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256A -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256A
KR20240024256A KR1020247002758A KR20247002758A KR20240024256A KR 20240024256 A KR20240024256 A KR 20240024256A KR 1020247002758 A KR1020247002758 A KR 1020247002758A KR 20247002758 A KR20247002758 A KR 20247002758A KR 20240024256 A KR20240024256 A KR 20240024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or attachment
finger
holde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서니 브이 토리스
블라드 야크니치
스캇 웬첼
스리니바사 라오 키쇼어 케이 보카
다니엘 제이 마르치아룰로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4002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9Improved gripping, e.g. with high friction pattern or projections on the housing surface or an ergonometr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1Caps, stoppers or lids for sealing or closing a blood collection vessel or container, e.g. a test-tube or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8Having means for aiding positioning of the piercing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61B5/15144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piercing unit into the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61B5/150419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comprising means for capillary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 및 혈액 수집기 부착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수집 용기로서, 수집 용기는 수집 공동을 형성하는, 수집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Capillary Blood Collection Device)"인 2021년 6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16,23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손가락을 란셋 절개하여 압착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혈액 샘플을 수집, 안정화 및 분배하는 능력을 갖는 일체형 손가락 기반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혈액 샘플과 같은 생물학적 샘플을 획득하고 수집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의료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의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일 유형의 혈액 수집은 모세혈관 혈액 수집인데, 이는 종종 검사용 혈액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 수행된다. 당뇨병과 같은 특정 질병은, 예를 들어 환자의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환자의 혈액이 정기적으로 검사될 것을 요구한다. 부가적으로, 콜레스테롤 검사 키트와 같은 검사 키트는 종종 분석을 위해 혈액 샘플을 요구한다. 혈액 수집 절차는 일반적으로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해 손가락 또는 다른 적합한 신체 부분을 찌르는 것을 수반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검사를 위해 필요한 혈액의 양은 비교적 적고 작은 자창(puncture wound) 또는 절개부는 일반적으로 이들 검사를 위해 충분한 양의 혈액을 제공한다. 환자로부터 모세혈관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를 천자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란셋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왔다.
다수의 다양한 유형의 란셋 디바이스가 병원, 진료소, 진찰실 등, 뿐만 아니라 물론 개인 소비자에게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소량의 혈액의 유출물을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에 신속 자창 또는 절개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바늘과 같은 날카로운 부재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예리한 부재를 포함한다. 핸드헬드 바늘 또는 블레이드로 자신의 손가락을 찌르는 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생리학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종종 어렵다. 그 결과, 란셋 디바이스가 트리거링 메커니즘의 작동시에 환자의 피부를 천자하거나 절개하는 자동 디바이스로 진화되었다. 몇몇 디바이스에서, 바늘 또는 블레이드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것을 담당하는 의료 전문가 또는 환자 자신일 수도 있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될 때까지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트리거링시에, 바늘 또는 블레이드는 환자의 피부, 예를 들어, 손가락을 천자하거나 절개한다. 종종, 환자의 피부를 천자하거나 절개하기 위해 필요한 "자동" 힘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이 디바이스 내에 통합된다.
디바이스로부터 그리고 디바이스 내로의 천자 또는 절개 요소의 자동 배출 및 후퇴를 특징으로 하는 일 유형의 접촉 활성화 란셋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양수인인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 의해 소유된 미국 특허 제9,380,975호이다. 이 란셋 디바이스는 하우징 및 천자 요소를 갖는 란셋 구조체를 포함한다. 란셋 구조체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천자 요소가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유지 또는 사전 작동 위치와, 천자 요소가 하우징의 전방 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천자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구성된다. 란셋 디바이스는 천자 위치를 향해 란셋 구조체를 편향시키기 위해 하우징 내에 배치된 구동 스프링, 및 구동 스프링의 편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에 란셋 구조체를 유지하는 유지 허브를 포함한다. 유지 허브는 란셋 구조체와 간섭 결합하는 피봇 레버를 포함한다. 하우징 내의 액추에이터는 레버를 피봇시켜, 이에 의해 란셋 구조체를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향해 이동시켜 구동 스프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하고, 란셋 구조체와의 간섭 결합으로부터 레버를 해제한다. 수용되는 혈액 샘플은 이어서 수집 및/또는 검사된다. 이 검사는 현장 진단(POC) 검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수집되어 검사 시설로 보내질 수 있다.
현재, 모세혈관 혈액 수집 작업흐름은 높은 기술 레벨을 요구하는 복잡한 다단계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의 다단계 성질은 인해 용혈, 부적절한 샘플 안정화 및 미세 응괴(micro-clots)와 같은 샘플 품질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변수를 도입한다.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란셋 디바이스의 사용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검사 중에 란셋을 정지 상태로 보유하는 것, 천자 부위로부터 충분한 혈액 유동을 획득하는 것, 혈액을 적절하게 수집하는 것, 응고를 방지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모세혈관 혈액 샘플의 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를 야기할 수 있다. 프로세스 변동성의 가장 통상적인 원인 중 몇몇은: (1) 잠재적으로 오염된 샘플을 야기할 수 있는 부적절한 란셋 절개 부위 세정 및 처음 방울 제거; (2) 잠재적으로 불충분한 샘플 용량 및 큰 분율의 간질 유체를 야기할 수 있는 일관되지 않은 란셋 절개 위치 및 깊이; (3) 잠재적으로 용혈된 샘플을 야기할 수 있는 혈액 추출(예를 들어, 혈액 착유)을 촉진하기 위한 일관되지 않은 압착 기술과 란셋 절개 부위 부근의 과도한 압력; (4) 잠재적으로 용혈되거나 오염된 샘플을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전달 인터페이스 및 수집 기술; 및 (5) 잠재적으로 미세 응괴를 야기할 수 있는 항응고제와의 부적절한 샘플 혼합이다.
