베어링 축(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플레이트(20)의 양쪽에 한 쌍의 커팅 휠로서 장착된다.
두 쌍의 커팅 휠(30) 사이에, 다수의 흡입 개구(16)를 갖는 상자형 흡입 노즐(14)이 주변 현탁액과 함께 분쇄된 토양 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커팅 프레임(12)의 아래쪽에 배열된다. 흡입용 펌프(도시되지 않음)는 흡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플랜지(18)에 장착된다. 부착된 토양 물질을 벗겨내기 위해 커팅 치형(50)들과 치형 홀더(40)들 사이의 갭(gaps)에 적용하는 추가 클리어링 플레이트(26)가 커팅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 휠(30)의 구조는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커팅 휠(30)은 드럼형 허브(32)를 가지며, 그 외주에는 커팅 치형(50)을 포함하는 치형 홀더(40)들이 주변 열(peripheral rows)을 이루면서 배열된다.
일반(normal) 치형 홀더(40) 외에, 힌지형(hinged) 치형(70)을 위한 피벗 베어링(80)이 내측 주변 열(inner peripheral row)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베어링 플레이트(20)를 향한다. 허브(32)의 타단에 있는 외측 주변 열(outer peripheral row)에는 개별 치형 홀더(40)가 반경 방향 평면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커팅 휠(3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T자형 치형 헤드(60)를 갖는 커팅 치형(50)을 수용하기 위한 치형 홀더(40)의 바람직하기로는 이중 배열을 갖는 2개의 중앙 주변 열(central peripheral rows)이 내측 주변 열과 외측 주변 열 사이에 배열된다. 치형 홀더(40)들과 커팅 치형(50)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술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커팅 휠(30)에서는, 2개의 이중 치형 홀더(40)가 2개의 중앙 주변 열 각각에 배열되고, 동일한 주변 열에서 180° 오프셋된다. 제1 중앙 주변 열에 대해, 치형 홀더(40)들은 차례로 배열되어 제2 중앙 주변 열에 대해 90° 오프셋되도록 배열되어, 이웃하는 주변 열의 개별 치형 홀더(40)들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있도록 배열된다.
총 4개의 경사진 치형 홀더(40)가 외측 주변 열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열된다. 베어링 플레이트(20)를 향하는 내측 주변 열에는 두 개의 힌지형 치형(70)이 서로 180°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두 개의 이중(double) 치형 홀더(40)도 내측 주변 열에 90° 오프셋되어 배열되며, 서로에 대해서도 180° 오프셋된다.
상기 이중 치형 홀더 배열은 각각 2개의 판형 치형 홀더(40)들을 구비하고, 이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이웃하며, 커팅 휠(30)의 회전 방향에서 부착 도구들의 상류에 위치하며, 부착 도구들은 토양 물질이 두 개의 인접한 치형 홀더(40) 사이의 조인트(joint)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 요소(46)로 지칭되는 경사진 반발 요소를 구비하는 부착 도구(90)로 설계된다.
커팅 치형(50)들을 수용하기 위해, 각 경우에 U자형 리세스(41)가 치형 홀더(4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리세스에는 커팅 치형(50)이 직접 또는 U자형 인서트(42)를 통해 홀딩된다. 따라서, 판형 치형 홀더(40)들은 외측 주변 열에서와 같이 단일 배열로 또는 두 개의 중앙 주변 열에서와 같이 이중 배열로 커팅 휠(30)의 허브(3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도구(90)를 포함하는 치형 홀더(40)의 이중 배열은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다음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개별 치형 홀더(40)는 판형으로 설계되고 그 아래쪽에는 커팅 휠(30)의 허브(32) 외주에 용접하기 위한 아치형 에지(arcuate edge)가 있다. 또한, U자형 리세스(41)가 제공되어 그 안에서 커팅 치형(50)의 치형 베이스(52)가 방사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텅 앤 그루브 조인트(tongue and groove joint)를 형성한다. 고정을 위해 고정 핀(fastening pin)은 커팅 치형(50)의 치형 베이스(52)에 있는 관통 구멍(53)을 통해 가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핀에 의해 삽입된 커팅 치형(50)은 형상 맞춤 및 강제 피팅 방식으로 치형 홀더(40)에 고정된다. 이 고정 핀은 특히 일정한 조임력으로 관통 구멍(53)에 고정되는 슬롯형 슬리브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큰 힘을 흡수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판형 치형 홀더(40)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치형 홀더(40)는 추가로 나사 고정이나 용접점(weld points)을 통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치형 홀더(40)의 상기 이중 배열에서, 2개의 대응하는 치형 베이스(52)를 갖는 단일 커팅 치형(50), 또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용접될 수도 있고 각각 단일 치형 베이스(52)를 포함하는 2개의 개별 커팅 치형(50)이 삽입될 수 있으며, 함께 모여 완전한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커팅 치형(50)의 치아 헤드(60)에는 토양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커팅 요소(66)가 배열된다.
