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234A -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 Google Patents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234A
KR20240025234A KR1020220103225A KR20220103225A KR20240025234A KR 20240025234 A KR20240025234 A KR 20240025234A KR 1020220103225 A KR1020220103225 A KR 1020220103225A KR 20220103225 A KR20220103225 A KR 20220103225A KR 20240025234 A KR20240025234 A KR 20240025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exposed
modular furniture
fastening
furni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아론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앤씨 filed Critical (주)제일피앤씨
Priority to KR102022010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234A/en
Publication of KR2024002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23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이 개시된다. 상기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수납공간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하여 조립이 가능한 모듈러 가구 프레임에 있어서,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설정 위치마다 수직으로 세워지고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바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직바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2개의 수평바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가 끼움되어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를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is disclosed. The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that can be assembled by set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is made of either a square tube or a circular tube, and is erected vertically at each setting pos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supported on the floor; A horizontal bar made of either a square pipe or a circular pipe and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bar; and a connecting member screwed to an inner corner of the vertical bar, protruding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two horizontal bars, and fitting the horizontal bar to connect and secure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Description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본 발명은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듈러 가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하는 조립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내측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간소화된 부품으로 가구의 프레임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객이 직접 손쉽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To be more specific, the assembled parts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constituting the frame of modular furniture can be assembled inside the frame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creating a simple design, aesthetics can be improved, and the furniture frame can be assembled using simplified parts, which can lower production costs. Customers, even if they are not skilled, can easily assemble the furniture themselves, providing convenience in assembly. It is about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일반적으로, 진열장 등의 철재 가구들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주로 각형 또는 원형의 형강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강을 이용한 프레임들은 수직바와 수평바를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하여 하중 또는 외력 등의 작용에 대해 저항하면서 형상을 유지한다.In general, the frames that make up the skeleton of steel furniture such as display cases mainly use square or circular section steel. Frames using such section steel arrange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in cross directions to protect against the action of load or external force. It maintains its shape while resisting.

이러한 프레임에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바와 수평바 사이의 결합을 위해 필수적으로 연결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조는 통상 용접방식, 볼팅결합방식 등 상호 연결하여 체결하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In such a frame, a connection structure is essentially required to connect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arranged in the cross direction, and various methods for connecting and fastening such a connection structure, such as a welding method or a bolting method, are generally used.

보통 철재 가구의 경우 볼팅결합방식이 주로 이용되는데, 수직바에 수평바를 교차되게 배치하고 연결부속을 수직바와 수평바에 접하도록 취부한 상태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 조립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steel furniture, the bolting method is mainly used. This method involves arranging horizontal bars across vertical bars, attaching the connecting parts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and then connecting and assembling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This is being used.

이때, 볼트 등의 체결수단은 수직바와 수평바 외측에서 볼트홀이 타공되고 내측방향으로 삽입하여 나사결합하는 경우가 많아 최종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경우 볼트 및 볼트홀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re often screwed together by drilling bolt holes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and inserting them inward. When the final assembly is completed, the bolts and bolt hol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creating a aesthetic aesthetic. There is a problem with dropping it.

이러한 경우, 볼트홀 및 볼트의 노출을 가리기 위해 별도의 캡이 끼워지거나 스티커가 부착되어 노출부위를 가리도록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제작단가가 상승함은 물론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조립시간이 오래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is case, a separate cap is inserted or a sticker is attached to cover the exposure of the bolt hole and bolt,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but also makes the assembly work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 종래에는 중공의 사각바에 프레스 홈을 형성하고, 프레스 홈을 통해 사각바 내부에 체결나사를 구비하여 체결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0839)'가 제안된 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press groove is formed in a hollow square bar, and a fastening screw is provided inside the square bar through the press groove to prevent the fastening screw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teel furniture frame and frame assembly (registered in Korea) Patent 10-2000839)' has been propos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는 수직, 수평 배치되는 사각바를 연결 및 조립하는 데 있어 작업자 혼자서 조립하기 어려운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인력이 필요하거나 많은 조립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steel furniture frames and frame assemblies have problems in that they require a lot of manpower or take a lot of assembly time because they have an assembly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assemble by a single worker in connecting and assembl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square bars.

즉, 고객이 직접 구매 후 조립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모듈러 가구로서 쉽게 형태를 변형하도록 분해 조립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for customers to purchase and assemble it themselves, and as modular furniture, it ha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o easily change its shape.