모세혈관 수집 혈액 채혈은 전형적으로 손가락을 사용하여 천자 부위 주위의 조직을 수동으로 압착하기 위해 이들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의료 종사자에 의해 또는 해당 부위로부터 혈액을 뽑아내기 위해 진공 압력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수집 부위를 수동으로 압착하는 것은 성공률과 샘플 품질(용혈 - 혈액 세포 파열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에 매우 큰 변동을 초래하는 고도로 기술 의존적인 프로세스이다. 의료 종사자는 전형적으로 혈액 유동의 환자에 따른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이들이 압착하는 압력 및 속도를 조정한다. 더 강한 압착은 혈액 유동을 더 빠르게 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또한 용혈을 증가시킨다. 압착의 위치는 또한 개인 선호도, 경험, 및 손의 피로에 따라 의료 종사자들 사이에서 다르다. 몇몇 종사자들은 심지어, 이들이 손가락의 기저부에서 시작하여 손가락의 끝을 향해 활주하면서 압력을 인가하는 손가락의 "착유(milking)"이라 칭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프로세스는 국내 및 국제 보건 기관에 의해 열악한 샘플 품질을 초래하는 것으로서 권장되지 않는다.
진공 구동 디바이스는 혈액 유동의 압력 및 기술을 표준화하지만, 전형적으로 열악한 전체 혈액 유동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가될 수 있는 최대 압력은 대기압과 절대 진공(~14 psi) 사이의 차이에 의해 제한되고, 디바이스는 단지 절대 진공의 분율에서만 동작한다. 참고로, 남성과 여성의 악력은 평균 50 내지 100 lbs 범위인데, 수동 방법이 유동보다는 대신에 용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진공 방법은 또한 일관된 압력을 인가하여, 혈액을 보충하는 조직의 능력을 제한한다.
따라서, 제어된 방식으로 손가락을 란셋 절개하여 압착하고, 샘플을 수집하고, 샘플을 안정화하고, 이후에 샘플을 분배하는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관련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용혈 및 미세 응괴를 포함하여 전형적으로 낮은 샘플 품질과 연관된 작업흐름 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모세혈관 혈액 수집을 간단화하고 능률화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또한 관련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혈액 노출 및 디바이스 재사용을 제거하는 폐쇄 시스템 수집 및 전달에 대한 추가의 요구가 또한 관련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1) 다양한 모세혈관 혈액 수집 및 전달 용기의 수용에 가요성을 도입하고; (2) 고품질의 균일하게 혼합/안정화된 모세혈관 혈액 샘플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3) 모세혈관 혈장 샘플로부터 온보드 혈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4) 감소된 통증에서 큰 모세혈관 혈액 샘플(> 50 내지 500 μL)을 수집하는 기능을 갖고; (5) 수집 시에 환자 정보와 쌍을 이루는 고유한 샘플 식별자를 포함하고; (6) 모세혈관 혈액을 수집하고 온보드 진단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고; (7) 동일하거나 상이한 항응고제를 갖는 상이한 용기 내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수집 포트를 갖는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의 요구가 관련 기술 분야에 또한 존재한다. 인가된 압력의 표준화되고 제어된 위치, 적절한 혈액 유동을 위해 충분히 높지만 용혈 임계치 미만인 인가된 압력, 혈액이 손가락 내에 보충될 수 있게 하여, 평균 혈액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관된 압력보다는 압력의 정의된 리듬 인가, 및 작업자에 의해 최대 인가된 힘을 낮춤으로써 감소된 사용자 피로를 포함하는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의 요구가 관련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된 요구를 충족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손가락을 란셋 절개하여 압착하고, 샘플을 수집하고, 샘플을 안정화하고, 이후에 샘플을 분배하는 능력을 갖는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와 같은 생물학적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또한 용혈 및 미세 응괴를 포함하여 전형적으로 낮은 샘플 품질과 연관된 작업흐름 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모세혈관 혈액 수집을 간단화하고 능률화한다.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최대 500 마이크로리터 이상의 고용량 모세혈관 혈액 샘플을 란셋 절개하고, 수집하고, 안정화하는 능력을 갖춘 독립형 및 완전 일체형 손가락 기반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용혈, 미세 응괴, 및 환자 불편을 포함하여 전형적으로 낮은 샘플 품질과 연관된 작업흐름 단계 및 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고용량 모세혈관 혈액 수집을 간단화하고 능률화한다. 디바이스는 손가락을 란셋 절개할 수 있는 후퇴식 란셋 절개 메커니즘과, 찔린 손가락 부위로부터 수집 용기로 모세혈관 혈액의 부착 및 전달을 보장하는 연관 혈액 유로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압착되어 손가락으로부터 혈액 유동을 자극, 즉 펌핑할 수 있는 홀더 및 또한 수집된 샘플을 안정화하기 위해 유로 또는 수집 용기에 퇴적된 항응고제를 또한 포함한다.
일 디자인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홀더, 란셋 및 수집 용기와 같은 개별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디자인에 따르면, 란셋 및 수집 용기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일체화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홀더와 함께 사용된다. 또 다른 디자인에 따르면, 홀더, 란셋 및 수집 용기는 단일 시스템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임의의 이들 디자인은 자립형 일회용 디바이스로서 그리고/또는 통증 감소 제어를 위한 외부 전원과 연관하여 사용되도록 구상된다.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는 소형 튜브부터 모세혈관 분배기의 범위의 다양한 모세혈관 혈액 수집 용기, 뿐만 아니라 온보드 혈장 분리 모듈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현장 진단(POC) 카트리지로의 분배 또는 원심 분리기 또는 분석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형 수집 튜브 전달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례로 제품 유연성을 확장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 및 혈액 수집기 부착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수집 용기로서, 수집 용기는 수집 공동을 형성하는, 수집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 부재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샘플과 접촉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 바로 아래에 있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포스트 부재의 상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단 에지보다 짧을 수도 있다. 포스트 부재는 홀더 내에 보유될 때 환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연결된 안내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와 안내 유로 사이에 제공되는 전이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이 경로는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코팅이 포스트 부재로의 혈액 샘플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도포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하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는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과 수집 용기 사이에 개방 채널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개방 채널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및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 부재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샘플과 접촉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 바로 아래에 있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포스트 부재의 상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단 에지보다 짧을 수도 있다. 포스트 부재는 홀더 내에 보유될 때 환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연결된 안내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와 안내 유로 사이에 제공되는 전이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이 경로는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코팅이 포스트 부재로의 혈액 샘플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도포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하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는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과 수집 용기 사이에 개방 채널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개방 채널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홀더 및 수집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항에 개시되어 있다:
항 1: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 및 혈액 수집기 부착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수집 용기로서, 수집 용기는 수집 공동을 형성하는, 수집 용기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2: 항 1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샘플과 접촉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 바로 아래에 있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항 3: 항 1 또는 2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의 상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단 에지보다 짧은, 디바이스.
