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455A -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455A
KR20240024455A KR1020220102435A KR20220102435A KR20240024455A KR 20240024455 A KR20240024455 A KR 20240024455A KR 1020220102435 A KR1020220102435 A KR 1020220102435A KR 20220102435 A KR20220102435 A KR 20220102435A KR 20240024455 A KR20240024455 A KR 2024002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gas
module
spray nozzle
harmful
block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455A/ko
Publication of KR2024002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은, 선체를 소정 공간을 가지는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다수의 모듈 및 각각의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 가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모듈의 작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특정 모듈에서 유해 가스의 발생 시 이웃한 모듈이 연계적으로 작동된다.

Description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SYSTEM FOR BLOCKING HAZARDOUS GAS}
또한, 본 발명은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해양플랜트 및 선박 내에서 누출 가스로 인한 폭발 또는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누출 가스의 정체 또는 주변 기기 및 구조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폭발 또는 화재 사고 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이 사람이 상주하는 유인 건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누출 가스 및 유해 물질의 선외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LNG 시설 내 누출 가스로 인한 폭발 및 화재 사고 시, 주변 구조와 기기 및 사람이 상주하는 유인 건물을 분리하기 위해 방화벽(Safety wall) 또는 이격 거리(Safety gap)가 적용된다.
하지만, 방화벽(Safety wall)의 경우, 배치를 위한 FLNG 레이아웃(Layout)과 크기에 영향을 미치며, 선체 하중 증가하여 설치의 부담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화벽(Safety wall)은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금속판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공명작용으로 인한 심각한 소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방화벽(Safety wall)의 경우, 약 15~20m의 폭을 가지는 공간을 필요로 하여 FLNG 레이아웃(Layout)과 크기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선체의 하중 증가의 원인이 된다.
이에 방화벽(Safety wall)설치와 이격 거리(Safety gap) 적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해양플랜트 구조와 기기 및 선내로의 인화성 가스 및 유해 물질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거주구와 회피하여 선외로 유해 물질을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73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내에서 폭발 또는 화재 사고 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이 사람이 상주하는 유인 건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해 물질의 선외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를 소정 공간을 가지는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다수의 모듈 및 각각의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 가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모듈의 작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특정 모듈에서 유해 가스의 발생 시 이웃한 모듈이 연계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분사 노즐은, 모듈의 상하부면 또는 측면 상에서,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되, 각각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차단막이 형성된다.
또한, 분사 노즐은, 설치면과 분사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통해 분사 노즐의 설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분사 노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분사 노즐이 설치면 상에서 다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가스의 발생 여부, 발생 지점, 확산 방향, 확산 속도 및 유해 가스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유해 가스 정보에 기초하여, 분사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 센서는, 풍향, 풍속, 선내 거주구 및 유인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더 감지하고, 제어기는, 유해 가스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분사 노즐의 작동 여부와 회전 및 회동 각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는, 유해 가스 정보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의 이동 경로 및 확산 규모를 예측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를 산정하는 대피 경로 산정부, 대피 경로, 거주구 및 유인 시설을 회피하는 유해 가스의 배출 경로를 도출하는 배출 경로 도출부 및 배출 경로를 따라 유해 가스의 배출이 유도되도록, 모듈과 모듈 내 구비된 분사 노즐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유해 가스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내에서 폭발 또는 화재 사고 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이 사람이 상주하는 유인 건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해 물질의 선외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내 분사 노즐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사 노즐을 적용하여 형성된 차단막의 예시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배선의 