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940A -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940A
KR20240023940A KR1020220102264A KR20220102264A KR20240023940A KR 20240023940 A KR20240023940 A KR 20240023940A KR 1020220102264 A KR1020220102264 A KR 1020220102264A KR 20220102264 A KR20220102264 A KR 20220102264A KR 20240023940 A KR20240023940 A KR 2024002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electrical contact
power supply
connection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욱
Original Assignee
황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욱 filed Critical 황성욱
Priority to KR102022010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940A/ko
Publication of KR2024002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체결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 바디부; 상기 레일 바디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회전을 통해 상부와 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전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전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POWER SUPPLY RAIL SYSETM}
본 발명은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구조가 단순하며,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깔끔한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콘센트 수를 늘려 더 많은 가전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멀티탭은 연결되는 기기에 따라 전선의 길이가 달라 미관이 좋지 못하고, 전선이 서로 뒤엉킬 경우에는 각 가전기구별 전선을 식별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벽체나 천정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조명기구로 전원 공급을 위해 종래의 멀티탭을 사용할 경우, 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필요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에서 해당 조명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전원공급레일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공급레일은 단일 레일 형태로, 복수의 전원공급레일이 구비될 경우, 각각의 전원공급레일로는 각각의 전원을 인가해야 되기에 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치 구조가 단순하며, 디자인이 깔끔한 전원공급레일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05호(2022.03.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장치 구조가 단순하며,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깔끔한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체결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 바디부; 상기 레일 바디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회전을 통해 상부와 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전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전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양단부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다른층을 형성하는 이격된 상기 체결 공간부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다른층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디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형 커넥터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가상의 중앙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까지의 제1 거리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까지의 제2 거리는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비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로 삽입되며,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 공간부로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선이 결합되는 전원 접속부가 형성된 어댑터 바디부; 상기 어댑터 바디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공간부에 배치되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어댑터 바디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공간부에 배치되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커넥터는,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며 제1 전선 안내홀이 형성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가전기구에 연결된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이 상기 제1 전선 안내홀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전선 안내홀과 연통되는 제2 전선 안내홀이 형성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몸체부의 인입깊이를 안내하는 지지 고정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전선이 연결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접속부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전선이 연결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회전을 통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부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 바디부 및 커넥터 지지부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에는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 연결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형 커넥터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가전기구를 요구하는 위치에 다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형 커넥터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구비되어, 회전형 커넥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전기 접촉부에 서로 다른 극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접속되어 합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회전형 커넥터는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쇼트(short)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은 한 개의 어댑터와 복수의 전류 공급부를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는 다양한 가전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은 구조가 단순하여 전체적으로 디자인 깔끔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 공간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와 전기 접촉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체결 공간부로 삽입되는 전류 연결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커넥터가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커넥터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커넥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 공간부로 삽입되는 어댑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와 전기 접촉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체결 공간부로 삽입되는 전류 연결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커넥터가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커넥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커넥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1000)은 레일 바디부(100), 전기 접촉부(200), 회전형 커넥터(300), 전류 연결부(400), 커넥터 지지부(500) 및 어댑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 바디부(100)는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1000)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룬다. 