커팅 휠 허브(32) 및/또는 치형 홀더(40)에 용접된 바 형상의(bar-shaped) 부착 요소(46)를 포함하는 부착 도구(90)는, 커팅 휠(30)의 회전 방향으로 또는 커팅(절단) 방향으로 치형 홀더(40)의 이중 배열의 상류에 배열된다. 부착 도구(90)의 부착 요소(46)는 절단된 토양 물질이 인접한 두 개의 치형 홀더(40) 사이의 접합부(조인트)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이중 배열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더욱이, 부착 요소(46)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반발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면에 부딪힌 토양 물질이 치형 홀더(40) 주위에서 측 방향으로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치형 홀더(40)의 하중은 더욱 감소되고, 나아가서 다이어프램 벽 커터(10)의 흡입 노즐(14)의 흡입 개구(16)를 향해 또는 외측을 향해 절단된 토양 물질을 안내할 수 있다.
받침대형(pedestal-like) 리셉터클(92)이 막대형 부착 요소(46)의 상부 영역에 부착, 특히 용접될 수 있다. 브레이킹 도구(94)를 형성하기 위해 커팅 에지(97)를 구비하는 단일 제2 커팅 요소는 회전 방향을 향하는 리셉터클(92)의 전면에 홀딩된다. 이러한 제2 커팅 요소는 커팅 휠(30)의 회전 방향으로 제1 커팅 요소(66)의 상류에 있고 회전 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도구(90)를 포함하는 치형 홀더(40)의 추가 이중 배열은 도 10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치형 홀더(40), 커팅 치형(50) 및 부착 도구(90)의 기본 배열은, 도 6 내지 9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과 상응한다. 이와 달리, 받침대형 리셉터클(92)이 막대형 부착 요소(46)의 상부 영역에 부착된다. 커팅 에지(97)를 갖는 단일의 제2 커팅 요소를 포함하는 브레이킹 도구(94)가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을 향하는 리셉터클(92)의 상부 측에 유지(홀딩)된다. 제2 커팅 요소는 커팅 휠(30)의 회전 방향으로 제1 커팅 요소(66)의 상류에 있고 회전 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도구(90)를 갖는 치형 홀더(40)를 포함하는 추가 배열은 도 14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치형 홀더(40), 커팅 치형(50) 및 부착 도구의 기본 배열은 도 10 내지 도 13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에 대응한다. 이와 다르게, 커팅 에지(97)를 갖는 복수의, 특히 2개의 제2 커팅 요소가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향하는 리셉터클(92)의 상부 측에서 받침대형 리셉터클(92)에 유지(홀딩)된다. 나란히 위치하는 제2 커팅 요소는 커팅 휠(30)의 회전 방향으로 제1 커팅 요소(66)의 상류에 있고 회전 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도구(90)를 갖는 치형 홀더(40)를 포함하는 추가 배열은 도 18 내지 도 21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치형 홀더(40), 커팅 치형(50) 및 부착 도구의 기본 배열 도 10 내지 도 13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배열에 대응한다. 이와 다르게 슬리브형 또는 칼로트형(calotte-like) 리셉터클(92)이 부착 요소(46)에 부착된다. 상기 리셉터클(92)은 커팅 팁(cutting tip)(98)을 갖는 제2 커팅 요소로서의 둥근 생크 치즐(round-shank chisel)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 및 홀딩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커팅 팁(98)은 커팅 휠(30)의 회전 방향으로 제1 커팅 요소(66)의 상류에 있고 회전 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설정된다.
도 21에서는, 커팅 치형(50)은 제거되어 있으며, 커팅 치형(50)를 위한 치형 홀더(40)의 U자형 리세스(41)가 보인다.