연결 구조는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것으로써, 이와 다른 연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하부, 측부 등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내 분사 노즐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100)은 모듈(110) 및 분사 노즐(12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10)은 선체를 소정 공간을 가지는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며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하나의 선박 내 총 12개의 모듈(110)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모듈(110)의 형상 및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내 구조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듈(110)의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각의 선실을 하나의 모듈(110)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나의 공간이 다수의 모듈(110)로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분사 노즐(120)은 각각의 모듈(110)의 내부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해 가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분사 노즐(120)은 각 모듈(110)의 내부에서 아래와 같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120)은, 모듈(110)의 상하부면 또는 측면 상에서,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120)의 배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모듈(110)의 상하부면과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배치 방식 및 개수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분사 노즐(120)은 측면에도 다수의 분사구(121)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분사 노즐(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해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유체를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분사 노즐(120)은 각각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듈(110) 구동 시 사용될 분사 노즐(120)의 위치와 개수를 선정하여 선택적인 작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차단막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분사 노즐(120)이 유체를 분사하는 경우, 유해 가스가 유체와 접촉하여 유독 성분이 유체 내부로 용해됨에 따라, 대기 중 유해 가스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모듈(110)의 작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특정 모듈(110)에서 유해 가스의 발생 시 이웃한 모듈(110)이 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유해 가스의 검출 즉시, 검출된 유해 가스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모듈(110)과 이웃한 모듈(110)만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선내의 전체 모듈(110)을 일률적으로 작동시킬 때보다 불필요한 분사 노즐(120)의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120)은 다방향 다각도로 회전 및 회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분사 노즐(120)을 사용하여 형성된 차단막의 예시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120)은, 설치면과 분사 노즐(12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부재(122)를 통해 분사 노즐(120)의 설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1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동부재(123)를 중심으로 분사 노즐(120)이 설치면 상에서 다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분사 노즐(120)의 회전 및 회동 각도에 따라 차단막(130)의 형상이 상하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노즐(120)의 회전 및 회동을 제어하면, 필요에 따라 차단막(130)의 형상을 풍향과 선내 구조물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상으로 맞춤 형성함으로써, 유해 가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선내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은 감지 센서(미도시)와 제어기(미도시)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감지 센서는, 유해 가스의 발생 여부, 발생 지점, 확산 방향, 확산 속도 및 유해 가스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정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는, 풍향, 풍속, 선내 거주구 및 유인 시설의 위치, 선박 이동 방향, 선박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더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상술한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유해 가스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분사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기는 각각의 분사 노즐의 작동 여부와 회전 및 회동 각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는 아래와 같은 세부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대피 경로 산정부(미도시)는, 유해 가스 정보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의 이동 경로 및 확산 규모를 예측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를 산정하는 기능을 한다.