이러한 레일 바디부(10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이웃하는 레일 바디부(100) 사이에는 체결 공간부(1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레일 바디부(100)는 예를 들어, 상하로 일정의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바디부(100)의 후면에는 연결 고정부(110)가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레일 바디부(100)는 연결 고정부(11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고정부(110)는 예를 들어 벽면에 설치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연결 고정부(11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레일 바디부(100)는 벽면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바디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슬라이드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 접촉부(200)는 슬라이드 결합부(120)에 삽입 결합되어 레일 바디부(1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결합부(120)는 슬라이드 삽입되는 전기 접촉부(200)를 지지 고정하도록 전기 접촉부(200)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기 접촉부(200)가 레일 바디부(100)에 결합됨에 있어, 레일 바디부(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바라보는 전기 접촉부(200)의 반대측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회전형 커넥터(30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형 커넥터(300)에 구비된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는 전기 접촉부(20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레일 바디부(10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로, 레일 바디부(100)는 압출 성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레일 바디부(100)는 반드시 플라스틱 소재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전도성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기 접촉부(200)는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 접촉부(200)는 예를 들어 니켈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 접촉부(200)가 니켈 플레이트는 이루어질 경우, 압출을 통해 긴 형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레일 바디부(100)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접촉부(200) 역시 반드시 니켈 플레이트로만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커넥터 지지부(500)는 레일 바디부(100)의 전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넥터 지지부(500)는 예를 들어, 레일 바디부(100)를 외부로부터 가리며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1000)의 인테리어를 위한 마감재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 지지부(500)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목재, 플라스틱 소재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지지부(500)는 체결 공간부(101)로 삽입되는 회전형 커넥터(3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넥터 지지부(500)는 복수개의 레일 바디부(100)에 각각 결합되되, 이웃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지지부(500) 간에 삽입 공간부(501)를 형성하도록 레일 바디부(1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삽입 공간부(501)는 회전형 커넥터(300)를 비롯한 어댑터(600)의 삽입을 위한 삽입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 지지부(500)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공간부(501)를 기준으로, 상부측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부(200)까지의 거리와 하부측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부(200)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커넥터 지지부(500)는 레일 바디부(100)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체결 공간부(101)를 형성하는 이격된 레일 바디부(100)의 가상의 중앙 수평선상과 삽입 공간부(501)를 형성하는 이격된 커넥터 지지부(500)의 가상의 중앙 수평선상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즉, 커넥터 지지부(500)는 레일 바디부(100)에 비대칭 형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지지부(500)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공간부(501)의 가상의 중앙 수평선상(H)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 바디부(100)에 결합된 전기 접촉부(200)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D1)라 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 바디부(100)에 결합된 전기 접촉부(200)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D2)라 하면, 삽입 공간부(501)의 가상의 중앙 수평선상(H)을 기준으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삽입 공간부(501)는 체결 공간부(101)의 중앙 부분이 아닌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레일 바디부(100)에 가깝게 배치된다.
이는, 회전형 커넥터(300)에 구비된 서로 다른 길이를 이루는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 전극과 - 전극으로 사용되는 전기 접촉부(200)에 서로 다른 극의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접속되어 합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회전형 커넥터(300)에 구비되는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는 회전 과정에서 마주보고 있는 전기 접촉부(200)에 접속될 시, 합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짧도록 이루어지고, 제1 접속부(340)는 제2 접속부(350)보다 짧도록 이루어질 경우, 제1 거리(D1)와 제1 접속부(340)의 길이는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제2 거리(D2)와 제2 접속부(350)의 길이는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회전형 커넥터(300)의 회전 과정에서 제1 접속부(340)가 제1 거리(D1)에 위치되는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접속부(350)는 제2 거리(D2)에 위치되는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형 커넥터(300)에 구비된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전기 접촉부(200)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는 회전형 커넥터(300)에 결합된 가전기구(10)로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즉, 가전기구(1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여기서 회전형 커넥터(300)에 결합되는 가전기구(10)는 예를 들어, 조명, 충전기, 디지털 시계, 블루투스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가전기구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 거리(D1)와 제1 접속부(340)의 길이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고, 