따라서, 조립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적인 심미성을 높이고, 간단한 구조로써 손쉽게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의 모듈러 가구 프레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modular furniture frame that improves design aesthetics by not exposing the assembled parts to the outside and has a simpl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by connecting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0839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00083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91463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99146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러 가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하는 조립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내측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간소화된 부품으로 가구의 프레임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객이 직접 손쉽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assembly parts connect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that make up the frame of modular furniture can be assembled inside the frame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creating a simpler design and enhancing aesthetics. Non-exposed modular assembled parts that can be raised and made to enable furniture frame assembly with simplified parts, which can lower production costs and provide convenience of assembly by allowing customers to easily assemble furniture themselves, even if they are not skilled. The goal is to provide furniture frame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수납공간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하여 조립이 가능한 모듈러 가구 프레임에 있어서,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설정 위치마다 수직으로 세워지고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바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직바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2개의 수평바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가 끼움되어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를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that can be assembled by set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space to suit the user's taste,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made of either square pipes or circular pipes, erected vertically at each set position and supported on the floor; A horizontal bar made of either a square pipe or a circular pipe and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bar; and a connecting member screwed to an inner corner of the vertical bar, protruding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two horizontal bars, and fitting the horizontal bar to connect and secure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수직바는, 모서리 4곳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1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직바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1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is made up of a first vertical bar that stands vertically at four corners a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in an 'ㄱ' shape, and the first vertical bar has one connecting member at the inner corner. A first fastening groove for screw coupling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수직바는, 모서리 4곳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1수직바; 및 상기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가 'T'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2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바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 제1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바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2개의 상기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 제2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includes a first vertical bar that stands vertically at four corners and the horizontal bars are connected in an 'ㄱ' shape; And a second vertical b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first vertical bar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in a 'T' shape, wherein the first vertical bar has one of the above bars at an inner corner. A first fastening groove is formed with a screw hole for screw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vertical bar has a second fastening groove with a screw hole for screwing the two connecting members at the inner corner. It can be.

또한, 상기 제1체결홈은, 내측 모서리 부분 한 곳에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이고, 상기 제2체결홈은, 내측 모서리 부분 두 곳에 각각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fastening groove may be in a form in which an amount equal to the volume of the triangular prism has been removed from one of the inner corners,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may be in a form in which the volume of the triangular prism has been removed from two inner corners.

또한, 상기 제1체결홈 및 상기 제2체결홈은, 제거된 부피 형상을 봤을 때, 밑면과 윗면이 정삼각형인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shape of the removed volume,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volume of a triangular prism whose bottom and top are equilateral triangles has been removed.

또한, 상기 수평바는, 내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양단이 끼움되는 제1수평바 및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양단이 끼움되는 제2수평바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제1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has a rail groove formed on one inner sid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horizontal bar in which both protruding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and a rail groove extending longitudinally on both sides. is formed, and the protruding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It may include either one of the second horizontal bars, or both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에 수용되고 중심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 및 상기 나사결합부 양측으로 직각되게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의 레일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crew engag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nd having a screw hole formed at the center to engage a screw; And 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that extends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both sides of the screw coupling part and is fitted into the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수평바의 레일홈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고정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crew fixing hole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to allow the screw to be fastened and fixed when the bar is fitted into the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연장부는, 종단면의 일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홈은, 상기 연장부의 종단면 일측의 곡면과 대응되게 내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may be curved, and the rail groove may have an inner surfac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또한, 상기 수직바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는, 양측단에 상기 삽입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가 연결 설치될 경우, 상기 삽입홀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ar further has insertion hole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horizontal bar further has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ends to protrud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holes, so that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re connected. When installed,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astened.