배출 경로 도출부(미도시)는, 상술한 대피 경로 산정부를 통해 산정된 대피 경로, 거주구 및 유인 시설을 회피하는 유해 가스의 배출 경로를 도출하는 기능을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피 경로 산정부는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의 이동 경로 및 확산 규모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거주구 및 유인 시설로부터 대피 시설 혹은 안전 구역으로의 최적의 대피 경로(50)를 도출해낼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5 상에 도시된 각 모듈을 제1 모듈(1) 내지 제12 모듈(12)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풍향(W)이 남서풍이라고 가정할 때, 제11 모듈(11) 내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한 경우, 대피 경로(50)는 풍향에 따라 유해 가스가 확산되는 반대 방향인 동쪽 방향을 향하도록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대피 경로(50)는 제1 모듈(1) 내지 제12 모듈(12)로부터 안전 구역까지의 각각의 대피 경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산정된 대피 경로(50)는 각 모듈 내에 위치하는 작업자 및 거주자의 단말로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배출 경로 도출부는, 풍향, 풍속 및 유해 가스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에서 산출된 대피 경로(50)와 거주구 등 유인 시설을 회피하는 배출 경로(70)를 도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배출 경로(70)는 남서풍의 풍향을 따라 선외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남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하여, 배출 경로 산출부는, 선박 이동 방향(S)을 더 고려하여 유해 가스를 선외로 가장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해 가스의 배출 경로(70)를 선체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해 가스 차단부(미도시)는, 상술한 배출 경로 도출부를 통해 도출된 배출 경로(70)를 따라 유해 가스의 배출이 유도되도록, 모듈(110)과 모듈(110) 내 구비된 분사 노즐(120)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의 제11 모듈(110)에서 화재 발생 및 가스 누출이 일어난 경우, 유해 가스 차단부는 제11 모듈(11)과 이웃한 제9 모듈(9), 제10 모듈(10) 및 제12 모듈(12) 내 구비된 분사 노즐(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유해 가스 차단부는, 상기에서 도출된 대피 경로(50) 및 배출 경로(70)와 더불어 유해 가스의 성분과 물성을 더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분사 노즐(1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모듈(110) 내 하단부에서 밀도가 대기보다 낮아 상방으로 떠오르는 성질을 가진 유해 가스가 유출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선내 낮은 위치에서 유해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해 가스가 점차 상방으로 이동 및 확산되면서 선내 전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유해 가스 차단부는 유해 가스의 발생 지점과 성분 및 물성을 고려하여, 모듈(110) 내 측면에 구비된 분사 노즐(120) 중 유해 가스의 발생 지점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분사 노즐(12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차단막(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측면으로 유해 가스가 양측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유해 가스의 발생 지점을 둘러싸는 형태로 측면에 구비된 분사 노즐(12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차단막(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단순히 상기에서 도출된 배출 경로(70)를 향해 분사 노즐(120)의 방향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유해 가스 정보를 더 고려하여 분사 노즐(120)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유해 가스를 배출 경로(70)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시킴과 동시에 대기 중에서 상방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선박 내 작업자 및 거주자들의 더욱 안정적인 대피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제어기의 세부 구성들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명하였으나, 그 동작 순서는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동시에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해 가스의 검출 즉시, 해당 모듈(110) 내 1차적인 차단막(130)을 형성하여 유해 가스의 확산을 차단하고, 유해 가스 정보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대피 경로(50)와 유해 가스 배출 경로(70)를 도출할 수 있다.
이 후, 배출 경로(70)에 대응되도록 가스가 검출된 모듈(110) 이외에 나머지 모듈(11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유해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2차적인 차단막(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해 가스 정보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의 배출 경로(70)를 도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차단막(130)을 형성하기 위해 분사 노즐(120)을 제어하고,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대피 경로(50)를 산정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은 선박의 데크가 다수의 모듈(110)로 분리 구획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모듈(110) 내부의 데크 상에는 분사 노즐(120)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단막(130)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5 모듈(5) 내부에서 화재로 인한 유해 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감지 센서가 유해 가스의 발생 여부, 발생 지점, 확산 방향, 확산 속도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정보와, 풍향, 풍속, 선내 거주구 및 유인 시설의 위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후, 배출 경로 도출부는 감지된 유해 가스 정보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풍향과 유해 가스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최적의 배출 경로(70)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풍향(W)이 남풍이고, 선박 이동 방향(S)이 동쪽 방향인 경우를 가정할 때, 선박의 이동 속도를 함께 고려하면 유해 가스의 배출 경로(70)를 남서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다.