항 4: 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홀더 내에 보유될 때 환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항 5: 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연결된 안내 유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6: 항 5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와 안내 유로 사이에 제공되는 전이 경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7: 항 6에 있어서, 전이 경로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항 8: 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이 혈액 샘플의 적어도 일부의 부착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와 수집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항 9: 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포스트 부재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항 10: 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단백질 코팅인, 디바이스.
항 11: 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코팅은 소 혈청 알부민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12: 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EDTA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13: 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하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항 14: 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디바이스.
항 15: 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과 수집 용기 사이에 개방 채널 유로를 형성하는, 디바이스.
항 16: 항 15에 있어서, 개방 채널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17: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및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18: 항 17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샘플과 접촉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 바로 아래에 있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항 19: 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의 상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단 에지보다 짧은, 디바이스.
항 20: 항 17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홀더 내에 보유될 때 환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항 21: 항 17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연결된 안내 유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22: 항 21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와 안내 유로 사이에 제공되는 전이 경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23: 항 22에 있어서, 전이 경로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항 24: 항 13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이 포스트 부재로의 혈액 샘플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항 25: 항 24에 있어서, 코팅이 혈액 샘플의 적어도 일부의 부착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와 수집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항 26: 항 24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포스트 부재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항 27: 항 24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단백질 코팅인, 디바이스.
항 28: 항 24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 코팅은 소 혈청 알부민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29: 항 24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EDTA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30: 항 17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하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항 31: 항 17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디바이스.
항 32: 항 13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과 수집 용기 사이에 개방 채널 유로를 형성하는, 디바이스.
항 33: 항 32에 있어서, 개방 채널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항 34: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홀더 및 수집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손가락 및 란셋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손가락 및 샘플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손가락 및 수집 용기로부터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능동 상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혈액 샘플이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되는 도 4의 홀더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세혈관 채널을 갖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혈액 샘플 유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채널을 갖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혈액 샘플 유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개방 채널에 리브를 포함하는 도 8의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설명된 실시예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다양한 수정, 등가물, 변형 및 대안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즉시 명백하게 남아 있을 것이다. 임의의 및 모든 이러한 수정, 변형, 등가물 및 대안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상부", "하부", "우측", "좌측", "수직", "수평", "위", "아래", "측방향", "종방향", 및 이들의 파생어는 도면에 배향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반대로 설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안적인 변형 및 단계 시퀀스를 가정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되는 특정 디바이스 및 프로세스는 간단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련된 특정 치수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은 한정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된 요구를 충족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손가락을 란셋 절개하여 압착하고, 샘플을 수집하고, 샘플을 안정화하고, 이후에 샘플을 분배하는 능력을 갖는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와 같은 생물학적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또한 용혈 및 미세 응괴를 포함하여 전형적으로 낮은 샘플 품질과 연관된 작업흐름 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모세혈관 혈액 수집을 간단화하고 능률화한다.
혈액 수집은 기본적으로 압력 구동 유동에 의해 구동된다. 디바이스 또는 기술은 혈관 외부의 압력(진공 구동 유동)을 감소시키거나 혈관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양 접근법 모두 혈관 압력과 외부 압력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키고, 혈관 내부로부터 수집 용기가 존재하는 외부로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연조직(예를 들어, 지방, 피부, 근육조직)은 혈액으로 관류되고 반면 경조직과 관절은 열악하게 관류되거나 기계적으로 너무 안정적이어서 환자 통증 없이 압축할 수 없기 때문에 압착의 위치가 또한 중요할 수 있다.
적혈구(RBC)는 수집 중에 용혈을 받게 될 수 있다. 용혈(RBC 파괴)은 세포 내용물을 샘플의 액체 혈청 내에 흘리고 헤모글로빈을 통해 혈청을 적색으로 착색하고 비색 반응과 간섭함으로써 진단 분석을 위한 샘플을 오염시킨다. 수집 중 용혈의 양은 유량 및 유로로 인한 세포의 전단 매개 파괴 뿐만 아니라 조직 및 혈관의 물리적 압축이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압력 구동 용혈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인가된 압력과 유동이 압착되는 손가락의 임의의 위치에서 너무 높지 않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용혈이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최대 500 마이크로리터 이상의 고용량 모세혈관 혈액 샘플을 란셋 절개하고, 수집하고, 안정화하는 능력을 갖춘 독립형 및 완전 일체형 손가락 기반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용혈, 미세 응괴, 및 환자 불편을 포함하여 전형적으로 낮은 샘플 품질과 연관된 작업흐름 단계 및 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고용량 모세혈관 혈액 수집을 간단화하고 능률화한다. 디바이스는 손가락을 란셋 절개할 수 있는 후퇴식 란셋 절개 메커니즘과, 찔린 손가락 부위로부터 수집 용기로 모세혈관 혈액의 부착 및 전달을 보장하는 연관 혈액 유로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압착되어 손가락으로부터 혈액 유동을 자극, 즉 펌핑할 수 있는 홀더 및 또한 수집된 샘플을 안정화하기 위해 유로 또는 수집 용기에 퇴적된 항응고제를 또한 포함한다.
일 디자인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홀더, 란셋 및 수집 용기와 같은 개별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디자인에 따르면, 란셋 및 수집 용기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일체화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홀더와 함께 사용된다. 또 다른 디자인에 따르면, 홀더, 란셋 및 수집 용기는 단일 시스템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임의의 이들 디자인은 자립형 일회용 디바이스로서 그리고/또는 통증 감소 제어를 위한 외부 전원과 연관하여 사용되도록 구상된다.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는 소형 튜브부터 모세혈관 분배기의 범위의 다양한 모세혈관 혈액 수집 용기, 뿐만 아니라 온보드 혈장 분리 모듈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현장 진단(POC) 카트리지로의 분배 또는 원심 분리기 또는 분석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형 수집 튜브 전달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례로 제품 유연성을 확장한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디바이스(10)는 개별 구성요소, 예를 들어 홀더(12)(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란셋 하우징 또는 란셋(14)(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및 수집 용기(16)(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반일체형 디바이스는 경사 유동을 포함하고 별개의 홀더와 연결될 수 있는 일체형 란셋 하우징 및 수집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반일체형 디바이스는 인라인 유동을 갖고 별개의 홀더와 연결될 수 있는 일체형 란셋 하우징 및 수집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일체형 디바이스는 경사 유동을 갖고 일체형 홀더, 란셋 하우징, 및 수집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일체형 디바이스는 인라인 유동을 갖고 일체형 홀더, 란셋 하우징, 및 수집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혈액 샘플(18)과 같은 생물학적 샘플을 공급하기 위한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본 개시내용의 홀더(12)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홀더(12)는 일반적으로 제1 개구(22)(도 1)를 갖는 손가락 수용부(20), 작동부(24), 제2 개구(28)를 갖는 포트(26), 및 손가락 단부 보호부(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손가락 단부 보호부(30)는 홀더(12) 내에 손가락(19)을 적절하게 정렬하고 고정하기 위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손가락 단부 보호부(30)는 또한 환자의 손가락(19)이 손가락 수용부(20)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환자의 손가락(19)에 인가된 압력이 적절한 혈액 유동을 야기하게 될 것인 것을 보장하는 것을 지원한다.