또한,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은, 상기 수직바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a corn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pping protrusion may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는, 외측의 상기 걸림돌기와 접하는 일측 부분에 형성된 체결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체결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체결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w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fix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hat contacts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fixing groove.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의 하부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ly at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횡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pping protrusion may have a diamond-shaped cross section.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는, 외측의 상기 걸림돌기와 접하는 일측 부분에 형성된 체결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홈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모서리 부분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w coupling par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fix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hat contacts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and a corner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fixing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은, 모듈러 가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하는 조립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내측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조립부품 및 조립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가리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고 추가적인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간소화된 부품으로 가구의 프레임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어 최종적으로 판매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객이 직접 손쉽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inside the frame so that the assembled parts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modular furnitur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ssembled parts and assembly parts are not exposed as in the past. Parts to cover exposed parts are unnecessary, additional work processes can be omitted, aesthetics can be enhanced by creating a simpler design,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lowered as the furniture frame can be assembled with simplified parts, resulting in a final result. This not only lowers the selling price, but also provides convenience in assembly as customers can easily assemble the furniture themselves, even if they are not ski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제1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2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바 및 연결부재의 사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being coupl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second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being coupl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 first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coupl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 second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coupl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vertical bar and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수납공간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하여 조립이 가능한 모듈러 가구 프레임으로서, 모듈러 가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하는 조립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내측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간소화된 부품으로 가구의 프레임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객이 직접 손쉽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that can be assembled by set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space to suit the user's taste. The vertical bar and horizontal bar that constitute the frame of the modular furniture are horizontal. The assembly parts connecting the bars can be assembled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creating a simpler design and enhancing aesthetics. The furniture frame can be assembled using simplified parts, which can lower production costs and require skilled personnel. This is about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of assembly by allowing customers to easily assemble the furniture themsel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제2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first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Figure 3 is a second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being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은, 크게 수직바(10), 수평바(20)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vertical bar 10, a horizontal bar 20, and a connecting member 30. .

먼저, 수직바(1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설정 위치마다 수직으로 세워지고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First, the vertical bar 10 is made of either a square pipe or a circular pipe made of metal,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at each set position and supported on the floor.

상기 수직바(1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일 수 있으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정 위치마다 수직으로 세워져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vertical bar 10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aluminum profile, and is a part that supports a load by standing vertically at each set position so that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floor.

이러한 상기 수직바(10)는 모서리 4곳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수직바(10a) 및 상기 제1수직바(10a)와 상기 제1수직바(10a) 사이에 배치되는 제2수직바(1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bar 10 includes a first vertical bar 10a standing vertically at four corners, and a second vertical bar 10b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bar 10a and the first vertical bar 10a. ) may include.

즉, 상기 제1수직바(10a)는 모서리 4곳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수평바(20) 2개가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수직바(10b)는 상기 제1수직바(10a)와 상기 제1수직바(10a)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20) 3개가 'T'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That is, the first vertical bar 10a is erected vertically at four corners and is a part where two horizontal bars 20 are connected in an 'L' shape, and the second vertical bar 10b is the first vertical bar 10b. It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bar 10a and the first vertical bar 10a, and is a part where the three horizontal bars 20 are connected in a 'T' shape.

예를 들어, 하나의 구획된 공간 또는 비교적 작은 수납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가구일 경우에는 모서리 4곳에 제1수직바(10a)만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2곳의 구획된공간 또는 비교적 큰 수납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가구일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4곳의 모서리에 설치된 제1수직바(10a) 사이에 제2수직바(10b)가 더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urniture to form one partitioned space or a relatively small storage space, only the first vertical bar 10a can be installed at four corners, and at least two partitioned spaces or relatively large storage spaces can be installed. In the case of furniture to constitute a second vertical bar (10b)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bars (10a) installed at four corners.

여기서, 상기 제1수직바(10a)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30)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 제1체결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바(10b)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2개의 상기 연결부재(30)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 제2체결홈(12)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vertical bar (10a) has a first fastening groove (11) formed at an inner corner with a screw hole for screwing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30), and the second vertical bar (10b) ) may be formed at the inner edge of a second fastening groove 12 having a screw hole for screwing the two connecting members 30.

상기 제1체결홈(11)과 상기 제2체결홈(12)은 후술하는 연결부재(30)가 일부 수용되어 연결부재(30)가 체결되기 위한 공간 및 설치면을 제공하는 부분이다.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are parts that partially accommodate the connecting memb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 a space and installation surface for fastening the connecting member 30.

상기 제1체결홈(11)은 내측 모서리 부분 한 곳에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이고, 상기 제2체결홈(12)은 내측 모서리 부분 두 곳에 각각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may be in a form where the volume of a triangular prism has been removed from one of the inner corners,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may be in a form where the volume of a triangular prism has been removed from two inner corners. .

