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180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180A
KR20240025180A KR1020220103091A KR20220103091A KR20240025180A KR 20240025180 A KR20240025180 A KR 20240025180A KR 1020220103091 A KR1020220103091 A KR 1020220103091A KR 20220103091 A KR20220103091 A KR 20220103091A KR 20240025180 A KR20240025180 A KR 2024002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dent
light
vehicle lamp
lens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180A/ko
Priority to DE202023103412.8U priority patent/DE202023103412U1/de
Priority to US18/339,711 priority patent/US20240060614A1/en
Publication of KR2024002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F21S41/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유닛과, 상기 광원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1 렌즈유닛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렌즈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서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제2 렌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유닛은,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옵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나열로 이미지를 투영한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소형 사이즈로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렌즈바디의 입사면에 복수의 입사부렌즈가 형성되고, 렌즈바디의 출사면에 복수의 출사부렌즈가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바디의 내부에 쉴드가 코팅되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입사면과 출사면 각각에 렌즈바디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가 형성되고, 복수의 입사부렌즈와 이에 대응되는 출사부렌즈를 대응되는 위치에 미세하게 정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쉴드를 렌즈바디의 내부에 코팅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와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유닛과, 상기 광원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제1 렌즈유닛과, 상기 제1 렌즈유닛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렌즈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서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제2 렌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유닛은,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옵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유닛은,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인 제1 입사면을 포함하는 입사부와, 상기 입사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면인 제1 출사면을 포함하는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사부는, 상기 제1 출사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비구면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사부의 초점은, 상기 제1 입사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부의 형상은 사각판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유닛은,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인 제1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입사면에 형성되고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입사면에 광을 차폐 가능한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입사면 중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유닛는, 상기 제1 렌즈유닛을 향하는 면인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옵틱은, 상기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몸체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틱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방향의 일단부인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타단부인 하단부를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옵틱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방향의 일단부인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타단부인 하단부로 갈수록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옵틱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단부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옵틱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옵틱 각각의 상기 제2 방향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유닛의,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상기 옵틱이 형성되지 않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유닛의 어느 한 면에만 옵틱이 형성되고 옵틱의 형상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구조와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1 렌즈유닛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2 렌즈유닛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의 상단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의 하단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을 상면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2 렌즈유닛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1 렌즈유닛과 광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제2 렌즈유닛을 사용하지 않은 차량용 램프(10x)에 의한 빔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한 빔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차량용 램프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1 렌즈유닛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2 렌즈유닛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의 상단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의 하단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렌즈유닛을 상면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10)는, 광원유닛(100)과, 제1 렌즈유닛(300) 및, 제2 렌즈유닛(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램프(10)는 쉴드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유닛(100)은,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유닛(100)은 광원(110)과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라 함) 등으로 제공될 수 있고, 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렌즈유닛(300)은, 광원유닛(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원유닛(10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도 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광원(110)에서 생성된 광은 방사형으로 조사될 수 있고, 제1 렌즈유닛(300)은 광원(110)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평행한 광으로 변환하여 제2 렌즈유닛(400)으로 입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렌즈유닛(400)은, 제1 렌즈유닛(300)의 전방에 구비되고 제1 렌즈유닛(3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서 출사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렌즈유닛(400)은 제1 렌즈유닛(3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렌즈유닛(400)은 옵틱(430)을 포함한다. 