손가락 수용부(20)의 제1 개구(22)는 혈액 샘플(18)(도 2b에 도시되어 있음)과 같은 생물학적 샘플을 공급하기 위한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샘플 소스는 제1 개구(22) 내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신체의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포트(26)는 손가락 수용부(20)와 연통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19)이 홀더(12) 내에 수용된 상태로, 포트(26)는 손가락(19)의 부분과 연통한다. 본 개시내용의 홀더(12)는 모든 손가락 크기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포트(26)의 제2 개구(28)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란셋 하우징(14) 및 수집 용기(16)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포트(26)는 란셋 하우징(14)과 수집 용기(16)를 포트(26) 내에 확실하게 수용하기 위한 로킹부(3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24)는 홀더(12)가 제1 직경을 정의하는 제1 위치와, 홀더(12)가 제2 직경을 정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전이 가능하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24)는 홀더(12)가 제1 타원형 형상을 정의하는 제1 위치와, 홀더(12)가 제2 타원형 형상을 정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전이 가능하고, 제1 타원형 형상은 제2 타원형 형상과 상이하다. 이 방식으로,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홀더(12)가 감소된 직경으로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홀더(12)의 부분은 샘플 소스와 접촉하고 홀더(12)의 작동부(24)는 혈액(18)을 펌핑 및/또는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24)는 접촉 부재(34)를 포함한다. 작동부(24)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촉 부재(34)는 분리 위치에 있는데, 즉, 접촉 부재(34)는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에 대해 제1 위치에 제공되어, 접촉 부재(34)가 그와 약간 접촉될 수도 있게 된다. 작동부(24)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촉 부재(34)는 결합 위치에 있는데, 즉, 접촉 부재(34)는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에 대해 제2 위치에 제공되어, 접촉 부재(34)가 손가락(19)과 인가 압력 접촉 상태에 있게 되고, 홀더(12)의 작동부(24)는 혈액(18)을 펌핑 및/또는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접촉 부재(34)가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촉 부재(34)는 샘플 소스에 압력을 인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24)는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펌핑 부재(3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펌핑 부재(36)는 한 쌍의 대향된 탭 또는 날개부(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탭(38)은 접촉 부재(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더(12)는 리빙 힌지부(42)를 포함한다. 리빙 힌지부(42)는 사용자가 날개부(38)를 제1 위치(수동 상태)와 제2 위치(능동 상태) 사이에서 압착할 수 있게 한다. 환자의 손가락(19)으로부터 혈액(18)을 채혈하기 위한 탭 또는 날개부(38)의 사용은 환자의 손가락(19)으로부터 혈액의 적절한 유동을 유지하면서 용혈을 최소화한다. 날개부(38)의 휴지 위치 및 힌지는, 혈액 폐색 없이 홀더(12) 내에서 가장 큰 환자 손가락을 수용하기 위해 굴곡하면서, 홀더(12)에 끼워질 수 있는 가장 작은 환자 손가락과의 접촉 및 유지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홀더(12)는 원하는 양의 혈액(18)이 수집 용기(16) 내에 충전될 때까지 손가락(19)으로부터 혈액(18)을 펌핑 및/또는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날개부(38)를 반복적으로 압착 및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날개부(38)는 홀더(12)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광범위한 환자 손가락 크기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유지하고 환자의 손가락(19) 상에 홀더(12)를 유지하기 위해 굴곡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홀더(12)가 손가락(19)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12)는 혈액 유동을 제한하지 않고 란셋 절개 및 손가락 압착 위치를 정의한다. 압착 탭 또는 날개부(38)는 손가락(19)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인가되는 미리 정의된 범위의 압착 압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홀더(12)는 혈액 추출을 자극하고 임의의 잠재적인 용혈을 최소화하는 부드럽게 제어된 손가락 마사지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홀더(12)는 안정성 연장부(40)를 포함한다. 이는 홀더(12)가 손가락(19) 상에 확실하게 배치되게 하기 위한 부가의 지지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손가락 수용부(20)는 일반적으로 C형 부재를 형성하고, 홀더(12)가 환자의 손가락(19) 상에 확실하게 배치되게 하기 위한 부가의 그립 및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내부 그립 부재를 포함한다. 안정성 연장부(40)는 환자의 손가락(19)의 혈액 공급 및 수지 관절을 회피하면서 홀더(12)의 사용 중에 환자의 손가락(19)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손가락 수용부(20)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가락 수용부(20)와 포트(26)는 가요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18)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10)는 홀더(12)의 포트(2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란셋 하우징 또는 란셋(14)을 포함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란셋 하우징(14)은 입구 또는 개구(50), 내부(52), 천자 요소(54), 결합부(56), 후퇴식 메커니즘(58) 및 구동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천자 요소(54)는, 천자 요소(54)가 란셋 하우징(14)의 내부(52) 내에 유지되는 사전 작동 위치와, 천자 요소(54)의 적어도 일부가 란셋 하우징(14)의 입구(50)를 통해 연장하여 손가락(19)의 부분을 란셋 절개하는 천자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란셋(14)은 접촉 활성화 란셋이고, 그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명시적으로 합체되어 있는, 2005년 5월 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접촉 활성화 란셋 디바이스(Contact Activated Lancet Device)"이며, 본 출원과 공동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6/0052809호에 개시된 특징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 및 수집 용기(16)와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집 용기(16)와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의 포트(2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집 용기(16), 란셋 하우징(14), 및 홀더(12)는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홀더(12)와 란셋 하우징(14)이 별개의 구성요소인 경우,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의 포트(2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란셋 하우징(14)은 결합부(56)를 포함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의 포트(26) 내로 밀어 넣어져서 란셋 하우징(14)의 결합부(56)가 홀더(12)의 로킹부(32) 내에 로킹되게 된다. 