유해 가스 차단부는, 도출된 배출 경로(70)에 기초하여 선박의 데크 상에 구비된 다수의 모듈(110) 중 도출된 배출 경로(70)가 지나는 모듈, 예를 들면, 제3 모듈(3), 제5 모듈(5), 제6 모듈(6) 및 제8 모듈(8)의 분사 노즐(12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차단막(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차단막(13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향(W), 풍속, 선박 이동 방향(S) 및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곡선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유해 가스의 선외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유해 가스가 나머지 모듈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내용은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선박은,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해상에 건설되는 해양 구조물, 해양 플랜트(Off-Shore Plant) 또는 부유식 선박의 형태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선박은, 부유식 생산/저장 설비(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및 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을 사용하면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큰 중량을 가지는 기존의 방화벽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방화벽 설계로 인한 선체의 하중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내 구비된 각각의 모듈들이 연계 작동이 가능함에 따라, 유해 가스 발생 모듈과 이웃한 모듈에만 선택적으로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차단 시스템은 감지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과 풍속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의 확산 방향과 확산 규모를 도출하고, 거주구와 대피로를 회피하여 최적의 가스 배출 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나아가, 분사 노즐의 회전 및 회동 각도를 제어 가능함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방향 및 다각도로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유해 가스의 차단 및 배출 유도가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110 : 모듈
120 : 분사 노즐
121 : 분사구
122 : 회전부재
123 : 회동부재
130 : 차단막
50 : 대피 경로
70 : 배출 경로
W : 풍향
S : 선박 이동 방향

Claims (6)

  1. 선체를 소정 공간을 가지는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하는 다수의 모듈; 및
    각각의 상기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해 가스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의 작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특정 모듈에서 상기 유해 가스의 발생 시 이웃한 모듈이 연계적으로 작동되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모듈의 상하부면 또는 측면 상에서,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되,
    각각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차단막이 형성되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설치면과 상기 분사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분사 노즐의 설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분사 노즐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설치면 상에서 다각도로 회동이 가능한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 가스의 발생 여부, 발생 지점, 확산 방향, 확산 속도 및 상기 유해 가스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유해 가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사 노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풍향, 풍속, 선내 거주구 및 유인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해 가스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분사 노즐의 작동 여부와 회전 및 회동 각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해 가스 정보와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해 가스의 이동 경로 및 확산 규모를 예측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를 산정하는 대피 경로 산정부;
    상기 대피 경로, 상기 거주구 및 상기 유인 시설을 회피하는 상기 유해 가스의 배출 경로를 도출하는 배출 경로 도출부; 및
    상기 배출 경로를 따라 상기 유해 가스의 배출이 유도되도록, 상기 모듈과 상기 모듈 내 구비된 상기 분사 노즐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차단막을 형성하는 유해 가스 차단부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KR1020220102435A 2022-08-17 2022-08-17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KR20240024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35A KR20240024455A (ko) 2022-08-17 2022-08-17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35A KR20240024455A (ko) 2022-08-17 2022-08-17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455A true KR20240024455A (ko) 2024-02-26

Family

ID=9005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435A KR20240024455A (ko) 2022-08-17 2022-08-17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44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394A (ko) 2018-02-12 2019-08-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394A (ko) 2018-02-12 2019-08-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6824C (en) Explosion prevention system for internal turret mooring system
Bačkalov Safety of autonomous inland vessels: An analysis of regulatory barriers in the present technical standards in Europe
EP3436336B1 (en) Buoy for the processing of production fluids
KR20130048590A (ko) 헬리데크가 구비된 선박
KR20240024455A (ko) 유해 가스 차단 시스템
KR102026052B1 (ko) 기체혼합과 소용돌이를 이용한 벤트 마스트 시스템
WO2019208550A1 (ja) 洋上浮体構造物
JP2006275228A (ja) 気体拡散防止用障壁、拡散防止機能の有効性評価方法、評価システムおよび評価プログラム
Tronstad The use of risk analysis in design: safety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FPSO
Dahle Mobile platform stability: Project synthesis with recommendations for new philosophies for stability regulations
KR101915111B1 (ko) 방폭 구조물
Overfield et al.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as a Design Tool—Recent FPSO Experience
KR20240040334A (ko) 컨테이너 선박에 적재되는 소화용 컨테이너
KR20240017236A (ko) 컨테이너 선박의 화재 진화 시스템
KR20240011377A (ko) 컨테이터 선박의 래싱 브릿지를 이용한 화재 진화 시스템
KR20220050399A (ko) 해양설비의 선박 충돌위험 저감 장치
Fagan Offshore Gas Terminals-Guidance on Design and Construction
Naira et al. Layout-A Cost Effective and Powerful Design Step in Risk Management.
Vinnem et al. Approach to Risk Based Design
Acton et al. Risk Assessment of Natural Gas Transmission Pipelines at Major River Crossings
Söderholm Fire Safety in Hydrogen Processing Facilities-Design Considerations
Philipson The safety of LNG systems
Kitchen Process Support and Marine Systems in the Hull-Innovation Meets Regulation
Kim et al. A Risk-Based Fire Protection Design of a LNG Fueled Ship
Standard Technical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