옵틱(430)은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 방향(D1)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D2)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다. 이때, 제1 방향(D1)은 상하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D2)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렌즈유닛(400)는, 렌즈몸체(410)를 포함하고, 렌즈몸체(410)는 제1 렌즈유닛(300)을 향하는 면인 제2 입사면(411)과, 제2 입사면(4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출사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옵틱(430)은, 제2 입사면(411)과 제2 출사면(413)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옵틱(430)은, 렌즈몸체(410)의 제2 입사면(411)에만 형성되거나(도 1 내지 도 6 참조), 렌즈몸체(410)의 제2 출사면(413)에만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제2 렌즈유닛(400)은, 옵틱(430)이 렌즈몸체(410)에 구비된 제2 입사면(411)과 제2 출사면(413)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됨으로써, 제2 렌즈유닛(400)의 구조와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MLA(Micro Lens Array)는 입사 면과 출사 면을 포함한 양 면에 옵틱(430)이 형성되고, 입사 면의 옵틱(430)과 출사 면의 옵틱(430)을 대응되는 위치에 정밀하게 정렬(Align)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구조와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2 렌즈유닛(400)의 어느 한 면에만 옵틱(430)이 형성됨으로써 제2 렌즈유닛(400)의 구조와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옵틱(430)은 상하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렌즈몸체(4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틱(430)이 제2 입사면(411)에 형성되는 경우, 옵틱(430)은 제1 렌즈유닛(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옵틱(430)은 렌즈몸체(410)의 어느 한 면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유닛(400)에 포함된 옵틱(43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수직 단면 형상이 렌즈몸체(410)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 렌즈유닛(3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제2 렌즈유닛(400)을 사용하지 않은 차량용 램프(10x)에 의한 빔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옵틱(430)이 적용된 제2 렌즈유닛(400)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10)에 의한 빔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옵틱(430)이 적용된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한 광은 확산된 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렌즈유닛(400)의,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옵틱(430)이 형성되지 않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렌즈유닛(400) 사출 형성 시에, 렌즈몸체(410)의 어느 한 면은 옵틱(430)을 형성하는 공정이 생략되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렌즈유닛(300)은, 입사부(310)와 출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사부(310)는 광원유닛(100)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인 제1 입사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출사부(330)는 입사부(310)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면인 제1 출사면(331)을 포함하는 출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출사부(330)는, 제1 출사면(331)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비구면 렌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출사부(330)의 비구면 형상은, 광원(110)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2 렌즈유닛(400)을 향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사부(310)는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부(310)의 형상은 사각판 형상(도 1 내지 도 2 참조) 또는 원판 형상(도 6 내지 도 7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사부(3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렌즈유닛(300)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쉴드부(200)는 제1 입사면(311)에 형성되고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광원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부(200)는, 제1 입사면(311) 중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110)으로부터 제1 입사면(311)을 향하여 조사되는 광은 쉴드부(200)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어, 제2 렌즈유닛(400)을 통해 출사되는 광이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부(200)는, 제1 입사면(311)에 광을 차폐 가능한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쉴드부(200)를 구현하는 차광 물질에는 한정이 없고, 광을 차단할 수 있는 공지의 물질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부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방식에 의해 제1 입사면에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쉴드부(200)가 제1 입사면(311)에 코팅되어 형성됨으로써 차량용 램프(10)의 작업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MLA 구조에서 광을 일부 차단하는 쉴드는 바디부에 형성되어 입사 렌즈 어레이와 출사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배치되었으나, 이 경우 쉴드를 형성하는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1 렌즈유닛(300)의 제1 입사면(311)에 차폐 가능한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쉴드부(200)를 형성하여, 쉴드부(200)를 형성하는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출사부(330)의 초점(F)은, 제1 입사면(3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출사부(330)의 초점(F)은, 제1 입사면(311) 중 쉴드부(200)의 상단(210)에 형성될 수 있다. 쉴드부(200)는 광을 차단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출사부(330)의 초점이 쉴드부(200)의 상단(210)에 형성됨으로써 컷-오프 라인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옵틱(430)의 수직 단면 형상은, 제1 방향(D1)의 일단부인 상단부(431)로부터 제1 방향(D1)의 타단부인 하단부(433)를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옵틱(430) 상단부(431)로부터 하단부(433)를 따라 곡률, 두께, 제2 방향(D2) 폭 등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옵틱(4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옵틱(430)은, 제1 방향(D1)의 일단부인 상단부(431)로부터 제1 방향(D1)의 타단부인 하단부(433)로 갈수록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하는 광은 옵틱(430)에 의해 확산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옵틱(430)의 곡률, 두께, 제2 방향(D2) 폭 등에 따라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한 광에 의한 빔 패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10)의 설계 사양에 따라 옵틱(430)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틱(430)은, 상단부(431)로부터 하단부(433)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옵틱(430)은 상단부(431)로부터 하단부(433)로 갈수록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표시된 t1은 옵틱의 상단부의 두께이고, t2는 옵틱의 하단부의 두께이다.