이 방식으로,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로킹되어, 란셋 하우징(14)의 천자 요소(54)가 활성화되어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을 란셋 절개하거나 천자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홀더(12)의 포트(26)는 란셋(14) 또는 수집 용기(16)를 포트(26) 내에 고정하고 로킹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란셋(14)을 활성화하기 위해, 란셋(14)은 손가락(19)에 대해 밀려 란셋(14)의 후퇴식 메커니즘(58)을 활성화하여 손가락(19)을 란셋 절개한다. 본 개시내용의 란셋(14)은 정확한 란셋 절개 깊이와 미리 정의된 란셋 절개 위치를 일관되게 전달하고, 따라서 충분한 샘플 용량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란셋(14)은 천자 위치를 향해 천자 요소(54)를 편향시키기 위해 란셋 하우징(14)의 내부(52) 내에 배치된 구동 스프링(60)을 포함한다. 천자 후, 천자 요소(54)는 즉시 후퇴되어 란셋 하우징(14)의 내부(52) 내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란셋(14)은 손가락(19)의 피부를 란셋 절개하는 데 사용되고, 이어서 혈액 샘플(18)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집 용기(16) 내로 압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란셋 하우징(14)은 란셋 절개 경로를 따라 손가락(19)의 피부를 란셋 절개하는 데 사용되고, 이어서 혈액 샘플(18)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란셋 절개 경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혈액 유로 아래로 유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란셋(14)은 중공 바늘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란셋 하우징(14)은 란셋 절개 경로를 따라 손가락(19)의 피부를 란셋 절개하는 데 사용되고, 이어서 혈액 샘플(18)은 중공 바늘을 통해 평행한 혈액 유로를 따라 유동한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18)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10)는 홀더(12)의 포트(2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수집 용기(16)를 포함한다. 수집 용기(16)는 혈액 샘플(18)을 수용하기 위한 수집 공동(70), 용기 결합부(72), 혈액 수집기 부분(74) 및 캡 또는 격막(76)을 형성한다. 일단 원하는 양의 혈액(18)이 용기(16) 내에 수집되면, 혈액 수집기 부분(74)은 수집된 샘플(18)을 진단 기기 및/또는 검사 디바이스로 보내기 위해 수집 디바이스(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혈액 수집기 부분(74)은 수집 공동(70) 내의 혈액 샘플(18)을 보호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수집 디바이스(10)로부터 일단 제거되면 캡 또는 격막(76)을 통해 밀봉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 용기(16)는 홀더(12) 및 란셋 하우징(14)과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집 용기(16)와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의 포트(2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집 용기(16), 란셋 하우징(14), 및 홀더(12)는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더(12)와 수집 용기(16)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경우, 용기(16)는 홀더(12)의 포트(26)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기(16)는 용기 결합부(7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16)는 용기(16)의 용기 결합부(72)가 홀더(12)의 로킹부(32) 내에 로킹되도록 홀더(12)의 포트(26) 내로 밀어 넣어진다. 이 방식으로, 용기(16)는 홀더(12)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로킹되어 혈액 샘플(18)이 홀더(12) 내의 손가락(19)으로부터 용기(16)의 수집 공동(70)으로 안전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여러 유형의 수집 용기(16)가 본 개시내용의 디바이스(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수집 용기(16)는 별개의 분배 유닛과 연관될 수 있거나 수집 용기(16)가 검사 디바이스에 혈액(18)을 분배하기 위한 일체형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개별 구성요소, 예를 들어 홀더(12), 란셋 하우징 또는 란셋(14) 및 수집 용기(16)를 갖는 본 개시내용의 디바이스(10)의 사용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원하는 손가락(19)이 세정되고, 원하는 손가락(19)에 대해 적절한 크기를 갖는 홀더(12)가 선택되어 손가락(19) 상에 확실하게 배치된다. 다음, 도 2a를 참조하면, 란셋 하우징(14)이 홀더(12)의 포트(26)에 연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의 포트(26) 내로 밀어 넣어져서, 란셋 하우징(14)의 결합부(56)가 홀더(12)의 로킹부(32) 내에 로킹되게 된다. 이 방식으로, 란셋 하우징(14)은 홀더(12)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로킹되어, 란셋 하우징(14)의 천자 요소(54)(도 2a)가 활성화되어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을 란셋 절개하거나 천자할 수 있게 된다. 란셋(14)이 홀더(12)의 포트(26)에 연결된 상태에서, 란셋(14)은 손가락(19)과 연통한다.
란셋(14)을 활성화하여 손가락(19)의 피부를 란셋 절개하는 것이 요구될 때, 란셋(14)은 손가락(19)에 대해 밀려 란셋(14)의 후퇴식 메커니즘(58)(도 2a)을 활성화하여 손가락(19)을 란셋 절개한다. 본 개시내용의 란셋(14)은 정확한 란셋 절개 깊이와 미리 정의된 란셋 절개 위치를 일관되게 전달하고, 따라서 충분한 샘플 용량을 보장한다.
손가락(19)이 란셋 절개되어 손가락(19)으로부터 혈액(18) 유동을 생성한 후, 란셋(14)은 홀더(12)로부터 제거되고 수집 용기(16)는 홀더(12)의 포트(26) 내로 밀어 넣어진다. 도 2b를 참조하면, 용기(16)는 용기(16)의 용기 결합부(72)가 홀더(12)의 로킹부(32) 내에 로킹되도록 홀더(12)의 포트(26) 내로 밀어 넣어진다. 이 방식으로, 용기(16)는 홀더(12)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로킹되어 혈액 샘플(18)이 홀더(12) 내의 손가락(19)으로부터 용기(16)의 수집 공동(70)으로 안전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혈액 샘플(18)의 수집을 위해 용기(16)가 홀더(12)에 적절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혈액(18)이 수집 용기(16) 내에 충전될 때까지 손가락(19)으로부터 혈액(18)을 펌핑 및/또는 추출하기 위해 홀더(12)의 날개부(38)를 반복적으로 압착 및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홀더(12)가 손가락(19)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홀더(12)는 혈액 유동을 제한하지 않고 란셋 절개 및 손가락 압착 위치를 정의한다. 압착 탭 또는 날개부(38)는 손가락(19)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인가되는 미리 정의된 범위의 압착 압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홀더(12)는 혈액 추출을 자극하고 임의의 잠재적인 용혈을 최소화하는 부드럽게 제어된 손가락(19) 마사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24)는 접촉 부재(34)를 포함한다. 작동부(24)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촉 부재(34)는 분리 위치에 있는데, 즉, 접촉 부재(34)는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에 대해 제1 위치에 있다. 작동부(24)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촉 부재(34)는 결합 위치에 있는데, 즉, 접촉 부재(34)는 제2 위치에서 샘플 소스, 예를 들어 손가락(19)과 인가된 압력 접촉하여 있고, 홀더(12)의 작동부(24)는 혈액(18)을 펌핑 및/또는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접촉 부재(34)가 결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촉 부재(34)는 샘플 소스에 압력을 인가한다.
