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2699A -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699A
KR20240022699A KR1020220101067A KR20220101067A KR20240022699A KR 20240022699 A KR20240022699 A KR 20240022699A KR 1020220101067 A KR1020220101067 A KR 1020220101067A KR 20220101067 A KR20220101067 A KR 20220101067A KR 20240022699 A KR20240022699 A KR 2024002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preventing
composition
treating
scut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철
유선경
김동구
박승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699A/ko
Publication of KR2024002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6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61P33/04Amoebic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CUTICOCILIATOSIS OF FISH}
본 발명은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류양식어업은 수산자원의 고갈에 대항하는 혁신적인 대안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정부에서 적극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양식의 폐사율은 연간 20%를 상회하며, 그 주요원인으로 수온 상승으로 인한 난치성 질병 발생 및 혼합 감염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약제 치료효과의 저감이 지목되고 있다.
특히 양식어류에 스쿠티카충이 감염될 경우에 피해가 상당하여 대량 폐사의 원인이 되어 양식 산업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된다. 기생충성 감염 질환의 하나인 스쿠티카증은 육상의 약식수조나 해상가두리에서 양식되고 있는 해수 어류에서 주로 발병하는 질병으로서 원생동물의 섬모충의 일종인 스쿠티코실리아티다목 (Scuticociliatids)에 속하는 기생충인 스쿠티카충이 넙치의 피하조직에 침입하여 궤양을 일으킴으로서 발생한다. 이 충에 어체가 감염되면 종묘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여 폐사율이 높아지며, 이 경우는 밀식을 피하고 유기물질이 수조 밑바닥에 남지 않도록 제거해 주어야 하며, 종래 사용되어왔던 치료방법으로는 스쿠티카충이 체표나 아가미 및 지느러미와 같은 외부에 기생했을 때 100-150ppm의 포르말린으로 1시간 정도 약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특허 10-1719669호).
포르말린은 대표적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물에 녹여 35~38%의 농도로 만든 것이다. 이는 소독제, 방부제로 널리 쓰이며 국내에서는 수질환경보전법(제29조), 유해화학물질관리법(제15조), 폐기물관리법(제25조) 등에 따라 독극물로 분류돼 엄격한 관리를 요구받고 있고, 포름알데히드는 대기환경보전법(제2조)에 따라 유해물질로 분류된다.
따라서 스쿠티카충의 치료약으로서 포르말린의 사용은 물론 국내의 양식장에서도 더 이상 사용이 어렵게 되었으며, 이를 대체할 약제 조성물 등의 개발이 필요하나, 아직 특별한 대체조성물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며, 포르말린을 대체할 천연물 유래 스쿠티카충 구제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에 따라서,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쿠티카충 감염에 따른 어류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스쿠티카충의 사멸을 유도하므로 양식 어류의 기생충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붉바리 종자에 노출실험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미세화 액상유황의 제조>
습식밀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분쇄를 위해서는 유황분말이 물에 균일하게 분산이 되어야 한다. 계면활성제를 0.01% 첨가시 유황분말이 물에 효과적으로 분산된다.
유황분말 20 중량%, 물 79.99 중량% 및 계면활성제 0.01 중량%를 교반하면서 습식밀로 2시간 분쇄를 2 사이클 수행하였다.
습식밀 분쇄시간이 길어질 수록 유황 입자사이즈 분포가 작아지나 (최대입자사이즈 임계치는 10㎛ 이상), 최대입자사이즈 20㎛이하로 분쇄에 필요한 최적의 시간은 22시간(2시간/one cycle 순환 시)이다.
<미세화된 액상유황의 양식장 어류 테스트>
액상유황이 양식 붉바리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제주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에서 시험하였다.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붉바리 종자에 상기에서 제조된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48시간 노출시켰다.
붉바리 종자 액상유황 농도별 노출실험 조건
- 실 험 어 : 붉바리 종자 (체장 5.09±0.42 cm, 체중 2.40±0.44 g)
- 사육방법 : 80L 수조에 10L 침지
- 처리기간 : 48시간
- 처리농도 : 대조구, 10ppm, 20ppm, 40ppm, 80ppm, 160ppm 처리구
대조구와 처리구간 생존율은 각각 100% 생존하여 차이가 없었고, 2주 후 성장 차이도 없었다 (도 1).
<감염 스쿠티카충 저항 실험>
스쿠티카충에 감염된 붉바리 종자에 4일간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150ppm 처리 시, 처리전 상처부위와 체표면에 스쿠티카충이 다수 분포하였으나, 4일 후 스쿠티카충이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3)

  1.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3. 미세화된 액상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220101067A 2022-08-12 2022-08-12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2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067A KR20240022699A (ko) 2022-08-12 2022-08-12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067A KR20240022699A (ko) 2022-08-12 2022-08-12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699A true KR20240022699A (ko) 2024-02-20

Family

ID=9005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067A KR20240022699A (ko) 2022-08-12 2022-08-12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6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2370152A1 (en) Treatment for removing ectoparasites from fish
Hassan et al. Latent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reproductive potential and ultrastructure of males' testes of Culex pipiens (Diptera; Culicidae)
Jithendran et al. Crustacean parasites and their management in brackishwater fi nfi sh culture
Fajer-Ávila et al. Effectiveness of treatments against eggs, and adults of Haliotrema sp. and Euryhaliotrema sp.(Monogenea: Ancyrocephalinae) infecting red snapper, Lutjanus guttatus
Kitancharoen et al. The fungistatic effect of NaCl on rainbow trout egg saprolegniasis
JP2020096599A (ja) 低濃度過酸化水素水による魚類外部寄生虫駆除方法
Jaafar et al. Comparative efficacies of sodium percarbonate, peracetic acid, and formaldehyde for control of Ichthyobodo necator—an ectoparasitic flagellate from rainbow trout
CN111840290B (zh) 一种异喹啉类化合物在杀灭或预防水产动物体外寄生虫中的应用
EP1083907B1 (en) Control of parasitic infestations in farmed and wild fish
Suzuki et al. Efficacy of green tea extract on removal of the ectoparasitic flagellate Ichthyobodo necator from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and masu salmon, O. masou
KR20240022699A (ko)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4133720A (ja) 魚類のアメーバ駆除方法、魚類のアメーバ駆除用薬浴液、魚類用のアメーバ駆除剤および飼料
O Jimoh et al. Effects of prophylactics on growth, and hematology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fingerlings
KR101850697B1 (ko)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사료
CN112243346A (zh) 用于从鱼除去外寄生虫的处理
KR100823558B1 (ko) 어류의 스쿠치카충 살충제
CN105267237B (zh) 一种用于治疗大黄鱼刺激隐核虫病的复合制剂
JPH03200705A (ja) 過酸化水素製剤とその用途
JP2817753B2 (ja) 海水養殖場におけるトラフグのヘテロボツリウム症の予防方法
KR102568184B1 (ko) 광어의 스쿠티카충 감염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및 방법
CN1317954C (zh) 植物质水产动物体外寄生虫防治剂及制备方法
JP2017000085A (ja) 海産養魚の外部寄生虫防除方法
Opute et al. EMBRYO-LARVAL TOXICITY OF ANTI-FUNGUS CHEMICALS USED AS PROPHYLACTIC AGENTS ON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Chen et al. Acute toxicity of salinity to Sinogastromyzon Szechuanensis
JP2023078111A (ja) グルタルアルデヒドを含む魚類寄生虫駆除剤