즉, 상기 제1체결홈(11) 및 상기 제2체결홈(12)은 제거된 부피 형상을 봤을 때, 밑면과 윗면이 정삼각형인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looking at the shape of the removed volume,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volume of the triangular prism whose bottom and top are equilateral triangles has been removed.

상기 설명한 상기 제1체결홈(11)과 상기 제2체결홈(12)은 각관 형태의 수직바(10)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일 뿐이고, 이외에 원형관일 경우에는 모서리가 아닌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described above are explained by taking the case of a vertical bar 10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as an example, and this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ircular pipe 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any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ather than a corner.

한편, 상기 수직바(10) 상부에는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감하기 위해 체결되는 마감부재(16)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바(10) 하부에는 나사결합 방식을 통해 가구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finishing member 16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bar 10 to prevent the inside from being visible, and the height of the furniture may be finely adjus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bar 10 through a screw connection method. A height adjustment member 17 may be further provided for adjustment.

다음으로, 수평바(2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바(10)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부분이다.Next, the horizontal bar 20 is made of either a square pipe or a circular pipe made of metal, and is a part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right angle.

상기 수평바(2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일 수 있으며,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판(1)을 지지하며, 수직바(10)와 수직바(10) 사이를 연결하여 수직바(1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horizontal bar 20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aluminum profile, is arranged horizontally to support the top plate 1, and connects the vertical bar 10 to the vertical bar 10. ) to maintain an upright position.

이러한 상기 수평바(20)는 내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레일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2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돌출된 양단이 끼움되는 제1수평바(20a) 및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레일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21)에 상기 연결부재(30)의 돌출된 양단이 끼움되는 제2수평바(20b)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제1수평바(20a)와 상기 제2수평바(20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bar 20 has a rail groove 21 formed on one inner sid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horizontal bar in which both protruding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re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21. (20a) and a second horizontal bar (20b) in which rail grooves 21 are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both protruding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21.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both the first horizontal bar (20a)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20b).

예를 들어, 상기 제1수평바(20a)는 모서리 4곳에 설치되는 제1수직바(10a)와 제1수직바(10b)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수평바(20b)는 제2수직바(10b)와 제2수직바(10b)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분이다.For example, the first horizontal bar (20a) is a part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vertical bar (10a) and the first vertical bar (10b) installed at four corners,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20b) is a part installed to connect the second vertical bar (10b) to the second vertical bar (10b).

이에 따라, 상기 제1수평바(20a)에는 하나의 연결부재(30)가 설치됨에 따라 내부 일측면에만 레일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바(20b)에는 2개의 연결부재(30)가 설치됨에 따라 양측에 모두 레일홈(21)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one connecting member 30 is installed on the first horizontal bar 20a, a rail groove 21 is formed only on one inner side, and two connecting members are formed on the second horizontal bar 20b ( As 30) is installed, rail grooves 21 can be formed on both sides.

한편, 상기 수평바(20)의 레일홈(21)에는 상판(1)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24)는 상기 레일홈(21)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판(1)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수단(예: 피스, 나사, 볼트 등)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ail groove 21 of the horizontal bar 2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24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1, and the support member 24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rail groove 21. It can move freely, and a hole can be formed for a fastening means (eg, piece, screw, bolt, etc.) to pass through to fix the top plate 1.

마지막으로, 연결부재(30)는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바(1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2개의 수평바(20)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20)가 끼움되어 상기 수직바(10)와 상기 수평바(20)를 연결 고정시키는 부분이다.Finally, the connecting member 30 is screwed to the inner edge of the vertical bar 10 so as not to be exposed from the outside, and protrudes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two horizontal bars 20 so that the horizontal bars 20 are inserted. It is a part that connects and fixes the vertical bar 10 and the horizontal bar 20.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수직바(10)의 상기 제1체결홈(11)과 상기 제2체결홈(12)에 수용되고 중심에 나사홀(31a)이 형성되어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31) 및 상기 나사결합부(31) 양측으로 직각되게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20)의 레일홈(21)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of the vertical bar 10, and a screw hole 31a is formed at the center to engage the screw. 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32 that extends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both sides of the part 31 and the screw engaging part 31 and is fitted into the rail groove 21 of the horizontal bar 20.