일단 원하는 양의 혈액(18)이 용기(16) 내에 수집되면, 혈액 수집기 부분(74)은 수집된 샘플(18)을 진단 기기 및/또는 검사 디바이스로 보내기 위해 수집 디바이스(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혈액 수집기 부분(74)은 수집 공동(70) 내의 혈액 샘플(18)을 보호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수집 디바이스(10)로부터 일단 제거되면 캡 또는 격막(76)을 통해 밀봉된다.
본 개시내용의 디바이스는 검사 디바이스가 현장외 또는 현장 진단 검사 디바이스이건간에, 임의의 알려진 검사 디바이스와 호환 가능하다. 다양한 현장 진단 검사 디바이스가 관련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장 진단 검사 디바이스는 검사 스트립, 유리 슬라이드, 진단 카트리지 또는 검사 및 분석을 위한 다른 검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검사 스트립, 유리 슬라이드 및 진단 카트리지는 혈액 샘플을 수용하여 해당 혈액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상태를 검사하는 현장 진단 검사 디바이스이다. 분석을 위해 샘플을 실험실로 보낼 필요 없이 병상에서 매우 적은 양의 혈액을 분석하기 위해 카트리지 기반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많은 현장 진단 디바이스가 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결과를 얻는 데 시간을 절약하지만, 고도로 일상적인 실험실 환경에 대해 상이한 세트의 과제를 생성한다. 이러한 검사 카트리지의 예는 Abbot group of companies로부터의 i-STAT® 검사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i-STAT® 카트리지와 같은 검사 카트리지는 화학 물질 및 전해질의 존재, 혈액학, 혈액 가스 농도, 응고 또는 심장 마커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건을 검사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검사의 결과는 임상의에게 빠르게 제공된다.
수집 용기(16)는 혈액 샘플(18) 및/또는 그 내에 배치된 혈액 샘플(18)의 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한 샘플 안정제, 예를 들어, 항응고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수집 용기(16)는 또한 샘플의 미리 결정된 용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라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집 용기는 또한 혈액의 수집된 용량을 표시/계량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임의의 디바이스는 자립형 일회용 디바이스로서 그리고/또는 통증 감소 제어를 위한 외부 전원과 연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2)의 부분은 통증 감소 제어를 위해 열, 진동 또는 경피 전기 신경 자극(TENS)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하기 위해 외부 통증 제어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매립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온보드 혈장 분리를 위한 다양한 옵션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수집 시 환자 정보와 쌍을 이룰 수 있는 고유한 샘플 식별자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수집 시 온보드 진단 피드백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또한 이중 수집, 예를 들어, 동일한 소스로부터 다수의 샘플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 수집 포트를 사용하고 항응고제와 같은 다양한 샘플 안정제로 샘플을 처리하는, 2개의 별개의 용기 내로의 2개의 샘플의 수집을 허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란셋 및 모세관을 사용하는 종래의 모세혈관 수집에 비해 손가락으로부터 큰 용량의 모세혈관 수집을 상당히 간단화하고 단순화한다. 본 개시내용의 디바이스는 혈액 노출을 제거하고 디바이스 재사용을 방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수집 프로세스를 간단화하고, 단순화하고, 능률화한다. 이는 모두 손가락 상에 배치된 후 란셋 절개, 혈액 추출, 안정화 및 격납 기능을 모두 하나의 유닛에서 제공할 것인 독립형 폐쇄형 시스템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자동화된 펌핑, 제어된 손가락 압착, 및 자동화된 샘플 라벨링 및 처리를 제공하는 자립형 유닛과 연관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12) 및 수집 용기(16)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가 도시되어 있고 설명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홀더(12)의 포트(26)와 수집 용기(16)의 용기 결합부(72)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환자의 손가락(19)으로부터 수집 용기(16)로 혈액 샘플(18)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환자의 손가락(19)으로부터 수집 용기(16)로 혈액 샘플(18)을 전달하기 위해 중력, 기하학적 특성 및 표면 특성에 의존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설계에 사용된 유로 원리는 이 수집 디바이스(10)에 제한되지 않고 혈액 샘플이 천자된 피부로부터 혈액 수집 튜브 내로 전달되어야 하는 다른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9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92)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도 있지만, 더 작은 치수와 더 작은 표면적을 갖는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적어도 2개의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첫째,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혈액 샘플(18)을 수집하는 사람 또는 사용자(예를 들어, 의료 전문가 또는 환자 자신)에 대한 혈액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환자에 대한 혈액 노출을 최소화하는 혈액 수집을 위한 폐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둘째,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환자의 손가락(19)으로부터 수집 용기(16)로 혈액 샘플(18)을 개선된 샘플 품질로 전달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내부면으로부터 홀더(12)의 포트(26)를 향해 연장되는 포스트 부재(8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 부재(82)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의해 형성된 공동 내에 위치되고 혈액 샘플(18)이 인출되는 환자의 손가락(19)의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제공된 포스트 부재(82)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내부면과 유로를 설정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19)의 상처로부터 나오는 혈액 샘플(18)로부터의 혈액의 처음 방울을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스트 부재(82)의 높이/위치는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혈액 샘플(18) 수집 중에 포스트 부재(82)가 환자의 손가락(19)의 개방된 상처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최적화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시에, 포스트 부재(82)의 위치는 상처로부터 나오는 혈액의 처음 방울과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19)의 상처에 충분히 가깝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외부벽은, 혈액 샘플(18)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외부로 누설되는 대신에, 포스트 부재(82)와 접촉한 후 하향으로 유도되도록 포스트 부재(82)의 상단부보다 더 높아야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액의 처음 방울이 포스트 부재(82)와 접촉하게 된 후,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내부면 상에 제공된 안내 유로(84)는 포스트 부재(82) 아래로 그리고 수집 용기(16) 내로 계속 유동하도록 혈액 샘플(18)을 유도한다. 