제2 거리(D2)와 제2 접속부(350)의 길이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짐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거리(D1)에 배치된 전기 접촉부(200)로는 + 전극이 공급되고, 제2 거리(D2)에 배치된 전기 접촉부(200)로는 - 전극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접속부(340)는 +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접속부(350)는 -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거리(D1)에 배치된 전기 접촉부(200)로는 - 전극이 공급되고, 제2 거리(D2)에 배치된 전기 접촉부(200)로는 + 전극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접속부(340)는 -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접속부(350)는 +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부(200)로는 어댑터(6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전극이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어댑터(6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 접촉부(200)로 전류를 흘려보내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어댑터(60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일 수 있다. 즉, 어댑터(600)는 전기 접촉부(200)로 DC 전류를 흘려보내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어댑터(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전기 접촉부(200)로 공급하고, 회전형 커넥터(300)의 회전을 통해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시, 회전형 커넥터(300)에 결합된 가전기구(10)로 직류 전류가 공급되어 해당 가전기구(10)는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600)는 어댑터 바디부(610), 제1 단자부(620) 및 제2 단자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댑터 바디부(610)는 커넥터 지지부(500)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공간부(50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어댑터 바디부(610)에는 전원 접속부(611)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선은 전원 접속부(6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부(620)는 어댑터 바디부(61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 바디부(100)에 구비된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단자부(630)는 어댑터 바디부(610)의 타측으로 연장되며,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 바디부(100)에 구비된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단자부(620)와 제2 단자부(630)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단자부(620)와 제2 단자부(630)는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단자부(620)와 제2 단자부(630)는 앞서 언급된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와 같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댑터(600)가 삽입 공간부(501)에 삽입됨에 있어, 미리 정해진 형태로만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어댑터(600)를 통해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부(200)로 미리 정해진 전극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어댑터(6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전극이 전기 접촉부(200)로 공급됨에 따라 회전형 커넥터(30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형 커넥터(300)가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합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류 연결부(400)의 양단부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는 이격된 체결 공간부(101)와 삽입 공간부(501)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전류 연결부(400)는 어댑터(600)로부터 전기 접촉부(200)로 제공된 미리 정해진 전극을 어댑터(600)가 체결되지 않은 다른 층으로도 어댑터(600)로부터 제공되는 전극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류 연결부(400)의 일단은 어댑터(600)가 체결된 체결 공간부(101)에 삽입되고, 전류 연결부(400)의 타단은 어댑터(600)가 체결되지 않은 체결 공간부(101)에 삽입되어, 어댑터(600)로부터 전기 접촉부(200)로 제공되는 전극을 다른 층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부(200)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레일 바디부(100)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의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하더라도 전류 연결부(400)를 통해 복수개의 서로 다른 층에 구비되는 전기 접촉부(200)로는 어댑터(600)로부터 제공된 전극이 흐를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1000)은 전류 연결부(400)를 통해 서로 다른 층마다 각각의 어댑터(600)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기에,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는 다양한 가전기구(10)로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회전형 커넥터(300)는 레일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회전을 통해 상부와 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레일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전기 접촉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전기구(1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형 커넥터(300)는 제1 몸체부(310), 제2 몸체부(320), 지지 고정부(330),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부(310)는 삽입 공간부(501)와 체결 공간부(10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몸체부(310)에는 제1 전선 안내홀(311)이 형성되어 가전기구(10)에 연결된 제1 전선(1)은 제1 접속부(340)에 연결되고, 제2 전선(2)은 제2 접속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몸체부(320)는 제1 몸체부(3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몸체부(320)에는 제1 전선 안내홀(311)과 연통되는 제2 전선 안내홀(321)이 형성되어 가전기구(10)에 연결된 제1 전선(1) 및 제2 전선(2)은 제2 전선 안내홀(321)과 제1 전선 안내홀(311)을 통해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고정부(330)는 제1 몸체부(310)의 일단부 둘레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 고정부(330)는 커넥터 지지부(500)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가전기구(1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고정부(330)는 삽입 공간부(501)와 체결 공간부(101)에 삽입된 제1 몸체부(310)의 인입 깊이를 안내하여, 제1 몸체부(3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 몸체부(310)에 결합된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부(200)에 정확하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 고정부(330)는 제1 몸체부(3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는 지지 고정부(330)를 통해 제1 몸체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속부(340)는 제1 몸체부(31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제1 전선(1)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접속부(350)는 제1 접속부(340)와 같이 제1 몸체부(310)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제1 접속부(340)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제2 전선(2)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는 제1 몸체부(310)의 외부로 돌출되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의 길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결합된 제1 몸체부(310)는 제2 몸체부(320)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몸체부(320)에 지지되는 가전기구(10)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제1 몸체부(310)의 회전을 통해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를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레일 바디부(100)에 구비된 전기 접촉부(2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가전기구(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층을 이루는 체결 공간부(101)에는 회전형 커넥터(300) 이외에 전원 공급이 없어도 되는 선반이나 후크 걸이 등이 결합되어 인테리어로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레일 바디부