이처럼,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나사결합부(31)가 상기 제1체결홈(11) 또는 상기 제2체결홈(12)에 수용된 상태에서 나사홀(31a)에 나사가 결합되어 수직바(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의 연장부(32)는 각각 수평바(20)의 레일홈(21)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직부(10)와 수직부(10) 양측의 수평바(20)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connecting member 30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31a while the screw engaging portion 31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or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thereby forming a vertical bar. In a state fixed to (10), the extension portions 32 on both side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s 21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the vertical portion 10 and the horizontal bars 20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1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s 21 of the horizontal bar 20. ) can becom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연장부(32)에는 상기 수평바(20)의 레일홈(2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고정홀(3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32 may further be formed with a screw fixing hole 32a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screw while being fitted into the rail groove 21 of the horizontal bar 20.

이에 따라, 상기 나사고정홀(32a)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레일홈(21)에 삽입된 연장부(32)는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screw fixing hole 32a and fixed, the extension part 32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21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한편, 상기 연장부(32)는 종단면의 일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외측곡면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21)은 상기 연장부(32)의 종단면 일측의 상기 외측곡면부(33) 형상과 대응되게 내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곡면부(22)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nsion portion 32 is formed with an outer curved portion 33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the rail groov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32. An inner curved portion 22 whose inner surface is curv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may be formed.

이를 통해, 상기 내측곡면부(22)가 형성된 레일홈(21)에 외측곡면부(33)가 형성된 연장부(32)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호간 접촉면적을 크게할 수 있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extension part 32 having the outer curved part 33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21 having the inner curved part 22 formed, and the mutual contact area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It become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수직바와 수평바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모습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 first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nnection member through a connection member, and Figure 6 is a second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onnection member.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showing how it is joined together.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제1수직바(10a)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제2수직바(10b)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first vertical bar (10a), and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of the second vertical bar (10b).

상기 수직바(10)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삽입홀(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20)는, 양측단에 상기 삽입홀(13)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3)가 더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10)와 상기 수평바(20)가 연결 설치될 경우, 상기 삽입홀(13)에 상기 체결돌기(23)가 삽입되어 체결되어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vertical bar 10 further has insertion holes 13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horizontal bar 20 has fastening protrusions 23 protruding from both end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holes 13. is further formed, so that when the vertical bar 10 and the horizontal bar 20 are connected and installed, the fasten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 and fastened to improve fastening force.

즉, 상기 수직부(10)와 상기 수평부(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0)를 통해 상호간 연결되되되, 추가적으로 상기 삽입홀(13)에 상기 체결돌기(23)가 삽입됨으로써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vertical portion 10 and the horizontal portion 20 are ba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additionally, the fastening protrusion 2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It is something that can be improved.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바 및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vertical bar and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홈(11)과 상기 제2체결홈(12)은 상기 수직바(10)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4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at a corner of the vertical bar 10. .

상기 걸림돌기(14)는 상기 수직바(10)의 상기 제1체결홈(11) 및 상기 제2체결홈(12)에 연결부재(30)가 취부되는 데 있어, 연결부재(30)의 나사결합부(31)에 나사결합을 하기 이전에 임시로 연결부재(30)를 수직바(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locking protrusion 14 is used to attach the connecting member 30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of the vertical bar 10, and is used as a screw of the connecting member 30. It serves to temporarily fix the connecting member 30 to the vertical bar 10 before screwing it to the coupling portion 31, and is intended to provide convenience in work.

즉, 상기 제1체결홈(11) 및 상기 제2체결홈(12) 개방된 일측부분을 통해 연결부재(30)를 삽입하면 상기 걸림돌기(14)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제1체결홈(11) 및 상기 제2체결홈(12)으로부터 분리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나사결합부(31)의 나사홀(31a)에 나사를 결합하지 않더라도 임시적으로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onnecting member 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on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the connect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4 by the locking protrusion 14. The fixed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so that it can be temporarily fixed even if the screw is not connected to the screw hole (31a)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31). This makes it possible to shorten assembly time and provide convenience in work.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14)는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홈(11)과 상기 제2체결홈(12)의 하부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체결홈(11)과 상기 제2체결홈(12)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모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14 may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only at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Of course, both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나사결합부(31)는 외측의 상기 걸림돌기(14)와 접하는 일측 부분에 형성된 체결고정홈(3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림돌기(14)는 상기 체결고정홈(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체결고정돌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nother embodiment, the screw engaging portion 31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fixing groove 34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14, and the locking protrusion (14) 14)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fixing protrusion 15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fixing groove 34.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돌기(14')는 횡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another embodiment, the stopping protrusion 14' may have a diamond-shaped cross section.