안내 유로(84)는 수집 용기(16) 상의 혈액 샘플(18)의 번짐을 최소화하고 수집 용기(16) 내의 혈액 정체(hang up)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또한 수집 용기(16) 내의 사체적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안내 유로(84)는 수집 용기(16)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만곡된 전이 경로(85)가 포스트 부재(82)와 안내 유로(84) 사이에 제공된다. 만곡된 전이 경로(85)는 포스트 부재(82)로부터 안내 유로(84)를 향해 외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여러 상이한 인자가 혈액 샘플(18)이 안내 유로(84)를 따라 수집 용기(16) 내로 유동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지원한다. 안내 유로(84)의 재료 또는 안내 유로(84)에 도포되는 계면활성제는 안내 유로(84)를 따라 혈액 샘플(18)을 이동시키는 것을 지원할 수도 있다. 안내 유로(84)에 대한 친수성 표면 특성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안내 유로(84)를 위한 친수성 재료, 친수성 표면 특성을 제공하는 안내 유로(84) 내의 공중합체, 및 안내 유로(84)의 표면에 혈액 심지 특성을 제공하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 물질로의 표면 처리와 같은 다수의 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소수성 재료 및 친수성 재료의 모두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대한 혈소판 부착을 최소화하는 데 있어 다양한 레벨로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 특성을 극단의 소수성 및 친수성 유형의 표면 특성으로 변경하는 것은 혈소판 부착을 큰 정도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 코팅이 세포 정체 및 혈액 수집기 부착 표면에 대한 세포 입자의 부착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윤활제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으로부터 혈액 샘플(18)을 밀어내어, 이에 의해 세포 부착 및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 상의 정체를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 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BSA(소 혈청 알부민)와 같은 단백질 코팅이 또한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 상의 세포 부착에 대한 장벽으로서 작용하여, 이에 의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에 대한 혈소판 부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을 항응고제(EDTA)로 코팅하는 것은 첨가제를 혈액 샘플(18)에 더 빨리 도입할 수도 있고 혈액 샘플(18)을 더 빠르게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 접근법은 혈소판 응집, 미세 응괴의 응집 및 형성 및/또는 응고를 방지하여, 이에 의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에 대한 혈소판 부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중력은 혈액 샘플(18)이 안내 유로(84)를 따라 수집 용기(16) 내로 계속 진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혈액 샘플(18) 상의 중력에 추가하여, 혈액 샘플(18)과 안내 유로(84) 사이에 설정된 표면 장력은 수집 용기(16) 내로 혈액 샘플(18)을 유도하는 것을 지원한다. 유동 현상은 표면 개질을 통해 더 향상될 수도 있다. 친수성 표면 특성은 유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는 친수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재료를 플라즈마 처리하거나 계면활성제와 같은 첨가제로 코팅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90) 내의 기하학적 특징부는 유동을 안내하고 혈액의 번짐을 제한하기 위한 장애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여러 특징부가 수집 용기(16)로 전달되는 혈액 샘플(18)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제공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요 혈액 샘플 품질 속성은 혈액 샘플(18) 내의 혈소판 수이다. 혈소판은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에 고착하는 경향이 있고, 개방된 상처로부터 나오는 활성화된 혈소판은 더 높은 표면 고착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표면 상의 혈소판 부착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여러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유동 기하학 형상은 혈소판 부착을 감소시키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모세혈관 채널 구성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를 통한 혈액 샘플(18)을 위한 폐쇄 채널 유로(86)를 이용하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폐쇄 채널 구성에서, 혈액 샘플(18)을 위한 유로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표면 상의 혈소판 부착 없이 혈액 샘플(18)의 균일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해 감소된다. 모세혈관 채널은 더 높은 표면 장력을 통해 더 빠른 유동을 제공하지만 혈액 저류(pooling) 및 증가된 사체적의 위험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개방 채널 유로(88)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와 함께 이용된다. 이 구성에서, 더 넓은 개구가 혈액 샘플(18)을 수용하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개방 채널 유로(88)는 혈액 샘플(18)의 유동을 안내하고 수집 용기(16) 상의 혈액 샘플(18)의 번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방 채널 유로(88)를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9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모세혈관 홈으로부터 개방 안내 유동까지 유동 기하학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내의 혈액 정체를 최소화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내의 혈액의 저류를 회피한다. 개방 채널 유로(88)에서, 혈액 유동은 모세혈관 채널에 비교하여 약간 더 느릴 수도 있지만, 혈액 저류가 없고 및 감소된 사체적이 존재한다.