Claims (12)

  1. 드럼형 허브(32)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형 허브의 외주면에는 치형 홀더(40)가 마련되고, 상기 치형 홀더에는 토양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커팅 치형(50)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벽 커터(10)의 커팅 휠에 있어서,
    상기 커팅 치형(50)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커팅 요소(66)를 갖는 치형 헤드(60)와 치형 베이스(52)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착 도구(90)가, 회전 방향으로 배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커팅 요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치형 홀더(40)의 단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커팅 휠(30)의 회전방향으로 배향되며, 상기 제2 커팅 요소는 상기 커팅 치형(5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도구(90)는 상기 치형 홀더(40)의 상기 단부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92)이 상기 치형 홀더(40)의 상기 단부면에 배열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제2 커팅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부착 도구(90)를 수용하고 분리 가능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팅 요소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커팅 요소(66) 앞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커팅 요소(66)의 반경 방향 아래에 또는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치형 홀더(4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팅 요소는 상기 제2 커팅 요소(96) 상의 적어도 하나의 커팅 에지(97)를 포함하는 제거 치형(removal tooth)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팅 요소는 상기 제2 커팅 요소(96) 상의 커팅 팁(98)을 갖는 둥근 생크 치즐(round-shank chise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도구(90)는 상기 치형 홀더(40)의 단부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요소(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요소(66) 중 적어도 하나는 경질 재료, 특히 경화 커팅 강(hardened cutting steel), 소결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치형 홀더(40)가 나란히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통 부착 도구(90)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치형 홀더(40)의 단부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도구(90)는 브레이킹 도구(breaking too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팅 휠(30)이 배열된 커팅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클리어링 플레이트가 커팅 프레임(12)의 아래쪽에 배열되며, 상기 클리어링 플레이트는 상기 커팅 휠(30) 상의 상기 치형 홀더(40) 영역으로 돌출되고, 부착하는 토양 물질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치형 홀더(40) 사이의 간격을 클리어링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팅 휠(30)이 회전할 때 상기 클리어링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암석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부착 도구(90)에 의해 파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디바이스.
KR1020247002965A 2021-08-13 2022-08-04 커팅 휠 KR20240025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91256.3 2021-08-13
EP21191256.3A EP4134488B1 (de) 2021-08-13 2021-08-13 Fräsrad
PCT/EP2022/071084 WO2023016809A1 (de) 2021-08-13 2022-07-27 Fräsrad
EPPCT/EP2022/071084 2022-07-27
PCT/EP2022/071954 WO2023016915A1 (de) 2021-08-13 2022-08-04 Fräsr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667A true KR20240025667A (ko) 2024-02-27

Family

ID=83113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024A KR20240021980A (ko) 2021-08-13 2022-07-27 밀링 휠
KR1020247002965A KR20240025667A (ko) 2021-08-13 2022-08-04 커팅 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024A KR20240021980A (ko) 2021-08-13 2022-07-27 밀링 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240021980A (ko)
CN (1) CN117693621A (ko)
WO (1) WO20230169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5002851D1 (de) 2005-10-25 2008-03-27 Bauer Maschinen Gmbh Fräszahn für ein Bodenbearbeitungsgerät
EP2597205B1 (de) * 2011-11-23 2014-04-30 BAUER Maschinen GmbH Fräsradanordnung
ES2532477T3 (es) 2012-07-10 2015-03-27 Bauer Maschinen Gmbh Rueda fresadora para una fresadora de zanjas
CN110158690B (zh) * 2019-05-16 2024-03-01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带有混合齿齿板的铣轮及双轮铣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6915A1 (de) 2023-02-16
KR20240021980A (ko) 2024-02-19
CN117693621A (zh)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0817B1 (en) Flighting and tool holder
US6523768B2 (en) Rotary mill having releasable wedge-lock tool insert holding system
KR101542841B1 (ko) 트렌치 커터용 커팅 휠
US8534766B2 (en) Indexable cutting tool system
US7634897B2 (en) Rotary cutting machine with replaceable cutting teeth
EP1038621B1 (en) Cutting tooth assembly
EP1330950B1 (en) Stump grinding apparatus
EP1379122B1 (en) Stump grinding wheel and cutting assemblies therefor
US4294319A (en) Cutter head for rotary percussion drills
US9394787B2 (en) Wear resistant insert for diamond abrasive cutter
US20200222999A1 (en) Rotating cutting assembly and cutting tooth for a rotating cutting assembly
US9382794B2 (en) Wear resistant insert for diamond abrasive cutter
KR20240025667A (ko) 커팅 휠
CA2588927C (en) Rotary cutting machine with replaceable cutting teeth
CA2088678C (en) Replaceable digging tooth with conical cutting inserts
CN117716091A (zh) 铣切轮
US20120062017A1 (en) Two piece tool holder assembly
AU2012268799A1 (en) Pick for earthworking machine
JPH11196610A (ja) 掘削用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