즉, 상기 걸림돌기(14')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져 돌출된 내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연결부재(30)의 나사결합부(31) 일측과 접촉되도록 접하게 되면서 상기 연결부재(30)가 상기 수직바(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topping protrusion 14' is formed in a diamond shape so that the protruding inner edge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crew engaging portion 31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 10) can be temporarily fix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나사결합부(31)는 외측의 상기 걸림돌기(14')와 접하는 일측 부분에 형성된 체결고정홈(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홈(34')에는 상기 걸림돌기(14')의 모서리 부분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screw engaging portion 31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fixing groove 34'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14', and the fastening fixing groove 34' has The corner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4' may be locked.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은, 모듈러 가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와 수평바를 연결하는 조립부품(연결부재, 나사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내측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조립부품 및 조립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가리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고 추가적인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간소화된 부품으로 가구의 프레임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어 최종적으로 판매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고객이 직접 손쉽게 가구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ed parts (connecting members, screws, etc.)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modular furniture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assemble inside the frame to prevent exposure, so there is no need for assembly parts and parts to cover exposed assembly areas as in the past, and additional work processes can be omitted. Aesthetics can be improved by creating a simpler design, and simplified parts. It is manufactured to enable furniture frame assembly, which lowers the manufacturing cost and ultimately lowers the selling price.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assembly as customers can easily assemble the furniture themselves, even if they are not skilled. will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 상판 10: 수직바
10a: 제1수직바 10b: 제2수직바
11: 제1체결홈 12: 제2체결홈
13: 삽입홀 14, 14': 걸림돌기
15: 체결고정돌기 16: 마감부재
17: 높이조절부재 20: 수평바
20a: 제1수평바 20b: 제2수평바
21: 레일홈 22: 내측곡면부
23: 체결돌기 24: 받침부재
30: 연결부재 31: 나사결합부
31a: 나사홀 32: 연장부
32a: 나사고정홀 33: 외측곡면부
34, 34': 체결고정홈
1: Top plate 10: Vertical bar
10a: first vertical bar 10b: second vertical bar
11: first fastening groove 12: second fastening groove
13: Insertion hole 14, 14': Locking protrusion
15: Fastening fixing protrusion 16: Finishing member
17: Height adjustment member 20: Horizontal bar
20a: first horizontal bar 20b: second horizontal bar
21: Rail groove 22: Inner curved portion
23: Fastening protrusion 24: Support member
30: connecting member 31: screw joint
31a: screw hole 32: extension part
32a: screw fixing hole 33: outer curved portion
34, 34': Fastening fixing groove