101: 체결 공간부
110: 연결 고정부
120: 슬라이드 결합부
200: 전기 접촉부
300: 회전형 커넥터
310: 제1 몸체부
311: 제1 전선 안내홀
320: 제2 몸체부
321: 제2 전선 안내홀
330: 지지 고정부
340: 제1 접속부
350: 제2 접속부
400: 전류 연결부
500: 커넥터 지지부
501: 삽입 공간부
600: 어댑터
610: 어댑터 바디부
611: 전원 접속부
620: 제1 단자부
630: 제2 단자부
1000: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Claims (7)

  1.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체결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 바디부;
    상기 레일 바디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회전을 통해 상부와 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전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전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는 상부와 하부로 서로 다른층을 형성하는 이격된 상기 체결 공간부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다른층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디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형 커넥터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가상의 중앙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까지의 제1 거리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까지의 제2 거리는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비대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로 삽입되며,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삽입 공간부로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선이 결합되는 전원 접속부가 형성된 어댑터 바디부;
    상기 어댑터 바디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공간부에 배치되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어댑터 바디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공간부에 배치되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커넥터는,
    상기 체결 공간부에 삽입되며 제1 전선 안내홀이 형성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가전기구에 연결된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이 상기 제1 전선 안내홀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전선 안내홀과 연통되는 제2 전선 안내홀이 형성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몸체부의 인입깊이를 안내하는 지지 고정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전선이 연결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접속부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전선이 연결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회전을 통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바디부에 구비된 상기 전기 접촉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부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 바디부 및 커넥터 지지부는 비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KR1020220102264A 2022-08-16 2022-08-16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KR20240023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264A KR20240023940A (ko) 2022-08-16 2022-08-16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264A KR20240023940A (ko) 2022-08-16 2022-08-16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940A true KR20240023940A (ko) 2024-02-23

Family

ID=9004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264A KR20240023940A (ko) 2022-08-16 2022-08-16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39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905A (ko) 2019-03-25 2022-01-07 더글라스 파머수티클스 리미티드 서방형 약학 제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905A (ko) 2019-03-25 2022-01-07 더글라스 파머수티클스 리미티드 서방형 약학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6529C2 (ru) Электрифицированные соединители нижней части каркаса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JP5309214B2 (ja) 家庭、事業所または工業用の設備向けの電気ガイドに沿って摺動するブラシまたはピンを有するコネクタ
RU2542714C2 (ru) Внутренняя токопроводящая шина и сред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заи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нее
US4382648A (en) Electrical energy supply system for work stations in a space divider system
RU2406806C2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ность в системе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US8882523B2 (en) One in four out connector
JP2017520101A (ja) 可動ソケット対応の電源用レールのための装置
US20090239403A1 (en) Modular electrical system utilizing four wire circuitry
CN102918722A (zh) 改进的压配合母线和使用该母线的母线通道
KR20070107312A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CZ262199A3 (cs) Napájecí kolejnice
WO2013081914A1 (en) Polarity protection for electrified grid and mating connector
US20150111403A1 (en) Adjustable flat wire raceway
US6644988B2 (en) Fabricated baseplat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140038343A (ko) Oled 발광체를 갖는 램프용 소켓
US6597129B2 (en) Lighting fixture and system
US9225101B2 (en) Horizontal T-junction block assembly
KR20240023940A (ko) 전원 공급 레일 시스템
JP2012185988A (ja) プラグ、コンセント、照明装置およびショーケース
CN213878655U (zh) 一种多方向轨道系统
KR102573232B1 (ko) 전원 공급 키트
CN112984476A (zh) Led灯通用安装系统
CN112254112A (zh) 一种互联式导线槽以及空间照明系统
CN111140826A (zh) 立体轨道结构及立体轨道灯
CN212323290U (zh) 电力轨道、隐藏式电力轨道系统及轨道电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