혈액 샘플(18) 내의 세포 입자는, 이들이 유동하는 표면, 특히 이질 표면에 고착하는 친화성을 갖는 혈소판에 고착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 세포 입자의 부착은 표면적 대 혈액 상호 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소화될 수도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 내의 안내 유로(84)는 혈액 샘플(18)과의 표면적 상호 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폐쇄 채널 유로(86)는 더 큰 표면적 대 혈액 상호 작용을 생성하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다. 이 상호 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개방 채널 유로(88)를 갖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혈액 샘플(18)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감소시켜, 이에 의해 표면적 대 혈액 상호 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원할 것이다. 또한, 도 10의 개방 채널 유로(88)와 함께 이용되는 리브(90)는 표면적 대 혈액 상호 작용을 더 감소시킬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감소된 치수를 갖는 "미니" 혈액 수집기 부착부(92)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와 비교하여 혈액 수집기 부착부(92)의 전체 길이(L)를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적 대 혈액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여, 이에 의해 혈액 샘플(18)이 이동하는 표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로부터 수집 용기(16) 내로 혈액 샘플(18)의 유동을 안내하고 부착하는 것을 지원하는 특징부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하단 에지(94)에서, 에지 표면은 수집 용기(16)로의 혈액 샘플(18)의 부착을 안내하고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고 구성될 수도 있다. 수집 용기(16) 내로의 혈액 샘플(18)의 이러한 최종 부착은 환자의 손가락(19)으로부터 수집 용기(16) 내로 완전한 유로를 설정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하단 에지(94)는 혈액 샘플(18)을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하단 에지(94)로부터 수집 용기(16)의 내부면 상으로 안내하는 것을 지원하는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또한 혈액 샘플(18)이 수집 용기(16)까지 아래로 자유롭게 유동하고 환자의 손가락(19) 또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상단에 멈춰서지 않도록 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의 상단 표면 상에 통기구(9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현재 모세혈관 혈액 수집 작업흐름은 복잡하고, 이는 훈련된 간호사 또는 의료 전문가와 같은 높은 기술 레벨을 필요로 한다. 복잡한 작업흐름은 샘플 품질에 증가된 양의 변동성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시스템 수집은 또한 의료 종사자에 대한 증가된 혈액 노출의 위험을 도입한다. 이들 결함은 본 개시내용의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의해 해결된다. 종래의 혈액 샘플 수집은 란셋 절개하고 혈액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별개의 디바이스를 수반한다. 수집 튜브는 손가락을 압착하는 동안 천자 부위로부터 나오는 혈액의 방울을 포획하기 위해 상처 아래에 정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높은 기술 및 수법을 수반하고 잠재적으로 높은 혈액 노출 및 오염의 위험을 야기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임의의 혈액 노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혈액 수집용 폐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종래의 혈액 수집에서는, 의료 전문가는 상처로부터 나오는 혈액의 방울을 포획하기 위해 상처를 튜브와 접촉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수집은 권장되는 혈액 수집 방법은 아니지만, 모세혈관 혈액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때때로 의료 전문가가 상처를 수집 튜브와 접촉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서, 처음 방울 부착을 설정하는 포스트 부재(82)의 위치가 최적화되어 개방된 상처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상처로부터 나오는 혈액의 방울을 포획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디자인은 임의의 감염 위험을 감소/제거한다.
현재의 종래의 모세혈관 수집에서는, 압착 및 수집 디바이스의 변동성으로 인해, 혈액 샘플 수집의 샘플 품질이 매우 다양하다. 혈액 수집 튜브를 상처에 정렬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손가락 상의 혈액의 번짐 및 튜브의 상단 위의 번짐을 야기하는데, 이는 샘플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는 혈액의 최소 번짐을 갖고 일관된 유로를 보장함으로써 이들 변수를 최소화한다. 종래의 혈액 수집에서, 의료 전문가는 또한 튜브를 사용하여 상처로부터 혈액을 퍼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용혈을 야기할 수 있다. 혈액 수집기 부착부(80)에 의해, 튜브 내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혈액 퍼냄이 없고 따라서 용혈 위험이 없다.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하고 즉시 만들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전술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에 설명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고, 청구범위의 의미 및 등가의 범위 내에 있는 본 발명에 대한 모든 변경은 그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3)

  1.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 및
    혈액 수집기 부착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수집 용기로서, 수집 용기는 수집 공동을 형성하는, 수집 용기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샘플과 접촉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 바로 아래에 있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의 상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단 에지보다 짧은,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홀더 내에 보유될 때 환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연결된 안내 유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와 안내 유로 사이에 제공되는 전이 경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전이 경로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코팅이 혈액 샘플의 적어도 일부의 부착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와 수집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코팅은 포스트 부재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코팅은 단백질 코팅인,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단백질 코팅은 소 혈청 알부민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코팅은 EDTA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하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과 수집 용기 사이에 개방 채널 유로를 형성하는,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개방 채널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샘플 소스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로서, 홀더는 작동부 및 포트를 갖는, 홀더; 및
    홀더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샘플과 접촉하기 위해 환자의 손가락 바로 아래에 있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의 상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단 에지보다 짧은,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포스트 부재는 홀더 내에 보유될 때 환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혈액 수집기 부착부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기 위해 포스트 부재에 연결된 안내 유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20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포스트 부재와 안내 유로 사이에 제공되는 전이 경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전이 경로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24. 제17항에 있어서, 코팅이 혈액 샘플의 적어도 일부의 부착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 수집기 부착부와 수집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코팅은 포스트 부재에 도포되는, 디바이스.
  26. 제24항에 있어서, 코팅은 단백질 코팅인,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단백질 코팅은 소 혈청 알부민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8. 제17항에 있어서, 코팅은 EDTA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9. 제17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하단 에지는 혈액 수집기 부착부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는 곡률을 갖는, 디바이스.
  30.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혈액 수집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디바이스.
  31. 제17항에 있어서,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과 수집 용기 사이에 개방 채널 유로를 형성하는,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개방 채널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3.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며,
    홀더 및 수집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혈액 수집기 부착부를 포함하고;
    혈액 수집기 부착부는 환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수집 용기로 혈액 샘플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247002758A 2021-06-29 2022-06-23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KR20240024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16239P 2021-06-29 2021-06-29
US63/216,239 2021-06-29
PCT/US2022/034626 WO2023278225A1 (en) 2021-06-29 2022-06-23 Capillary blood coll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256A true KR20240024256A (ko) 2024-02-23

Family

ID=8469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758A KR20240024256A (ko) 2021-06-29 2022-06-23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2793A1 (ko)
KR (1) KR20240024256A (ko)
CN (1) CN117615708A (ko)
CA (1) CA3223830A1 (ko)
WO (1) WO20232782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1267B1 (en) * 2000-10-18 2003-04-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l article having blood-contacting surface
ES2871082T3 (es) * 2015-12-29 2021-10-28 Opko Diagnostics Llc Dispositivo de recolección de fluidos y métodos relacionados
WO2018039305A1 (en) * 2016-08-24 2018-03-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 device for obtaining a blood sample
KR20210129120A (ko) * 2019-02-14 2021-10-27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회전 가능 연결부를 구비한 모세관 수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3830A1 (en) 2023-01-05
WO2023278225A1 (en) 2023-01-05
EP4362793A1 (en) 2024-05-08
CN117615708A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3130A1 (en) Device for Obtaining a Blood Sample
AU2020222910B2 (en) Capillary collector with rotatable connection
KR20240024256A (ko)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KR20240024243A (ko)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KR20240027731A (ko)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
EP4362796A1 (en) Capillary blood collection device
CA3223743A1 (en) Capillary blood collection device
KR20240027716A (ko) 모세혈관 혈액 수집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