Claims (16)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수납공간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하여 조립이 가능한 모듈러 가구 프레임에 있어서,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설정 위치마다 수직으로 세워지고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각관 또는 원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바와 직각되게 수평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직바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2개의 수평바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가 끼움되어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를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In a modular furniture frame that can be assembled by set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space to suit the user's taste,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made of either square pipes or circular pipes, erected vertically at each set position and supported on the floor;
A horizontal bar made of either a square pipe or a circular pipe and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right angle to the vertical bar; and
A connecting member screwed to an inner corner of the vertical bar, protruding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two horizontal bars, and inserting the horizontal bar to connect and secure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Non-exposed assembly parts comprising a. Type modular furnitur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모서리 4곳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1수직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직바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1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
The vertical bar is,
It is erected vertically at four corners and consists of a first vertical bar where the horizontal bars are connected in an 'ㄱ' shape,
The first vertical bar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fastening groove for screwing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is formed at the inner cor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모서리 4곳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1수직바; 및
상기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바가 'T'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제2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바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 제1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바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2개의 상기 연결부재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 제2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
The vertical bar is,
A first vertical bar standing vertically at four corners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s in an 'ㄱ'shape; and
It includes a second vertical b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first vertical bar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in a 'T' shape,
The first vertical bar is,
A first fastening groove having a screw hole for screwing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is formed at the inner corner,
The second vertical bar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fastening groove with a screw hole for screwing the two connecting members is formed at the inner corn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은,
내측 모서리 부분 한 곳에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이고,
상기 제2체결홈은,
내측 모서리 부분 두 곳에 각각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first fastening groove is,
It is shaped like the volume of a triangular prism has been removed from one of the inner corners,
The second fastening groove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of a triangular pillar has been removed from each of the two inner corner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 및 상기 제2체결홈은,
제거된 부피 형상을 봤을 때, 밑면과 윗면이 정삼각형인 삼각기둥의 부피만큼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re,
When looking at the shape of the removed volume,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and top are removed as much as the volume of a triangular pris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내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양단이 끼움되는 제1수평바, 및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양단이 끼움되는 제2수평바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제1수평바와 상기 제2수평바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4,
The horizontal bar is,
A rail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horizontal bar in which both protruding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and rail grooves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the rail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either one of the second horizontal bars on which the protruding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or both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the second horizontal ba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에 수용되고 중심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 및
상기 나사결합부 양측으로 직각되게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의 레일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necting member is,
a screw coupl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nd having a screw hole formed at the center to engage a screw; and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omprising an extension part that extends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both sides of the screw coupling part and is fitted into a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ba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수평바의 레일홈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고정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7,
In the extension part,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screw fixing holes are further formed to allow screws to be fasten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ba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종단면의 일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홈은, 상기 연장부의 종단면 일측의 곡면과 대응되게 내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8,
The extension portion has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curved,
The rail groove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groove is made of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는, 양측단에 상기 삽입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가 연결 설치될 경우, 상기 삽입홀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9,
The vertical bar is,
Additional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horizontal bar is further formed at both ends with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holes,
When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re connected and installed, the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fasten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은,
상기 수직바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re,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is further provided at a corner of the vertical ba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1,
The obstacle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는,
외측의 상기 걸림돌기와 접하는 일측 부분에 형성된 체결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체결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체결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2,
The screw joint,
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fix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The obstacle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fixing groov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의 하부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3,
The obstacle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ly at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횡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1,
The obstacle is,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 diamond shap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는,
외측의 상기 걸림돌기와 접하는 일측 부분에 형성된 체결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홈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모서리 부분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부품 비 노출형 모듈러 가구 프레임.
According to clause 15,
The screw joint,
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fix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outer locking protrusion,
A modular furniture frame with non-exposed assembled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in the fastening fixing groove.
KR1020220103225A 2022-08-18 2022-08-18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KR202400252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25A KR20240025234A (en) 2022-08-18 2022-08-18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25A KR20240025234A (en) 2022-08-18 2022-08-18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234A true KR20240025234A (en) 2024-02-27

Family

ID=9005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225A KR20240025234A (en) 2022-08-18 2022-08-18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23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39A (en) 1998-06-03 2000-01-15 김윤국 Generating apparatus of bicycle
KR101991463B1 (en) 2018-03-29 2019-06-20 (주)영진산업 Assembly shel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39A (en) 1998-06-03 2000-01-15 김윤국 Generating apparatus of bicycle
KR101991463B1 (en) 2018-03-29 2019-06-20 (주)영진산업 Assembly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25234A (en) Assembly part non-exposed modular furniture fram
US4883257A (en) Security fencing
CN109138513B (en) Pavilion building system
JP2505879Y2 (en) Assembly frame structure
JP3635467B2 (en) 3D structure
KR102003181B1 (en) Table frame assemblies having leg frames of a bending plate shape
JP4367940B2 (en) Light metal handrail
JPH07229220A (en) Partitioning device
CN110939205A (en) Modularization house frame unit and house
JP3776918B2 (en) 3D structure
JPS5923147Y2 (en) Safety fences on balconies, etc.
JP6854145B2 (en) Double handrail structure
JPH0416835Y2 (en)
JPH0120939Y2 (en)
JPS5919047Y2 (en) building frame structure
JPS5834883Y2 (en) Shelf support structure for a simple assembly house
JP2547722Y2 (en) Assembled display fixtures
JPH054741Y2 (en)
JP2022149887A (en) Glass handrail
JPH0545683Y2 (en)
JP2024008920A (en) Frame structure, partition structure and fram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JP2997462B1 (en) Beam and lower entrance frame using the same
JPH0527874Y2 (en)
JP2515363Y2 (en) Brace handrail fram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ing
JP2673452B2 (en) Panel connecting members in prefabricated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