구체적으로 옵틱(430)의 두께가 유사할 때, 옵틱(430)의 곡률이 커지면 옵틱(430)을 통해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옵틱(430)의 하단부(433)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광도가 낮은 영역인 제2 렌즈유닛(400)의 하부영역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하는 광량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한 광에 의한 빔 패턴의 균일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옵틱(430)은, 상단부(431)로부터 하단부(433)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옵틱(43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옵틱(430)을 통해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옵틱(430)의 하단부(433)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광도가 낮은 영역인 제2 렌즈유닛(400)의 하부영역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하는 광량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렌즈유닛(400)을 통과한 광에 의한 빔 패턴의 균일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옵틱(430) 각각의 제2 방향(D2) 폭(P)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옵틱(430)의 상단부(431)와 하단부(433) 형상은 제2 방향(D2)의 폭(P)은 일정하면서 두께와 곡률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옵틱(4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가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2 렌즈유닛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것으로, 제1 렌즈유닛과 광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해 제1 렌즈유닛(300)의 입사부(310')와 제2 렌즈유닛(400)의 옵틱(430')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상기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유닛(300)의 입사부(3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사부(310')는 출사부(330)의 전방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입사부(31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쉴드부(200')는 입사부(310')의 제1 입사면(311')에 형성될 수 있고, 쉴드부(200')의 상단(210')에 출사부(310)의 초점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옵틱(430')은 렌즈몸체(410)의 제2 출사면(413)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옵틱(43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 입사면(4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유닛의 어느 한 면에만 옵틱이 형성되고 옵틱의 형상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구조와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차량용 램프
100: 광원유닛
110: 광원
200, 200': 쉴드부
210, 210': 상단
300: 제1 렌즈유닛
310, 310': 입사부
311, 311': 제1 입사면
330: 출사부
331: 제1 출사면
400: 제2 렌즈유닛
410: 렌즈몸체
411: 제2 입사면
413: 제2 출사면
430, 430': 옵틱
431: 상단부
433: 하단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t1: 상단부 두께
t2: 하단부 두께
P: 제2 방향 폭

Claims (14)

  1. 광원유닛;
    상기 광원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여 전방으로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제1 렌즈유닛; 및
    상기 제1 렌즈유닛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렌즈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서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제2 렌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유닛은,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옵틱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유닛은,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인 제1 입사면을 포함하는 입사부; 및
    상기 입사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면인 제1 출사면을 포함하는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사부는,
    상기 제1 출사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비구면 렌즈로 마련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의 초점은, 상기 제1 입사면 상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의 형상은 사각판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유닛은,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면인 제1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입사면에 형성되고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폐하게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입사면에 광을 차폐 가능한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입사면 중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유닛는,
    상기 제1 렌즈유닛을 향하는 면인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옵틱은,
    상기 제2 입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몸체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방향의 일단부인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타단부인 하단부를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의 수직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방향의 일단부인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타단부인 하단부로 갈수록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단부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옵틱 각각의 상기 제2 방향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유닛의, 광이 입사되는 면과 광이 출사되는 면 중, 상기 옵틱이 형성되지 않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220103091A 2022-08-18 2022-08-18 차량용 램프 KR20240025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91A KR20240025180A (ko) 2022-08-18 2022-08-18 차량용 램프
DE202023103412.8U DE202023103412U1 (de) 2022-08-18 2023-06-20 Fahrzeuglampe
US18/339,711 US20240060614A1 (en) 2022-08-18 2023-06-22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91A KR20240025180A (ko) 2022-08-18 2022-08-1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180A true KR20240025180A (ko) 2024-02-27

Family

ID=8784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091A KR20240025180A (ko) 2022-08-18 2022-08-1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60614A1 (ko)
KR (1) KR20240025180A (ko)
DE (1) DE202023103412U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900A (ko) * 2015-05-21 2016-11-3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T519118B1 (de) * 2016-11-24 2018-04-15 Zkw Group Gmbh Scheinwerfermodul für Fahrzeuge
US20210341123A1 (en) * 2018-10-05 2021-11-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JP6908097B2 (ja) 2019-12-03 2021-07-21 栗田工業株式会社 パルプ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パルプスラリー用脱水向上剤
KR20210154008A (ko) * 2020-06-11 2021-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0614A1 (en) 2024-02-22
DE202023103412U1 (de)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2989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斯様な照明システム用の光源ユニット
CN110094684B (zh) 包括配备有两个形成层的主光学元件的光模块
JP7412077B2 (ja) 車両用路面描画投光ユニット
US9903554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
US11435051B2 (en) Optical unit
US11371670B2 (en)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lamp
KR20200034659A (ko) 라이트 가이드 소자, 라이트 가이드 디바이스, 및 조명 모듈
CN113776023B (zh) 用于汽车的灯以及包括该灯的汽车
US20160377250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JP2014211983A (ja) 車両用灯具の灯具ユニット
EP3712488B1 (en) Vehicular lamp fitting
KR20230113620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투영 및 조명 장치
KR20240025180A (ko) 차량용 램프
US11525550B2 (en)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US11168857B2 (en) Headlamp for vehicle
JP2019096381A (ja) 車両用灯具
US11668447B2 (en) Lamp for automobile having a micro lens array module with exit and entrance lens array
CN220038267U (zh) 应用于光固化打印的匀光透镜及光固化打印系统
JP2016110895A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4203604A (ja) 照明装置
US20240027044A1 (en) Optical system for an automotive headlamp
US20240110683A1 (en) Vehicle lamp incorporating a microlens array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19588A (ko) 엘이디 모듈
CN105785691B (zh) 一种配光装置以及具备该配光装置的闪光装置
KR20220052026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